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구 (河口, river mouth, estuary)
하천이 호수나 바다와 만나는 지점.
하구만 (河口灣, bay estuary)
하도(河道)가 나팔모양으로 밖으로 열린 만으로 되어 있고, 조석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하구에 가까운 하천 구간.
하구밀도류 (河口密度流, density current in estuary)
하구에서 주로 염수와 담수의 염분농도에 의한 밀도차 때문에 생기는 흐름.
하구 사주 (河口 砂洲, river mouth bar)
하구에 발달한 사주.
하구성층류 (河口成層流, stratified flow in estuary)
하구에서 염수와 담수가 혼합되지 않고 분리하여 흐르고 있는 흐름.
하구언 (河口堰, estuary barrage)
감조하천의 하구부에 염수침입을 방지하고 용수의 저류를 위해 설치하는 둑.
하구 천수화 (河口 淺水化, estuary shoaling)
하천에 의해 운반된 토사가 하구에 퇴적되어 하구 수심이 점차 감소하는 현상.
하구항 (河口港, estuary harbor)
하구의 정온을 이용하여 하구에 위치하는 항구. 연안항과 달리 대규모의 방파제가 필요 없고 또한 소형선에 의하여 상류까지의 내륙 운송이 가능한 잇점이 있지만 하천의 유하토사나 파도에 의하여 밀려오는 토사 때문에 항로의 수심을 유지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음.
하구호 (河口湖, estuary lake)
하천의 말단에 염분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웨어나 둑을 설치하여 만든 저수지, 또는 하구 부근에 풍수시의 하천수를 도수하기 위하여 만든 인공 저수지.
하니컴 보 ( - , honeycomb beam)
H-형강의 웨브를 일정한 형식으로 절단하여 겹치지 않도록 접합하여 만든 보. 일반적으로 웨브에 육각의 구멍을 가짐.
하니컴 코아 ( - , honeycomb core)
샌드위치 구조 등의 심재로 이용되는 벌집 모양을 한 구조재.
하도 (河道, river course / channel)
하천의 주류(主流)가 흐르는 하천바닥의 깊은 부분.
하도급계약 (下都給契約, subcontract)
공사를 도급한 자가 그 공사 또는 그 일부를 제삼자에게 도급시키는 계약.
하도급시공자 (下都給施工者, subcontractor)
건설 공사의 수급인으로 부터 하도급으로 받는 건설업자.
하도장재 (下塗裝材, anchor coat, primer)
→ 프라이머.
하도저류량 (河道貯溜量, channel storage)
하천의 어떤 하도구간 내에 저류된 물의 용적.
하도지체 (河道遲滯, channel detention)
홍수기간동안 하도내에 일시적으로 저류될 수 있는 물의 체적.
하도추적 (河道追跡, river channel routing)
하천의 상류지점에서의 본류 또는 지류의 알려진 수문곡선으로부터 국지유입량을 고려하여 저류방정식을 이용 하류지점의 수문곡선을 결정하는 방법.
하디크로스 방법 ( - 方法, Hardy Cross method)
배수관망에서의 유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1936년에 하디크로스가 고안해낸 수학적 해석법으로 관망에서의 유량이나 수두손실을 가정하여 시행착오법에 의해 계산함.
하로교 (下路橋, through bridge)
주구 또는 주도리의 하부에 통로가 있는 교.
하류부 (下流部, downstream)
도로를 따라 주행하고 있는 교통흐름이 어느 특정지점을 통과한 후의 부분.
하류수 (下流水, tail water)
하천내 수리구조물의 직하류에 흐르는 물.
하본선 (下本線, down main track)
종점쪽으로 운행하는 방향의 본선.
하부고정나사 (下部固定 - , lower tightening screw)
복축형 트랜싯에서 하반을 연직축에 고정하는 나사.
하부공사 (下部工事, substructure work)
하부구조의 공사.
하부 구조 (下部 構造, substructure)
교량의 상부구조를 지탱하며 지반과 연결시키는 부분구조계를 총칭하는 말로 교대와 교각 등이 이에 해당.
하부저수지 (下部貯水池, afterbay)
양수발전에 있어서 하부에 설치한 저수지. 수차의 흡출관 끝단과 방수로 시점 사이에 설치함.
하부집수 (下部集水, underdrainage)
상수도 정수시의 여과지 또는 하수처리시의 살수여상의 하부에서 여과수를 인출하는 일.
하부집수장치 (下部集水裝置, underdrains)
여과지 또는 살수여상의 여과수를 인출하는 장치. 여과지 또는 여상의 바닥 전체에 걸쳐 여과수가 고르게 유출되어야 하므로 각 점의 손실수두가 균일해야 함. 여과지에서는 역세척수의 분산공급장치로도 사용됨.
하상 (河床, river bed)
하천에서 평수시의 유수에 의하여 형성된 하곡(河谷)의 바닥부분. 홍수기에 대부분의 토사와 유출이 이를 따라 움직임.
하상경사 (河床傾斜, bed slope)
하천의 평수시에 유수에 접한 지반 경사. 즉 바닥의 경사.
하상계수 (河狀係數, coefficient of river-regime)
어떤 하천의 갈수기의 최소유량과 홍수기의 최대유량과의 비.
하상물질 (河床物質, bed materrial)
하천의 바닥을 형성하는 물질. 대체로 입경이 큰 사력을 말함.
하상물질채취기 (河床物質採取器, bed material sampler)
하천바닥을 구성하는 하상재료를 채취하는 도구.
하상상승 (河床上昇, aggradation)
유수의 수리학적 특성에 의해 유수가 운송하던 토사가 퇴적되어 하천 바닥이 높아지는 현상.
하상유사 (河床流砂, bed load)
→ 소류사.
하상저하 (河床低下, river degradation)
유수의 수리학적 특성에 의해 하상이 세굴되어 하상표고가 저하되는 현상.
하상종단곡선 (河床縱斷曲線, river bed profile)
하천바닥의 평균표고를 종단으로 연결한 곡선.
하선 (下線, down track)
종점쪽으로 운행하는 방향의 선로.
하수거 (下水渠, sewer)
우수, 오수 등을 수용하는 관 또는 수로의 총칭. 개수로가 일반적이나 압력이 작용하는 관수로도 있으며 단면은 원형, 사각형, 사다리꼴, 계란형 등이 있음.
하수량 (下水量, wastewater flowrate)
일정기간, 면적에서 배출되는 하수의 양. 우수량, 오수량, 지하수량 등으로 구분되며 실측하거나 원단위 등을 이용하여 추정함. 관거 및 처리시설의 규모결정의 기초가 됨.
하수배수계통 (下水排水系統, wastewater collection system)
일련의 하수관거가 배치된 형태를 평면적으로 구분한 것. 관거의 방향, 하천과의 상대적 위치, 지형 등에 의해 직각식, 차집식, 선형식, 방사식, 평행식, 집중식 등으로 구분함.
하수배제방식 (下水排除方式, sewer system)
우수와 오수의 분리여부에 의해 구분하는 수집방식. 우수와 오수를 하나의 관거에 수용하는 합류식과 별도의 관거에 각각 수용하는 분류식으로 나뉨.
하수재생 (下水再生, wastewater reclamation)
재이용을 위해 하수를 정화하는 일. 응집침전, 여과, 흡착 등에 의하나 종말처리장에서와 같이 높은 처리효율을 목표로 하지는 않으며 따라서 용도는 화장실, 청소, 정원살수 등에 한정됨.
하수재이용 (下水再利用, wastewater reuse)
발생된 하수를 공공하수도로 배출하지 않고 처리하여 재사용하는 일. 하수를 대량 배출하는 업체, 빌딩 등에서 시행할 경우 상수도사용량 및 하수발생량을 크게 줄일 수 있으나 용도가 제한됨. 하수재사용, 중수도라고도 함.
하수처리 (下水處理, wastewater / sewage treatment)
최종처분지인 토양이나 수계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수중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일. 물리, 화학 및 생물학적 단위조작에 의하며 생물학적 처리조작의 비중이 큼. 폐수처리라고도 함.
하수처리시설 (下水處理施設,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하수를 정화, 처리하는 시설의 총칭. 물리, 화학, 생물학적 기능을 이용하며 자정작용과 원리는 같으나 좁은 공간에서 빠른 속도로 진행됨. 특정물질 제거를 위한 고도처리시설도 포함됨. → 하수처리장
하수처리장 (下水處理場, wastewater treatment plant)
하수를 정화, 처리하는 곳. 공공기관에서 대규모로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공단, 외딴 주택지 등에서 소규모로 자체운영하는 경우도 있음.
하수처분 (下水處分, wastewater / sewage disposal)
처리 또는 미처리상태의 하수를 최종방류처에 버리는 일. 농경지 등 토양에의 살포, 하천이나 바다 등 수역으로의 방류 및 지하수 충전을 위한 심정주입 등의 방법이 있음. → 폐수처분
하심축 (河深軸, axis of streambed)
하천내 하상 횡단면의 최심부를 연속적으로 종단방향으로 연결한 선.
하안 (河岸, river bank)
하상에 접속한 하천 양안의 경사지.
하안침식 (河岸浸蝕, bank erosion / caving)
하안이 유수로 인하여 깎이거나 무너지는 현상.
하역 (荷役, cargo handling)
화물을 배에 싣고 내리는 작업으로 작업 방식에 따라 접안하역과 해상하역으로 나눌 수 있음.
하역기계 (荷役機械, freight handling machinery)
화물을 적재 및 하차하기 위한 기계.
하이드렌트 방식 ( - 方式, hydrant system)
항공기 연료를 탱크에서 지하 파이프 라인에 의해 계류장 포장 내에 피트(pit) 까지 송유를 하여 항공기에 급유하는 방식. 대량의 연료를 신속하게 급유하고 계류장 위에 차량 운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안전성이 매우 높음.
하이드로콘 크러셔 ( - , hydro cone crusher)
스프링대신 유압으로 바깥틀을 지지한 콘크러셔.
하이 스플리트 ( - , hi split)
철골기둥, 보 등에서 접합부의 split tee 이음을 개량하여 주강으로 만든 접합금속물. 용접 또는 고장력볼트로 접합하여 응력이 집중되는 곳을 보강함.
하주 1) (河洲, bar)
→ 사주
하주 2) (荷主, shipper)
화물교통에서 일반적으로 화물의 수송을 의뢰하는 사람.
하중 (荷重, load)
구조물 또는 부재에 응력 및 변형의 증감을 유발시키는 외부에서 작용하는 일체의 작용.
하중-강도감소 계수 설계법 (荷重-强度減少 係數 設計法, load-Resistance factor design)
구조물의 극한 강도에 강도 감소 계수를 곱한 구조물 강도가 하중계수를 곱한 하중보다 크게 되도록 하는 설계법.
하중경사계수 (荷重傾斜係數, load inclination factor)
후팅에 작용하는 하중이 연직하중 이외에 수평하중이 작용할 경우 합력하중이 경사지게 되므로 Meyerhof와 Hansen의 지지력공식으로 후팅의 지지력계산을 함에 있어 이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계수.
하중계 (荷重計, load cell)
pile, strut 또는 earth anchor의 하중 및 인장력을 측정하는 장비로서 공사시 지반상황을 예측하기 위하여 사용됨. 그리고 적용범위로는 earth anchor의 하중 및 인장력 측정, pile의 하중측정, rock bolt의 하중측정, strut 축력 측정 및 굴착시의 하중측정 등이 있음.
하중 계수 (荷重 係數, load factor)
설계하중과 실제하중 간의 불가피한 차이 및 하중을 작용외력으로 변환시키는 해석상의 불확실성, 환경작용 등의 변동을 고려하기 위한 일종의 안전계수.
하중 곡선 (荷重曲線, load curve)
시간의 경과에 따라 하중의 크기가 변화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곡선.
하중 변위도 (荷重 變位圖, load-displacement diagram)
구조물 또는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의 변화에 따른 변위를 도식적으로 표현한 그림.
하중 효과 (荷重 作用, load action)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 변형, 부피변화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단면력, 응력, 변형 등의 총칭.
하중 증가량 (荷重增加量, load increment)
응력제어방식의 압축 또는 재하시험에 있어서 어느 하중단계로부터 다음의 하중단계로 옮겨질 때까지의 증분.
하중-침하 곡선 (荷重-沈下 曲線, load-settlement curve)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발생되는 침하량을 도식적으로 표현한 곡선.
하천개수 (河川改修, river / channel improvement)
하천의 치수, 이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하도의 안정을 기하며 홍수유량이 하도외로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목적으로 자연상태의 하천을 인공적으로 개조하는 하천공사.
하천구간 (河川區間, river reach)
하천종단상의 두 횡단면간의 공간.
하천도류공 (河川導流工, river training)
하천내 흐름의 방향을 바꾸거나 다른 수로로 유수를 전환시키기 위해, 또는 주운 등의 목적으로 수심을 크게 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하천공사.
하천둑 ( - , river barrage)
수문이나 유량조절장치로서 상류의 수면 수위를 조절하거나 분류에 의해 다른 수로로 물을 공급할 목적으로 하천을 횡단하여 설치한 둑.
하천밀도 (河川密度, river density)
유역내의 유로(본류, 지류, 맥류 포함)의 총연장을 유역면적으로 나눈 것.
하천분기 (河川分岐, stream bifurcation)
한가닥의 하천이 두개로 나누어지는 현상.
하천상 (河川相, stream regimen)
유속, 유량 및 하도의 형상과 그 변화, 토사유송능력, 유사량, 침식과 퇴적의 평형관계 등 하천특성의 모든 양상.
하천수위 (河川水位, river stage)
하천의 임의단면에 있어서의 수면표고. 시간 및 공간적으로 변함.
하천오염 (河川汚染, river / stream pollution)
하천의 정상적인 수질구성이 각종 폐수에 의해서 무기염, 산, 염기, 무기물, 부유물질, 온도, 색도, 독성물질, 미생물, 방사성물질 등의 농도가 높아져 비정상적인 구성이 되면서 생물의 서식에 부적합하거나 하천수의 이용도를 저해시키는 현상.
하천유량 (河川流量, river discharge, stream flow)
하천의 어느 횡단면을 단위시간에 유하하는 수량.
하천유지 (河川維持, river maintenance)
치수 및 이수 계획에 따라 상류에서 하구까지 하천을 안정상태로 유지시켜 하천을 보전하기 위한 하천의 관리.
하천유지용수 (河川維持用水, river maintenance flow)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유량으로 하천주운, 어업, 하천경관, 염해방지, 하천관리 시설의 보호, 지하수위의 유지, 동식물의 생태보호, 하천수질보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최소한의 하천유량.
하천제방 (河川堤防, river levee)
하천의 양안에 축제된 제방.
하천차수 (河川次數, stream order)
하천수계에 있어서 하천 분기(分岐)의 정도를 표시하는 수.
하천측량 (河川測量, river surveying)
하천의 형상, 수위, 수심, 경사 등을 관측하고 각종의 도면을 작성하여 하천의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측량.
하천횡단면적 (河川橫斷面積, river cross-sectional area)
하천의 흐름방향에 수직인 통수단면의 면적.
하층토 (下層土, subsoil)
표토아래 있는 토층이며 표층에서 용탈된 물질이 집결되어 있는 토층 또는 노상토지역은 성토 밑의 토층.
하폭 (河幅, river width)
둑이 있는 하천에서는 양안 둑 사이의 거리. 둑이 없는 하천에서는 홍수터의 경계라고 생각되는 선간의 거리.
