★군사용어·지식/한글군사용어

한글 군사용어 해설 (ㅂ)

머린코341(mc341) 2014. 3. 17. 12:54

 

한글 군사용어 해설 (ㅂ)  

 

박명(薄明, Twilight)
일출전이나 일몰후 대기 중에 떠 있는 미세한 물질이나 먼지가 태양광선을 반사하여 희미하게 밝은 현상. 통상 일출 45분 전부터 일출까지를 해상 박명초(BMNT), 일몰시부터 15분 후까지를 해상 박명종(EENT)이라 함.
 
반(班, Section)
육군과 해병대의 전술단위로서 소대보다 작고 분대보다 큰 것임. 어떠한 조직에 있어서는 분대보다 반이 기본적인 전술단위가 되어 있음.
 
반감기(半減期, Half-Life)
방사능 물질의 방사능 강도가 절반으로 감소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 이것은 개개의 방사능 원소에 고유한 것으로서 온도, 압력, 기타 외계의 조건에 전혀 영향받지 않음.
 
반격(反擊, Counter-Offensive)
공격부대로부터 주도권을 탈취하기 위하여 방어부대가 실시하는 대규모의 공세로서 공세이전과 동의어임.
 
반고정식 탄약(半固定式彈藥, Semifixed Ammunition)
포탄에 탄피가 영구적으로 붙어 있지 않고 탄피와 탄환을 결합하여 탄피 내의 장약을 조절함으로써 사거리를 증감시킬 수 있는 탄약.
 
반능동 유도미사일(半能動誘導~, Semi-Active Homing Missile)
유도탄이 지상전파나 비행기에서 조정되어 목표물까지 유도되는 미사일.
 
반복전파방해기(反復電波妨害器, Repeater Jammer)
적의 전파를 수신하여 타 형태로 변형하고 증폭하여 다시 송신함으로써 적의 전자장비가 허위첩보를 수신하도록 하는 형태의 장비.
 
반사면 방어(反斜面防禦, Reverse Slope Defense)
적 방향으로부터 내리막에 있는 경사면상에 편성된 방어로서 이는 방어진지 전방에서 최대한의 적 사상자를 내기 위하여, 전방방어지역의 위치를 기만하기 위하여, 적이 공세선을 횡단시 최대한의 효과적인 기습사격을 가하기 위하여, 지형적인 정상을 적이 사용하는 것을 거부하기 위하여 실시함.
 
반응시간(反應時間, Reaction Time)
1.행동의 시작과 요구된 반응 사이에 경과된 시간.
2.작전지시나 명령을 수령하고 지정된 지역에 최초병력이 도착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
 
반자동 가시선지휘유도(半自動可視線指揮誘導, Semiautomatic Command to Line of Sight)
휴대용 대공유도탄(재브린)의 유도방법으로서 사수가 지속적으로 가시선에 표적을 추적하면 가시선에 정렬된 소형 카메라는 유도탄을 포착한 후에 가시선에 일치시키기 위한 유도제원을 산출, 유도탄에 무선송신하여 표적으로 유도하는 방식.

 

 

반자동 방공관제체제(半自動防空管制體制, Semiautomatic Air Defense Management)
레이더로 표적을 발견하여 우군기를 표적으로 유도할 때까지의 과정을 전부 컴퓨터가 하고, 최종적인 판단만을 인력에 의존하는 방공조직.
 
반잠수정(半潛水艇, Semi-Submarine Boat)
적의 레이더망에 포착되지 않고 해안에 침투할 수 있는 소형의 공작선으로 잠수시 수면으로부터 20~30㎝ 노출되며 노출부위는 반레이더 고무커버를 씌워 레이더에 포착되지 않음. 예를 들면 북괴가 공작선(자선)으로 개발한 반잠수정이 있음.
 
반출능력(搬出能力, Clearance Capacity)
가용한 내륙교통수단으로 해안이나 항구로부터 1일간에 내륙으로 수송할 수 있는 화물의 양을 적재톤 또는 중량톤의 단위로 표시한 능력판단.
내륙교통수단으로는 도로, 철도 및 내륙수로가 포함되며, 이 능력판단은 그 지역 내에 있는 수송시설의 구체적인 특성평가에 기초를 둠.
 
반치사 가스노출량(半致死~露出量, Median Lethal Gas Exposure)
노출된 건수의 50%는 치명적인 영향을 받게 되리라고 추정한 가스의 노출량. 보통 LCT 50으로서 표현됨.
 
반치사선량(半致死線量, Median Lethal Radiation Dosage)
노출된 건수의 50%는 치명적인 영향을 받게 되리라고 추정한 방사능의 노출량으로서 보통 LD 50으로서 표현됨.
 
반향(反響, Clutter)
레이더 탐지거리 내에 있는 고정물질로 인하여 생기는 방해현상. 이 고정물질로 인하여 레이더로부터 방사한 전파가 반사되어 돌아와 스코프상에 전시되면, 이 방향 및 거리 내에서 비행하는 목표의 식별이 매우 곤란하게 됨. 이 반향이 레이더의 전술적 운용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큼.
 
반향음 측거(反響音測距, Echo Ranging)
음파를 발사한 후 음파가 물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그 물체의 거리와 방위를 구하는 것.
 
발연기(發煙機, Smoke Generator)
지역 차폐를 목적으로 연막조정을 위해 연기 형태로 발사시키는 기계.
 
발주 및 수송시간(發注및輸送時間, Order and Shipping Time; OST)
청구행위를 착수한 때로부터 당해 청구품목을 수량상 90% 이상 수령하고 기록계정이 완료되어 불출가능할 때까지 경과된 시간적 간격.
 
발진기지(發進基地, Launch Base)
작전제대가 적 지역 침투를 위하여 최종적으로 준비를 확인하고 적 지역으로 이동하는 기지로서 통상 육상침투시는 접적선 우군지역, 해상침투시는 항만, 공중침투시는 비행장이 됨.

 

 

방공(防空, Air Defence)
대기권 내에서 적 항공기 혹은 적 유도탄이 공격을 감행해 올 때 공중공격의 효과를 무력하게 하거나 감소시키는 데 필요한 아측의 모든 군사적 활동.
 
방공경보(防空警報, Air Defense Warning)
공중공습의 가능성을 예고하는 사전경보조치로서 통상 최고의 방어준비상태가 선포된 이후에 발령되며, 이는 방공지휘관에 의해 적의 공중공격 가능성을 평가하는 척도를 나타냄.
1. 공습경보:공중공격이 임박했거나 진행중인 상태.
2. 경계경보:공중공격이 예상되는 상태.
3. 해제경보:공중공격의 가능성이 없는 상태.
 
방공경보망(防空警報網, Air Defense Warning Net)
전구항공통제본부에서 모든 부대에 비상 혹은 적 공습에 대처할 수 있도록 방공경보, 항적첩보 또는 통제지시 등을 가장 빠른 속도로 전달할 수 있는 통신망.
 
방공관제소(防空管制所, Air Defense Direction Center)
지정된 책임구역 내에서 대공감시 및 요격통제와 할당된 방공무기의 지시능력을 구비한 통제시설.
 
방공교전규칙(防空交戰規則, Rules of Air Defense Engagement)
방공사격을 통제하는 규칙으로서 합동방공사령관이 제정하며 각급 방공부대는 이를 접수하여 해당되는 사항을 부대 예규에 포함시켜 예하부대에 제공함.
방공교전 규칙에는 적기 판단기준과 사격지시 및 통제에 관한 내용이 포함됨.
 
방공구역(防空區域, Air Defence Sector)
방공목적상 계획, 설정된 특정공역.
 
방공무기(防空武器, Air Defense Weapons)
대기권 내의 적 유도탄 및 공격하는 모든 항공기를 파괴 또는 무력화하거나 공격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제반무기. 이와 같은 방공무기는 방공항공기와 방공포병무기로 대별됨.
 
방공비상(防空非常, Air Defense Emergency)
적 항공기 혹은 미사일에 의한 공격이 예상되거나 임박할 때 혹은 행하여지고 있을 때 해당기관에 의하여 선포 또는 확인된 비상사태.
 
방공소구역(防空小區域, Air Defense Sub Sector)
중앙방공통제소가 작전불가시 방공작전 통제를 지역단위로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한국방공구역을 남부와 북부로 구분한 분할구역.
 
방공식별구역(防空識別區域,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ADIZ)
영공을 방위할 수 있도록 비행물체를 식별하여 위치를 확인하고, 필요시 군사상의 위협을 평가하기 위하여 공군작전사령관이 합참의장의 승인을 받아 설정하는 구역.

 

 

방공요격관제(防空邀擊管制, Air Defense Intercept)
항공기가 이륙하여 관제부대의 레이더에 포착된 후부터 최종공격단계에서 조종사가 요격임무를 인수하기 전까지의 계속적인 레이더 관제와 최종공격단계중 레이더 감시업무.
 
방공자유사격공역(防空自由射擊空域, Air Defense Free Airspace)
특정한 공역을 침입하는 적 항공기에 대하여 자유로운 교전이 가능하도록 방공포병부대에 자유사격을 허용하는 공역.
 
방공작전(防空作戰, Air Defense Operation)
영공 또는 작전지역의 공중공간으로 침입을 기도하거나 침투한 공중세력을 탐지, 식별, 요격해서 격파하는 방어개념의 작전으로 통상 방어제공작전과 동일개념으로 사용되며, 방공작전 형태는 지역방공과 국지방공으로 분류되고, 국지방공은 기동부대 대공방어와 고정시설 대공방어 및 행군부대 대공방어로 구분됨.
 
방공작전지역(防空作戰地域, Air Defense Operation Area; ADOA)
방공부대가 적 항공기와 교전하는 데 최대의 자유를 보장하고 방공작전과 기타작전의 상호 방해 및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작전절차가 수립된 일정한 범위의 지리적인 지역.
 
