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서귀포 신산에 제2 제주공항 건설 추진(종합2보)
국토부 "환경훼손 적고 공사비 상대적으로 적어"
길이 3천200m 활주로 1본 건설…연간 이용객 2천500만명 수용
<그래픽> 제주 서귀포 신산에 제2공항 건설 추진(종합)
(서울=연합뉴스) 장예진 기자 = 국토교통부는 포화상태에 이른 제주공항 인프라 확충을 위해 기존공항을 그대로 운영하면서 제2공항을 2025년에 개항해 두 개의 공항을 운영하도록 추진한다고 10일 발표했다.
(세종=연합뉴스) 성혜미 이재영 기자 = 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 신산리·온평리·난산리·고성리 일대 4.9㎢(150만평)에 제2공항이 건설된다.
국토교통부는 포화상태에 이른 제주공항 인프라 확충을 위해 기존공항을 그대로 운영하면서 제2공항을 2025년에 개항해 두 개의 공항을 운영하도록 추진한다고 10일 발표했다.
국토부는 "제2공항 건설은 제주공항을 그대로 운영하면서 활주로 1본의 신공항을 추가로 건설하는 것"이라며 "환경훼손이 적고 상대적으로 공사비도 적게 들어갈 뿐만 아니라(4조1천억원), 두 개의 공항 운영에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돼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
제주 서귀포 신산에 제2공항 건설 추진
(제주=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국토교통부는 10일 제주 공항 확충 사전타당성 검토 용역결과를 발표하고 서귀포 신산에 제2공항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날 국토교통부가 배포한 제2공항 입지 활주로 예상도.
제2공항 입지로 선정된 신산리 등 일대는 기존 제주공항과 공역이 중첩되지 않아 비행절차 수립에 큰 문제가 없고 기상 조건이 좋으며 다른 지역에 비해 환경훼손 우려나 소음지역 거주민 수가 적은 것으로 평가됐다.
신산리에서 시작되는 활주로는 길이 3천200m, 폭 60m로 전세계 대형기종의 이착륙이 가능하다.
제주지역은 중국인을 중심으로 한 관광객 증가와 저비용 항공시장 활성화로 주말이나 성수기에는 항공권을 구하기 어려운 상태다.
북적이는 제주공항<<연합뉴스 자료사진>>
국토부는 제주 항공수요조사 연구를 통해 2018년이면 제주공항이 완전히 포화할 것으로 예측했다.
제주공항 이용객은 지난해 2천320만명, 올해 9월까지 1천928만명을 기록했으며 2018년에는 2천830만명, 2025년에는 약 4천만명, 2035년에는 약4천5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제주 공항확충 사전 타당성검토' 용역을 통해 ▲ 기존공항 확장 ▲ 신공항으로 이전하고 기존공항 폐쇄 ▲기존공항을 운영하면서 제2공항 건설 등 세 가지 안을 놓고 검토했다.
제주 공항인프라 확충 사전타당성 용역 최종 보고회
(제주=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10일 오전 제주도청 대강당에서 열린 '제주 공항인프라 확충 사전타당성 용역 최종 보고회'에서 김병종 한국항공대 교수가 용역 추진 과정에 관한 보고를 하고 있다.
기존 제주공항을 바다 방향으로 두 배 확장하는 방안은 평균 50m 높이로 바다를 메워야 하기 때문에 해양환경 훼손과 9조4천억원의 과다한 공사비가 들어간다는 문제점이 지적됐다.
또 기존공항을 폐쇄하고 활주로 2본을 가진 대규모 신공항을 건설하는 방안 역시 환경훼손이 크고 사업비도 7조원 정도인데다 기존공항 폐쇄에 대해 지역 상인 등 주민들의 반대가 문제점으로 꼽혔다.
국토부는 제2공항을 건설해 2035년 기준으로 연간 항공이용객 2천만명은 기존 제주공항에, 2천500만명은 제2공항에 분산 수용한다는 구상이다.
두 개의 공항을 국내선과 국제선+국내선으로 구분할지, 항공사별로 구분할지 등 구체적인 역할분담 방안은 아직 정하지 않았다.
국토부는 제2공항 건설 입지가 결정됨에 따라 연말에 예비타당성조사에 착수하고 설계 등 절차를 조속히 진행해 2018년에 착공, 2024년 말까지 완공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이날 오전 제주도청에서 도의원과 주민자치위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용역결과 발표회를 했다.