하한계유속 (下限界流速, lower critical velocity)
흐름이 난류상태로부터 유속이 줄어서 층류상태로 변화될 때의 한계유속.
하한규격치 (下限規格値, lower specification limit)
어느 제품의 품질특성에 대해서, 허용할 수 있는 하한 한계치를 규정한 것. 포장공사에서는 품질관리에서 하나하나의 측정치가 95%이상의 확률로 규정의 상하한규격치를 만족시키지 않으면 안됨.
하향류칼럼 (下向流 - , downflow column)
물을 연직 하향으로 통과시켜 여과 또는 흡착을 행하는 여과 또는 흡착탑. 충진제는 중력에 의해 다져지므로 손실수두가 크나 효율은 높음. 중력식여과에서 많이 쓰임.
하향용접 (下向鎔接, flat position of weld)
부재의 수평면을 아래로 향해서 용접하는 것.
하향자세 (下向姿勢, flat position)
용접축이 거의 수평한 이음에 대해서 위에서 밑으로 보고하는 용접자세.
하현재 (下弦材, lower chord)
트러스 아래쪽 현재.
한계간극비 (限界間隙比, critical void ratio)
포화모래의 배수삼축시험을 실시할 경우 파괴시 체적변화량이 0이 되는 간극비. 즉, 다이레이턴시에 의한 체적팽창이나 압축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
한계 감쇠 (限界減衰, critical damping)
→ 임계감쇠.
한계경사 (限界傾斜, critical slope)
개수로내의 등류의 수심이 한계수심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했을 때의 수로경사.
한계구속압 (限界拘束壓, critical confining pressure)
포화모래의 배수삼축시험을 실시할 경우 파괴시 체적변화량이 0이 되는 구속압.
한계동수구배 (限界動水句配, critical hydraulic gradient)
상방향의 침투력에 의하여 흙중의 유효응력이 0이 될때의 동수구배.
한계등류 (限界等流, critical uniform flow)
개수로내에서 한계수심과 동일한 수심을 유지하며 흐르는 등류.
한계류 (限界流, critical flow)
한계수심이 될 때의 흐름. 주어진 비에너지에 대하여 유량이 최대이거나 주어진 유량에 대하여 비에너지가 최소인 상태의 흐름조건이 되고 평균유속은 한계유속이 되며 수로경사는 한계경사가 됨. 일반적으로 개수로의 흐름은 한계수심보다 큰 수심으로 흐를 때 상류, 작을 때 사류로 나뉨.
한계류수로 (限界流水路, critical flow flume)
개수로내 유량측정을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계측수로(計測水路). 계측수로의 흐름은 일반적으로 후두(또는 정부)에서 한계수심을 가지며 하류부에서는 도수가 일어남.
한계모관수두 (限界毛管水頭, critical capillary head)
토양내의 공기가 공극내의 수분을 끌어올리는데 필요한 최소 모세관 압력수두.
한계밀도 (限界密度, critical density)
포화입상재료가 급속한 변형을 받을 경우 그 이하에서는 강도가 감소하고 그 이상에서는 강도가 증가하는 한계상태의 단위체적중량.
한계사면높이 (限界斜面 - , critical height of slope)
안전율이 1이 될때의 사면의 높이. 균질토질로 된 단순사면에 있어서 한계높이.
한계상태 (限界狀態, critical state)
① 흙이 전단을 받을때, 응력일정 및 체적일정상태에서 전단변형이 진행되는 상태.
② 구조물 또는 그 일부가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거나, 의도했던 조건을 만족하지 않게 되거나 하는 특별한 상태. 구조물 또는 그 일부가 한계상태에 달하면 사용할 수 없게 됨. 한계상태는 극한한계상태와 사용한계상태로 대별됨.
한계상태선 (限界狀態線, critical state line)
등방압밀공시체의 삼축시험 결과 정리를 위한 p-q-v 공간에 있어서의 유일한 파괴선을 한계상태선이라 함. 등방압밀공시체의 파괴가 응력경로에 관계없이 공시체의 응력상태가 이 한계상태선에 도달하였을 때 발생됨.
한계상태설계법 (限界狀態設計法, limit design method)
구조물의 극한한계상태와 사용한계상태를 검토함으로써 안전성과 사용성을 합리적으로 확보하려는 설계방법.
한계소류력 (限界掃流力, critical tractive force)
하상위의 토사입자가 유동하기 시작하는데 필요한 유수의 최소 소류력.
한계수심 (限界水深, critical depth)
개수로에서 한계류 조건으로 흐를 때의 수심. 유량이 일정할 때 비에너지가 최소가 되는 수심. 비에너지가 일정할 때 유량이 최대가 되는 수심. 후루드 수가 1이 되는 경우의 수심. 또는 상류에서 사류로 변하는 지배단면에서의 수심.
한계유량 (限界流量, critical discharge)
주어진 흐름의 수심에 대하여 수로 단면내에서 한계류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유량.
한계유속 (限界流速, critical velocity)
개수로에서 한계류 상태로 흐를 때의 물의 유속. 흐름의 상태가 층류에서 난류로, 또는 난류에서 층류로 변할 때의 유속.
한계응력 (限界應力, critical stress)
구조물 또는 부재가 더 이상의 하중 증가에 저항할 수 없는 한계상태에 다다른 경우의 응력.
한계 좌굴 하중 (限界挫屈荷重, critical buckling load)
→ 임계 좌굴 하중.
한계취기수 (限界臭氣數, threshold odor number)
→ 희석배수치
한계치수 (限界 - , limit size)
기계가공의 마무리에서, 허용되는 최대치수와 최소치수의 양쪽을 총칭하여 한계치수라 함.
한계하중 (限界荷重, ① margin load ② limit load ③ critical load)
① 구조물, 기계 등의 사용시에 허용되는 최대하중. 이것을 사용한계하중이라고 함.
② 구조부재의 응력이 미리 설정된 재료의 강도에 달했을 때의 하중. 탄성한계하중 또는 파괴한계하중 등이 있음.
③ 구조물이 한계상태에 달했을 때의 하중.
한류 (寒流, cold current)
해류의 일종이며, 난류에 대응하는 것임. 난류에 비하여 저온, 저염분이고 부유생물이 대단히 많고 생산력이 크며 투명도가 낮고 암록색을 띄고 있음
한식기와잇기 (韓式 - , Korean roof tiling)
지붕산자를 역은 위에 찰흙, 회백토, 반죽 등을 펴 바르고 한식암기와와 숫기와를 덮어 지붕을 꾸미는 것.
한식외벽 (韓式 畏壁, Korean wooden lath wall)
중인방과 밑인방 또는 웃인방 사이에 중깃을 기둥옆 2~3 cm 떼고 중간 30~40 cm 간격으로 세워 대어 여기에 외를 엮어대고 흙바름하는 벽.
한외여과 (限外濾過, ultrafiltration)
미소세공을 가진 고분자막을 이용하여 통상의 여과조작으로는 제거하기 어려운 미소입자나 용존 고분자물질을 가압여과하는 조작. 분자량 1,000~100,000정도의 물질을 분리하는 데 쓰임.
한중콘크리트 (寒中 - , cold weather concrete)
낮은 온도하(일반적으로 4 ℃이하)에서 시공하는 콘크리트. 한중콘크리트에는 시멘트중량의 1 %정도의 염화칼슘을 가하여 만든 AE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음.
할렬 (割裂, fracturing)
모재가 섬유방향으로 갈라지는 것.
할렬인장강도 (割裂引張强度, splitting tensile strength)
원주공시체를 옆으로 뉘이고 직경방향으로 가압하는 할렬시험에 의하여 구한 콘크리트의 강도.
할렬인장시험 (割裂引張試驗, split tensile test)
할렬인장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하는 실험.
할로겐 ( - , halogen)
주기율표 VIIa족인 5개의 비금속원소. 불소(F), 염소(Cl), 브롬(Br), 요오드(I), 아스타틴(At)이며 염소, 브롬, 요오드는 물의 소독제로 사용됨. 대기중의 불소, 염소는 오존층을 파괴하는 유해물질임.
할증계수 (割增係數, required overdesign factor)
설계인자를 넘어서 요구되어지는 값. 콘크리트 배합설계에서 목표로 하는 배합강도와 설계기준강도와의 비.
함석판 ( - 板, galvanized sheet iron)
아연 도금한 강판, 지붕재료, 외벽용으로 많이 쓰임.
함수비 (含水比, water / moisture content)
흙입자의 중량에 대한 물 중량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며 흙에 포함되어 있는 물의 양을 나타냄.
함양 (涵養, recharge)
물이 외부로부터 대수층내의 포화수대로 유입되는 과정.
함양정 (涵養井, recharge well)
자하수의 함양을 목적으로 설치한 우물.
함양천 (涵養川, losing stream)
물이 지하로 유입되어 지하수의 포화수대에 물을 함양해 주는 하천이나 수로.
합격판정치 (合格判定値, acceptannce value)
합격판정치는 규격과 품질의 합격판정치가 있으며 측정치 10개에 9개 이상의 비율로 합격판정치 이내에 들어야함과 동시에 10개의 측정치의 평균이 합격판정치 이내에 들어야 함.
합경거 (合經距, total departure)
경거의 합계. X 좌표를 나타냄.
합금강 (合金鋼, alloy steel)
강의 성질을 개선 향상시키기 위해, 또는 소정의 성질을 가지게 하기 위한, 합금원소를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한 강. 편의상 합금 원소 함유량의 다소에 의해 고합금강 또는 저합금강이라고 함.
합력 (合力, resultant force)
두개 이상의 힘을 하나의 힘으로 합성한 것.
합류 (合流, merge)
교통신호 혹은 통행권에 대한 통제가 없이 두개의 분리된 교통류가 한 교통류로 합쳐지는 움직임.
합류식하수관거 (合流式下水管渠, combined sewer)
동일한 관거에 오수와 우수를 혼합 수용하는 관거설치방식. 청천시에 오수는 전량 처리장으로 도달되나 우천시에는 뒤섞인 우수와 오수중 처리용량 초과분이 하천으로 무처리 방류되므로 오염을 발생시킴. ↔ 분류식하수관거
합류점 (合流點, junction, confluence)
둘 이상의 하천이 만나는 점.
합리식 (合理式, rational formula)
우천시 지표유출수의 첨두유량을 산출하는 공식. 유출계수, 확률강우강도, 배수면적에 의해 유량을 산출함.
합성공법 (合成工法, composite construction)
콘크리트와 구조용 강과 같이 서로 다른 재료 또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같이 서로 다른 공법에 의해서 만들어진 부재를 연결하는 시공법.
합성구배 (合成句配, composite grade)
도로의 곡선부에서 편구배와 종단구배를 동시에 고려하기 위한 구배로서 편구배와 종단구배의 합성치로 표시함.
합성 구조 (合成構造, composite construction)
두 개 이상의 서로 성질이 다른 재료를 결합하여 일체로 작용하도록 한 구조.
합성기둥 (合成 - , composite column)
나선철근기둥 속에 구조용 강재를 축방향으로 넣어 양자가 공동으로 하중을 받게 한 기둥.
합성단위유량도 (合成單位流量圖, synthetic unit hydrograph)
유역의 유출특성에 관련된 유역의 여러 물리적인 인자들로부터 단위유량도를 구성하는 계수들을 추정하여 유도한 단위유량도.
합성보 (合成 - , composite beam)
두 개 이상의 서로 성질이 다른 재료를 결합하여 일체로 작용하도록 한 보. 예를 들어 판형과 슬래브콘크리트를 일체로 작용하게 하거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보와 슬래브를 일체로 작용하게 한 보.
합성세제 (合成洗劑, synthetic detergent)
세정작용을 하는 계면활성제로서 석유계 탄화수소 등을 원료로 한 것.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세제로 구분되며 사용량이 많고 분해는 느려 하천 등 수계 오염의 주요 원인이 됨. → 중성세제.
합성유기살충제 (合成有機殺蟲劑, synthetic organic pestcide)
유기합성살충제라고도 함. 인공적으로 합성된 유기살충제로서 DDT가 효시임. 현재 사용되는 것은 대부분 유기인계(有機燐系), calbamate계 등 합성유기살충제임.
합성입도 (合成粒度, combined gradation)
각종 입도의 골재를 예정입도에 근사하도록 혼합하였을 때 얻어지는 입도.
합성콘크리트 (合成 - , composite concrete)
띠철근기둥 속에 철주를 박아 양자가 공동으로 하중을 받도록 한 콘크리트.
합위거 (合緯距, total latitude)
위거의 합계. Y 좌표를 나타냄.
합 응력 (合應力, resultant stress)
구조물에 작용되는 각 하중(사하중, 활하중, 충격, 온도 및 수축하중등)에 대한 한 점의 각 응력을 모두 합성해서 구한 응력.
합장기중기 (合掌起重機, chair leg crane)
두개의 경사된 기둥을 한개의 줄로 정부에서 결속한 기중기.
합판 (合板, plywood)
목재를 얇은 단판(이를 베니어판 이라 함)으로 만들고 이들 단판을 여러장(홀수) 접착제로 붙인 판. 합판의 장점은 방향에 따른 강도의 차가 없고, 내수성과 내수성이 크며 못이나 나사의 접합이 간단함.
핫스타트 ( - , hot start)
아크가 발생할 때, 짧은 시간 동안 용접전류가 과대하게 되도록 하는 아크의 스타트방식.
핫스폿 ( - , hot spot)
① 파이프와 파이프의 이음 등에서 이음상관선을 따라 국부적인 강성의 변형로 인해 생기는 응력집중이 최대로 되는 점.
② 원자로 등에서 열류속이 집중하는 곳.
핫콘크리트 ( - , hot concrete)
비빈 직후의 콘크리트온도를 40 ℃이상되게 한 콘크리트. 미리 가열한 재료를 사용하거나, 혼합중에 증기를 분사하거나 해서 비빈 직후의 온도를 높인 콘크리트. 한중시공이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조에 쓰임.
항 (港, port, harbor)
선박이 안전하게 출입 및 정박할 수 있고, 수륙연결(水陸連結)의 기능을 갖추는 승객 또는 화물의 하역에 관한 제반 활동이 이루어지는 장소.
항공 교통관제 (航空 交通管制, air traffic control)
항공기의 운항에 관해 그 안전을 위한 질서 확보 즉, 항공기 상호간의 충돌 방지, 공항 및 그 부근에 있어 항공기와 장애물과의 충돌 방지, 항공 교통의 질서 있는 흐름의 촉진과 그 유지 등을 행하는 것.
항공교통관제시설 (航空交通管制施設, air traffic contol facilities)
항공기의 운항에 관해 그 안전을 위해 질서를 확보코자 항공 교통 관제에 소요되는 시설로서 관제자동화 시설, 관제용 대공(對空) 통신시설, 관제 전화회선 및 관제용 레이다 시설 등이 있음.
항공기 등급번호 (航空機 等級番號, aircraft classification number)
지정된 표준 노반(subgrade)의 등급에 대해 포장위에서의 항공기 하중이 표준단축 하중으로 작용한다고 할 경우 포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숫자로 나타낸 값. 한 항공기의 ACN 값은 포장의 종류 및 노반의 지지력에 따라 다른 값이 됨. 약어 : ACN.
항공기 정비지역 (航空機 整備地域, aircraft maintenance area)
항공기를 정비하기 위해 준비된 모든 지상 구역 및 시설. 계류장(apron), 격납고, 건물, 공장, 주차장 및 이러한 것과 관계가 있는 도로를 포함함.
