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소식칼럼/세계군사·안보

오바마, 제한적 지상군 투입…의회에 IS 무력사용권 요청

머린코341(mc341) 2015. 2. 13. 14:28

오바마, 제한적 지상군 투입…의회에 IS 무력사용권 요청 (연합뉴스종합, 2015.02.12)

 

미국인 구출작전·IS 지도부 겨냥 군사작전에 지상군 투입
공화당 "군사령관들에 더 많은 권한 줘야…기준에 못 미쳐"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를 상대로 제한적 지상군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무력사용권의 승인을 미 의회에 요청했다. 사진은 앞서 지난 5일 워싱턴DC에서 열린 국가조찬기도회에 참석한 오바마 대통령 모습.

 

(워싱턴=연합뉴스) 심인성 특파원 =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 격퇴 작전과 관련, 지상군 투입 절대 불가라는 종전 강경 태도에서 한 발짝 물러나 제한적 지상군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가능성을 열어뒀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오전 IS를 상대로 군사력을 동원할 수 있는 무력사용권(AUMF·Authorization for the use of Military Force)의 승인을 미 의회에 공식 요청하면서 이 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전쟁처럼 장기적이고 대규모인 지상전을 허용하지는 않을 것이며 그런 지상전에는 미군보다는 현지 병력(이라크 정부군과 시리아 온건반군)이 투입돼야 한다"면서 "다만 미국이나 동맹국 관련 인사 구출작전, IS 지도부를 겨냥한 군사작전 시 특수부대 활용 등 좀 더 제한적 상황에 한해 지상전을 수행할 수 있는 유연성을 발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인질 구출작전이나 IS 수뇌부 제거작전처럼 제한적이고 한시적인 작전에는 지상군을 투입할 수 있다는 뜻으로, IS 격퇴 작전의 중대한 전략 변화를 의미한다.

 

오바마 대통령은 그동안 지상군 투입 없이 미국 주도의 국제연합군 공습과 이라크·시리아 현지 지상군을 활용해 IS를 격퇴한다는 전략을 고수했다.

 

제한적 지상군 투입 카드는 전면적 지상군 파병을 포함해 더 공격적인 대응을 원하는 공화당 강경파와 제2의 중동전쟁 확산을 꺼리는 민주당의 주장을 모두 반영한 일종의 절충안으로 볼 수 있다. 

 

오바마 대통령이 요청한 무력사용권에는 제한적 지상군 투입과 함께 정보수집 및 공유, 무력 공격, 작전계획 및 다른 형태의 자문 제공 등 지상전이 필요하지 않은 작전에도 미군을 동원할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다. 미군은 이미 이라크 정부군에 각종 형태의 자문을 해 주고 있으며, 조만간 시리아 온건 반군 훈련도 시작할 예정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IS를 지금 저지하지 않으면 미국 본토를 포함해 중동 이외의 지역에까지 위협이 될 것이다.

 

미 의회의 무력사용권 승인은 우리가 IS의 위협에 대처하는데 하나로 단결돼 있음을 세상에 보여주는 것"이라며 공화당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하지만, 공화당이 제한적 지상군 투입에 대해 미흡하다는 반응을 보여 의회 내 논쟁은 가열될 전망이다.

 

공화당 1인자인 존 베이너(오하이오) 하원의장은 이날 성명을 내고 "어떤 형태의 무력사용권이든 우리 국민을 제대로 보호할 수 있도록 군 사령관들에게 더 많은 유연성과 권한을 줘야 한다"면서 "오바마 대통령의 무력사용권은 군 사령관들에 대해 너무 많은 제약을 두고 있다"고 지적했다.

 

베이너 의장은 또 "IS 격퇴를 위한 무력사용권은 중요하지만, 오바마 대통령의 요청은 기준에 못 미친다는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오바마 대통령의 무력사용권 승인 요청으로 미 의회는 13년 만에 전쟁과 관련된 법안을 심의·표결하게 됐다.

 

미국은 이미 지난해 8월부터 시리아와 이라크 내 IS를 겨냥한 공습 작전을 진행해 왔으나 2002년 조지 W 부시 대통령 시절 이라크 침공 당시 의회가 대통령에게 부여한 무력사용권을 법적 근거로 동원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출처 : (워싱턴=연합뉴스) 심인성 특파원 sims@yna.co.kr
         http://www.yonhapnews.co.kr/politics/2015/02/12/0505000000AKR2015021200035107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