방공작전통제선(防空作戰統制線, Air Defense Operation Control Line)
방공작전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하여 지상으로부터 공역에 설치하는 가상선. 방공포병부대의 작전통제에 용이하고 작전의 신속을 기하기 위하여 설치함.
 
방공작전통제소(防空作戰統制所, Air Defense Operation Control Post; ADOCP)
방공포병의 방공작전을 위한 표적정보를 접수 및 전파하고 사격통제명령에 따라 적절한 표적할당 및 사격지휘를 실시하는 지휘소의 하급기구이며, 방공포병여단본부로부터 소대까지 설치할 수 있음.
 
방공작전통제체계(防空作戰統制體系, Air Defense Operation Control System; ADOCS)
공군작전사령관은 한국 방공구역에 대한 방공 책임을 지며, 전구항공통제본부를 통하여 방공부대에 대한 작전통제권을 행사한다. 방공작전의 통제는 일원화된 중앙집권통제를 원칙으로 하지만 신속한 반응과 융통성을 기하기 위하여 필요시 권한을 위임하여 분권화할 수 있음.
 
방공제한지역(防空制限地域, Air Defense Restricted Area)
아군부대간의 방해를 방지하거나 또는 최소로 하기 위하여 특별한 제한대책이 사용되는 지역.
 
방공조기경보(防空早期警報, Air Defense Early Warning)
적의 항공기나 유도탄의 근접을 전자방법이나 육안으로 조기에 식별하여 일정한 절차에 따라 방공포병부대 및 기타 필요부대에 통보하는 경보. 경보하달시 포함될 내용에는 적기의 위치 및 대수 그리고 활동상황(고도, 속도, 방향)이 포함되며 기타 상세한 내용은 부대예규로 규정. 일명 조기방공경보라고도 함.
 
방공조기경보체계(防空早期警報體系, Air Defense Early Warning System)
조기경보레이더를 포함하여 전방 육안감시초소 등에서 획득한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관계부대에 전달할 수 있는 체계.

 

 

방공준비태세(防空準備態勢, Air Defense Readiness)
방공부대가 단시간에 통상의 경우보다 고도의 준비태세를 갖추고 있어야 하는 작전태세.
 
방공중앙관제소(防空中央管制所, Control and Reporting Center; CRC)
중앙방공통제소와 디지털 연결망을 통하여 공중 이동목표물에 대한 레이더 탐색자료, SIF자료 및 고도 정보자료 등을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중앙방공통제소에서 요격 및 항공지원 임무 항공기의 유도관제가 가능토록 원격 공지통신 통제장비(GATR)로 연결되어 있는 기구.
 
방공지방관제소(防空地方管制所, Control and Reporting Post; CRP)
방공중앙관제소(CRC)의 예하기구로서 담당구역의 레이더 관제 및 공중감시를 통하여 방공중앙관제소의 최종적 식별기능을 보좌함.
 
방공지역(防空地域, Air Defense Area)
방공작전을 계획하고 방공대책을 마련해야 할 특별히 구획된 지역.
 
방공통제(防空統制, Air Defense Control)
적극적 방공에 종사하고 있는 모든 부대에 대하여 지상이나 함상에서 행하는 통제.
 
방공통제명령(防空統制命令, Air Defense Control Order)
방공통제를 위하여 지시하는 명령으로서 적기의 비행활동에 대응하기 위한 대공사격지시와 아군항공기의 비행안전에 관한 사항 등이 포함됨.
 
방공포벨트(防空砲~, Air Defense Artillery Belt; ADABELT)
특정지역에 대한 적 항공기 대량 공격시 방공 화력을 집중 운용할 수 있도록 일부지역에 설정된 특정 공중공간으로 방공포 벨트 발효시는 벨트내 모든 항공기를 적기로 간주하여 무차별 교전을 실시.
 
방공포병 작전통제본부(防空砲兵作戰統制本部, Air Defense Artillery Operation Control Center; ADOCC)
전구항공통제본부(TACC)내 방공포병통제본부로서 방공포병작전을 지휘, 통제함.
 
방공포병 정보기구(防空砲兵情報機構, Air Defense Artillery Intelligence Service)
적의 공격 또는 아군 항공기의 접근을 방공포병부대에 경고해 주기 위하여 공중활동에 관한 정확한 첩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편성, 장비되고 훈련된 기구.
 
방공포병 중앙작전통제소(防空砲兵中央作戰統制所, Air Defense Master Control Center; ADMCC)
중앙방공관제소 내에 위치한 방공포병 방공작전 통제본부로서 예하 방공작전통제소에 항적정보를 제공하고 방공작전을 통제함.

 

 

방공포병(防空砲兵, Air Defense Artillery)
지상에서 공중표적과 적극적으로 교전할 수 있는 화기와 지원장비를 포함한 지상무기를 운영하는 공군 전투병과 중의 하나.
 
방공포병반(防空砲兵班, Air Defense Artillery Element)
사단급 이상 부대의 전술지휘소에 필요시 구성되는 편성체로서 전술작전본부 구성부서인 공역관리반의 방공포병요원으로 편성됨. 전방지역의 공역포병 협조 및 방공체계의 운용에 대하여 지휘관을 보좌함.
 
방공포병작전(防空砲兵作戰, Air Defense Operations)
방공포병 전력의 전략, 작전, 전술적 제원칙을 운용하는 작전을 말하며, 지대공, 지대지 무기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전투로서 항공전력과 이중무기 운용으로 제공, 미사일 방어, 전략목표공격 및 기지방어, 전략목표공격 및 기지방어작전을 수행.
 
방공행동지역(防空行動地域, Air Defense Action Area)
특수한 조건을 제외하고는 아군항공기 또는 지대공화기에 통상 작전우선권을 부여한 지역 또는 공역.
 
방공훈련(防空訓練, Air Defense Exercise)
적의 공중공격에 대한 적극적, 소극적 모든 대책 및 처리에 대한 훈련.
 
방발기(지뢰, 기뢰)(防發機(地雷, 機雷), Sterilizer-Mine)
지뢰(기뢰)를 폭발시키든가 혹은 지뢰(기뢰)가 미리 정한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폭발토록 지뢰(기뢰) 안에 결합된 장치.
 
방벽(防壁, Barrier)
적의 이동을 일정한 방법으로 유인하여 제한, 지연 또는 저지하기 위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이용되는 일련의 장애물. 적군에게 인원, 시간 및 장비의 손실을 부과함.
 
방벽지뢰지대(防壁地雷地帶, Barrier Minefield)
선정된 지역 특히 측면에 접근하는 적의 공격부대를 저지하며 선정된 전투지역에 이르는 적의 접근을 전환케 하기 위하여 부설되는 지뢰지대.
 
방사(放射, Radiation, Emission)
1.물체로부터 파동형(전자파)으로 공간을 통하여 에너지가 방출되는 현상.
2.원자핵에서 양자, 중성자, 감마선 등이 방출되는 현상.
 
방사능 동위원소(放射能同位元素, Radioactive Isotope)
불안정한 원자핵이 안정된 원자핵으로 전환할 때 방사선을 방출하는 원소.

 

 

방사능 붕괴(放射能崩壞, Radioactive Decay)
방사능 원소의 원자핵이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X선 등의 방사선을 방출하여 다른 새로운 원소의 원자핵으로 변하는 것을 말함.
 
방사능(放射能, Radioactivity)
어떤 원소(방사능 동위원소)가 자연적으로 방사선을 방출하고 안정된 원자핵을 갖는 원소로 되어 가는 성질.
 
방사능작전(放射能作戰, Radiological Operations)
방사능 물질 또는 방사선 생성장치를 사용하여 인원을 살상하거나 특정한 지형의 사용을 불능케 하는 것. 계획적인 핵무기 폭발낙진의 이용도 포함됨.
 
방사능측정기(放射能測定器, Radial Dosimeter)
방사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서 선율측정기와 선량측정기의 두 가지 종류가 있음. 이는 방사능의 유무를 탐지하고 강도 또는 선량을 알아내기 위하여 사용됨.
 
방사보안(放射保安, Emission Security)
우군의 전자장비 방사를 통해서 누출되는 정보가 비인가자 또는 적에게 사용되는 것을 거부하기 위하여 취해지는 제반 보호조치.
 
방사선 강도(放射線强度, Radiation Intensity)
특정시간 및 장소의 방사선 흡수량. 핵폭발 후의 특정시간의 방사선 강도를 표시하는 숫자와 함께 사용할 수 있음. 예를 들면 R13은 폭발시간 13시간 후의 방사선 강도임.
 
방사선 산란(放射線散亂, Radiation Scattering)
방사선이 방사선원(예:핵폭발)과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는 점간에 있는 원자, 분자 또는 대기상에 있는 큰 입자나 기타의 매개체와 충돌 또는 상호작용하는 결과로서 방사선이 그의 원래 진로로부터 전향하는 현상.
방사선이 산란된 결과로서 방사선(특히 감마선과 중성자)을 그 원천의 방향에서뿐만 아니라 여러 방향에 있는 점으로부터 받게 됨.
 
방사선(放射線, Radial Rays)
방사능 원소가 붕괴할 때에 방사되는 고속도의 물질입자선과 전자파를 말하며, 알파(α)선, 베타(β)선, 감마(γ)선의 세 가지가 있 음.
 
방사선량(放射線量, Radiation Dose)
물자나 물체에 의하여 흡수된 이온화 방사능의 총량으로서 통상 RAD로 표현됨.
 
방사선율(放射線率, Radiation Dose Rate)
단위시간당 흡수된 방사선량.

 

 

방사성 감소(放射性減少, Radioactive Decay)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원자핵으로부터 입자의 자연방사에 의하여 방사능 물질의 방사능력이 감소하는 것.
 
방사성 폐기물(放射性廢棄物, Radioactive Waste)
방사선을 내는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폐기물.
 