항공기지 (航空基地, air base)
비행장중 군사 목적용을 말함. 우리나라의 경우 비교적 규모가 큰 군용 비행장은 주변의 안전 확보를 위하여 「공군기지법」으로 장애물 설치 등을 관리하고 있음.
항공기 지체 (航空機 遲滯, aircraft delay)
항공기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운항하는 시간과 혼잡한 상태에서 운항하는 시간의 차이. 시간당 지체(hourly delay), 일지체(daily delay) 및 연간 지체(annual delay)로 구분됨.
항공기 혼합 지수 (航空機 混合 指數, aircraft mix index)
활주로의 용량과 지체를 산출하는 데 사용되는 지수로서 활주로에 이 착륙하는 모든 항공기중 C급 항공기(중량 12,500 파운드 ~ 300,000 파운드)와 D급 항공기(중량 300,000 파운드 이상)가 차지하는 비율을 수치로 나타낸값. 즉, MI = C + 3D 약어 : MI.
항공등대 (航空燈臺, aeronautical beacon)
항공등화의 일종으로 야간이나 계기비행기상상태(計器飛行氣像狀態) 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 시설. 그 기능 및 위치에 따라 항공로 등대, 신호 항공등대, 위험 항공등대로 구분됨.
항공등화 (航空燈火, aeronautical light)
불빛에 의하여 항공기의 항행(航行)을 돕는 항공 보안 시설의 일종으로서 활주로를 비롯한 비행장 시설에 각종 조명등 및 표지판의 형태로 설치되는 시설. 국내 항공법에서는 항공등대와 비행장 등화로 구분함.
항공로 (航空路, airway)
항공기의 항행에 적합한 공중 통로. 해당 공역의 위치 또는 범위는 관계 당국이 지정함.
항공법 (航空法, aeronautical law)
국제 민간 항공 조약의 규정과 동 조약의 부속서로서 채택된 방식에 따라 항공기 항행의 만전을 도모하기 위한 질서를 확립함으로써 항공의 발전과 공공 복리의 증진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제정한 법.
항공보안 무선시설 (航空保安無線施設, radio navigational aids)
전파에 의하여 항공기의 안전한 운항을 원조는 항공보안시설(航空保安施設)의 일종. 「항행원조무선시설」, 「항공통신시설」 및 「항공관제 무선시설」 3가지로 구분됨.
항공 보안시설 (航空 保安施設, aeronautical navigation aids)
전파·불빛·색채 또는 형상(形象)에 의하여 항공기의 항행(航行)을 돕기 위한 시설 국내 항공법에서는 항공 보안 무선 시설과 항공 등화로 구분함.
항공사진측량 (航空寫眞測量, aerial / air photo surveying)
항공기나 기구 등에 의해 촬영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지형, 지물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고 지형도 등을 작성하는 측량기술. 주로 중복촬영된 수직사진의 입체모형으로부터 도화함.
항공삼각측량 (航空三角測量, aerial / aero-triangulation)
정밀도화기 또는 정밀좌표관측기에 의하여 사진상에서 무수한 점들의 좌표를 관측한 다음 소수의 대상물(또는 지상)기준점의 성과를 이용하여 관측된 무수한 점들의 좌표를 전산기 및 도해적방법으로 절대(혹은 측지)좌표로 환산해 내는 기법임. AT라고도 함.
항공 장해등 (航空 障害燈, obstacle lights)
항공기의 항행에 장애가 될 우려가 있는 물건(구조물)의 존재를 명시하기 위한 표지등. 항공법상 지표 또는 수면으로부터 60m 이상의 물건을 설치할 경우는 반드시 항공 장애등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적색등을 사용함. 항행원조시설(航行援助施設) 또는 항행 보조시설(航行 補助施設)이라고도 함.
항공정보출판물 (航空情報物出版物, aeronautical information publication)
조종사에게 비행에 필요한 정보 사항을 수록한 책자. 항공로 상황은 물론 각 공항에 대한 진입방식이나 출발방식, 강하를 위한 최저고도 및 최저 기상 조건 등이 명시되어 있음. 약어 : AIP.
항구 (港口, port, harbor)
→ 항.
항구등대 (港口燈臺, harbor light)
항해중의 연안 뱃길을 안전하게 안내하는 표지가 되도록 항구에 세워 놓은 등대.
항내공진 (港內共振, harbor resonance)
파에 의해 항내에서 발생한 진동의 주기가 항의 고유주기와 일치할 때 진동이 증폭되는 현상으로, 이론적으로는 진폭이 무한대로 커져야 하나 바닥마찰이나 소파로 어느 한계치를 가짐.
항내 진동 (港內 振動, harbor oscillation)
외부에서 입사된 파랑 또는 항내의 바람, 교란 등으로 항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면 진동의 총칭.
항력 (抗力, drag force)
유체 중에서 움직이는 물체에 일어나는 유체의 저항력.
항로 (航路, ocean lane / fairway, passage)
선박이 부두로 진입하거나 한 지점으로부터 다른 지점으로 이동할 때 이용되는 수로로서 필요수심으로 준설되고 부표와 같은 안전시설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일정한 규칙하에 통제되는 수로.
항류 (恒流, permanent current)
조석이나 기상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일정하게 흐르는 바다의 흐름으로서, 해류나 하천으로부터의 연속적인 유출 등을 포함함.
항류(하)천 (恒流(河)川, perennial stream)
물이 연중 마르지 않고 항상 흐르는 하천으로 대부분의 큰 하천은 이에 속함.
항륜 (杭輪, pile hoop)
나무말뚝을 박을 때 말뚝 두부가 쪼개어지지 않도록 두부에 씨우는 철륜.
항만 (港灣, port, harbor)
→ 항.
항만공학 (港灣工學, harbor engineering)
항만 시설물의 계획, 설계, 건설, 관리 등을 취급하는 학문.
항만 시설 (港灣 施設, port facilities)
항만을 이루고 있는 시설로서 수역시설, 외곽시설, 계류시설, 임항교통시설, 여객시설, 보관시설, 선박보급시설, 항만후생시설, 항만시설용지 등을 포함함.
항만 지구 (港灣 地區, harbor district)
도시계획적으로 본 항만 또는 그 인접 지역.
항만 철도 (港灣 鐵道, harbor railway, port railroad)
항만 소재지의 역 또는 본선에서 분기되어 부두에 이르는 철도로서 임항선(臨港線)이라고도 함.
항만 측량 (港灣 測量, harbor survey)
항만의 건설, 개수 등에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하는 측량으로 지형측량, 수심측량 외에 조석, 조류, 해류, 파랑 등의 관측도 포함됨.
항만 통계 (港灣 統計, harbor statistics)
항만의 실태를 명백히 하고 항만의 개발, 이용 또는 관리에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통계.
항발기 (杭拔機, pile extractor)
말뚝을 뽑는 기계. 말뚝을 뽑는 방법에는 수압과 유압으로 뽑는 방법과 타설해머를 역으로 장치하여 말뚝에 진동을 주면서 뽑는 방법의 두 종류가 있음.
항복 (降伏, yield)
재료시험에 있어서 응력-변형률관계는 처음에는 비례관계에 있지만 응력이 어느 일정치에 도달하면 응력이 증가하지 않아도 변형만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남. 즉, 재료가 탄성을 상실하고 소성상태로 들어가는 한계.
항복 강도 (降伏强度, yield strength)
재료의 인장시험에서 응력이 탄성한계 이상으로 증가하면 변형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소성변형이 일어나는데 이 때의 공칭응력을 항복응력이라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의 재료의 강도를 항복강도라고 함.
항복 곡률 (降伏曲率, yield curvature)
휨 부재가 항복할 때 중립축의 곡률.
항복 궤적 (降伏軌跡, yield locus)
재료의 응력을 축으로 하는 좌표공간 상에 있어서, 항복을 일으키는 응력상태의 경계가 되는 점들을 연결한 궤적.
항복 규준 (降伏規準, yield criterion)
재료의 거동이 탄성거동에서 소성거동으로 바뀌는 경계를 수식적으로 나타낸 기준. 항복기준이라고도 함.
항복 기준 (降伏基準, yield criterion)
→ 항복규준.
항복면 (降伏面, yield surface)
주어진 재료의 임의의 질점에서 소성 상태를 정의하는 함수로서 주로 주응력에 의하여 표시됨.
항복 모멘트 (降伏 - , yield moment)
휨을 받는 부재의 단면의 중립축으로 가장 멀리 떨어진 점에서의 응력이 발생하는 최대 응력이 항복응력에 도달하였을 때의 휨모멘트. 특히 철근 콘크리트부재에 대해서는 인장측의 가장 먼 철근이 항복할 때의 휨모멘트를 가리키는 수가 많으나, 압축측 연단의 콘크리트에 최대 압축 응력에 도달하였을 때의 휨모멘트도 이에 포함됨.
항복선 이론 (降伏線 理論, yield line theory)
극한해석(ultimate analysis)의 일종. 하중상태와 경계조건에 의해 그 발생위치가 정해지는 항복선이라고하는 비탄성적효과에 따라 철근콘크리트슬래브의 구조해석을 하는 이론.
항복응력 (降伏應力, yield stress)
재료의 응력이 어느 한도를 넘어서 가해지면 재료의 변형일부는 원상으로 되돌아가지 않고 변형이 영구히 남게 됨. 이것이 탄소성 상태이며 영구히 남는 변형 즉, 소성변형을 일으키게 하는 응력을 항복응력이라 함.
항복점 (降伏點, yield point)
재료에 힘이 가해져 탄성한계 이상으로 변형이 일어날 때, 소성 또는 탄소성 변형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점.
항복조건 (降伏條件, yield condition)
재료가 항복하기 위한 역학적 조건. 예를 들면 von Mises 조건, Druker-Prager조건, Mohr - Coulomb조건 등.
항복 힌지 (降伏 - , yield hinge)
→ 소성힌지.
항성시 (恒星時, sidereal time)
춘분점을 기준으로 하는 지구자전주기 단위의 시각체계. 천문측량을 통해 직접 결정되는 항성시는 평균태양시로 변환할 수 있음.
항 입구 (港 入口, habor entrance, navigation opening)
항만에 있어 내항(內港)으로 들어오는 입구로서 항구(港口)라고도 하며 입구의 폭은 출입하는 선박의 규모나 자연조건에 따라 달라짐.
항타공식 (杭打公式, pile driving formula)
말뚝을 박을 때의 타격력, 관입량 등에서 말뚝의 지지력을 구하는 공식. 선단지지항에는 어느정도 유효하지만 마찰항에는 사용할 수 없음. 항타공식에는 샌더공식, 웨링턴공식, 하이리공식 등이 있음.
항타선 (抗打船, pile driving boat)
강제의 상자형대선(부선?바아지)위에 전방에 높은 지주를 세워서 여기에 항타기가 자유로이 승강할 수 있는 가이드를 설치한 작업선. 일반으로 비자항식임. 일반적으로 직동식, 사동식이 채용되고 있음. 직동식은 사지주식비계항타설비가 수직으로 고정된 것이며 직항을 박는데만 사용되고 사동식은 사지주식 비계항타설비가 전후로 약 25°씩 경사되도록 되어있는 까닭에 사항도 박을 수 있음.
항해 표지 (航海 標識, navigation aids / facility)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위하여 설치한 신호장치(信號裝置).
해난 (海難, marine accident)
항해중에 만나는 재난으로 배가 자체의 힘으로 벗어날 수 없을 정도의 위험을 이름.
해더파이프 ( - , header pipe)
웰포인트 장치의 일부. 지상에 배관하여 라이저 파이프로 부터 올라오는 물을 모으는 관.
해도 (海圖, nautical chart)
선박의 안전과 경제적인 항해에 필요한 사항을 표현한 항해용 지도.
해류 (海流, ocean current)
해양에 존재하는 흐름으로 발생 원인에 따라 지형류, 취송류, 경사류, 밀도류, 반류 등이 있음.
해류 곡선 (海流 曲線, current curve)
해수의 흐름 방향을 곡선으로 표현한 것.
해류도 (海流圖, current diagram)
해류의 종류나 방향, 유속 등을 나타낸 그림.
해류력 (海流力, current force)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바닷물의 흐름이 가하는 힘.
해류 유속 (海流 流速, current velocity)
해수의 흐름 속도.
해리 1) (海里, nautical mile)
해상에서의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로서 1해리는 1,852m임.
해리 2) (解離, dissociation)
분자가 그 성분인 원자나 원자단(原子團)으로 분해하며 그 분해가 가역적(可逆的)으로 일어나는 일. 해리된 것이 이온인 경우를 전리(電離), 해리가 열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경우를 열해리(熱解離)라고 함.
해머 ( - , hammer)
타격력을 주는 공구 또는 기계. 공구로서의 해머외에 리벳을 조이는 뉴매틱해머, 말뚝을 박는 증기해머 등이 있음.
해머그래브 ( - , hammer grab)
낙하력에 의하여 지반에 타입되어 토사를 굴착하는 방식의 그래브이며, 베노토말뚝 등에 쓰임.
해머드릴 ( - , hammer drill)
드릴로드를 피스톤으로 타격하는 형식의 암반기.
해머링콤포저공법 ( - 工法, hammering composer method)
콤포져 공법의 일종으로 해머의 타격에 의하여 강관을 박아넣고 모래를 다지는 공법.
해머크러셔 ( - , hammer crusher)
상자형 강체의 내부 중앙에 해머를 단 회전체를 고속회전시켜 그 충격력으로 돌을 파쇄하는 쇄석기. 회전체의 회전수를 변화하는 것만으로 조쇄에서 분쇄까지 파쇄할 수 있고 비교적 입방체의 입자를 얻을 수 있음.
해면간척 (海面干拓, tidal land reclamation)
공유수면인 해면에 방조제를 축조하여 그 내부에 간척지를 농지로 조성하는 것.
해면 상태 (海面 狀態, sea state)
주로 파랑에 의한 바다의 거친 정도를 숫자 또는 말로 나타낸 것으로 해황(海況)이라고도 함.
해면 조도 (海面 粗度, sea surface roughness)
해수면의 거칠음 정도로서, 파에 의한 해면의 요철을 조도(粗度)로 환산하여 해상풍의 마찰손실 산정에 사용됨.
해면 풍속 (海面 風速, sea surface wind velocity)
해상풍의 속도로서 주로 해면위 10 m에서의 풍속을 사용하며 풍속은 해면으로부터의 연직거리에 따라 강해짐.
해변 (海邊, beach, seashore)
바다와 접하고 있는 육지의 좁고 긴 부분.
해빈 (海濱, beach)
→ 해변.
해빈류 (海濱流, nearshore / littoral current)
표사대 내에서 파랑의 쇄파 작용으로 발생하는 흐름의 총칭으로 연안류와 이안류로 구성됨.
해빈 유지 (海濱 維持, beach maintenance)
방사제, 양빈공 등을 설치하여 파랑에 의한 해빈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것.
해빈 조성 (海濱 造成, beach nourishment)
해빈에 인공적으로 모래를 보급하여 해빈을 넓히는 것.
해빈 침식 (海濱 浸蝕, beach erosion)
파랑의 영향으로 해빈의 토사가 유실되는 현상.
해빈 퇴적 (海濱 堆積, beach accretion)
해빈에 모래가 퇴적되어 해빈이 넓어지는 것.
해사 (海砂, beach sand)
해안 또는 하구부근에서 채취되는 모래. 파랑에 의하여 마모되어 구형 또는 원활한 표면을 갖음. 크기가 거의 같고 입도가 잔 것이 그 특징임.