제주도는 이날 곧바로 도시계획위원회를 소집해 제2공항 예정 부지를 토지거래 허가구역으로 지정한다.
토지수용 결정 전까지 주변 토지가격의 상승 등 불필요한 부동산 거래를 최소화하려는 조치다.
[연합뉴스] 2015.11.10.
*********************************************
제주 2공항, 독립 활주로…연간 2천500만명 수용(종합2보)
도, 에어시티로 조성 추진…용역단 "60∼70가구 이주 불가피"
제주 제2공항 활주로 위치 예상도
(제주=연합뉴스) 김호천 기자 = 제주 제2공항 입지인 서귀포시 성산읍 온평리와 신산리 지역의 활주로 위치 예상도. <<네이버 지도 캡처>>
(제주=연합뉴스) 고성식 기자 = 제주 공항 인프라를 확충하는 방안으로 해안형의 서귀포시 성산읍 신산리·온평리가 최적 대안으로 결정됐다.
제주국제공항과 함께 미래 제주 관문을 담당할 제2공항은 어떻게 조성, 운영될지에 건설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토부는 현 제주공항과 제2공항을 동시에 사용하면 시간당 활주로를 이용하는 항공기 한계 횟수인 '슬롯'(SLOT)이 각각 38회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제주공항만 운영하는 현재는 시간당 34회다. 2개 공항이 동시에 항공기를 수용하면서 제주 공항 인프라의 전체 가능 횟수가 76회로 늘어났다.
국토교통부는 앞으로 예비타당성 조사, 설계 등의 절차를 진행해 2025년까지 새로운 공항을 개항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제2공항 건설 개발 방안은 2012년 제주도가 수립한 제주 공항 개발구상 연구에서 엿볼 수 있다.
공항 시설은 지상에서 항공기의 이동을 최소한으로 하고 안전을 담보하도록 배치한다.
시설 배치에 있어 활주로와 고속 탈출 유도로의 배치는 공항의 기본적 형태로써 가장 중요하다.
국토부가 발표한 활주로 배치계획을 보면 활주로 1본, 3천200m를 건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제2공항의 수용인원은 연간 2천500만명이다.
현재 제주공항을 이용하면서 별도로 공항을 운영하는 데다 활주로 2본 이상을 건설할 경우 환경 훼손이 커지기 때문이다.
유도로는 복잡한 동선을 피하고 유도거리를 단축, 항공기의 지상이동시간과 거리를 절약하도록 설계한다.
항공기 이·착륙과 여객, 화물터미널, 항공기 정비시설을 연결하는 에어사이드(Airside)는 항공기 이착륙 지역과 터미널 지역의 배치에 따라 결정된다.
제주 공항인프라 확충 사전타당성 용역 최종 보고회
(제주=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10일 오전 제주도청 대강당에서 열린 '제주 공항인프라 확충 사전타당성 용역 최종 보고회'에서 손명수 국토교통부 공항항행정책관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여객터미널시설은 지상접근 교통시스템과 에어사이드 시설과 조화롭게 연결되고 공항 주변의 전체적인 토지이용계획 아래에서 시설 개발계획이 수립돼야 한다.
부지는 495만8천㎡로 추정했다. 공사비는 4조1천억원이다.
부지매입, 대공사, 건축공사, 부대비 등의 공사와 공항 주변 시설 공사가 진행된다.
제주도는 용지매입 및 지장물 보상과 공사 시행에 있어 기상여건, 인력 자재 수립에 따라 완공 일자가 조정될 것으로 봤다.
도는 공항 운영 방안으로 현 한국공항공사와 별로로 하는 이원화 방법을 검토했다.
전 세계적으로 이원화로 운영하는 공항이 58개 있고 이들 공항의 전체 세계여객 수송량의 50%를 처리하고 있다.
제주 제2공항 기본 설계 예상도
(제주=연합뉴스)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신산·온평리에 들어설 것으로 계획이 잡힌 제2공항 활주로 및 터미널 등의 시설 기본 설계 예상도. <<국토교통부 제공>>
그러나 수송량 분할 문제와 조직 이원화에 따른 예산 인력 낭비 등의 단점도 있다.