방사탐색(放射探索, Intercept Search)
적 장비 및 전자자기 방사의 존재, 근원 및 적절한 특성을 결정하기 위한 전자자기 방사의 탐색. 이는 레이더, 통신기 등 전자적으로 조종되는 무기.
전자항해 보조장치 및 적·아 식별장비를 포함하는 어떤 형의 전자장비로부터 방사되는 전자적 신호를 탐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동시에 방사원의 위치 전술 및 전략적 분석, 이들 전파의 특성을 알아내는 데 사용되며 전술 및 전략적 첩보의 최초 근원이 되고 탐색작전 기간중 수집된 적 전자장비에 관한 정보는 분석 및 전략적 평가를 위하여 배포됨.
 
방사통제(放射統制, Emitter Control)
작전보안을 위해 적 탐지장치의 추적을 최소화하면서 지휘통제 능력을 최고의 상태로 만들고, 아군 체계간의 상호간섭을 최소화하며, 군사기만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전자기, 음향방사체나 기타 방사체를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사용하는 것.
 
방어기뢰 대항책(防禦機雷對抗策, Defense Mine Counter Measure)
우군이 제해권을 장악하고 있어 적의 방해가 없는 해역에서 실시되는 기뢰대항 방책.
 
방어기뢰원(防禦機雷原, Defensive Minefield)
적 함정으로부터 항구 및 해상교통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우군의 해역에 부설하는 기뢰원.
 
방어사격(防禦射擊, Defensive Fire)
방어작전시 기동부대를 지원하기 위하여 실시되는 사격으로 원거리에서 적의 전진을 지연 및 조직을 와해하기 위해 실시되는 원거리사격과 적의 지휘통제체제와 공격조직을 와해시키기 위한 근접방어사격, 적 돌격을 저지하고 부대를 격멸하기 위한 최후방어사격, 적의 전단돌파를 저지하고 지대내 적을 격멸하기 위한 진내사격으로 구분됨.
 
방어작전(防禦作戰, Defensive Operations)
가용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사용하여 적의 공격을 방해, 저지, 격퇴 및 격멸하는 작전으로서, 방어작전은 적의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실시하거나 공격능력의 저하로 공격을 계속할 수 없게 되어 공격을 재개하기 위한 유리한 조건이 조성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실시함.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공격능력을 보유하고 있더라도 타 지역에서 공격여건을 조성하거나, 적을 기만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제한된 기간 동안 특정지역에서 방어작전을 실시할 수도 있음.
 
방어제공작전(防禦制空作戰, Defensive Counter-Air Operations; DCAO)
우군에 대하여 공격을 시도하거나 또는 침투를 기도하는 적의 항공력을 가능한 원거리에서 탐지, 식별, 요격함으로써 적의 공중공격을 차단하고 무력화하는 작전. 일명 방공작전이라고도 하며 해군에서는 대공전이라고 칭함.
 
방어제대(防禦梯隊, Defensive Echelons)
방어시 책임지역별로 구분하기 위한 제대로서 적방향으로부터 경계제대, 주방어제대 및 후방제대로 구분됨.

 

 

방어준비태세(防禦準備態勢, Defense Readiness Condition)
당면한 상황에 대처할 목적으로 부대를 일정한 준비태세로 유지시키는 것. 이는 4단계로 구분되고 상황이 긴박하게 진전됨에 따라 높은 단계로 전환하며 세부절차는 부대예규로 규정.
 
방어지역(防禦地域, Defense Area)
1.적의 공격으로부터 방호되고 또는 확보하기 위하여 일정한 부대에 부여된 지역으로 적지종심작전지역, 근접작전지역, 후방작전지역으로 구분함.
2.공군의 방공에서 사용하는 방어지역은 대량항적 침투시 중앙방공관제소의 컴퓨터가 자동적으로 위협을 평가하고 적절한 대응무기를 선정하여 신속한 전술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설정된 공중공간.
 
방어진지(防禦陣地, Defensive Position)
상호지원하고 있는 방어지역이나 또는 전술적으로 축성된 지대로서 부대에 의하여 점령된 지역.
 
방어편성(防禦編成, Organization of the Defense)
방어작전을 위한 제대별, 작전형태별로 적지종심, 근접, 후방작전지역으로 작전지역을 편성하고 기동, 화력, 방공, 항공, 공병, 정보, 전자, 통신, 전투근무지원, 지휘 및 통제책 등 제반 전장기능과 가용전투력을 통합 운용하는 것을 말함.
 
방어해면구역(防禦海面區域, Defensive Surface Zone)
전시, 사변, 기타 군사상 특히 필요한 경우 원활한 해양작전 수행을 보장하기 위한 구역으로서, 국가통수기구에서 설정하여 선포하며, 긴급시 합참의장, 해군작전사령관, 함대사령관이 선포하고 국가통수기구의 승인을 받을 수도 있음.
 
방어해역(防禦海域, Defensive Sea Area)
선박의 통제와 보호를 위하여 통상 항만과 해협 및 접근로를 포함하여 설정되는 해역. 설정목적은 그 해역에 접경하고 있는 군사시설의 안전보호 그리고 지역 내에서 소요되는 기타의 안전보호책의 제공 등임.
 
방위지원본부(防衛支援本部, Defense Support Center)
방위협의회에서 협의 및 의결된 사항을 시행하는 기구로서 행정단위(시, 도, 군, 구, 읍, 면, 동)별로 방위협의회 내에 설치하며 임무는 대비정규전 및 각종 우발상황에 관한 지원계획을 수립 시행, 국가동원업무를 조정, 통제협조, 민방위사태 지원, 향토예비군 육성 지원, 기타 협의회에서 협의 및 의결된 사항을 시행함.
 
방위협의회(防衛協議會, Defense Council)
대비정규전 수행을 위하여 중앙과 지방(시, 도, 군, 구, 읍, 면, 동) 및 특수지역 그리고 직장에 설치함. 임무는 대비정규전 수행을 위한 전투근무지원 및 예비군 운용에 관한 사항을 지원함.
 
방책(方策, Course of Action)
임무(과업)를 완수하기 위하여 채택된 계획안으로서 개인이나 부대가 따르게 되는 일련의 행동이며 또는 개인 지휘관이 수행하게 될 임무완수에 관련된 가능한 계획.
 
방첩(防諜, Counter Intelligence)
적성국의 정보활동 효과를 파괴하여 간첩에 대하여 방호하고 소요에 대하여 인원을 방호하고 전력파괴에 대하여 시설 또는 물자를 방호하기 위한 모든 활동을 망라하는 정보의 단계.

 

 

방출고도(放出高度, Release Altitude)
모체항공기에서 예인항공기, 폭탄, 로켓유도탄, 예인표적 등을 풀어 놓는 지상으로부터의 고도.
 
방해방어책(妨害防禦策, Counter Counter Measures; CCM)
상대방의 방해책을 무력화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장비 및 기술을 사용하는 군사과학의 형태.
 
방해연막(妨害煙幕, Obscuration Smoke)
적에게 시계를 최소화하고, 적의 조기전개를 강요하며, 방향을 전환하게 하고 시호통신을 하지 못하도록 할 목적으로 적 지역 또는 적진 부근에 살포하는 연막.
 
방해지뢰지대(妨害地雷地帶, Nuisance Minefield)
적의 전진을 지연시키고 적이 사용하리라고 예상되는 어떤 지역이나 시설, 통로 등을 적이 사용치 못하도록 설치하는 지뢰지대.
 
방향탐지(方向探知, Direction Finding; DF)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한 수신장치로서 무선주파수의 방사방향을 알아내는 것임.
 
방호(防護, Protect)
적의 지상관측, 직사화력 그리고 기습공격을 방지할 목적으로 이동중이거나 정지한 규모가 큰 부대의 측방, 전방 혹은 후방에서 작전하는 것.
 
방호인수(防護因數, Protect Factor)
방사능 오염시 건물 외부선율을 건물 내부선율로 나눈 값을 말하며, 방호인수가 클수록 우수한 대피호임.
 
방호지뢰지대(防護地雷地帶, Protective Minefield-Land)
부대의 국지방어, 근접보호를 위하여 사용되는 지뢰지대.
 
방호철조망(防護鐵條網, Protective Wire Entanglement)
방어지역에 대한 적의 근접 기습공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위부대의 방어진지에 근접하여 설치하는 철조망.
 
배당표(配當表, Table of Allowance; T/A)
편성 및 장비표(T/O & E)나 분배 및 배당표(T/D & A)에 인가된 장비 이외의 기타 보급품(장비, 피복, 장구류, 비품, 기타 소모성 보급품)의 인가기준을 설정한 문서임.

 

 

배면투발방법(背面投發方法, Autidine Delivery Mode)
지형 및 기후조건 등으로 조종사가 공격개시점을 포착하는 데 실패하면 항공기는 표적지역 상공까지 도달하게 되며 이때 조종사는 같은 방향으로 비행을 계속하면서 항공기를 수직으로 끌어올리고 약 90~120도에서 무기는 자동적으로 투발되며 낙하선상 밖으로 반회전 비행하여 빠져나가는 저공 조준폭격의 변형.
 
배비(配備, Dispose)
특정한 임무수행을 위하여 전력을 배치하는 것.
1.다중배비:방어지대 내에서 전방방어지대 배치와 유사한 전력을 후방에 동시 배비하여 종심지대를 보강하는 것으로서, 작전적 차원에서는 사단급 이상 기동부대와 각종 전력요소를 군단 또는 야전군 방어지역 내에서 전방 방어지대와 동시에 후방에 배비하는 것.
2.종심배비:방어지대 내에서 전력을 전방방어지대에 선형 배비하지 않고 주요 기동축선을 연하여 후방지역까지 계속 다중배비하여 종심을 유지하는 것.
3.기동배비:전력의 중점배비로 인하여 발생하는 공간을 통제하기 위하여 시간적, 공간적 중앙에 기동예비대를 배치하는 것.
4.중점배비:덜 중요한 축선에서 전력을 절약하고 위험한 축선에 전력을 집중하여 배비하는 것으로서, 다중배비, 종심배비, 기동배비 방법이 혼용됨.
 