해상공사 (海上工事, maritime work)
항만 또는 해양공사에서 바지선을 이용해서 하는 재료운반이나 말뚝박기, 콘크리트치기 등의 작업으로 해상조건에 따라 제약을 받음.
해상 상태 (海上 狀態, marine condition)
파랑, 조류, 해빈류 등의 상태 또는 그 제원을 총칭한 것.
해상 수송 (海上 輸送, marine transport)
해상에서 선박을 이용한 운송.
해석도화기 (解析圖化機, analytical plotter)
입체사진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계산기에 의해 수치적으로 재현하여 피사체의 3차원 관측 및 지형도 작성 등을 실시할 수 있는 장비.
해석사진측량 (解析寫眞測量, analytical photogrammetry)
피사체의 형상과 크기를 사진영상의 관측을 통하여 수치적으로 결정하는 사진측량의 한 분야. 입체모형의 관측을 통하여 기계적으로 결정하는 아날로그 사진측량과 구별됨.
해성점토 (海成粘土, marine clay)
해저에 침전 퇴적되어 생성된 점토.
해성층 (海成層, marine deposit)
바다밑의 퇴적으로 이루어진 지층.
해성토 (海成醉, marine soil)
풍화한 암석이 바닷물에 운반되어 도태되고 퇴적되어 이루어진 바다 흙.
해수면 (海水面, sea level)
바다 표면의 수위, 특히 고조와 저조의 중간인 평균수위로서 육지의 표고 또는 바다의 수심을 산출하는 기준으로 사용됨.
해수면 상승 (海水面 上昇, setup)
바람 또는 파랑의 작용에 의해 해안의 수위가 상승하는 현상.
해식 절벽 (海蝕 絶壁, sea cliff)
파도나 조류 등에 인한 침식작용으로 이루어진 절벽으로, 해안의 바다쪽 끝 또는 파식대지의 육지 끝에 위치하여 해빈침식의 안쪽 한계를 나타냄.
해안 (海岸, shore, coast)
육지와 바다의 경계 지역.
해안 간척 (海岸 干拓, tidal land reclamation)
→ 해면간척.
해안공학 (海岸工學, coastal engineering)
해안에 대한 기본적인 외력인 파랑, 조류, 또는 이들에 의한 표사의 이동, 물질의 확산 및 각종 해안 구조물 등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으로서 연안의 개발이나 해안 환경의 보존 등에 응용됨.
해안 구조물 (海岸 構造物, coastal structures)
여러가지 목적을 위해 해안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총칭.
해안 기후 (海岸 氣候, coastal climate)
바닷가나 호숫가의 온화하고 습기찬 기후.
해안 단구 (海岸 段丘, coastal / marine terrace)
지반의 상대적 상승에 의하여 이전의 해안평야와 해식대가 융기해서 해안선을 따라서 돌출된 계단 모양의 평탄한 지역.
해안류 (海岸流, shore current)
해안선 부근에서의 바닷물의 흐름.
해안 보존 (海岸 保存, coastal / shore protection)
해안을 보호하여 침식을 방지하는 것.
해안 사구 (海岸 砂丘, coastal sand dune)
해안에 발달한 사구.
해안 사방공 (海岸 砂防工, dune fixation)
해안 사지(砂地)를 고정시키고 비사(飛砂)의 피해, 사구(砂丘)의 이동 또는 해안침식을 방지하며 해안사지의 토양조건을 개선하여 수림지(樹林地)로 만들고 혹은 경작지로 이용하기 위하여 행하는 공사.
해안선 (海岸線, shoreline)
육지와 바다의 경계선, 특히 약최고 고조위가 해안과 접하는 선.
해안선 구간 (海岸線 區間, shore span)
곶이나 강과 같은 자연적 경계 또는 방파제와 같은 인공구조물에 의해 양쪽이 다른 해안과 차단되어 있는 유한한 길이의 해안선.
해안선 형태 (海岸線 形態, shoreline feature)
해안선이 비교적 똑바른지, 곡선을 이루고 있는지 또는 해안선을 따라 주기적 변화를 보이고 있는지 등 해안선 형상의 특징.
해안선 후퇴 (海岸線 後退, beach regression)
파랑에 의한 해빈 침식으로 해안선이 육지쪽으로 이동하는 것.
해안 오염 (海岸 汚染, coastal pollution)
하천에 의한 오염물 유입, 유조선의 좌초로 인한 기름 유출, 임해공업단지로부터의 폐수, 화력 및 원자력 발전소로부터의 온배수 방출 등으로 해안 수역이 오염되는 것.
해안 제방 (海岸 堤防, coastal levee)
파랑이 내습하는 장소나 또는 육지가 항상 해면보다 낮은 장소에 바닷물이 육지에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축조한 제방.
해안 지대 (海岸 地帶, coastal area / fringe / region / zone)
해안선과 경계한 육지 및 바다의 부분.
해안 지형 (海岸 地形, coastal topography)
지형의 기복 등을 일반적으로 말하나 해안선의 형상을 말할때는 shoreline feature, 해빈의 형상에 대해서는 beach feature 등으로 쓰임.
해안 측량 (海岸 測量, coastal survey)
해안의 유실, 매몰, 해일 등의 방지에 대한 기술적 자료를 얻기 위한 측량으로 그 대상에는 해안 및 해저조사, 항만측량, 파랑조사, 표사조사 등이 포함됨.
해안 침식 (海岸 浸蝕, beach / coastal / shore erosion)
파랑 또는 흐름에 의해 해안의 토사가 유실되는 현상으로서 절벽의 결괴 등도 포함됨.
해안 퇴적 (海岸 堆積, beach / coastal accretion)
해빈 퇴적과 동일한 용어.
해안 평야 (海岸 平野, coastal plain)
해안에 연하여 발달한 평야로서 지질학적으로는 해저의 일부가 융기하여 육지가 된 평야.
해안 표사 (海岸 漂砂, shore / costal / littoral drift)
해안선 부근의 파랑과 흐름에 의해 움직이는 토사.
해안항 (海岸港, seacoast harbor)
자연적인 항만의 입지조건을 갖추지 못한 해안에 방파제를 축조하여 인위적으로 정온수역을 확보한 항만으로 연안항(沿岸港)이라고도 함.
해안호 (海岸湖, coastal lake)
사주 등에 의하여 바다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된 호수.
해안 후퇴 (海岸 後退, beach / coastal recession / regression)
→ 해안선 후퇴.
해양구조물 (海洋構造物, marine structure, off shore structure)
해양의 자연환경하에서 사용되는 정치식구조물. 연안구조물(coastal structure)과 해양구조물(off shore structure)로 나누어짐. 또한, 착저식과 부유식으로도 나누어짐. 착저식에는 고정형과 중력형이 있고, 부유식에는 부상형, 반잠수형, 잠수형이 있음. 주로 해양개발에 이용됨.
해양생태계 (海洋生態系, marine ecosystem)
바다속에서 구성, 유지되는 생태계. 생산자인 조류, 식물플랑크톤과 소비자인 어류, 해서동물 및 분해자인 각종 미생물과 하등동물로 구성됨. → 생태계.
해양성 기후 (海洋性 氣候, oceanic climate)
해양의 영향을 크게 받는 기후로서 연중 또는 하루중의 기온차가 적으며 비가 잦음.
해양오염 (海洋汚染, marine pollution)
여러 이유로 바다가 더럽혀지는 일. 육상오염물의 유입, 대기오염물의 낙하, 선박 폐기물 방출, 발전소 폐열 및 방사성폐기물의 방출이 원인임. 중금속 및 농약의 축적, 부영양화는 연근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해양오염의 예임.
해양측량 (海洋測量, sea surveying)
해양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개척하기 위하여 해양의 제반자료를 얻기 위하여 각종 해도작성, 바다의 수평 및 수직위치결정, 조류 및 조석관측, 해저지형측량 등을 함.
해양콘크리트 (海洋 - , maritime concrete)
항만, 해안 또는 해양에 위치하여 해수 또는 조풍의 작용을 받는 구조물에 쓰이는 콘크리트.
해양투기 (海洋投棄, ocean dumping)
폐수, 폐기물, 분뇨 등을 처리 혹은 미처리상태로 바다에 버림. 미처리상태로 투기할 경우 오염의 원인이 되며 최근에는 방사성 폐기물의 투기가 국제적 문제가 되고 있음.
해양학 (海洋學, oceanography, oceanology)
해양에 관한 여러가지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
해연 (海淵, fore deep)
해구(海溝) 가운데서 특히 깊게 움푹 패인 곳.
해일 방파제 (海溢 防波堤, storm surge barrier, tsunami breakwater)
폭풍 해일 또는 지진해일 따위로 인하여 갑자기 큰 물결이 일어나 해안을 덮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 축조한 방파제.
해저 협곡 (海底 峽谷, submarine canyon)
대륙붕 또는 대륙사면에 발달한 양 옆의 경사가 급한 해저 계곡.
해중정지작업선 (海中整地作業船, sea grader)
준설선 뒤에 요철이 심한 연니층을 균일한 수심으로 하기 위하여 정지하는 작업선. 해중 그레이더선이라고도 함.
해초 (海草, marine algae)
바다에서 자라는 풀을 통틀어 이르는 말. 해조(海藻)라고도 함.
해킹( - , hacking)
도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표면을 두드려서 거치른 면으로 하는 것.
해향 저류 (海向 底流, undertow)
파랑 또는 바람에 의해 해안쪽의 수위가 외해쪽보다 높아져서 해안으로부터 외해쪽으로 발생하는 물밑의 흐름.
해협 (海峽, strait, narrows)
두 개의 큰 바다를 연결하는 좁은 수로.
핵산 (核酸, nucleic acid)
살아있는 생물 세포속의 고분자 유기물질로 유전자를 구성하는 물질. 뉴클레오티드라는 기본 물질이 일렬로 연결된 긴 사슬이며 리보핵산(RNA)과 디옥시리보핵산(DNA)의 두 가지가 있음.
핵심부 모멘트 (核心部 - , core moment)
단면의 핵심부의 외부 경계상에 축방향력이 작용하였을 때 그 단면에 발생하는 휨모멘트.
핸드드릴 ( - , hand drill)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경량 드릴.
핸드로프 ( - , hand rope)
케이블 밴드로부터 지주를 뻗쳐서 이 지주에 따라 케이블의 바로 위로 뻗어나간 로프 유지관리를 하기 위해 작업원이 케이블 위를 걸어다닐 때 손잡이와 전락방지의 역할을 함. 핸드로프에는 20~30ψ의 스파이럴로프 또는 스트랜드 로프가 사용됨.
핸드스프레이어 ( - , hand sprayer)
역청재료를 인력으로 살포하는 기구. 소형의 캐틀과 살포하기 위한 노즐이 장치되어 있고 수동펌프로서 역청재료를 분사함.
핸드오거 ( - , hand auger)
인력으로 조작 지층을 굴착하는 오거.
핸드카 ( - , hand car)
수동 회전장치로 자주하는 트로리.
핸드홀 ( - , hand hole)
현장리벳 또는 고인장 볼트 등을 박기 위해서 상자형 단면인 경우에 손이 들어갈수 있도록 만든 구멍. 때로는 도장하기 위해서도 필요함.
행 (行, row)
행렬(matrix)에서 가로로 배열된 수열.
행거 ( - , hanger, suspender)
① 현수교와 아치교 등에서 바닥틀, 주형의 사하중 및 활하중을 현수케이블이나 아치리브로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수직부재.
② 격납고 등의 총칭.
행거로프 ( - , hanger rope)
현수교의 케이블과 주형 위의 활하중을 케이블에 전달하는 로프.
향사 (向斜, syncline)
습곡구조 가운데 모양을 가진 구조를 말함. 지층이 아래방향으로 만곡된 습곡.
향안류 (向岸流, onshore current)
쇄파대 내에서 육지쪽을 향한 흐름.
향안풍 (向岸風, onshore wind)
해안에서 바다로부터 육지쪽으로 부는 바람.
허버드필드안정도시험 ( - 安定度試驗, Hubbard-field stability test)
역청혼합물의 안정도 시험방법의 일종. 직경 2inch 또는 6inch 단관상의 공시체를 60 ℃의 온수중에서 시험하여 그 최대 강도를 허버드 필드 안정도로 함.
허용모멘트 (許容 - , allowed moment)
구조물이 계획된 수명기간 중 하중에 대하여 파손 또는 과다한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구조물의 각 부분에 대해서 작용하는 모멘트에 일정한도 이하의 제한을 두어야 하는데 이 모멘트를 허용모멘트라 함.
허용 비틂 응력 (許容 - 應力, allowable torsional stress)
비틂에 의하여 발생하는 응력에 대한 주어진 재료의 허용값.
허용선량 (許容線量, permissible dose)
인체에 해를 미치지 않는다고 추정되는 방사선량.
허용소류력 (許容掃流力, permissible tractive force)
침식성 수로가 유수에 의해 크게 세굴되거나 퇴적되지 않아 거의 일정하게 유지될수 있는 수리학적조건(수로의 안정상태)을 이루는데 필요한 수로 바닥에서의 소류력.
허용수축량 (許容收縮量, shrinkage allowance)
① 용접부가 온도 강하에 따라 수축하므로, 그 영향을 부재전체의 치수에 미리 예상한 량.
② 주물이 주조후에 수축하므로, 그 영향을 제품의 치수에 미리 예상한 량.
허용압축응력 (許容壓縮應力, allowable compressive stress)
압축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응력에 대한 주어진 재료의 허용값.
허용오차 (許容誤差, allowable error)
오차의 허용한도값.
허용응력 (許容應力, allowable stress)
허용응력설계법에 사용되는 설계기준응력으로서, 재료의 기준강도 즉 항복응력 또는 극한응력을 안전률로 나눈 응력값.
허용응력설계법 (許容應力設計法, allowable stress design, working stress design)
설계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구조물 각 부재의 응력을 탄성이론에 기초하여 구하고, 각 부재의 응력이 재료의 항복응력 또는 극한강도를 안전률로 나눈 허용응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부재의 치수를 설계하는 방법.
허용인장응력 (許容引張應力, allowable tensile stress)
인장에 대한 허용응력.
허용전단응력 (許容剪斷應力, allowable shear stress)
전단에 대한 허용응력.
허용 접촉 응력 (許容接觸應力, allowable contact stress)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응력에 대한 주어진 재료의 허용값.
허용 좌굴 응력 (許容挫屈應力, allowable buckling stress)
좌굴에 의하여 발생하는 응력에 대한 주어진 재료의 허용값.
허용차 (許容差, tolerance)
기준으로 취한 값과 그에 대해 허용되는 한계치와의 차.
허용 착륙중량 (許容着陸重量, allowable gross landing weight)
착륙하려는 비행장에 대하여 허용되는 최대 착륙 중량. 활주로의 길이 및 포장강도, 바람조건, 날개의 플랩 등 제 조건에 따라 결정됨.
허용하중 (許容荷重, allowable load)
구조물의 사용시에 허용되는 상한의 하중. 구조물이 파괴때까지 견딜 수 있는 최대하중을 안전율로 나눈 것.
허용한도 (許容限度, permissible limit)
자동차에 의한 대기오염이나 소음을 줄이기 위해, 배출가스 발생량 또는 발생소음의 크기가 이를 초과할 수 없도록 법으로 규정된 한도.
허용휨응력 (許容 - 應力, allowable stress for bending)
휨에 의하여 발생하는 응력에 대한 주어진 재료의 허용값.