도는 또 공항을 24시간 운영해 쇼핑과 컨벤션 등을 포함한 에어시티로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항을 24시간 운영이 가능하냐 문제는 기본계획이나 공항개발절차에서 면밀히 살펴야 하겠지만 해당 지역 주민의 동의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의 제주 공항인프라 확충 사전타당성검토 연구용역의 책임 연구원인 김병종 한국항공대 교수는 "제주도가 배후도시개념으로 진행하면 에어시티 조성이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제2공항이 들어서게 되면 60∼70가구 정도는 이주해야 하고 최소 수백가구는 소음 피해를 겪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2015.11.10.
*********************************************
'제2공항 건설'…제주 공항 인프라 확충 추진 일지
2018년 포화 예상 제주공항
(제주=연합뉴스) 김호천 기자 = 오는 2018년 포화가 예상되는 제주국제공항 모습 << 연합뉴스 DB>> khc@yna.co.kr
(제주=연합뉴스) 고성식 기자 = 1958년 제주비행장으로 설치돼 10년 뒤 국제공항으로 승격된 제주공항은 매년 항공수요가 급증해 공항 인프라 확충 여론이 거세 왔다.
올해는 연간 2천300만여 명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2018년이면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이에 따라 '제주 공항인프라 확충 사전타당성검토 연구' 용역을 통해 기존 제주공항을 그대로 운영하면서 서귀포시 성산읍 신산·온평리 일대에 2025년까지 제2공항 건설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다음은 제주 공항 인프라 확충 주요 일지.
▲ 1990년 4월 = 교통부, 제주권 신국제공항 개발 타당성 조사
▲ 2007년 12월 = 이명박 대통령 공약으로 제주 신공항 개발사업 채택
▲ 2011년 1월 = 제4차 정부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2011∼2015) 고시
▲ 2010년 6월∼2012년 4월 = 제주도, 제주공항 개발구상 연구용역 시행(국토연구원)
▲ 2012년 12월 = 박근혜 대통령 공약으로 제주 공항 인프라 확충 채택
▲ 2013년 8월∼2014년 9월 = 국토교통부, 제주 항공수요조사 연구용역 시행(한국항공대)
▲ 2014년 12월∼2015년 6월 = 제주국제공항 포화대책 단기 대책 수립
▲ 2014년 10월∼2015년 11월 = 국토교통부, 제주 공항인프라 확충 사전타당성검토 연구용역 시행
▲ 2015년 11월 10일 = 국토교통부 제2공항 건설 계획 발표. 입지, 신산·온평리 결정
▲ 2015년 12월 = 제주 신산·온평리 제2공항 개발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예정
▲ 2016년 = 제5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2016∼2020) 고시 예정
▲ 2018년 = 제주 신산·온평리 제2공항 착공 예정
▲ 2024년 말∼2025년 = 제주 신산·온평리 제2공항 완공 및 개항 예정
[연합뉴스] 2015.11.10.
*********************************************
제주2공항 부지 어떻게 선정했나…"30여곳 검토했다"
서귀포시 신산…소음피해·생태계 영향 가장 적어
기존공항 보다 넓게…"확장 가능성 고려"
제주 서귀포 신산에 제2 제주공항 건설 추진
(서울=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 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 신산리·온평리·난산리·고성리 일대 4.9㎢(150만평)에 제2공항이 건설된다. 국토교통부는 포화상태에 이른 제주공항 인프라 확충을 위해 기존공항을 그대로 운영하면서 제2공항을 2025년에 개항해 두 개의 공항을 운영하도록 추진한다고 10일 발표했다. 사진은 제2공항 후보지의 모습. 2015.11.10 << 국토교통부 제공 >> noanoa@yna.co.kr
(세종=연합뉴스) 성혜미 이재영 기자 = 10일 국토교통부는 포화상태인 제주공항에 더해 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 신산리 일대에 활주로 1본의 '제2공항'을 짓는다고 발표했다.
애초 국토부는 바다를 메워 독립된 활주로를 추가하는 등 기존 제주공항을 확장하거나 기존공항을 폐쇄하고 별도의 지역에 대규모 신공항(활주로 2본)을 건설하는 방안 등도 검토했다.