배사면(背斜面, Anticline)
지형이 협곡을 이루고 있을 때 봉우리에 해당하는 지붕형상을 한 부분의 경사면. 통상 배사면이라 하면 앞쪽 경계면에 대한 뒤쪽 경사면을 말함.
 
배속(配屬, Attachment)
한 편성체에 부대나 인원을 일시적으로 배치하는 것으로서, 그러한 배치는 비교적으로 임시적인 것임. 피배속부대 지휘관은 명령에 의거 부과되는 제한사항에 따르며, 배속자들을 받아들이는 부대. 단위부대 또는 편성체의 지휘관은 편성된 인원에 대해서와 정도가 동일한 지휘관 및 통제권을 배속인원에 대해서 행사하게 됨. 그러나 그 인원의 전속, 진급에 대한 책임은 통상 원소속부대 또는 편성체에 있음.
 
배치, 배진(配置, 配陣, Disposition)
1.한 지역 내에서 예하 각 부대를 배치하는 것. 통상적으로 각 부대본부의 정확한 위치 및 그 예하대의 전개를 포함함.
2.순항, 접근, 접촉유지 또는 전투와 같은 어떤 목적을 위하여 함대의 예하부대 또는 단일 함정이 점유할 위치를 지정한 배열.
3.비행편대나 일단의 항공전대를 구성하는 모든 전술단위부대의 지시된 배치.
4.원대복귀, 다른 치료시설로 이송, 사망 혹은 의무치료가 끝남으로써 의료시설로부터 환자를 제적하는 것.
 
배타적 경제수역(排他的經濟水域, Exclusive Economic Zone)
영해를 넘어서 200해리까지의 그 해저, 지하, 상부수역의 자원개발 및 보존 그리고 공해방지에 관한 연안국의 배타적 권한이 인정되는 수역으로서, 제3국은 항해의 자유, 상공비행의 자유, 케이블 및 파이프라인 등에 관하여는 공해와 마찬가지로 자유가 인정됨.
 
백병전(白兵戰, Hand To Hand Combat)
적에 육박하여 총검, 신체 등을 사용하여 양편이 뒤섞여 싸우는 육박전.
 
백색선전(白色宣傳, White Propaganda)
공공연한 심리전으로서 발기인 또는 공인된 기관에 의하여 실시되는 선전.
백색선전은 선전자의 공식적인 대변으로서 책임성과 권위성을 가지고 있으며 공식기관에 의한 선전이므로 선전내용에 있어서 많은 제약을 받게 됨.
 
백지전술(白紙戰術, Student Paper Tactics)
전술원칙과 준칙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백지에 지형과 상황을 임의로 알맞게 부여하여 전술교리를 이해시키고 응용능력을 배양할 목적으로 제시하는 기본모형 전술문제.
 
번들(Bundle)
무게 100~500LBS 미만의 화물을 T-7A 낙하산을 이용하여 투하하는 방식으로 약품, 통신장비, 탄약과 같이 최상의 안전투하를 요하는 품목을 한 개씩 투하할 때 이용함.

 

 

번호해안(番號海岸, Numbered Beach)
상륙군이 상륙돌격에 필요한 해안선의 일부로서 번호해안은 2개 이상의 대대상륙단이 해안선의 연속적 부분에 병행 상륙시 사용하며, 통상 1개 번호해안의 길이는 1㎞임.
 
범세계 군사지휘통제체계(汎世界軍事指揮統制體系, World Wide Military Command & Control System; WWMCCS)
미국의 범세계를 대상으로 국가급 군사지휘통제체계로서 대통령과 국방장관이 범세계적으로 배치된 주요 전투사령관들에게 지침을 하달하고, 합참, 각군성, 주요 사령부의 전쟁계획, 시행을 지원함.
 
범세계 정보환경(汎世界情報環境, Global Information Environment)
군 또는 국가의 통제기구 밖에 위치하면서 수집·처리하여, 전 세계인에게 배포하는 사람·조직·체계들.
 
범세계 지휘 및 통제체계(汎世界指揮및統制體系, Global Command and Control System; GCCS)
지휘 및 통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국가통수기구, 합참의장, 통합군사령관, 각군 및 국방기구, 합동 임무부대지휘관 등에게 정보처리 및 분배능력을 제공하는 종합적인 범세계적 체계임.
 
벡터식 공격(~式攻擊, Vectored Attacks)
표적과 접촉중인 부대(지상, 해상, 해중, 공중)에 의해서 표적과 비접촉중인 무기운반체(지상, 해상, 해중, 공중)를 무기 발사점까지 유도하여 감행하는 공격.
 
벤샤프차(Truck Van Shop;TRK V/S)
통신기, 전투화 수선, 냉장, 세탁기, 장비수리 등 야전에서 이동하면서 사용하기 위한 유개 정비차량.
 
별지(別紙, Appendix)
본 문서(부록)에 대한 부가적인 추가서류.
 
별첨(別添, Inclosure)
본문(부첨)에 대한 부가적인 추가 서류.
 
병력동원(兵力動員, Personnel Mobilization)
평시체제에서 전시체제로 전환되는 과정을 동원이라 하며 군이 전쟁수행에 필요한 능력을 구비하도록 평시 감편 운용되고 있는 부대 또는 전시 증·창설되는 부대에 대하여 전시소요에 의해 병력(예비군)을 충원하는 것을 말함.
 
병력손실판단(兵力損失判斷, Personnel Loss Estimate)
예상되는 작전에 따른 손실 예상인원을 미리 판단하는 것으로 단기 병력손실판단과 장기 병력손실판단이 있음.

 

 

병력절약(兵力節約, Economy of Force)
결정적인 시간과 장소에 전투력을 집중하기 위하여 비결정적인 지점에서 임무수행에 필요한 최소의 병력을 사용하는 것.
 
병종사태(丙種事態, Class Byong Situation)
적의 침투도발 위협이 예상되거나 소규모 적이 침투한 때에 지방경찰청장, 지역사령관 또는 함대사령관의 지휘·통제 하에 통합방위작전을 수행하여 단기간에 치안이 회복될 수 있는 사태를 말함.
 
병참(兵站, Quartermaster)
부대의 전투력을 유지, 증대시키기 위하여 작전을 지원하는 기능으로 보급·정비·회수(回收)·교통·위생·건설·부동산·노무 등을 총칭하며, 개인이나 부대에 대한 식량·연료·탄약·무기·축성자재 등의 보급, 고장차량·무기·함정 및 항공기 등의 수리, 파괴된 각종 물자의 회수, 도로·교량·건축물의 보수, 차륜·철도 등에 의한 인원·물자의 수송, 부상자의 치료, 기타 숙박·목욕·세탁·급식 등에 이르는 광범위한 업무를 포함하고 있음.
 
병참선(兵站線, Line of Communication)
작전중인 군 부대와 작전기지를 연결하여 보급품과 병력이 이동하는 일체의 지상·해상·공중수송로를 말하며, 통상 병참지대(후방지대)에서는 병참선이라 하고, 전투지대에서는 주보급로라고 하며, 병참선이나 주보급로는 같은 뜻으로 해석함.
 
병참수집중대(兵站蒐集中隊, Q.M.Salvage Collecting Company)
폐품을 수집, 분류, 보관하고 정비, 재생을 위한 회송과 폐품처리와 기록을 하는 병참부대.
 
병참지대(兵站地帶, Communication Zone)
작전지역의 후방지대로서 통상 군단지역의 후방이며, 병참선, 보급 및 후송시설, 긴급지원과 야전군의 유지에 필요한 기관이 있는 지역임.
 
병행작전(竝行作戰, Paralled Operation)
상대방의 효과적인 대응능력을 제거하고, 일시에 전쟁수행 의지를 마비시키기 위하여, 거의 동시에 전략적, 작전적 목표에 타격을가하는 작전.
 
보건근무(保健勤務, Health Service)
개인이나 단체의 정신적, 육체적인 안녕을 촉진, 증진, 보전하거나 회복시키기 위해 수행되고 제공되며 조정되는 제반근무.
 
보고통제부호(報告統制符號, Reports Control Symbol; RCS)
보고통제처에서 보고승인 신청에 대한 승인을 표시하고 보고의 착수 및 작성을 허가하기 위하여 보고에 부여하는 식별부호. 이 부호는 부대지정기호, 참모기호, 승인일련번호, 시간 구분 등으로 구성됨.
 
보급대기 불가동(補給待機不可動, Not Operationally Ready for Supply; NORS)
항공기 및 항공장비가 부속품의 결여로 인하여 임무수행에 불가능한 상태.

 

 

보급로(補給路, Supply Route)
도로, 수로 또는 공로와 같은 교통도로로서, 이는 보급품을 전투부대에 운반하는 데 이용되는 수송로를 말함. 어떤 특정부대의 보급지원을 위하여 사용되는 도로가 위치상 필수적인 경우에는 그 도로를 그 부대에 대한 주요 또는 주보급로라고 함.
 
보급소분배(補給所分配, Supply Point Distribution)
피지원부대(사용부대)의 인원 및 차량으로 보급소에서 보급품을 수령하는 보급품의 분배방법을 말함. 예를 들면 사단인 경우 연대의 차량으로서 사단 보급수송 근무대에 연대수령관(보급관)이 직접 보급품을 수령하는 것을 뜻하며, 부대 분배와 반대되는 용어임.
 
보급소요(補給所要, Supply Requirement)
특정기관 또는 특정부대에 필요로 하는 장비나 물자의 양을 말하며, 다음과 같이 구분 사용함.
1.초도보급소요(初度補給所要):보급품의 초도불출이나 초도불출의 부족량을 충당하기 위한 소요.
2.소모 및 보충보급소요(消耗및補充補給所要):최초 불출된 장비를 인가량만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소요와 사용부대에 의하여 소모 또는 소비된 보급품과 망실품 그리고 적의 활동에 의하여 파괴된 보급품을 보충하기 위한 소요.
3.예비소요(豫備所要):인가된 예비량을 확보하거나 또는 보충하기 위한 소요.
4.계획보급소요(計劃補給所要):특정작전, 비상사태 혹은 특수목적을 위하여 별도로 승인된 보급품을 확보하기 위한 소요.
 
