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소리 높이는 중·러…'한반도 사드'에 견제 강화 (연합뉴스, 2015.02.11)
'한미동맹 흔들기, 러시아-서방 대립상황 반영' 등 분석
알렉산드르 티모닌 주한 러시아대사는 10일 오후 대사관에서 개최한 러시아 '외교관의 날' 행사 인사말을 통해 "우리는 글로벌 미사일 방어(MD) 시스템을 아시아·태평양으로 확장하려는 미국의 의도가 역효과를 낳으며 불안정을 가져오는 것이라고 여긴다"면서 미국의 사드 배치에 대한 우려를 간접적으로 표명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강병철 기자 = 한미 양국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문제에 대한 공식 논의가 없다고 거듭 밝히고 있음에도 중국과 러시아가 사드에 대한 반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알렉산드르 티모닌 주한 러시아대사는 10일 오후 대사관에서 개최한 러시아 '외교관의 날' 행사 인사말을 통해 "우리는 글로벌 미사일 방어(MD) 시스템을 아시아·태평양으로 확장하려는 미국의 의도가 역효과를 낳으며 불안정을 가져오는 것이라고 여긴다"면서 미국의 사드 배치에 대한 우려를 간접적으로 표명했다.
앞서 러시아 외교부는 지난해 7월 사드에 대해 'MD 시스템의 한반도 출현'으로 규정하고 "이런 사태 전개는 불가피하게 (동북아) 지역의 전략적 정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이 지역에 군비경쟁을 촉발할 수 있으며 한반도 핵문제 해결에도 더 큰 어려움을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중국의 반대 입장은 거의 모든 레벨에서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도 지난해 7월 서울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미사일방어 체계 문제를 직접 거론하며 신중하게 처리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에는 창완취안(常萬全) 중국 국방부장이 지난 4일 열린 한중 국방장관회담에서 사드의 한반도 배치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우리측에 전달했다.
중국과 러시아의 이런 입장은 기본적으로는 사드의 한반도 배치시 자국도 사드의 영향을 받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해 7월 서울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미사일방어 체계 문제를 직접 거론하며 신중하게 처리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고고도 탄도미사일을 탐지해 요격하는 사드는 고성능 X-밴드 레이더와 요격 고도 40∼150㎞인 미사일(발사대 6기 각 8발)로 구성된다. 탐지거리가 1천㎞가 넘는 것으로 알려진 X-밴드 레이더가 한반도에 배치되면 중국과 러시아의 탄도미사일 기지 동향도 노출되게 된다.
정부 안팎에서는 중국·러시아의 사드 반대 입장이 전략적 고려 속에서 나온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한미 양국이 아무 논의나 결정된 게 없다고 확인하고 있음에도 거듭해서 문제제기를 하는데는 다른 의도가 있다는 것이다.
<그래픽> 중·러 '한반도 사드 배치' 반대 기류
(서울=연합뉴스) 반종빈 기자 = 한미 양국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문제에 대한 공식 논의가 없다고 거듭 밝히고 있음에도 중국과 러시아가 사드에 대한 반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bjbin@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끝)
'신 아시아 안보관'을 내세우는 중국의 경우 '사드'를 연결 고리로 사실상 한미동맹 흔들기를 시도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을 통해 한미간 틈 벌리기를 시도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안보적 측면에서는 미국을 견제하기 위해 사드를 앞세우고 있다는 분석인 셈이다.
러시아의 경우 우크라이나 사태로 미국 등 서방과 강하게 대립하고 있는 사정도 사드 관련 대응에 반영됐다는 평가다.
윤덕민 국립외교원장은 11일 "미국과 중국 사이에 누굴 선택하는지 하는 차원이 아니라 북한의 핵·미시일 위혐에 직면해서 어떤 억제력이 필요한지 국익 차원에서 우리 입장을 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출처: (서울=연합뉴스) 강병철 기자 soleco@yna.co.kr
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15/02/11/0608000000AKR20150211072200043.HTML
'★군사소식칼럼 > 외교·안보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국방 부차관보 "한미, 사드 관련 어떤 협의도 없어" (0) | 2015.02.13 |
---|---|
한민구 "사드, 전략적 모호성 필요한 상황" (0) | 2015.02.13 |
미국 국방부, 사드 문제 "한국 측과 지속적 협의 중" (0) | 2015.02.13 |
KAMD(한국형 미사일방어)정책 후퇴가 중국 '사드 반발' 불러 (0) | 2015.02.12 |
블링큰 美부장관 "사드, 北위협 대응목적…결정 안돼" (0) | 201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