그러나 기존공항을 확장하면 매립비 등 사업비로 9조1천억원이 들고 기존공항을 문 닫고 새 공항을 지으면 7조1천억원이 필요해 기존공항을 유지하고 신산지역에 공항을 지을 때(4조1천억원)보다 돈이 많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존공항을 확장하면 매립 등으로 해양생태계에 끼치는 영향이 크고 기존공항을 폐쇄하면 공항 주변과 제주시 상권에 타격을 줘 도민의 반대가 크다는 점도 문제가 됐다.
국토부는 공항건설이 가능한 30여곳에 대해 공역·기상·환경·소음·장애물 등 다섯 가지 요소를 '합격 또는 불합격'(Pass or fail) 방식으로 평가하는 등 3단계 평가를 거쳐 최종적으로 4곳을 남겼고 이 중 신산지역을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신산지역은 공항을 건설했을 때 소음피해가 아주 없진 않지만 소음대책이 필요한 가구가 다른 곳보다 월등히 적었고 자연환경보전지역 등과도 중첩되지 않아 생태계에 대한 저해도 가장 작았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재 계획된 방향대로 활주로를 지으면 기존공항이나 대한항공[003490] 정석비행장과 공역이 겹치지 않는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제2공항 입지로 선정된 신산지역이 기존공항과 약 80㎞ 떨어져 있으며 차나 버스 등 교통수단을 이용하면 한 시간 정도 걸린다고 설명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제주도는 섬 크기와 현재 교통체계를 고려하면 어느 지역으로든 한 시간이면 도달할 수 있어 접근성이 큰 문제는 아니다"고 말했다.
제2공항은 활주로가 기존공항과 길이는 3천200m로 같지만 폭은 60m로 15m 넓게 지어질 예정이다. 또 제2공항 부지는 150만평 규모로 기존공항(100만평)보다 50만평 가량 넓게 계획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 정도 활주로 규모면 거의 모든 종류의 대형기가 이착륙이 가능하다"며 "일반적으로 활주로가 1본인 공항을 짓는 데 100만평 정도 부지면 가능하기 때문에 (제2공항의) 앞으로 확장 가능성도 충분히 고려한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2035년 예상되는 제주공항 이용객 4천500만명 가운데 4천만명이 국내선, 500만명이 국제선을 이용할 것으로 본다.
중국인 관광객 등 외국인들도 곧바로 제주공항으로 오는 게 아니라 인천공항 등 내륙공항을 거쳐서 국내선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국토부는 기존공항과 제2공항에 각각 2천만명과 2천500만명을 수용한다는 구상이며 역할 분담을 어떻게 할지는 구체적인 설계과정에서 정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하반기 공항건설을 위한 기본계획을 마련하고 설계 등을 거쳐 2025년 제2공항을 개항할 계획이다.
제주 서귀포 신산에 제2공항 건설 추진
(제주=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국토교통부는 10일 제주 공항 확충 사전타당성 검토 용역결과를 발표하고 서귀포 신산에 제2공항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날 국토교통부가 배포한 제2공항 입지 활주로 예상도. 2015.11.10 jihopark@yna.co.kr
[연합뉴스] 2015.11.10.
****************************************
북새통 제주, 성산일출봉 옆에 年2500만명 드나들 제2空港
[제주에 新공항]
2025년 開港 - 온평·신산리 일대로 확정… 공사비 4兆, 생태파괴 최소화
너무 늦었다 - 국제선 여객터미널은 당장 내년부터 포화상태… 활주로도 한계상황 다가와
포화 직전까지 이른 제주공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도 서귀포 성산읍 일대에 '제2 제주공항'이 들어선다. 신공항은 건설비 약 4조1000억원을 들여 기존 제주공항만 한 규모로 건설돼 오는 2025년 개항할 예정이다. 성산일출봉까지 자동차로 10분 거리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주도 공항 확충 사전 타당성 검토 용역' 결과를 10일 발표하고 "성산일출봉 인근 성산읍 온평리·신산리 일대에 오는 2018년 착공해 약 500만㎡(150만평) 규모 제2공항을 2024년 말까지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공사비 적고, 생태 파괴 최소화"
제2공항 부지는 기존 제주공항(약 360만㎡·110만평)보다 훨씬 넓지만 여객 터미널은 제주공항과 비슷한 규모로 건설된다. 활주로(1본)는 대형 여객기(A380) 이착륙이 가능하다.