보급수준(補給水準, Supply Level)
장차 수요를 예상하여 보유하도록 인가되거나 지시된 보급품 또는 물자의 양(量)이며, 이는 보급일수 또는 품목의 양으로 표시되고, 보급지원 시설부대에만 인가됨. 소분배계통의 보급수준에는 안전수준(S/L), 운용수준(O/L)과 발주 및 수송시간(OST) 등이 있음.
 
보급안전수준(補給安全水準, Safety Level of Supply; S/L)
운영보급수준에 더하여 정상적인 보충의 중단이나 수요를 예측 못한 변동이 생길 경우에도 작전의 계속적인 수행을 위하여 확보해야 할 물자의 양.
 
보급원천(補給源泉, Source of Supply)
외국이나 국내 생산업자로부터 조달되는 조달 근거지.
 
보급창(補給廠, Supply Depot)
보급품의 저장을 중심으로 하여 수령, 저장, 정비, 조달, 생산, 수리 및 제품운용 등의 제 업무 중 1개 이상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비교적 규모가 큰 저장창을 말함.
 
보급추진계통(補給推進系統, Pipe-Line)
보급품을 생산자로부터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계통으로서, 생산자→군수사 및 보급청→야전시설부대→편성부대→사용자에게 이르는 일련의 보급계통.
 
보급통제(補給統制, Supply Control)
보급계산 및 평가계통을 통하여 보급품의 자산과 수요와의 균형을 이루도록 어떤 보급조치를 취하는 과정. 이는 소요, 획득, 분배, 정비, 처리형식에 따라 일정한 행위를 제공함.
 
보급품(補給品, Supplies)
식량, 피복, 장비, 무기, 탄약, 유류, 기타 각종 자재 및 여러 종류의 기계를 포함한 군을 장비하고 유지하며 운용하는 데 필요한 모든 품목. 관리 목적상 보급품은 다음과 같이 10가지 종별로 구분됨.
Ⅰ종 보급품:주·부식류를 포함한 전투식량 등 전투상황 및 지리적인 차이에 구애됨이 없이 대략 1일 일정한 율로 소모되는 품목.
Ⅱ종 보급품:피복류, 개인장구류, 천막류, 행정보급품, 내무생활용 보급품, 수공구 등의 품목.
Ⅲ종 보급품:석유, 연료, 윤활유 및 절연유류, 보존유, 액체, 압축기체, 냉각제, 해빙제, 방독제, 첨가제, 석탄 등의 품목.
Ⅳ종 보급품:공사자재, 설치된 장비를 포함한 모든 건축자재 및 축성자재.
Ⅴ종 보급품:화학탄을 포함한 모든 탄약류, 폭파자재, 신관, 기폭약 등의 탄약류.
Ⅵ종 보급품:개인 수요품목(비군사 판매품), 즉 군 매점계통에서 판매되는 품목.
Ⅶ종 보급품:주요 완제품, 최종결합체, 즉 각종 차량, 총포, 기계 등의 품목.
Ⅷ종 보급품:의무기재, 약품, 위생소모품, 의무수리 부속품 등의 품목.
Ⅸ종 보급품:수리부속품(의무장비 수리부속품 제외), 모든 장비의 정비지원에 소요되는 키트, 결합체를 포함한 부속 및 구성품.
Ⅹ종 보급품:Ⅰ종에서 Ⅸ종까지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 물자, 즉 비군사 목적, 대민지원물자 및 자재.

 

 

보급해역(補給海域, Replenishment Area)
전술지휘관이 해상보급시에 선택한 해역으로 보급부대와 근접하고 기상 및 해상상태가 안전하며 적의 공격위협이 없는 해역.
 
보복력(報復力, Retaliation Power)
상대국이 무력공격을 시도할 경우 이를 미연에 단념시키기 위하여, 또한 무력공격을 해 올 경우 그 무력공격의 규모 등의 확대를 방지하기 위하여, 또한 상대가 무력공격에 의해서 달성할 수 있는 이익을 무가치하게 하는 것과 같은 손실을 주기 위한 징벌적(懲罰的)인 군사력.
 
보안(保安, Security)
1.간첩, 관측, 태업 또는 기습 등으로부터 부대를 보호하기 위한 방책.
2.적의 행동이나 영향으로부터 보호방책을 설치하고 유지하는 결과로서 이루는 상태.
3.비밀사항에 관하여 국방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공적 첩보자료에 비인가자의 접근을 배제하는 상태.
4.적의 공격, 방화, 도난 또는 태업으로부터 보급품이나 시설을 보호하는 것.
 
보전협동작전(步戰協同作戰, Infantry Tank Combined Arms Operation)
보병부대와 기갑부대가 상호지원하면서 실시하는 작전.
 
보조도로(補助道路, Secondary Road)
통상 보통속도 혹은 저속의 전천후 교통에 적합하며, 복차로의 폭을 갖고 주도로를 보조하는 도로를 말함.
 
보조상륙(補助上陸, Sub-Sidiary Landing)
주상륙을 지원하기 위하여 상륙기동부대 예하부대로 상륙목표지역내, 중상륙지역 밖에서 실시하는 상륙.
 
보조진지(補助陣地, Supplementary Position)
주진지 및 예비진지에서 수행할 수 없는 과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최선의 방법(수단)을 제공해 주는 진지.
 
보조표적(補助標的, Secondary Target)
주사격임무가 완료되었을 때나 또는 주사격임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되었을 때 조준해야 할 표적.
 
보조항(補助港, Secondary Port)
주항을 통과하여야 할 물량의 일부로 취급하는 데 사용되는 항구로서, 이는 주항에 의하여 운영 및 관리됨.
 
보조화기(補助火器, Secondary Weapon)
한 부대의 차량, 진지 또는 항공기의 지원화기이나 일반적으로 주화기보다 구경이 작으며, 이의 용도는 주화기를 보호하거나 또는 주화기의 화력을 보충하는 것임.

 

 

보조화약(補助火藥, Booster)
1.신관이나 폭관 내에 들어 있는 소량에 의해서도 발화될 수 있는 감촉이 예민한 고성능 화약이며, 주장약을 점화시킬 수 있는 충분한 위력이 있는 화약.
2.보조 또는 최초 추진장치로서 미사일이나 항공기와 같이 추진하고 그 추진력을 전달한 후에는 모체로부터 분리되든가 분리되지 않는 추진제. 보조화약장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포함되어 있음.
 
보좌함(補佐艦, Assisting Ship)
대잠전에서 협동공격시 공격함을 보좌하거나 또는 근접탐색작전시 지휘함을 보좌하도록 지정된 함정.
 
보충(補充, Replacement)
손실에 의해 발생된 부족병력을 충원하는 것으로서 보충방법에는 개인보충과 부대보충, 그리고 이들을 복합적으로 준용한 집단보충이 있음.
 
보충보급(補充補給, Method of Resupply)
인가된 보급수준 또는 보급기준의 소모분에 대한 보급(보충수요 참조).
 
보충불출(補充拂出, Replacement Issue)
인가문서에 규정된 수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 보급된 장비를 대치하는 사용부대에 대한 불출량. 이러한 불출은 경제적인 수리를 할 수 없는 마모, 유기, 파손, 적 활동 및 도난으로 인한 손실의 보충임.
 
보충수요(補充需要, Replacement Demand)
1.인가된 보급수준 또는 보급기준에 소모분에 대한 청구.
2.과거에 수령한 경험이 있는 품목에 대한 적절한 인가량의 보충을 목적으로 제기하는 순환수요임.
 
보충역(補充役, Reservist Status)
징병검사를 받아 현역복무를 할 수 있다고 판정된 사람 중에서 병력수급 사정에 의해 현역 입영대상자로 결정되지 아니한 자. 공익근무요원, 공중보건의사, 국제협력의사, 전문연구요원, 산업기능요원으로 복무 또는 종사를 마치고 보충역에 편입된 자를 말함.
 
보호기뢰원(保護機雷原, Protective Minefield)
적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설되는 기뢰원.
 
보호의(保護衣, Potective Clothing)
특별히 만들어진 또는 화학적으로 방독처리된 개인피복으로서 액체 화학작용제나 어떤 생물학작용제로부터 보호하여 줌.
 
보호주파수(保護周波數, Protective Frequency)
우군의 특정 작전수행시에 사용되는 주파수로서 변경되는 작전요구에 따라 일정한 시간에 한해서 사용 제한되며, 선임 전술지휘관이 우군의 방해 및 기만작전에 의해서 보호주파수를 지정함.

 

 

보호표적(保護標的, Prohibited Target)
보호표적이라 함은 법률이나 조약에 의거, 공격이 금지되는 표적임.
 
복귀선율(復歸線率, Rehabilitaion Dose Rate)
방사능 측정 중 주어진 선율에 도달하면 복귀하여야 하며, 복귀선율은 지휘관이 결심함.
 
복식돌파(複式突破, Multiple Penetration)
공격부대가 적의 방어진지를 2개소 이상에서 통과하여 적을 분단후 방어의 지속성을 파괴할 수 있는 목표를 확보함으로써 적을 각개격파하는 돌파 기동형태의 변형.
 
복원(復員, Demobilization)
전시체제에서 평시체제로 전환됨에 따라서 인적, 물적 자원을 동원목적으로부터 해제시키는 제반활동을 말하며, 복원의 종류에는 인원, 물자 및 행정복원으로 구분됨. 특히 행정복원은 전시체제 확립을 위해 증·창설되었던 각종 행정기구를 원상으로 환원시키는 것을 말하며, 복원은 서서히 단계적으로 실시하며 혼란과 무질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함.
 