헌치 ( - , haunch)
보와 슬래브의 단부에서 부재의 높이를 증가시킨 부분. 연속판, 고정판, 연속보 등에 있어서 지지하는 부재와의 접합부에서 응력집중의 완화와 지지부의 보강을 목적으로 단면을 크게한 부분.
험프의 작업능력 ( - 作業能力, capacity of hump)
험프의 방향은 조차장의 지형과 풍향을 조사하고 회차유동의 방향을 고려하여 결정함.
험프입환 ( - 入換, hump shunting)
취급 화차수가 많은 경우 입환작업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내의 적당한 위치에 험프라고 하는 소구배면을 구축하고, 입환 기관차로 화차를 압상하여 하방에 부설되어있는 분별선으로 화차의 중력을 이용하여 해체 입환시키는 방식.
험프조차장 ( - 操車場, hump yard)
험프입환방식을 이용한 화물조차장.
헙-메이어 트러스 ( - , hub-meyer truss)
철골트러스의 사재에 철근을 사용한 트러스.
헛간 ( - , shed)
승객 또는 화물을 우설에서 방호하기 위하여 플랫폼 또는 탁두상에 설치한 지붕이 있는 건물.
헤드풀리 ( - , head pulley)
벨트켄베이어의 동력을 벨트에 전달하는 벨트차.
헤르쯔 ( - , hertz)
파동과 같은 주기현상을 나타내는 단위. 1초당 사이클 수. 통상 Hz로 표시함.
헤리칼오거 ( - , helical auger)
오거의 날이 나선형인 것.
헤모글로빈 ( - , hemoglobin)
척추동물의 적혈구 속에 다량 들어있는 색소단백질. 골수세포에서 만들어지며 함유된 철원자가 산소와 가역적으로 결합하여 조직으로 산소를 공급함.
헤어핀 ( - , hair pin)
어떤 종류의 거푸집 타이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쐐기. 굳지 않은 콘크리트 속의 소정 위치에 묻어 놓은 머리핀 모양의 앵커. 작은 보속의 전단강도 철근, 기둥의 연결 또는 조립 기둥 머리의 전단 강도 등에 사용하는 머리핀 모양의 보강철근.
헨리 법칙 ( - 法則, Henry’s law)
『액체에 녹는 기체의 양은 압력에 비례한다』는 법칙. 1803년 영국의 W. Henry에 의해 발견됨. 기체의 압력과 용해도가 별로 크지 않을 떄 성립함.
헬리포트 ( - , heliports)
헬리콥타 또는 회전익이 달린 항공기의 이착륙 및 지원을 위하여 육지, 물 또는 구조물 위에 비행 구역 및 소요 시설을 확보한 곳. 용도 및 설계 헬리콥타의 크기에 따라 제반 설계 기준을 달리함.
헴프코어 ( - , hemp core)
로프의 심에 넣은 삼 섬유.
헹키의 소성 이론 ( - 塑性 理論, Hencky’s theory of plasticity)
소성 변형도의 변화율을 정의하지 않고 총 소성 변형도를 응력의 함수로 표시하는 간략화된 소성이론.
현도장 (現圖場, template shop)
강교 등의 구조물의 설계도면의 오류 또는 부적당한 점을 바로잡고, 제작상의 본뜨기를하기위하여 구조물의 전부 또는 중요국부를 실물대로 제도하는 공장.
현무암 (玄武岩, basalt)
대표적인 염기성화산암으로 색지수, 3.5이상으로 규산(珪酸,)이 52 % 이하의 흑색에서 흑회색의 세립, 치밀한 화산암.
현수교 (懸垂橋, suspension bridge)
교량의 양쪽 끝에 교탑을 설치하고, 그 위로 인장 주 케이블을 설치하여 교량의 주형을 행거에 의하여 주케이블에 연결한 교량. 장대교에 적합함.
현수구조 (懸垂構造, suspension structure)
케이블(cable)을 주구조로 사용하고, 구조물의 주요부를 지점 또는 지주에 매다는 구조형식. 장역구조의 일종으로서, 공간을 형성하는 주요한 부재가 인장재로 됨. 대경간의 교량이나 대장간의 건축곡면구조 등에 유효하게 사용됨. 휨저항을 갖도록 강성을 부가해서 설계함.
현수수 (懸垂水, vadose water, suspended water)
지표면과 지하수면 사이의 통기대 내에 존재하는 물. → 통기대수.
현수식 모노레일 (顯垂式 - , suspended type monorail)
한개의 레일 또는 궤도보에 현수하고, 동력을 이용해 운전하는 교통시스템.
현수철도 (懸垂鐵道, suspended railway)
차체가 궤도 아래에 매달려 1~2본의 레일위를 차량이 주행하는 철도.
현수형 철탑 (懸垂形 鐵塔, suspension tower)
현수애자 장치를 이용한 송전용 철탑.
현시 (顯示, phase)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신호간격 동안에 동시에 진행하는 교통류에 할당되는 신호주기의 한 부분으로 차량군이나 통행인의 통행우선권을 의미함.
현시 간격 (顯示間隔, change interval)
소거시간(clearance time)과 같은 의미로서 현시가 바뀔 때 통과허용 교통류가 통행을 중단하고 교차로 정지선에 안전하게 정지할 수 있도록 부여하는 시간. 일반적으로 황색과 전적시간(all red)으로 부여.
현장계측 (現場計測, field instrumentation)
터널굴착에 따른 주변 원지반, 주변 구조물 및 각 지보 부재의 변위와 응력의 변화를 알고 원지반의 변형과 응력상태 및 각 지보재의 효과를 파악함으로서 공사의 안전성 및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현장계측을 수행하게 됨. 또한 현장계측은 터널 본체, 주변 지반 및 인접 구조물의 변위 거동에 관하여 이론, 경험, 측정결과를 이용하여 터널 건설과 관련한 공학적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량적, 정성적인 정보를 제공함. 현장계측 항목으로는 갱내관찰, 내공변위, 지표침하, 천단침하, 지중변위, 록볼트 인발 및 축력, 라이닝 응력, 강지보공응력, 버팀대 응력, 앵커인발 등이 있음.
현장단위체적중량 (現場單位體積重量, field unit weight)
현장 원위치에서의 흙의 단위체적당 중량.
현장리벳 (現場 - , field rivet)
현장에서 조립해서 박는 리벳.
현장밀도 (現場密度, field-density)
노상, 보조기층의 다짐정도를 표시하기 위하여 현장에서의 모래 치환법에 의한 흙의 단위중량시험방법(KS F 2311)에 의하여 얻어진 현황의 밀도.
현장배합 (現場配合, job mix)
시방배합에 맞도록 현장에서의 재료의 상태와 계량방법에 따라 정한 배합.
현장설명 (現場說明, explanation at site)
공사를 입찰에 붙이는 경우 공사내용을 현장과 관련하여 설명하는 것.
현장양생원주형공시체 (現場養生 圓柱形 供試體, field cured cylinder)
실재의 구조물의 콘크리트와 같은 조건으로 양생한 원주형공시체, 주로 거푸집을 떼어낼 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혐용 공시체임
현장양수시험 (現場揚水試驗, field pumping test, pumping test)
대수층의 투수량계수나 저류계수를 구하기 위한 시험. 양수우물 또는 보링공에서 펌프로 물을 퍼내, 주변의 관측정의 지하수위 저하량으로 해석하는 방법과 양수중지후 지하수위 회복상황으로 해석하는 방법이 있음.
현장용접 (現場鎔接, field welding)
공사현장에서 하는 용접.
현장응력 (現場應力, in-situ stress)
원위치시험으로 측정된 지반의 원위치 지중응력.
현장이음 (現場 - , field splice)
건설현장에서 이음판을 사용해서 부재를 용접하는 것.
현장작업 (現場作業, field work)
공사현장에서의 실지작업.
현장재하시험 (現場載荷試驗, field load test, in-situ load test)
지반, 시험말뚝 또는 시공된 기초 구조물 등에 현장에서 직접 시험하중을 가하여 하중과 변위와의 관계를 구하는 시험. 지반 및 말뚝의 지지력이나 변형특성, 기초구조물의 안정성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함.
현장조사 (現場調査, site investigation, in-situ investigation)
자연상태의 원위치에서 흙에 대한 역학적인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로서 이 현장조사 방법에는 표준관입시험, 정적콘관입시험, 현장베인시험, 공내재하시험, 현장투수시험 등이 있음.
현장치기콘크리트 (現場 - , cast-in-place concrete)
공장에서 만든 기성 콘크리트가 아니고 건성공사현장에서 소정의 거푸집에의해서 만들어진 콘크리트.
현장치기콘크리트말뚝 (現場 - , cast in place concrete pile)
기성콘크리트말뚝을 박는 대신에 미리 말뚝을 박을 현장에 소정의 깊이로 구멍을 뚫고 그 속에 콘크리트를 채워서 만든 말뚝, 보통 철근을 삽입한 철근콘크리트 말뚝으로 함.
현장키로정 (現場 - 程, job site kilotage)
철도 노선 선정후 세부노선 측량시 여러 구간으로 나누어서 구간별로 측정된 거리.
현장타설말뚝 ( - , cast-in-place / -situ / , bored pile)
→ 현장치기콘크리트 말뚝.
현장타설콘크리트 (現場打設 - , field concrete)
→ 현장치기 콘크리트.
현장혼합기계 (現場混合機械, mixed in place equipment)
주로 토질안정 공법을 위하여 현장에서 재료를 분쇄 혼합하는 기계.
현재 (弦材, chord member)
트러스 등의 외부형상을 형성하는 부재. 위쪽에 배치되는 것을 상현재 아래쪽에 배치되는 것을 하현재라고 함.
현접법 (懸接法, suspended joint)
레일의 이음매를 직접 침목위에 올려놓고 지지하는 것이 아니고 침목 상간의 중간부에 두는 이음매 방법으로 이음매판에 무리가 가기 쉽고 레일 끝처짐 현상이 일어남.
현척 (現尺, full size)
실물의 크기로 표현하는 것. 또는 그 도면을 말함.
현탁액 (懸濁掖, suspension)
콜로이드 또는 고체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용액. 흙탕물이나 오수가 흔한 예이며 입자가 많을 경우 전해질을 가해 응집시켜 침전으로 제거함. → 응집침전.
현탁입자 (懸濁粒子, suspended particle)
액체속에 분산된 고체입자 및 콜로이드. 유기질, 무기질이 있으며 자연수에서는 점토질이 주종임. 응집제에 의해 큰 덩어리인 플록으로 만들어 침전, 여과로 제거함.
혈암 (頁岩, shale)
점토가 퇴적되어 고화된 암석중 특히 어떤 방향에 연하여 판상으로 일어나기 쉬운 암석을 말함. 이암(泥岩)이 가벼운 광역변형 작용을 받아 생기는 수가 많음. 고생대의 퇴적암에서 많이 볼수 있음.
혈암 콘크리트 (頁岩 - , shale concrete)
점토가 퇴적되어 고화된 암석 중에 특히, 어떤 방향으로 연하여 판상으로 일어나기 쉬운 중고생대의 지층에서 많이 볼 수 있음.
혐기성 (嫌氣性, anaerobic)
공기, 물 또는 흙속에 분자상태의 산소가 고갈되어 있는 상태 또는 생물이 분자상태의 산소에 의존하지 않는 성질. 유기물속의 산소가 분해에 이용되며 악취와 유해생성물이 발생됨. → 혐기성분해.
혐기성균 (嫌氣性菌, anaerobes)
→ 혐기성미생물.
혐기성미생물 (嫌氣性微生物, anaerobes)
유리된 산소분자가 있는 곳에선 생존할 수 없는 미생물군의 총칭. 유기물속에 포함된 산소를 분해하여 이용하며 이 과정이 혐기성분해임. 혐기성소화 등 혐기성처리에 이용됨.
혐기성분해 (嫌氣性分解, anaerobic decomposition)
혐기성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의 분해. 유기물농도가 높은 경우에 적합하며 처리효율이 높음. 통상 하수슬러지의 소화에 이용됨. → 혐기성.
혐기성소화 (嫌氣性消化, anaerobic digestion)
혐기성분해에 의해 하수슬러지를 완전히 분해하는 것. 가열하는 방법과 하지 않는 방법이 있으며 각각 15일 및 30~60일 소요됨. 하수슬러지의 처리방법으로 널리 이용됨. → 혐기성분해.
혐기성안정화지 (嫌氣性安定化池, anaerobic pond)
생물산화를 행하는 산화지의 하나. 수심을 3 m이상으로 깊게 하고 BOD부하를 크게 하여 바닥부근에서 혐기성분해가 일어나도록 한 것.
혐기성처리 (嫌氣性處理, anaerobic treatment)
혐기성분해에 의해 하수중의 오염물을 처리하는 방법. 하수슬러지의 혐기성소화가 대표적 예임. 슬러지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발생되는 메탄가스는 연료로 활용됨. → 혐기성분해.
협개선 용접 ( - 鎔接, narrow gap welding)
후판의 맞댐용접에 있어서, I형 또는 I형에 가까운 간격이 좁은 맞대기 용접. 용착금속이 적으며, 입열저감을 꾀한 용접. 내로우 갭 용접이라고도 함.
협궤 (狹軌, narrow gauge)
궤간거리가 표준치인 1,435 mm보다 좁은 궤도.
협궤철도 ( - , narrow gauge railway)
궤간(레일 상부내측사이의 거리)이 표준궤간(1,435 mm)보다적은 철도.
협만 (峽灣, fiord, fjord)
빙하계곡으로 형성된 좁고 깊으며 측면이 가파른 만.
형강 (形鋼, section)
ㄱ-형, ㄷ-형, I-형, H-형 등의 단면형상으로 압연한 강재.
형강철탑 (形鋼鐵塔, shape steel tower)
형강을 사용한 철탑.
형광분석 (螢光分析, fluorescent analysis)
형광물질을 함유한 시료에 자외선을 비춰 발생하는 형광의 강도에 의해 물질량을 구하는 분석법. 정밀도가 높아 미량분석에 사용됨. 검댕이나 분진속에 포함된 탄화수소의 정량분석 등에 사용됨.
형광엑스선분석 (螢光 - 線分析, fluorescent X-ray analysis)
형광X선을 이용한 분석법. 분석할 물질에 X선을 투사할 때 방출되는 2차 X선을 형광X선이라 함. 그 파장을 측정하여 그 물질의 정성분석을 하며 또 그 강도를 측정하면 정량분석이 가능함.
형상 계수 (形狀係數, shape factor)
① 부재의 소성모멘트의 항복모멘트에 대한 비로서, 부재단면의 형상과 치수에 의하여 결정되는 계수.
② 지지력 계산 공식에 있어서 기초의 형상에 의하여 달라지는 계수.
③ 토양의 모양을 나타내는 무차원 수로서 입자의 중심을 지나는 3개의 직교축의 가장 긴 길이를 가각 a, b, c 라고하면 형상계수는 로 정의됨.
형상 함수 (形狀函數, shape function)
유한요소법에서 요소 내 미지량의 변화를 나타내주는 함수로 그 요소 내의 해당 절점에서는 단위값을 갖고 다른 절점에서는 0 의 값을 갖도록 하는 함수.
형태저항구조 (形態抵抗構造, form resistance structure)
힘의 전달에 효과적인 형태를 갖고, 주로 그 형상조건에 의해 저항력이 발휘되는 구조형식. 절판구조, 곡면판구조 등이 대표적.