국토부는 ①기존 제주공항을 확장하는 방안 ②제주공항 운영을 중지하고 대규모 신공항을 새로 짓는 방안 ③제주공항 외에 작은 공항을 추가로 짓는 방안 등을 검토하다 이번 용역을 통해 ③안으로 예정 부지를 결정했다.
제주공항과 제2공항 비교
국토부 관계자는 "제주도 내 30개 후보지를 검토한 결과 최종적으로 성산읍 온평리·신산리 일대가 적합한 것으로 결론났다"면서 "공사비가 약 4조1000억원으로 상대적으로 적은 데다 생태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 등 장점이 고려됐다"고 말했다. 이 예정지는 기존 제주공항, 정석비행장 등과 항공기 공역(비행 구간)이 겹치지 않는다고 국토부는 밝혔다.
제주공항을 바다 방향으로 1.3㎞ 확장하는 ①안은 인근 바다의 수심이 깊어 평균 50m 높이로 바다를 매립해야 해 해양 환경 훼손이 큰 데다 약 9조1000억원에 이르는 막대한 예산 문제로 제외됐다. ②안 역시 제주공항이 있는 제주 시민들이 "제주시 경제가 타격을 입는다"며 반대하는 데다 제주도에 대규모 공항을 지을 새로운 부지가 마땅치 않은 것으로 조사돼 ③안이 선택됐다고 국토부는 전했다.
◇제주공항 크기 공항 하나 더 생겨
제2공항에는 가로 3200m, 세로 60m 크기의 활주로 하나가 건설된다. 활주로 크기로만 보면 인천공항이나 김포공항, 제주공항과 비슷한 규모여서 대형 항공기도 이착륙할 수 있다. 제2공항이 개항하는 2025년부터 제주공항은 연간 여객 수 2000만명, 제2공항은 2500만명 규모로 운영할 계획이다. 2공항을 인천공항처럼 24시간 체제로 운영할지, 제주공항과 별개의 국제공항으로 운영할지 등 구체적인 2공항 운영 방안에 대해서는 "추후 검토해 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국토부는 전했다.
◇제주공항은 2025년까지 북새통
저가 항공사(LCC)의 등장과 중국인 관광객 급증 등으로 제주공항의 여객 수요는 당초 정부 예상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18년부터 제2공항이 개항하는 2025년까지 7년간 제주공항은 지금보다 더 번잡할 가능성이 높아 추가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현재 제주공항 활주로의 항공기 처리 능력은 연간 17만2000~18만6000회인데 2018년엔 18만5000회까지 항공기 이착륙 횟수가 늘 것으로 전망된다. 여객 터미널은 포화 속도가 더 빨라 이미 포화 상태에 도달했다.
한국공항공사 제주지역본부는 올해 여객 수요 예상치인 2309만명보다 15% 정도 늘어난 2600만명이 올해 제주공항을 이용할 것으로 전망한다. 이는 제주공항 수용 능력인 2500만명을 넘어서는 것이다. "2016~2017년 수용 능력을 넘어설 것"이라는 국토부의 당초 예상을 1~2년 앞당긴 셈이다.
한 항공 전문가는 "시설 용량을 초과한다고 당장 공항 이용이 어려운 것은 아니지만 항공기가 연착하는 등 불편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2025년 개항 전까지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항공기가 빨리 빠져나갈 수 있도록 활주로 모양을 바꾸고 터미널을 확장하는 등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방식으로 2018년까지 시설을 확장할 경우 이용객 3000만명까지는 제주공항이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항공 전문가 A씨는 이에 대해 "정부가 수요에 맞춰 제때 공항 시설을 확장해야 하는데 실기(失期)한 측면이 있다"면서 "해마다 이용객이 예상을 초과해 기록을 세우고 있는 상황에서 단기 대책으로는 2025년까지 버티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닷컴] 2015.11.11.
'♠관심자료 > 관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첫번째 세계서 여섯번째… 1주탑 현수교 '단등교' 내달 완공 (0) | 2015.11.25 |
---|---|
The gift of our Lady Liberty (0) | 2015.11.22 |
Artistic details on gold guns (0) | 2015.10.17 |
Some ideas for your gun room (0) | 2015.09.30 |
독일 신부 눈으로 본 '1911년 한국 모습' (0) | 2015.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