복합기뢰(複合機雷, Combination Mine)
감응기뢰의 일종으로서, 자기, 음향, 압력 등 기뢰 발화장치의 동작요인 중 2가지 이상이 복합적으로 동작되어 폭발하도록 설계된 기뢰.
 
복합체계 분석(複合體系 分析, System of Systems Analysis; SoSA)
1.여러 체계들로 구성되거나 여러 체계들 간에 연계성을 가지는 복합체계를 분석하는 것.
2.적의 정치·군사·경제·사회·기반구조·정보(PMESII) 체계들 속에서 상호 연관성을 가지는 체계를 분석하여 의존성이나 강점과 약점, 노드(Nodes)들을 찾아내어 적의 전체 체계에 영향을 미치도록 지식기반을 구축하는 분석활동으로서, 효과기반작전을 위한 작전적 실체 평가(ONA)의 핵심임.
 
봉쇄(封鎖, Blockade)
적의 주권 하에 있거나 통제 하에 있는 특정해역, 해안에 대한 모든 선박의 출입을 차단하려는 일종의 작전. 작전지역에는 항구, 전 해안선 또는 해안선의 일부를 포함시킬 수 있음.
 
봉쇄기뢰원(封鎖機雷原, Blockade Minefield)
적 함선의 해상활동을 저지하기 위하여 항만 입구 또는 적 함선의 접근을 막기 위하여 일정구역에 부설하는 기뢰원.
 
부교(浮橋, Floating Bridge)
1.강 건너로 장비 및 병력을 보내기 위하여 부유물에 의하여 가설되는 임시교량.
2.배, 뗏목 따위를 잇대거나 교각을 세우지 않고 강 위에 놓은 임시 다리를 말함.
 
부교감신경(副交感神經, Parasympathetic Nerve)
교감신경과 함께 자율신경을 구성하는 원심신경으로 호흡, 소화, 순환 등을 지배하며, 흥분하면 말단에서 아세틸콜린을 분비하고 심장에는 제어적 작용을 하며 위장운동에는 촉진 작용을 함.

 

 

부대(部隊, Troop, Unit, Force)
국군조직법에 의하여 설치되는 국군의 모든 편성체를 말하며, 기관을 제외한 군사조직 단위.
 
부대계획(部隊計劃, Troop Program)
군 통제계획의 하나로서 현역 군 병력 및 부대구조에 대한 목표와 지침을 제공하고 군 전략목표기획 및 제한된 전투를 위하여 제 소요를 충족해 주기 위한 창설, 해체, 개편, 군인 및 군무원에 대한 부대기준 전개 및 준비태세 목표를 설정하는 계획.
 
부대구조(部隊構造, Force Structure)
국방부로부터 승인된 정원을 기초로 지휘부대, 전투부대, 전투지원부대, 군수지원부대, 행정지원부대로 구분하여 전투력 발휘가 용이하도록 지휘제대별로 형성된 체계.
 
부대기준표(部隊基準表, Force Basis)
특수임무의 수행에 필요한 군의 부대와 인원(군속 포함)의 수, 편성 및 장비별로 나타낸 인가표.
 
부대단위(部隊單位, Unit)
분대, 반, 소대, 중대, 대대, 연대(단), 여단 , 사단, 군단, 군사령부 및 비표준화 부대로 구분. 다만, 부대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중대 와 대대, 대대와 연대의 중간규모 부대를 두며 임무와 성격에 따라 부대명칭을 부여함.
 
부대령(部隊令, Troop Order)
국방부 직할부대 및 각군 예하사단급(소장급 지휘기준) 이상 부대의 설치근거가 되는 대통령령을 말하며, 부대의 설치목적 및 임무, 지휘관과 그 보좌기구 및 참모부서의 설치근거와 정원 책정에 관한 사항 등을 포함.
 
부대방호(部隊防護, Force Protection)
모든 장소와 상황 하에서 부대원, 민간 고용인, 가족, 시설 및 장비들을 방호하기 위해서 계획된 경계로서 대테러작전, 물리적 경계, 작전보안 및 인원방호들을 계획적으로 통합 적용함으로써 달성됨.
 
부대보충(部隊補充, Unit Replacement)
편제상의 공석을 보충하기 위하여 예속되었거나 배속된 부대 중에서 대량피해로 무력화된 부대를 동등한 편성장비표를 가진 부대로 보충하는 것. 즉 어느 부대 전체를 대치시키는 보충방법임.
 
부대분배(部隊分配, Unit Distribution)
보급품을 수령부대 지역에서 불출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수송은 보급품 불출기관에서 담당하는 보급품의 분배방법.
 
부대시험(部隊試驗, Troop Test)
작전, 편성개념, 교리, 전술 및 기술평가를 위하여 또는 자료에 대한 더 좋은 첩보를 얻기 위해 야외에서 실시하는 시험.

 

 

부대예규(部隊例規, Standing Operating Procedure; SOP)
부대운영에 있어서 명확하고 표준화된 절차를 규제하는 일련의 지시. 즉 일상적인 업무처리 절차를 기술한 명령임.
 
부대이동(部隊移動, Troop Movement)
부여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전투력을 유지한 상태로 부대를 요구하는 시간과 장소에 위치시키는 것을 말하며 전술적 부대이동과 행정적 부대이동으로 분류되며, 형태에 따라 육상이동, 해상이동, 공중이동으로 구분함.
 
부대지휘절차(部隊指揮節次, Troop Leading Procedure)
부여된 임무를 준비하고 수행하는 동안 지휘관이 그의 시간과 장비와 인원을 가장 잘 이용하기 위하여 취하는 행동 및 사고과정의 순서.
 
부대편성(部隊編成, Unit Organization)
부대의 지휘, 전투 및 근무요소를 포함하여 능률적으로 조직하는 것.
 
부대할당(部隊割當, Allocation of Forces)
예하부대가 부여된 전술계획을 수행할 수 있도록 특정한 부대나 기타 자원을 지정하여 주는 것으로서, 방법으로는 예속, 배속 또는 작전통제와 직접지원, 증원 그리고 일반지원이 포함됨.
 
부도(附圖, Attached Map)
해당되는 사실과(특히 전술상황) 관련되어 첨부되는 지도, 요도, 약도 등임.
 
부동문교(浮動門橋, Floating Ferry)
육지에 매놓은 닻줄로 하천에서 조정하여, 나룻배로 사용되는 뗏목.
 
부록(附錄, Annex)
작전명령이나 기타 문서를 더욱 명확하게 하거나 상세하게 하기 위하여 첨부된 문서.
 
부분동원(部分動員, Partial Mobilization)
적 공격전 위기상황에 따라 단계적으로 필요한 지역과 자원종류에 대해서만 선별적으로 동원하는 것을 말함. 전면전시 총동원을 하기 전에 동원하는 것으로서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동원할 수 있는 유연한 동원방법이라고 할 수 있음.
 
부비트랩(Booby Trap)
외견상으로 무해하고 안정하게 보이는 물건을 의심 없이 건드리게 될 때에 폭발하여 인원을 살상하는 장치.

 

 

부수병력(附隨兵力, Accompanied Troops)
정원에서 편제병력을 감한 인원으로서 교육, 입원, 구금 및 행정상 유동인원 등과 같이 편제부대운용을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병력으로 교육부수 및 행정부수병력으로 구분하며 각군본부에서 책정하며 관리함.
 
부유기뢰(浮遊機雷, Drift Mine)
수면상에 떠다니다가 함선에 접촉되면 폭발하여 함선을 손상시키도록 고안된 기뢰.
 
부첨(附添, Tab)
본 문서(별지)에 대한 부가적인 추가서류.
 
부호(符號, Code)
각종 기호의 임의적인 집성으로 상이한 길이의 통상 문구를 대신하는 통신법. 이는 문장 혹은 도표의 간결화 또는 보안목적으로 사용하게 됨.
 
북방한계선(北方限界線, Northern Limited Line; NLL)
동·서해에서 우군 경비함정의 경비활동에 대한 북방한계를 규정하기 위하여 유엔사가 일방적으로 설정한 해군 작전한계선.
 
분견대(分遣隊, Detached Unit)
소속부대로부터 차출되어 떨어져서 근무하는 단위부대, 일명 파견대라고도 하며 분견대는 분견되어 있는 동안 독립부대로서 기능을 발휘하나 타 부대에 배속될 수도 있음.
 
분구경계진(分區警戒陣, Sector Screen)
각 함정이 자함의 탐지기와 능력에 따라 각 구역의 경계를 책임지는 경계진.
 
분권화 통제(分權化統制, Decentralized Control)
전술적 부대운용 권한을 예하부대 또는 타 부대에 위임함으로써 지휘권을 분리시키는 운용 방법. 예를 들면 추격시 포병은 통상 분권화 운용됨.
 
분기점(分岐點, Initial Point)
공정작전시 착륙지점에 가까운 점으로서 대열(병력수송 공중편대)이 각개 투하지대 혹은 착륙지대 상공을 통과하는 코스를 최종 변경하는 지점. 헬리콥터 착륙지대 부근에서 헬리콥터의 각개 편대가 지정된 착륙장소로 향하도록 된 공중 통제점.
 
분대(分隊, Squad, Division, Element)
1.지상군의 분대(Squad)는 반, 또는 소대 예하 최소전술단위.
2.해군의 분대(Sivision) 두 척 이상 함정의 행정 또는 전술조직으로서 전술목적에 따라 단대로 더 세분할 수 있음.
3.공군의 분대(Element)는 2기 항공기로 구성.

 

 

분배 및 배당표(分配및配當表, Table of Distribution and Allowance)
부대의 특정임무 수행에 적합하도록 규정한 표로서 임무 및 기능의 변동에 따라 편제를 조정하는 부대(각군본부, 교육기관, 국직부대/기관 등)에 적용함.
 