형틀휨시험 (形 -式驗, guide bend test)
수형, 암형지그를 이용해서, 그 틀에 따라 휘는 시험.
형하고 (桁下高, clearhead, overhead clearance)
→ 형하공간(항하공간).
형하공간 (桁下空間, clearhead, overhead clearance)
교량본체의 최하단에서 수면 또는 노면까지의 유효높이를 말함. 항로한계, 건축한계 등을 침해하지 않도록 결정함. 보밑간격이라고도 함.
호기성 (好氣性, aerobic)
공기, 물 또는 흙속에 분자상태의 산소가 존재하는 상태 또는 생물이 분자상태의 산소에만 의존하는 성질. → 호기성 분해.
호기성균 (好氣性菌, aerobes)
→ 호기성미생물.
호기성미생물 (好氣性微生物, aerobes)
유리된 산소분자가 있는 곳에서만 생존할 수 있는 미생물군의 총칭. 이 산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며 이 과정이 호기성분해임. 호기성처리에 이용됨.
호기성분해 (好氣性分解, aerobic decomposition)
호기성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의 분해. 유기물의 농도가 낮은 경우에 적합하며 탄산가스, 물, 안정된 무기물로 분해됨. 활성슬러지법, 살수여상법 등 하수처리에 널리 이용됨. → 호기성.
호기성소화 (好氣性消化, aerobic digestion)
호기성분해에 의해 하수슬러지를 분해하는 것. 밀폐시키지 않으므로 기온의 영향을 받으며 혐기성소화에 비해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함. 하수슬러지의 처리방법으로 이용됨. → 호기성분해.
호기성안정화지 (好氣性安定化池, aerobic pond)
생물산화를 행하는 산화지의 하나. 수심은 1 m이내로 얕으며 호기성분해가 일어남. BOD부하를 크게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음.
호기성처리 (好氣性處理, aerobic treatment)
호기성분해에 의해 하수중의 오염물을 처리하는 방법. 도시하수는 통상 호기성처리에 의해 처리되며 활성슬러지법과 살수여상이 대표적임. → 호기성분해.
호기성-혐기성 안정화지 (好氣性-嫌氣性 安定化池, aerobic-anaerobic pond)
수심을 1~2 m정도로 하여 상부에서는 호기성, 하부에서는 혐기성 산화가 일어나도록 한 산화지의 하나. → 호기성안정화지. → 혐기성안정화지.
호도 (弧度, radian)
호도법에 의한 각표시 단위. 1 라디안 = 180°/π = 57.2958o = 206,264.8026".
호박 돌 ( - , boulder)
cobble stone기초, 잡석지정, 바닥콘크리트 지정용으로 쓰이는 직경 30 cm 이상의 둥글 넓적한 개울산의 천연석재.
호박돌기초 ( - 基礎, boulder foundation)
기둥, 동바리 등의 밑에 둥근 돌을 주춧돌로 놓은 기초.
호성토 (湖成土, lake deposite lacustrine soil, lacustrine deposit)
내륙부의 분지에 형성된 호수에 주변산지에서 운반된 토사나 식물이 퇴적 형성된 흙.
호성퇴적토 (湖成堆積土, lacustrine deposit)
호저(湖底)에 쌓인 퇴적토.
호소환경기준 (湖沼環境基準, pond environmental standard)
하천, 호수, 저수지 등 공공수역의 수질을 보전하기 위해 수질환경보전법상에 규정된 기준. 수역의 이용목적에 따라 몇 등급으로 나누어 수온, BOD, COD, 용존산소, 대장균 등에 대해 기준을 정함.
호수플랑크톤 (湖水 - , limnoplankton)
호수에서 번식하는 정수성(淨水性)플랑크톤으로 하천플랑크톤과는 구별됨. 부영양호에는 남조류(藍藻類), 녹조류(綠藻類)가, 빈영양호에는 규조류(珪藻類)가 많음. → 플랑크톤.
호안 (護岸, ① revetment ② shore protection)
① 하안(河岸) 또는 제방을 유수로 인한 파괴와 침식으로 부터 직접 보호하기 위하여 그 비탈에 설치하는 구조물. 호안은 설치위치에 따라 고수(高水)호안, 저수(低水)호안, 제방호안으로 구분됨.
② 해안을 파랑에 의한 침식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해안의 원지반을 침식에 강한 재료로 피복한 것.
호안공 (護岸工, bank protection works)
하천 횡단방향에 보를 건조하면 그 상류측은 수위가 높아지고 하류측은 보를 넘어 떨어지는 유속이 큰 월류수로 인하여 하천의 바닥이나 양측이 세굴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구조물을 설치하는 하천공사.
호안 공사 (護岸 工事, sea defence work)
해안의 침식을 방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공사.
호온펠스 ( - , hornfels)
사암 또는 점판암 등의 암석이 마그마관입에 의해 접촉열변성작용을 받아 생성된 치밀견고한 일종의 접촉변성암으로 주로 미세한 결정을 이루고 있고 흡수율이 낮고 압축강도, 경도가 대단히 큼.
호우전이 (豪雨轉移, storm transposition)
호우가 발생된 지역으로부터 기상학적인 동질성이 있는 구역내의 다른 지역으로 관측된 호우를 전이 시킴.
호우지속기간 (豪雨持續期間, storm duration)
호우의 시작과 종료간의 시간길이.
호우 트러스 ( - , Howe truss)
트러스 형식의 한가지. 사재가 압축력을 받도록 설계된 트러스.
호이스트 ( - , hoist)
권동축이 수평인 소형의 중량물을 감아올리는 기계.
호트빈 ( - , hot bin)
아스팔트플랜트의 일부분을 가열건조시킨 골재를 계량하기 전에 저장하는 곳.
호트엘리베이터 ( - , hot elevater)
아스팔트플랜트에서 가열골재를 퍼 올리는 버킷엘리베이터.
혼류수차 (混流水車, mixed flow turbine)
압력수두를 가진 물이 유출할 때 반동에 의해 수차를 회전시키는 반동수차는 수차내의 흐름의 방향에 따라 방사형수차와 축류형 수차로 나뉘는데 이들 두가지 형식을 같이 결합시킨 수차.
혼류펌프 (混流 - , mixed flow pump)
원심펌프와 축류펌프의 중간형으로 분사펌프라고도 함. 일반적으로 원심력 펌프와 결합하여 사용되며 기계적 작용과 수리학적 작용이 혼합된 형식으로 혼합 작용시에 에너지 손실이 커지므로 펌프효율은 25 %정도이고 깊은 우물의 양수에 주로 쓰임.
혼성식 방파제 (混成式 防波堤, composite breakwater)
하부는 사석제(捨石堤)로 하고 상부는 케이슨이나 블록 등의 벽체로 축조한 방파제. 경사제와 직립제의 장점을 혼용.
혼잡도 (混雜度, degree of congestion)
도로 혼잡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일교통량의 교통용량에 대한 비율을 표시함.
혼잡 밀도 (混雜密度, jam density)
교통이 혼잡하여 정체가 발생한 때, 즉, 속도와 교통량이 0일 때의 밀도.
혼합거리 (混合距離, mixing length)
프란틀(Prandtl)에 의해 정의 된 난류의 특성을 나타내는 거리. 양호한 혼합이 이루어 지는데 필요한 추적자(tracer)의 최소이동거리.
혼합골재입도 (混合骨材粒度, combined aggregate grading)
굵은골재와 잔골재의 혼합물의 입도.
혼합교통 (混合交通, mixed traffic)
모든 차량의 종류와 보행자가 혼합하여 같은 노면을 통행하는 교통의 상태.
혼합기 (混合機, mixing plant)
재료의 계량과 배합을 하여 콘크리트를 만드는 설비.
혼합기 원유 (混合基 原油, mixed-base crude oil)
파라핀기원유와 나프텐기원유의 중간성상을 나타내는 원유. 중간기원유라고도 함. 중동의 카프지, 이란, 이라크 원유의 대부분이 여기에 속함.
혼합 돌쌓기 댐 (混合 - , mixed masonry dam)
파괴되기 쉬운 부분은 찰쌓기, 기타 부분은 메쌓기로 축조한 돌로된 댐.
혼합량 (混合量, amount of mixing)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의 성분재료를 혼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믹서기능의 시방. 고정믹서의 경우는 혼합시간을 말하고, 트럭믹서의 경우는 시멘트, 물, 골재 혼합후의 드럼의 회전수에 의한 혼합속도를 말함.
혼합물 (混合物, mixture)
모르터, 콘크리트 혹은 그들과 비슷한 것을 모아서 비빈 상태에서의 각원료 또는 그들의 집합된 성분비.
혼합석고 (混合石膏, mixed gypsum)
소석고 30~40%, 소석회 50~60% 를 혼합하여 석고의 팽창성과 급경성을 처리한 것으로 미장바름에 알맞게 만든 미장재료이며, 현장에서 그냥 물반죽하여 사용함.
혼합속도 (混合速度, mixing speed)
1배치를 비빌때의 믹서드럼 혹은 정부개구의 냄비형, 축자형믹서의 날개의 회전속도. 1분당 회전수(rpm) 또는 1분당의 외주상 최대경의 점의 원관이동거리로 표시함.
혼합시간 (混合時間, mixing time)
1배치콘크리트의 각재료를 믹서로 비비는 시간, 고정식믹서의 경우는 재료를 투입해서 배출할 때까지의 시간을 분단위로 나타내며 트럭믹서의 경우는 일정한 혼합속도의 상태에서의 전회전수로 표시함.
혼합시멘트 (混合 - , blended cement)
보통 포틀랜드시멘트의 클링커에 포조란이나 슬래그 등의 혼합재료를 분쇄하여 시멘트로 한 것.
혼합식공법 (混合式工法, mixing method)
믹서나 스테이빌라이저 등으로 포장용 재료를 혼합하여 부설하는 공법. 머캐덤식공법이나 침투식공법에 대한 것.
혼합식머캐덤 (混合式 - , coated macadam)
잔골재가 많은 입도의 골재에 결합재를 혼합한 것 또는 그 공법.
혼합액 (混合液, mixed liquor)
좁은 의미로는 폭기조내의 혼합액을 말함. 미생물이 활발히 번식하여 활성이 높고 다량의 산소를 필요로 하는 상태가 정상임.
혼합액부유물질 (混合液浮遊物質, mixed liquor suspended solid)
폭기조내 혼합액의 부유물질로서 활발히 번식한 미생물이 부착되어 점성 및 분해능력이 큼. 처리효율을 높이기 위해 이의 농도는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어야 하며 이 부유물질은 최종침전지에서 활성슬러지로 제거됨.
혼합온도(아스파트 혼합물의) (混合溫度( - 混合物), mixity temperature)
믹서에서 배출되었을 때의 혼합물의 온도.
혼합용 아스팔트 유제 (混合用 - 乳劑, asphalt emulsion for mixing)
유제는 아스팔트 분자를 안정화와 접착성을 갖도록 해주는 역할을 함. 유제가 음이온이므로 전하될 경우 골재표면에 달라 붙으며 양이온계일 경우에는 골재표면의 산(Oxygen)계의 음이온 공유결합에 의하여 중성화 됨. 아스팔트 유제의 구조적인 측면에서 요구되는 특성은 안정성, 접착성, 점성 등이 있음.
혼합형 밀도류 (混合形 密度流, density flow with mixing)
밀도성층을 만들지 않고, 밀도가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경우의 흐름.
혼화재 (混和材, additive)
콘크리트 배합시 첨가되는 혼화재료중 그 사용량이 비교적 많아서 그 자체의 부피가 콘크리트 배합 계산시에 영향을 미치는 재료.) 포졸란, 플라이애쉬 등을 말함.
혼화제 (混和劑, admixture)
혼화재료중 사용량이 비교적 적어 그 자체의 용적이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서 무시되는 것으로 AE제, 감수제, 지연제, 경화촉진제, 방수제 등이 있음.
홀더 ( - , holder)
용접봉을 집는 전기절연이 완전히 된 손잡이 저항기.
홀타인형그래브 ( - 形 - , whole tine grab)
날개가 모두 강제발톱으로 된 그래브.
홈 ( - , groove)
돌합용접을 하려고 하는 모재의 접합단을 가공하여 양호한 용접이 되도록 적당한 형의 구멍을 만든 공극, 그 형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가 있고 주로 판두께에 따라 사용이 분류됨.
홈눈금 ( - , groove joint)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포장면 슬래브 또는 벽의 콘크리트 포면에 홈을 파서 만든 눈금.
홈마무리공구 ( - 工具, gutter tool)
콘크리트 이음부에 V자형의 홈을 쪼아내는데 이용하는 공구.
홈붙이 레일 ( - , grooved rail)
레일 두부편측에 차륜의 윤연로(flange way)가 달린 레일.
홈용접 ( - 鎔接, groove welding)
양쪽 강판사이에 홈을 두어 서로 맞대든지 또는 T형 이음에서 양쪽 모재사이의 홈에 용접금속을 녛는 방법으로 목두께의 항향이 적어도 모재의 표면돠 직각 또는 거의 직각을 이루게 해야 함.
홉퍼 ( - , hopper)
① 준설선 또는 토운선에서 뱃전, 또는 배밑바닥에 문짝이 있으며 토사를 일시 저장하는 곳.
② 깔대기형으로 된 재료 수입구.
홉퍼준설선 ( - 浚渫船, hopper dredger)
버킷준설선 또는 자항식펌프준설선에서 선체의 일부에 토창을 설치하고 토운선을 쓰지 않고 자신이 토사장까지 항행하여 토사를 버리는 준설선.
홉퍼중계선 ( - 中繼船, sump rehandler)
홉퍼준설선 작업시, 홉퍼용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준설토를 사토장까지 중계운반하는 특수 준설선.
홉퍼차 ( - 車, hopper car)
대차의 일종으로 하역에 편리하도록 깔대기 모양으로 만든 화차. 주로 석탄, 자갈 등의 운송에 많이 사용함.
홍보 및 공청회 (弘報 - 公聽會, public relation and hearing)
중앙정부나 지방정부가 어떠한 사업이나 계획의 집행이나 결정에 앞서 시민들에게 사업의 내용이나 그 취지 등을 인식시키는 것을 홍보라고하며, 시민들을 계획과정에 참여시킴으로써 일부의 전문가나 행정관료의 독선을 미리 없애고자 개최하는 의견청취를 위한 토론회의를 공청회라고 함.
홍수경보 (洪水警報, flood warning)
홍수가 가까운 장래에 어떤 관측지점이나 하천유역에 발생할 것이라고 사전에 알려주는 행동을 말하며, 수문기상학적 해석에 의해 호우로 인한 홍수의 내습을 사전에 예측하고 홍수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해 이를 피해예상지역의 주민에게 사전에 경보를 발함.
홍수로 (洪水路, floodway, relief channel)
초과홍수 유량을 소통시키기 위해 설치된 수로. 여기서 초과홍수유량이란 하천내에서 안전하게 홍수를 소통시킬 수 있는 양을 초과한 유량을 말함.
홍수벽 (洪水壁, flood wall)
홍수의 범람을 방지할 목적으로 홍수류를 하도내에 한정시키기 위해 설치하는 방벽.
홍수빈도 (洪水頻度, flood frequency)
어떤 년수동안에 특정 유량 또는 수위 이상의 홍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회수.
홍수예보 (洪水豫報, flood forecasting)
강수나 융설로 인해 하천의 특정 지점에서 발생하는 첨두유량의 수위나 유량, 발생시간 및 홍수 지속시간 등을 추정하여 예보하는 것.
