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덕텔링] 트럼프도 반하게 만든 미국 해병대의 싸우는 방법
지난 2월 2일, 미국의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이 한국과 일본을 방문했다. 매티스 장관은 트럼프가 임명한 장관 중 첫 번째로 의회 인준을 받았고, 군인의 공직 출마 제한 규정을 예외로 인정받아 공화당은 물론 민주당에서도 지지했던 인물이다.
매티스는 강성 발언으로 유명세를 얻었다. 사진=미국 커뮤니티 Raddit
예측불허, 거침 없고 모험적인 행보를 일삼는 트럼프 대통령을 생각하면 이는 매우 이례적이다. 일부 언론들은 매티스의 해병대 장군 시절 별명인 ‘매드 독(Mad Dog)’ ‘수도승 전사(Warrior Monk)’ 등을 일컬어 그의 호전적인 면모가 트럼프의 눈에 들었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는 사실과 거리가 멀다.
매티스의 군인 시절 발언들 중 상상을 뛰어넘는 몇몇 발언들이 있다. “아프간에는 베일을 안 썼다고 구타하는 남자도 아닌 놈들이 있는데, 그런 놈들을 쏘는 건 즐겁습니다” 같은 발언들이다. ‘매티시즘(Mattisism)’으로 불리는 그의 어록은 유명하지만, 그는 고문의 효과를 부정하고, 신중한 발언을 하는 중이다. 역사상 처음으로 해병대 장성 출신의 미 국방장관은, 단순히 돌출 발언으로 평가받을 만한 사람이라 보기 힘들다.
매티스 외에 출세한 사람은 또 있다. 해병대 4성 장성으로 남부사령부 장관을 지닌 존 켈리를 국토안보부 장관에 내정했다. 켈리 역시 국토안보부 창설 이후 처음 임명된 해병대 출신 장성으로, 본인도 맹장이지만 그 자식도 2010년 파병 때 전사한 강골 무인이다. 이 외에도 조지프 던포드 합참의장, 로버트 워크 국방부 부장관 역시 해병대 출신이다. 그야말로 미 해병대가 국방부를 장악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 국방부는 이런 트럼프의 ‘해병대 사랑’에 대응하기 위해 분주하다. 이상훈 해병대 사령관은 매티스가 국방장관에 임명되자 미국을 방문해 매티스 장관과의 면담을 계획했으며, 매티스가 소위 시절 한국에서 훈련할 때 김치를 주고 훈련을 도와준 정 하사를 찾는다고 공고를 내고 있다. 하지만 주목해야 할 것은 미국 해병대 인맥이 아니라, 트럼프 정부가 미국 해병대를 강조하고 등용하는 원인이다.
대한민국 국군은 3군 체제이고, 대한민국 해병대는 해군에 소속되어 있지만, 미 해병대는 해군과 분리된 4번째 군대다. 미국 해병대는 지상전투를 위한 지상군 병력, 장갑차와 전차, 항공전을 위한 수송헬기와 전투기까지 갖추었지만 상륙작전을 위해서는 해군의 상륙함이 필요하고, 상륙한 뒤에는 소수의 병력이라 지상전의 주력을 육군에게 내줄 수밖에 없다. 군에서의 비중은 네 번째로, 돈 많기로 유명한 미군 중에서 가장 가난하게 살기로 유명하다.
예산 절감을 위해 월남전부터 쓴 UH-1 휴이 수송헬기와 AH-1 코브라 공격헬기를 개조 개발한 UH-1Y와 AH-1Z 헬기를 사 쓴다. 미군이 진작 바꾼 콜트 1911 권총을 애용하며, 기존에 있던 무기를 개조·개량하여 전투력을 유지하는 사례가 가장 많다. 다른 나라에서 만드는 무기의 구매를 주저하는 미군답지 않게, 영국이 개발한 수직이착륙기 해리어를 AV-8이라는 이름으로 수십 년 사용한 것도 해병대만의 개성이다.
현 매티스 국방장관도 해병대 출신
이런 살뜰한 해병대의 습관은 미래전에서 해병대의 개념이 오랜 기간 의심받았기 때문이다. 핵심은 해병대의 존재 이유인 상륙작전이 현대전에 부적합하고, 있을 수 없는 일이라 취급받았기 때문이다. 실제 1991년 1차 걸프전 이후 미 해병대는 강습상륙, 그러니까 적진이 지키는 해안을 쳐들어가 교두보를 확보하고 적의 후방을 공격하는 작전을 수행한 적이 없다.
테러와의 전쟁에서 미 해병대는 육군처럼 땅을 보면서, 땅에서 싸웠다. 육군은 공군이 보유한 대규모 수송기를 활용해서 82사단은 물론, 일명 스트라이커 부대로 신속전개능력을 키웠다. 배보다 빠른 비행기로 사단급, 연대급 병력을 투입하는 육군이 있으니 해병대가 필요 없다는 논리였다.
이런 분위기는 테러와의 전쟁이 소강상태에 빠지고 중국과의 대립이 심해지자 바뀌었다. 날로 강해지는 중국의 해군은 태평양 반쪽을 자신들의 영역으로 선포할 태세로, 공군과 해군전력의 질과 양이 엄청나게 발전시켰다. 이것에 대항하여, 미국이 처음 꺼낸 개념은 ‘공해전투(Air-Sea Battle)’?였다.