분배, 배포, 배치(分配, 配布, 配置, Distribution)
1.전투, 행군 또는 기동 등의 목적으로 부대를 배치하는 것.
2.어떤 점의 주위에 사격한 포탄의 모양.
3.요망하는 정면이나 종심을 엄호하기 위한 사격의 계획된 분산.
4.명령 또는 보급품의 정식 송달.
5.물자, 시설, 근무지원을 분배하는 행위를 내포하는 군수의 기능적 단계.
6. 군의 인원을 어느 부서, 부대 또는 숙소에 할당하는 과정.
 
분석평가체계(分析評價體系, Analysis Evaluation System)
기획, 계획, 예산단계에서 주요사업 추진에 따른 각종 의사결정에 기여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사전분석과 당해연도 집행되는 사업과 완료된 사업에 대하여 실시하는 사후분석으로 구분되며, 주요시책 사업과 운영유지사업을 위주로 실시하는 심사평가와 방위력개선사업 위주로 실시하는 전력운영 분석으로 구분함.
 
분쟁(紛爭, Conflict)
국제법상 또는 국내법상의 주체간의 다툼을 말하며 국제분쟁, 국내분쟁 및 무력분쟁으로 구분할 수 있음.
 
분진점(分進點, Release Point)
종대를 구성하여 이동하는 부대의 특정 구성 부대가 그의 각개 지휘관의 통제 하에 복귀하는 지점 또는 예하 지휘자에게 지휘권이 이양되는 지점.
 
분포거리(分布距離, Dispersion)
인원 및 화물이 항공기로부터 낙하산에 의하여 지상에 착륙되었을 때 선두로부터 후미까지의 분산된 거리.
 
불가동장비(不可動裝備, Dead Line Equipment)
고장으로 인하여 수리부속품이 필요하거나 정비를 요하는 고장장비를 말하며 다음과 같은 경우가 포함됨.
1. 파손 또는 고장으로 수리를 요하는 사용불가능 장비.
2.긴박한 전투상황 하에서 사용 가능하더라도
가. 안전에 유해로운 상태의 장비.
나. 계속사용으로 장비에 심한 결함을 초래케 하는 장비.
 
불가침 주파수(不可侵周波數, Taboo Frequency)
우군부대가 고의로 전자방해를 할 수 없는 중요한 주파수. 예를 들면 국방통신체계(DSC), 유도탄 통제 및 조기경보, 방공레이더망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등.
 
불가침조약(不可侵條約, Nonaggression Treaty)
국가와 국가 간에 상호 평화를 위하여 군사적 침략을 하지 않을 것을 약속하는 조약.
 
불가침협정(不可侵協定, Non-Aggression Pact)
주권 및 영토보전의 존중과 무력행사의 금지를 내용으로 하는 국가(정치체)간의 합의.

 

 

불규칙 외곽지뢰군(不規則外廓地雷群, Irregular Outer Edge-Land Mine Warfare)
적을 향하여 지뢰지대 정면에 불규칙적으로 매설한 짧은 지뢰지대이며 지뢰지대의 형태 또는 범위를 위장하기 위하여 매설함.
 
불균형수단(不均衡手段, Unbalanced Measure)
상대방이 보유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상대방보다 월등하게 많이 보유한 능력으로, 화학무기, 장사정포, 방사포, 전구탄도미사일, 특작부대 및 무경고 혹은 제한된 경보 하에서 타격을 실시할 수 있는 전방전개공군 등을 들 수 있음.
 
불시착(不時着, Forced Landing)
1.항공기가 계속 비행이 곤란한 상태 하에서 어느 곳에서나 적당한 곳에 착륙하는 것.
2. 계획된 착륙지역이 아닌 곳에 착륙하는 것.
 
불침투성 보호의(不浸透性保護衣, Impermeable Protective Clothing)
이는 안팎이 고무로 칠해진 천으로 만들어져 있어 공기가 통하지 않으며 모든 용액 화학작용제를 막아내고 생물학 및 방사능 작용제에도 적절한 보호를 제공하며 위험한 제독업무에 종사하는 인원이나 유독성 작용제를 취급하는 공장 및 보급소에서 착용함.
 
불확정 호출부호(不確定呼出符號, Indefinite Call Sign)
특정한 시설, 사령부, 기관, 부대 또는 단위대를 표시하지 않으나 하나 또는 수개 부서에 해당될 수 있는 호출부호.
 
붕괴(崩壞, Decay)
방사능 물질이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혹은 양전자를 방출하여 점차 그 양이 감소되는 현상을 말함.
 
붕괴심도(崩壞深度, Collapse Depth)
잠수함의 선체가 압력에 견디지 못하고 붕괴되는 수심.
 
붕괴율(崩壞率, Decay Rate)
일반적으로 베타입자 및 감마선의 발산을 수반하는 방사선 물질의 시간당 붕괴하는 양을 나타내는 비율.
 
블라인드(Blind)
“Visual"의 반대용어로 우군기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못한 상태.
 
블랙박스(Black Box)
항공기의 비행정보기록(FDR)과 음성기록(VD) 등 항공기 운항에 관련된 기록이 수록되는 장치로서 항공기 사고조사시에 활용됨.

 

 

비가시선 대공무기(非可視線對空武器, Non-Line of Sight AA Weapon)
전방지역 방공체계(FAADS)의 하나로서 통상 사단 후방지역에 배치되어 차폐지역에 있는 매복헬기 및 전차 등 육안탐지 불가표적에 대하여 개량된 유도무기로 이를 파괴 또는 무력화시킬 수 있는 무기체계.
 
비경고노출(非警告露出, Unwarned Exposed)
핵무기 효과와 관련되는 우군부대의 부대 안전상태. 이 상태에서 인원은 핵폭발의 섬광을 감지할 때 옥외에 서 있으며 충격파가 도착하기 전에 즉각 엎드린 것으로 간주함. 이들은 직접적인 열 방사로부터 손과 얼굴의 피부를 보호할 수 없는 복장을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함. 이러한 인원은 노출된 피부의 부분이 직접 열 복사선에 노출될 수 있고 어떤 인원은 일시적인 섬광실명으로 고통받게 됨.
경고노출(Warned Exposed), 경고방호(Warned Protected) 참조.
 
비공통장비(非共通裝備, Non-Common Equipment)
1개 군만이 보유하고 있는 장비 또는 3개 군이 공히 보유하고 있다 하더라도 창급 정비계획 및 집행을 1개군 단독으로 수행하는 장비.
 
비과시간(飛過時間, Time of Flight)
탄환이나 포탄이 총구나 포구를 떠난 시간부터 물체에 충돌하거나 또는 폭발하는 순간까지 경과된 시간.
 
비군사적 위협(非軍事的威脅, Unmilitary Threat)
군사 이외의 정치, 경제, 사회심리면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위협.
 
비군사적 위협대비작전(非軍事的威脅對備作戰, Counter-Unmilitary Threat Operation)
군사 이외의 정치, 경제, 사회심리면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비하는 작전.
 
비대칭전(非對稱戰, Asymmetric Warfare)
상대방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상대방과 다른 수단, 방법, 차원으로 싸우는 전쟁 양상.
 
비무장선박의 구분(非武裝船舶의區分, Categories of Non-military Ships)
비무장선박의 구분은 다음과 같음.
1. 무혐의선박(Clear Ship)
2. 의심스러운 선박(Doubtful Ship)
3. 적대선박(Hostile Ship)
4. 수상한 선박(Suspect Ship)
 
비무장지대(非武裝地帶, De-Militarized Zone; DMZ)
적대하는 두 나라의 군대 사이를 격리시키는 지대로서 이곳에서 군의 주둔과 무기배치 및 군사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금지된 지역.
 
비밀공작(秘密工作, Clandestine Operation)
정보기관이 어떤 목적 하에 주어진 목표에 대하여 계획적으로 수행하는 비공식적인 행위.

 

 

비밀취급(秘密取扱, Handling of Classified Material)
비밀의 수집, 작성, 분류, 재분류, 수발 등 일체의 관리행위.
 
비밀통신기술(秘密通信技術, Clandestine Communication Technique)
최대한의 보안을 유지하면서 의사전달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면접 및 문서 등을 이용한 통신수단으로 비전자통신이 주로 활용됨.
 
비상기획위원회(非常企劃委員會, Emergency Planning Board)
국무총리의 직속기관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비상대비업무에 대한 총괄, 조정 및 확인업무를 통해 국무총리를 보좌하는 총괄기관임.
 
비상대기(非常待機, Alert)
1. 교전 방어 또는 방호를 위하여 대기하는 상태.
2. 실제위협 또는 전투상황을 대비한 부대의 상태.
 
비상사태(非常事態, State of Emergency)
국가비상사태 하에서 각급기관의 행동기준과 필요한 사전조치를 강구하기 위하여 설정한 사태별 구분으로서 충무사태와 동의어임. 비상사태는 국방부장관의 제안으로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이 선포함. 단, 사태가 긴급한 경우에는 사전조치 후 사후승인을 받음.
 
비상소집(非常召集, Emergency Call)
휴무일, 일과 후에 돌발적인 사태가 발생시 이에 대응할 수준의 부대기능을 최단시간내에 발휘시키기 위하여 비근무병력을 긴급히 소집하는 것.
 
비상위험(非常危險, Emergency Risk)
핵폭발시 잠시 동안의 충격이나 또는 사상자를 기대할 수 있거나 부대 전투능력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는 위험의 정도. 이 위험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허용해서는 안 됨.
 
비상착수(非常着水, Ditching)
사고 항공기가 육지에 착륙이 불가할 경우 불가피하게 수면상에 내리는 것.
 
비상탈출(非常脫出, Bail-Out, Ejection)
비행중인 항공기로부터 승무원이 낙하산으로 이탈하는 것.
 
비상활주로(非常滑走路, Emergency Landing Strip)
유사시 재출동기지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고속도로상, 국도상 또는 도로와 분리되어 설치된 활주로와 부속시설.

 

 

비선형전(非線型戰, Nonlinear Warfare)
피·아 화기의 사거리, 명중률 및 파괴력의 증대, 정보 및 지휘통제능력의 발전 등으로 전장종심이 확대되고, 전·후방 동시적 전투가 실시됨에 따라서 일정한 전선이 없이 전개되는 전쟁 양상.
 