홍수위종단도 (洪水位縱斷圖, flood profile)
하천종단을 따라 개개 횡단면에 있어서의 홍수위 표고를 연결한 선으로서 홍수위의 발생빈도별로 표시하는 것이 보통임.
홍수조절 (洪水調節, flood control, flood protection)
조림이나 저수지의 설치 등으로 하류지역의 홍수범람을 방지하고 그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시키는 것.
홍수조절 댐 (洪水調節 - , flood control dam)
홍수시 하류의 홍수유량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홍수조절용량을 가지고 있는 댐.
홍수조절용량 (洪水調節容量, flood control storage)
다목적댐에 있어서 특히 홍수조절을 위하여 사용되는 유효저수용량의 일부분.
홍수조절지 (洪水調節池, flood control reservoir)
홍수량을 일시 저류하여 하류 유량을 경감 시키고, 하류의 하천 유황이 허용하는 한 신속하게 방류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저수지.
홍수추적 (洪水追跡, flood routing)
하천 상류의 어떤 지점에서의 기지의 홍수유출 수문곡선으로부터 하류의 어떤 지점에서의 수문곡선을 결정하는 절차로 방법론에서 수문학적 홍수추적과 수리학적 홍수추적으로 나뉨. 실제응용면에서는 저수지추적, 하도추적 및 유역추적으로 구분됨.
홍수터 (洪水 - , flood plain, overbank flow channel)
홍수시 하천유출량이 수로의 소통능력을 초과할 때에 만 하천을 따라 침수되는 하천부지.
홍수파 (洪水波, flood wave)
강수, 융설, 댐파괴, 발전방류 등의 원인으로 하천 수위가 최대치로 상승하였다가 저하되는 것.
홍수확률 (洪水確率, flood probability)
주어진 기간(년단위)동안 주어진 수위나 유량의 홍수와 같거나 초과할 확률을 말하며, 이의 역수를 홍수 재현기간(再現期間, return period)이라고 함.
홍수흔적 (洪水痕迹, flood marks)
홍수가 지나가고 난후에 홍수의 최대수위를 파악할수 있는 하안의 수목이나 교량 등의 하천구조물에 자연적으로 남아 있는 흔적. 이는 홍수침수실적도(洪水浸水實績圖)를 작성하는데 유용하게 쓰임.
홍토 (紅土, laterite)
열대, 아열대에서 볼수 있는 일종의 홍적토로 고온다습하여 암석이 극도로 풍화되어 규산성분이 유실되고 대부분 수산화알루미늄과 수산화철로 되어 있음.
화강암 (花崗岩, granite)
산성심성암의 일종으로 석영?정장석?사장석?운모의 결정으로 이루어지는 완정질석임. 특히 조립의 것은 풍화되기 쉽고 준평원을 이루기 쉬움. 풍화에 의하여 입자간의 결합이 약해져서 광물편이 분산되며 풍화생성물을 풍화화강토라 부름. 내압강도는 1000 kg/cm2 전후로 크고, 흡수율은 작음. 미려하고 돌결도 있어 가공이 용이한 고로 석재에 잘 쓰임.
화강풍화토 (花崗風化土, decomposed granite, granitic soil)
화강암질 암석의 풍화토. 조립의 석영모래가 섞여있고 모암인 화성암의 조직이 그대로 남아있으나 인력으로 쉽게 굴착이 될 정도로 풍화를 받은 흙.
화물계류장 (貨物繫留場, cargo apron)
비행장 시설의 일부로 항공 화물을 싣고 내리는 데 전용으로 사용되는 계류장. 화물터미널 전면에 배치됨.
화물보관고 (貨物保管庫, storage house of freight)
소급화물을 화주에게 인도할 때까지 보관하기 위하여 화물 취급소 부근에 설치한 장소.
화물선 (貨物線, freight line, goods line)
화물 수송을 전담하는 선로.
화물설비 (貨物設備, accomodations for freight service)
각역에 집결되는 화물을 화차로 적재 및 하차 작업을 하기 위한 시설 및 장비.
화물역 (貨物驛, freight station)
여객을 취급하지 않고 화물만을 취급하는 역으로 화물취급량이 특히 많을 때 지정함.
화물열차 (貨物列車, freight train)
화물수송을 전담하는 열차로 피 견인차가 화차로만 편성되어 있음.
화물적하선 (貨物積荷線, loading track)
화차를 열차에서 해방시켜 화물홈에 차입하여 화물의 적재 및 화차 작업을 하기 위한 측선
화물적하장 (貨物積荷場, freight platform)
화물을 취급하는 정차장에서 차급화물을 적하하기 위해서 여객승강장과는 별도로 설치하는 홈,위치는 역본체를 향하여 좌측에 두는 것이 보통임.
화물지붕덮개 (貨物 - , freight shed)
화물이 눈?비나 직사광선으로 손상되지 않게 화물홈에 설치한 지붕 덮개.
화물지역 (貨物地域, cargo area)
화물을 취급하기 위해 준비된 모든 지상 구역 및 시설을 말함. 화물 처리용 계류장, 화물빌딩, 창고, 주차장 및 도로 등을 포함함.
화물철도 (貨物鐵道, freight railway, goods railway)
화물 수송을 전담하는 철도.
화물취급소 (貨物取扱所, freight office)
수송화물의 접수와 운임계산 등을 행하는 장소.
화물 터미널 (貨物 - , cargo terminal)
항공기와 지상 수송 차량간에 항공 화물을 연계시켜주기 위하여 화물 처리 시설을 갖춘 화물지역의 중심시설.
화물통로 (貨物通路, car load drive way)
화물, 수소화물 등을 운반하기 위한 통로로 통로의 폭은 취급화물량, 소운송차의 크기, 회전반경, 적하장에 접하여 정차하는 방법 등에 따라 결정됨.
화산 (火山, volcano)
땅속의 마그마가 지표면 밖으로 분출되어 퇴적되어 이루어진 산을 말함. 활동의 유무에 따라 사화산, 활화산, 휴화산으로 구분됨.
화산암 (火山岩, volcanic rock)
마그마가 지표면으로 유출되어 고결된 화성암을 말함.
화산쇄설암 (火山碎屑岩, pyroclastic rock)
화산암의 암괘, 암편, 세립의 화산성물질이 퇴적고결된 암석, 응회암, 집괴암 등이 여기에 속함.
화산활동 (火山活動, volcanic activity)
지구내부에서 부터 용암이나 가스 따위가 분출하는 현상.
화살공정도 ( - 工程圖, arrow diagram)
네트워크도에는 화살형과 마디형이 있으며, 결합점(event), 활동(activity) 또는 더미(dummy)로 구성되어 있음. 계획사업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활동 상호관계를 단계, 활동 및 명목상 활동을 사용하여 도시한 계획공정표로서 화살표의 길이는 원칙적으로 시간적개념과 무관하게 나타냄. 계획공정표 작성 방법중 가장 많이 이용되고 편리한 대표적인 것임.
화성암 (火成岩, igneous rock)
암장(magma)이 지각내부에서 또는 지표에 분출되어 냉각고결되어 이루어진 암석을 화성암이라 말함. 고결장소의 심도에 따라 심성암, 반심성암, 분출암으로 분류됨.
화염청소 (火炎淸掃, flame cleaning)
산소 아세틸렌의 다공식 특수 취관을 사용하여, 불꽃으로 강재면을 청소하는 것.
화이버 콘크리트 ( - , fiber reinforced concrete)
모르터 또는 콘크리트속에 장섬유를 분산시키는 복합재료 콘크리트. 섬유보강 콘크리트로는 강섬유보강 콘크리트, 유리섬유, 석면, 유기섬유, 탄소섬유 등이 있으며 강섬유나 유리섬유를 사용한 보강콘크리트는 주로 강도와 인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대하여 유기질의 합성섬유를 사용한 보강콘크리트는 엷은 부재의 건조수축, 균열의 제어 및 내충격성의 향상이 목적임.
화이트 노이스 ( - , white noise)
주파수를 분석하면 1㎐당 함유된 음의 강도가 주파수에 관계없이 일정하고 일정한 모양의 연속한 스펙트라(spectra)를 나타내는 잡음으로 빛에 비유하면 백색광이 이와 비슷함.
화이트 베이스 ( - , white base)
아스팔트 포장의 기층으로 사용하는 시멘트콘크리트의 판. 중교통장소에 있어 포장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기층 또는 보조기층에 해당하는 부분을 시멘트콘크리트판으로 한 것. 화이트 베이스의 판 두께는 교통량에 따라서 20~25 cm를 표준으로 함.
화장벽돌 (化粧 - , face brick)
건축물의 외장에 사용하는 평판상의 벽돌. 옹기질 또는 자기로 착색을 함. 사용목적은 외관이 미화 비, 이슬 등에 의한 침식의 방지. 외장타일 이라고도 함.
화차 (貨車, freight car)
여객을 제외한 화물을 수송하는 차량으로 유개차, 무개차, 냉장차, 조차, 장물차 등이 있음.
화차제동 (貨車制動, wagon braking)
험프조차장에서 작업의 안전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화차를 제동하는 것.
화차조차장 (貨車操車場, shunting yard)
화물을 가장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수송하기 위하여 행선지가 다른 다수의 화차로 편성되어 있는 화물열차의 재편성 작업을 하는 장소.
화학무기영양 미생물 (化學無機營養 微生物, chemoautotrophs)
화학합성, 즉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무기물로부터 유기영양물을 합성하는 독립영양체의 일종. 티오바실루스(Thiobacillus) 등 특수박테리아가 이에 해당함. 화학독립영양 미생물이라고도 함.
화학영양 미생물 (化學營養 微生物, chemotrophs)
빛의 도움 없이 화학적으로 영양물을 만들어 내거나 이 영양물에 의존하는 미생물. 전자를 화학무기영양 미생물 후자를 화학유기영양 미생물이라 함.
화학유기영양 미생물 (化學有機營養 微生物, chemoheterotrophs)
화학무기영양 미생물에 의해 빛의 도움 없이 화학적으로 만들어진 영양물을 먹이로 하는 미생물. 화학종속영양 미생물이라고도 함.
화학적 단위공정 (化學的 單位工程, chemical unit process)
정수 또는 하수처리공정중 화학적 기능이 주가되는 공정. 응집침전, Gas transfer, 흡착, 소독, 탈염소, 슬러지 개량 등.
화학적 방제 (化學的 防除, chemical insect control)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해충을 구제하는 것. 살충제, 살균제, 살조제(殺藻劑) 등 구제대상에 따라 각종 약품을 사용하며 약품의 잔류, 내성의 증가, 수계의 오염 및 축적 등의 문제를 일으킴.
화학적 산소요구량 (化學的 酸素要求量, chemical oxygen demand)
수중유기물의 화학적 산화시 소비되는 산소량. 산화제로 과망간산칼륨 또는 중크롬산칼륨을 사용하며 이를 시료에 섞어 가열한 후 소비된 산화제의 양을 구함. 흔히 COD라 하며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과 함께 널리 쓰임.
화학적 산화 (化學的 酸化, chemical oxidation)
미생물의 도움 없이 화학적으로 산소와 결합하는 것.
화학적 응집 (化學的 凝集, chemical coagulation)
응집제와 현탁입자간의 화학적 결합력에 의해 일어나는 응집.
화학적 처리 (化學的 處理, chemical treatment)
화학적 기능을 이용한 정수 또는 하수처리공정. 응집침전, Gas transfer, 흡착, 소독, 탈염소 등.
화학적 침전 (化學的 沈澱, chemical precipitation)
응집침전이라고도 하며 각종 응집제를 사용하여 수중의 미세입자를 플록으로 만들어 침전시킴.
화학적풍화 (化學的風化, chemical weathering, decompositon)
암반에 침투한 물 및 그 속의 용해물질과 광물과의 화학반응에 의하여 암석이 열화하는 것. 산화, 탄산화, 수화작용 등이 있으며 광물의 화학작용으로 변화하여 점토광물로 변하는 경우가 많음.
화학적 프리스트레싱 (化學的 - , chemical prestressing)
팽창콘크리트의 팽창을 구속함으로써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방법.
화학적 흡착 (化學的 吸着, chemical adsorption)
흡착제 표면과 피흡착질사이의 원자가(原子價)에 기인한 화학적 결합력이 작용하여 일어나는 흡착. 불가역적 반응이며 흡착속도는 물리적 흡착보다 느림.
확공 (擴孔, reaming)
미리 뚫은 리벳구멍을 더 크게 만들어 상대되는 재편의 구멍과 서로 맞게 하는 작업.
확대기초 (擴大基礎, spread footing / foundation)
상부구조로부터의 하중(연직력, 수평력, 회전모멘트)을 전달하는 기둥이나 벽의 하부에 지반과 직접 접하는 후팅부를 확대시켜 설치하는 기초.
확대 모멘트 (擴大 - , magnified moment)
압축력과 모멘트를 동시에 받는 구조물에서는 축방향 압축력으로 인하여 재단 모멘트가 선형 뼈대 구조해석에서 구한 재단 모멘트에 비하여 커지기 때문에 이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선형 뼈대 구조해석에서 얻는 재단 모멘트에 모멘트 확대 계수를 곱해서 구한 모멘트.
확대율 (擴大率, multiplication ratio)
타원체상의 점을 평면상에 투영할때 평면거리와 측지선 길이의 비. 증대율이라고도 함.
확률과정 (確率過程, probabilitic / random process)
변수의 발생 순서는 무시하고 발생 확률만을 고려하는 과정.
확률년수 (確率年數, recurrence interval)
→ 재현기간.
확률도시 (確率圖示, probability plot)
어느 자료값에 대한 확률을 부여하고 이를 확률지 또는 산술 좌표지상에 표시하는 것.
확산 (擴散, diffusion)
한 물질 속으로 다른 물질이 점차 섞여 들어가는 현상. 잉크방울이 물 속에서 퍼져나가는 것이 확산의 예이며 기체와 기체간, 고체와 고체간에서도 일어남.
확산이중층 (擴散二重層, diffuse double layer)
점토나 콜로이드 입자 표면 근처에 입자 표면의 부전하와 균형을 이루기 위하여 양이온과 약간의 음이온이 액상속을 확산적으로 분포된 고착층과 확산층이 형성됨. 이들 이온층을 확산이중층이라 부름. 전기이중층, 전기확산이중층이라고도 부름.
확정론적 유출모형 (確定論的流出模型, deterministic runoff model)
강우-유출관계의 확정성을 전제로 하여 유출을 포함한 수문현상을 수학적으로 모의하는 모형.
환강 (丸鋼, round bar)
봉상으로 압연 또는 단조된 강재로서, 단면형상이 원형인 강재.
환경 (環境, environment)
생물의 주위를 둘러싼 요소로서 생물의 형성과 생존을 결정하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요.인들의 복합체. 자연환경, 생활환경 등.
환경공학 (環境工學, environmental engineering)
공학의 한 분야로서 환경을 이해하고 보호하며 쾌적한 인간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구하는 학문. 상하수도, 폐기물 등 위생공학에서 출발하였으며 대기오염, 소음, 진동, 농약, 식품첨가물 등의 분야가 추가되어 환경공학으로 정립됨.
환경과학 (環境科學, environmental science)
환경을 올바로 이해하고 파괴로부터 보호하며 유지해 나가기 위해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 물리학, 화학, 생물학, 지학, 기상학 등 여러 분야가 연관됨.