80년대에 소련과 유럽에서 싸우기 위해 만든 개념인 ‘공지전투’를 다시 부활시킨 이 전략은, 쉽게 말해 기술과 돈을 쏟아 부어 중국을 압도하는 것이다. 마하 12로 나는 미사일을 ‘뿜뿜’ 쏘고 스텔스 전투함이 바다를 장악한다. 수천 km를 비행하는 무인 드론을 항공모함에 탑재한 다음, 중국의 전략무기가 중국 대륙 내 어디에 숨든 찾아내 폭탄을 터트리거나, 전파 방해를 하거나, 해킹으로 빼앗는다는 개념이다. 미국의 기술·경험·국력의 자신감으로 이룰 수 있는, 제 2의 ‘바다의 스타워즈’라고 할 만하다.
문제는 과도한 군사비 지출로 속에서 썩어 들어가던 소련과 달리, 중국은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핵심인 첨단 IT기술을 활용한 군사력 증강을 시도하는, 더 까다로운 상대라는 점이었다. 이 때문일까, 미 해군은 ‘공해전투’라는 용어 대신 ‘국제공역에서의 접근과 기동을 위한 합동 개념(Joint Concept for Access and Maneuver in the Global Commons, JAM-GC)’?이라는 이상한 말을 썼다.
이름을 바꾼 이유야 많았지만, 미군의 작전개념을 바꾸는 것은 그리 가볍지 않다. 우리나라 국회의원보다 훨씬 똑똑한 국회의원들에게 예산 심사를 받고 통과하려면 정밀하고 정확한 계획과 함께, 간결한 논리로 설득을 해야 한다. 이름이 바뀐 후 사실상 공해전투는 폐기 수순을 밟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미국의 새로운 개념 '분산된 치명성'의 연구보고서. 사진=cimsec.org
현재 미국이 궁리하는 대 중국 전투개념의 핵심은 ‘분산된 치명성(Distributed Lethality)’?이다. 값 비싼 최첨단 스텔스 드론 대신 저렴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드론을, 수십 억 달러짜리 최신형 줌왈트 구축함 보다는 기존에 해군이 사용하던 함정에 몇 백만 불짜리 미사일을 장착해 일명 ‘아메바 군대’를 만들겠다는 개념이다.
분산된 치명성을 적용한 미국의 전투능력은, 급유합이나 상륙함 등 모든 함정들이 전투능력을 가지게 된다. 이 함정들은 조용하고 은밀히 바다를 항해하며, 전차가 미사일을 요격하고, 병사들이 항공모함의 눈이 된다. 즉 돈을 최대한 적게, 그리고 기술적 위험을 최대한 줄이면서도 전투력을 높이는 개념이다. 적이 한두 발의 값비싼 미사일로 공격해도, 대부분의 전투력은 보존된다.
물론 이 개념에는 우리가 생각하는 ‘엄청난 물량으로 전쟁을 압도하는’ 미군은 없다. 열약한 환경과 열세인 상황에서도 끈질기게 살아남은 다음, 적을 소모시키고 결국에는 끝까지 이기는 ‘헝그리 정신’으로 무장한, 마치 월남전의 북베트남 같은 첨단 군대가 있다.
이 개념을 처음 주장하고 연구한 곳이 육,해,공군이 아닌 미국 해병대이다. 미국 해병대는 워낙 3군에 비해 대우와 예산을 못 받아 헝그리정신에는 이골이 난 동네다. 트럼프가 메티스와 해병대 인사를 주목한 것은, CEO로서 이 ‘비용 대비 효과의 귀신들’에 감명받았을 가능성이 크다.
미 해병대는 분산된 치명성을 적용하기 위한 시험에 한창인데, 작년 11월 상륙함에서 해병대의 F-35B 수직이착륙기가 은밀히 이륙해 적을 포착한 다음, 해군 이지스함이 정보를 받아 수백km 밖의 항공기를 SM-6 미사일로 요격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10만 톤짜리 항공모함과 수억 달러짜리 조기경보기가 있어야 하는 일을, 신무기의 도움을 받지 않고 기존 무기의 조합으로 해결한 셈이다.
트럼프는 이런 미 해병대의 시도에 호응하듯이, 미 해병대 인사를 중용할 뿐만 아니라 해병대의 인력과 지원을 두 배로 늘려 두 곳에서의 전쟁에 대응해 이기는 조직으로 만들겠다고 한다. 잘 되는 부서를 화끈하게 지원하는 사장님 스타일로. ?
김민석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
[비즈한국] 2017.02.08
'★U.S. Marines > 미해병대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해군 & 미해병대 항공기 테일코드(Tail Code) 리스트 (0) | 2017.04.30 |
---|---|
평양·베이징 노려보는 이와쿠니 기지 (0) | 2017.03.16 |
미 해병대의 편성 및 지휘 계통 (0) | 2016.01.30 |
미국 해병항공대 운용 중인 비행대대 목록 (0) | 2016.01.23 |
미 해병대 부대마크들 (0) | 2016.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