비예정부대(非豫定部隊, Non-Scheduled Unit)
예정파나 대기파에 포함되지 않은 최초 양륙 단계에서 상륙할 수 있도록 준비태세로 대기하는 상륙부대, 상륙군의 특정 전투지원부대, 대부분의 전투근무지원부대와 상급제대(사단급 이상), 예비대 등이 포함됨.
 
비전(Vision)
1.과학발전 추세에 따라 미래의 전장환경(15년)을 예측하여 국방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장차전장에서 “어떻게 싸울 것인가"에 대한 미래전쟁의 개념적인 골격이라 할 수 있음.
·향후 15년 이후 군의 발전과 전력증강 방향 제시.
·각군에 불확실하고 도전적인 미래에 대비할 수 있도록 개념적으로 제시.
·각군이 독특한 능력을 개발하는 데 공통의 방향제시.
※미군은 국방성에서 세계전사를 분석한 결과 평균 15년마다 전쟁양상이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어 15년 주기로 비전을 제시하고 있음.
2. 이상으로서 그리는 미래의 구상.
 
비전투손실(非戰鬪損失, Nonbattle Casualty)
질병이나 상해로 인하여 사망한 자 또는 자의적이라고 인정되지 않으며 적 활동과 억류로 인한 행방불명자를 포함하여 질병 또는 상해의 이유로써 소속부대를 이탈한 인원.
 
비접적전(非接敵戰, Non-Contact Warfare)
화포, 전차, 헬기 등 탑재무기 형태의 장비를 사용하여 적과 근접해서 싸우는 직접전투와는 달리 장거리 미사일을 이용해서 원거리에서 적의 중심 등 핵심표적에 효과를 집중하는 비접촉 형태의 간접전투를 말함.
 
비정규군(非正規軍, Irregular Forces)
정규군, 경찰 또는 기타 국내 경계부대에 속하지 않는 무장한 개인 또는 집단.
 
비정규전(非正規戰, Unconventional Warfare)
1.적지역이나 적 점령지역 내에서 현지 주민이나 침투한 정규군요원이 주로 외부의 지원과 지시를 받아 수행하는 군사 및 준군사활동으로서 유격전, 도피 및 탈출, 전복활동을 포함함.
2.유격전, 도피 및 탈출 그리고 전복활동 등을 포함하는 작전으로서 적이 확보 또는 지배하는 지역에서 주로 주민에 의하여 수행되며, 통상 외부로부터 여러 가지 면으로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지원과 지시를 받음. 즉 기존 정권이나 점령세력을 제거 또는 약화시킬 목적으로 수행되는 주로 주민에 의해서 실시되는 총체적인 저항활동.
 
비지속성 작용제(非持續性作用劑, Nonpersistent Agent)
투발후 오염지역에서 단시간 내에 효과가 소멸되는 작용제를 말하며, 질식, 혈액 및 신경작용제(GB)가 이 범주에 속함.
 
비지속성가스(非持續性~, Nonpersistent Gas)
살포된 가스가 통상 10분간 또는 그 이하로 유효한 전쟁용 가스.
 
비축물자(備蓄物資, Stock Pile)
전쟁초기에 일시 대량 획득이 곤란한 전투 긴요물자 중 국고예산으로 평시에 확보, 저장해 두는 물자.

 

 

비콘(Beacon)
1.전자유도장치를 갖춘 항공기의 유도장비로서 주로 적 지역 내에서 항공기 유도, 공중폭격유도, 근접항공지원 유도 등을 위하여 사용하는 장비.
2. 항공로에 설치되는 등대.
3.무선표지(radio beacon)를 뜻하는 말로서 이는 특정한 위치에 설치된 무선국에서 특정한 전파를 발사하고, 선박 또는 항공기에서 이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그 무선국의 위치와 방위를 알아서 항로 또는 항공로의 식별이 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전파에 의한 항행의 지표를 말함.
 
비파괴검사(非破壞檢査, Non Destructive Inspection)
파괴되지 않고 검사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검사. 예를 들면 방사선 투과검사, 초음파 투과검사, 자분탐상시험 등이 있음.
 
비표준장비(非標準裝備, Non Standard Material)
기증품, 하사품, 군시설, 제작장비, 노획장비, 습득품 및 신장비 도입으로 도태시켜야 할 장비 등 정상적인 정비관리유지가 불가하며 장비생산국의 폐기 내지 생산중단 장비로서 수리부속품 획득에 제한을 받는 장비.
 
비행계획서(飛行計劃書, Flight Plan)
비행계획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서식으로 중앙항로교통관제소 및 비행작전본부로부터 관련기관에 통보되며, 항공기 기종, 통신수단, 항로, 이착륙 시간 및 이착륙 기지 등이 포함됨.
 
비행고도(飛行高度, Flight Altitude)
비행중인 항공기와 지표면과의 수직거리, 즉 항공기가 공중에 떠 있는 높이.
 
비행금지공역(飛行禁止空域, Prohibited Area; PA)
국가 보안상 중요지역의 보호를 위해 설정하며, 모든 비행물체의 비행이 금지되거나 통제하는 공역.
 
비행금지선(飛行禁止線, No Fly Line; NFL)
공군구성군사령관 혹은 그가 지명한 대행자의 인가 없이는 비행할 수 없는 일정지점을 연결한 선.
 
비행기록장치(飛行記錄裝置, Flight Recorder)
비행중 항공기에 관한 모든 자료의 자동기록장치. 기본 형태는 비행자료기록기(fight data recorder)로서 통상적으로 사고기록기 또는 블랙박스(black box)를 말함.
 
비행단(飛行團, Wing)
주로 비행임무를 수행하는 수개의 비행대대와 지원조직으로 구성된 공군부대.
지원조직은 비행대대에 요구되는 보급, 정비, 의료 및 기타 지원부대가 있음.
 
비행단대(飛行單隊, Aircraft Section)
동일한 종류의 항공기 2대로 구성된 해군항공대의 기본 전술단위.

 

 

비행대대(飛行大隊, Squadron)
1.해군, 공군 및 해병대의 항공부대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행정 비행단위.
2. 육군에서는 항공대대(Aviation Battalion) 용어를 사용함.
 
비행로도표(飛行路圖表, Flight Diagram)
공중이동계획에 포함되는 일종의 항로도표로서 주비행로, 예비비행로, 통제점, 출발점, 분진점, 비행회랑이 포함된 약식도표.
 
비행사고율(飛行事故率, Aircraft Accident Rate)
군의 경우, 가장 일상적인 지표는 10만 비행시간당 사고건수이며 기타 지표로는 통상 1년 단위로 산정되는 치명적인 사고건수, 승무원 사망수 또는 항공기 파손건수 등이 있음. 민간항공의 경우에는 1년 단위로 발생하는 1억 승객수송 mile(승객수송을 ㎞로 대체 가능) 또는 10만 stage flight당 발생하는 사고의 수를 지표로 이용함. 일반적으로는 10만 회의 항공기 이륙시마다 발생하는 치명적 사고건수를 지표로 이용함.
 
비행시정(飛行視程, Flight Visibility)
비행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수평거리.
 
비행작전본부(飛行作戰本部, Flight Operations Center, FOC)
육군 항공기 및 헬리콥터의 비행을 통제하며 원격수동자료 입력장치와 음성통신장비를 이용하여 비행계획서를 중앙방공통제소로 입력/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구.
 
비행정보구역(飛行情報區域, Flight Information Region; FIR)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 의해 해당 국가의 책임공역 내에서 인가된 항공기가 안전하고 질서 있게 운항할 수 있도록 필요한 항공정보를 제공하고 항공교통관제를 실시하며, 조난 항공기에 대한 탐색 및 구조지원을 하기 위하여 설정된 구역.
 
비행제한공역(飛行制限空域, Restricted Flight Airspace; RFA)
비행로상에서 각종 화력이 집중 운영될 시, 지상화력으로부터 아군 항공기의 안전을 위하여 비행로 사용을 일시 제한하는 공역.
 
비행조언(飛行助言, Flight Advisory)
비행중에 있는 항공기나 또는 관계부서에 대하여 어떤 변동사항 또는 비정상적인 것을 조언하기 위하여 발송되는 통신문.
 
비행추적(飛行追跡, Flight Following)
항공관제기구 또는 방공관제기구에서 항공기의 비행과정을 감시해 주는 것.
 
비행통제구역(飛行統制區域, Air Space Restricted Area)
1. 항공기의 비행이 금지되거나 제한된 특정공간.
2.아군 비행을 금지하는 방공지역 내에 특정공간이며, 이곳은 사전승인 없이는 여하한 비행도 금지됨.

 

 

비행협조본부(飛行協調本部, Flight Coordination Center, FCC)
비행작전본부에 항공교통 정보제공 또는 전파, 책임구역 내의 항공기 통제 및 통제중인 항공기에 경고방송 발령 등 비행작전본부의 통신능력을 확장하기 위하여 운영되는 기구.
 
비행회랑(飛行回廊, Air Corridor)
아군 항공기가 아군에 의해 사격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사전에 설정한 비행경로. 폭, 고도 및 길이로 표시되는 공간으로서 이곳에 대한 비행은 설치권자의 사전승인 없이는 비행할 수 없음.
 
비활동위성(非活動衛星, Passive Satellite)
위성이 보유하는 방사장치가 제어되어 있지 않거나 고장나서 정보자료를 보내지 못하는 위성. 때로는 암흑, 침묵, 비협력 위성이라고도 함.
 
비효율출격(非效率出擊, Noneffective Sortie)
어떤 이유로 기본임무를 수행치 못한 출격항공기. 중단출격 (Abortive Sortie)도 포함됨.
 
빔 공격(~攻擊, Beam Attack)
공중요격에서 비행방향이 45도보다 크고 135도보다 작은 교차각으로 완료하는 요격전투기의 공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