환경기준 (環境基準, environmental standards)
인간의 건강보호와 쾌적한 생활환경 보전을 위해 유지되어야 할 환경의 질에 대한 기준. 환경정책기본법과 동 시행령에 제정 목적과 기준이 명시되어 있음.
환경보전 (環境保全, environmental protection)
인간의 건강보호와 생활환경의 보전 등을 위해 환경을 오염 또는 파괴로부터 보전함으로써 자연상태의 환경을 유지하거나 변형을 최소화시키고자 하는 것.
환경시설대 (環境施設帶, furning lane)
교통량이 많은 도로연변의 주거지역, 정숙을 요하는 시설 또는 공공시설의 환경보존을 위해 설치하는 시설로 식수대, 둑, 방음벽 등이 이에 속함. 방음시설로는 방음벽과 차음림이 이에 속함.
환경악화 (環境惡化, environmental deterioration)
수질오염, 대기오염 등 자연환경의 오염 또는 소음, 진동 등 생활환경의 악화와 같이 오염이나 파괴로 인해 환경의 질이 떨어지는 것.
환경영향평가 (環境影響評價,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지역개발 등과 같이 환경에 큰 변화를 가져올 사업에 대해 그 사업의 결과가 환경에 미칠 영향을 예측, 평가하고 대처방안을 마련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예방 내지는 최소화하고자 하는 제도.
환경오염 (環境汚染, environmental pollution)
대기, 수계, 토양 등 자연환경이 인간활동에 의해, 자연적으로 치유되기 어려울 정도로, 파괴, 훼손된 상태. 산업활동과 도시의 인구집중이 주 원인이며 오염물은 폐수, 배출가스, 폐기물, 폐열 등임.
환경용량 (環境容量, environmental capacity)
대기, 수계, 토양 등 자연환경은 각종 동식물 및 미생물의 서식처가 되며 동시에 먹이사슬에 따라 순환하는 영양물을 수용, 저장, 분해하기 위한 공간이 되는 바 이들 동식물 및 영양물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의 범위.
환기 (換氣, ventilation)
터널의 환기는 공사중의 환기와 공사후의 환기가 있음. 공사중에는 임시적인 환기장치이고 공사후에는 영구적인 환기장치를 설치함. 특히 자동차 교통이 많은 도시터널은 배기가스가 큰 문제가 되기 때문에 도로터널의 연장이 500 m이상이면 환기설비가 필요함.
환기관 (換氣管, ventilation pipe)
실내나 공장, 빌딩, 터널공사 등의 사람이 밀접한 장소에 오염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와 교환하는 관.
환산 단면 (換算 斷面, transformed section)
두 가지의 재료로 된 단면을 같은 탄성적 성질을 가지는 하나의 재료로 된 것으로 치환한 단면.
환산량수 (換算輛數, rated cars)
기관차의 견인력을 감안하여 객화차 환산법에 의해 중량의 영공별을 기초로 차량을 환산한 량수로 객차는 40톤, 화차는 43.5톤을 1량으로 함.
환산 연간 이륙횟수 (換算 年間 離陸回數, equivalent annual departures)
주(主) 기어의 형태가 다른 항공기의 이륙 횟수를 설계 항공기의 연간 이륙횟수로 환산한 이륙 횟수. 환산하는 데에는 항공기의 기어 형태와 운항 횟수 및 바퀴 하중이 고려됨.
환산킬로정 (換算 - 程, real / equivalent kilometer)
현장키로정에 파정을 가감하여 환산한 시점부에서 부터의 실제 거리.
환상도로 (環狀道路, ring road)
일종의 순환도로로서 도심을 중심으로 ring을 형성하는 도로로 주로 대도시의 경우 내부순환 및 외부순환으로 형성하여 도심을 통과하지 않고 목적지로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짐.
환상선 (環狀線, belt line, loop line)
순환선을 말함.
환원 (還元, reduction)
어떤 물질이 산소를 방출하거나 외부에서 수소를 흡수함을 말하며 산화의 역작용임. ↔ 산화
환원불꽃 (還元 - , reducing flame)
산소?아세틸렌 불꽃 가운데, 아세틸렌양이 많고, 환원성을 가지고 있는 가스불꽃.
환원수 (還元水, return flow)
물 사용후에 하류 하천수로나 지하수층으로 환원되는 물의 양.
환원제 (還元劑, reductant)
다른 물질에 환원을 일으키게 하는 물질. 그 자신은 산화되기 쉬운 물질이며 수소를 비롯하여 저급의 산화물, 산화정도가 낮은 유기화합물 등이 이에 속함.
환형기초 (環形基礎, ring foundation)
비교적 가느다란 단형보로 된 기초목조탑, 송신탑 등과 같은 구조물의 기초로 이용됨.
환형 쉘 (環形 - , toroidal shells)
단면이 원형관의 형태를 지닌 쉘구조.
활동 (活動, activity)
네트워크의 용어로서, 전체계획사업을 구성하는 하나하나의 개별 단위작업을 표시하며 시간과 자원을 필요로 함.
활동면 (滑動面, slip surface)
토중에서 전단파괴가 일어나서 어느 연속된 면을 따라서 엇갈림이 생길 경우에 그 면을 말함.
활동방지벽 (活動防止壁, shear key)
옹벽의 활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동토압을 받도록 저반아래에 만드는 벽체.
활동선 (滑動線, slip line)
활동파괴 등의 해석에 있어서 이차원 문제로 취급할 경우 활동면을 이와 같이 부르기도 함.
활동시각 (活動時刻, activity time)
각 활동에 대한 활동기간이 추정되면 공사기간이 결정되며, 각 활동에 대하여 계산한 시각을 활동시각이라 함. 활동시각은 경유점으로 부터 전진계산과 후진계산으로 바로 계산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계산에서 시간은 경과된 작업일수로 표시되며 다음에 일력일자로 환산함.
활성규사 (活性硅砂, activated silica)
규산소다의 희석액에 황산을 가해 만드는 종합 규산 졸(sol). 황산알미늄 등의 응집제와 병용하면 플록의 형성을 돕고 침전효과가 증대됨. 활성규산 또는 활성실리카라고도 함.
활성단층 (活性斷層, active fault)
제4기에 움직인 단층. 지진에 의하여 지표에 나타난 지진단층과 서서히 움직이는 크리프에 의한 단층이 있음. 유사이래 활동한 단층을 가르킴.
활성도 (活性度, activity)
점토광물이나 흡착이온 등에 의한 점성토의 활성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지표. A<0.75이면 비활성점토, 0.75<A<1.25이면 보통의 점토이고 A>1.25이면 활성점토라 함.
활성백토 (活性白土, activated clay)
산성백토를 황산으로 처리하여 흡착능력 및 탈색능력을 증대시킨 백토. 악취의 흡착제, 염료의 흡착제로 활성탄과 같이 사용됨.
활성생물막여상 (活性生物膜濾床, activated biofilter process)
고율살수여상과 비슷한 하수처리시설의 하나. 최종침전지의 슬러지를 살수여상에 반송시키는 점이 차이임. 여재로는 적송(redwood)을 사용하며 부착 및 부유성장을 병행할 수 있어 BOD제거율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음.
활성슬러지 (活性 - , activated sludge)
하수를 폭기하여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호기성미생물의 번식을 촉진시키며, 이 미생물이 고형물주위에 부착되어 유기물의 분해 및 응집이 활발히 일어나게 한 슬러지.
활성슬러지법 (活性 - 法, activated sludge process)
가장 흔히 쓰이는 하수의 생물학적 처리방법의 하나. 활성슬러지를 하수에 섞어 폭기조에서 폭기 및 교반함으로써 콜로이드 및 용해성 유기물이 활성슬러지에 흡착되어 침전이 용이해 짐.
활성탄 (活性炭, activated carbon)
흡착력을 강화시킨 숯의 일종으로 구성물질의 대부분이 탄소임. 목재, 갈탄 등 탄소질을 약품처리하거나 목탄을 수증기로 활성화시켜 만듬. 분말 및 입상(粒狀)으로 제조, 사용되며 가스나 액체의 흡착제거에 쓰임.
활성탄재생 (活性炭再生, activated carbon regeneration)
흡착력이 저하된 활성탄의 흡착력을 회복시키는 것. 수증기 또는 약품과 반응시켜 활성탄표면의 세공에 흡착된 피흡착질을 녹여냄. 고가인 활성탄을 재사용하기 위해 필요함. 부활(賦活)이라고도 함.
활성탄처리 (活性炭處理, activated carbon process)
활성탄의 흡착기능을 이용하여 기체 또는 액체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일. 정수 및 하수처리시 고도처리단계에 속하며 분말탄을 회분식 교반조에 투입하거나 입상탄을 채운 흡착탑에 통과시키는 방법이 있음.
활성탄흡착 (活性炭吸着, activated carbon adsorption)
활성탄 표면의 미세한 구멍에 피흡착질이 부착, 고정되는 현상 또는 이를 이용한 처리. 피흡착질이 활성탄표면으로 이동한 후 세공내부로 진입하여 내벽에 부착됨. → 흡착.
활엽수 (闊葉樹, broad leaved tree)
입이 넓고 큰 수목의 총칭. 광엽수라고도 함. 침엽수에 대하는 말.
활절 (滑節, hinged joint)
연결부에 모이는 모든 부재가 그 점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절점.
활주로 (滑走路, runway)
육상비행장내의 일정한 장방형구역(長方形區域)이며, 이 장변(長邊)에 따라 항공기가 이착륙함.
활주로 가시거리 (滑走路 可視距離, runway visual range)
활주로 또는 그 윤곽을 표시하는 규정의 등화 또는 표시물이 항공기가 접지할 때 조종사 눈의 평균 수평에 상응하는 높이로부터 활주로의 중심선상에 있는 규정의 점상(點上)의 위치를 볼 수 있는 이륙 또는 착륙 방향의 최대 거리.
활주로거리등 (滑走路距離燈, runway distance marker sign)
활주로를 주행 중인 항공기 조종사에게 전방에 남은 활주로 말단까지의 거리를 알려주기 위하여 설치하는 등화(燈火).
활주로 공시거리 (滑走路 公示 距離, runway declared distances)
공항 관리자측에서 공시한 활주로의 거리로서 여기에는 이용 가능한 이륙 활주로(TORA), 이용가능한 가속정지 거리(ASDA), 이용가능한 이륙길이(TODA)및 이용 가능한 착륙거리(LDA) 등이 있음.
활주로 기본길이 (滑走路 基本 - , runway basic length)
표고가 0이고 무풍이며, 활주로 경사가 0인 표준 조건 하에서의 이 착륙을 위해 선택되는 활주로의 길이. 실제 조건에 따라 이 기본 길이를 보정하여 활주로의 길이를 결정함.
활주로등 (滑走路燈, runway edge lights)
이륙하거나 착륙하고자 하는 항공기에 활주로를 알려 주기 위하여 그 양측에 설치하는 등화. 흰 빛으로 나타냄.
활주로 말단 (滑走路 末端, runway threshold)
항공기가 착륙을 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활주로의 첫머리 부분.
활주로말단등 (滑走路末端燈, runway threshold lights)
이륙하거나 착륙하고자 하는 항공기에 활주로의 말단을 알려 주기 위하여 활주로의 양 말단에 설치하는 등화(燈火).
활주로 명칭 표지 (滑走路 名稱 標識, runway designation marking)
방향을 나타내는 숫자와 좌, 우, 중간을 나타내는 문자를 활주로 양쪽 말단부에 활주로 페인트로 나타낸 표지. 방향을 자북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측정한 자기방위의 1/10에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나타내고 위치는 L, R, C 등으로 표시함.
활주로 보호구역 (滑走路 保護區域, runway protection zone)
활주로에 접근하는 항공기 안전을 위하여 사람이나 장애물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서 확보해야 하는 구역. 항공기의 크기 및 비행 방식에 따라 폭과 길이가 다름. 약어 : RPZ.
활주로 안전지역 (滑走路 安全地域, runway safety area)
항공기가 이착륙 또는 실패시에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지역으로 활주로 포장 부분 및 노견, 방풍패드, 정지로를 포함함. FAA 에서 채택한 용어로 ICAO의 착륙대(runway strip)와 유사함. 약어 : RSA.
활주로 유효경사 (滑走路 有效傾斜, runway effective gradient)
활주로 중심선상의 최고 최저의 표고 차이를 활주로 길이로 나눈 값. 보통 활주로의 경우 1 % 이내로 하여야 함.
활주로 이설말단 (滑走路 移設末端, displaced threshold)
항공기의 착륙시 장애물을 피하기 위하여 보통 활주로 끝에 위치한 활주로 말든을 안쪽으로 이설하였을 경우에 지칭하는 활주로 말단.
활주로 점유 시간 (滑走路 占有 時間, runway occupancy time)
항공기가 활주로에 이륙하거나 착륙하기 위하여 점유하고 있는 시간. 활주로 용량에 영향을 가장 많이 주는 인자로 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고속이탈 유도로 및 평행 유도로 등이 설치되고 있음.
활주로 중심선등 (滑走路 中心線燈 , runway centerline lights)
카테고리 Ⅱ 또는 Ⅲ 정밀 진입 활주로에 설치하는 활주로 중심선을 나타내는 등화(燈火).
활주로 표지 (滑走路 標識, runway marking)
활주로에 페인트로 도장하는 비행장 표지의 일종. 종류에는 활주로 말단 표지, 지시표지, 활주로 중심선 표지, 접지대 및 접지점 표지, 활주로 경계표지 및 활주로 중앙 표지가 있으며 주로 백색이 이용됨.
활하중 (活荷重, live load)
구조물에 작용하는 자동차 하중, 열차하중, 군중하중 등의 이동이 가능한 비영구 하중. 재하위치, 재하시간 및 재하범위가 자유롭게 변할 수 있으므로 충격효과를 동시에 고려하는 경우가 많음.
활하중 합성보 (活荷重合成 - , composite beam for live load)
합성보의 일종. 콘크리트 경화후에 작용하는 주로 활하중에 대해, 강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단면으로 저항하는 보.
황동 (黃銅, brass)
동에 아연을 혼합한 동합금으로서, 주조나 가공이 쉽고 내식성이 크며 외관이 아름다울 뿐 아니라 값이 싸므로 판, 관, 선 등에 사용됨. 일명 놋쇠라고도 함.
황린 (黃燐, yellow phosphorus)
인의 동소체(同素體)의 하나. 순수한 것은 무색결정이나 보통 담황색 고체임. 물에 녹지 않고 공기와 닿으면 산화, 온도가 상승하며 50 ℃에서 발화함. 적린 등 인화합물 제조에 사용되며 맹독성으로 치사량은 0.1g임.
황산 (黃酸, sulfuric acid)
널리 사용되는 무기산의 일종. 화학식은 H2SO4. 90 % 이상의 수용액을 진한 황산이라 함. 각종 금속을 녹여 수소를 발생하며 황산염이 됨. 금속제련, 제강 등 화학공업의 가장 중요한 기초원료이며 시약으로서의 용도도 넓음.
황산구리 (黃酸銅, copper sulfate)
동과 황산의 화합물, 화학식은 CuSO4, 물에 용해하면 즉각 청색이 됨. 저수지 등에 어류가 번식하였을 경우 그것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쓰임.
황산알루미늄 (黃酸 - , aluminum sulfate)
황산반토라고도 하며 응집제로 널리 사용됨. Al2SO4.?nH2O이며 n은 보통 18임. 고체의 덩어리이나 물에 녹여 액체로 사용하며 수산화알미늄의 콜로이드가 석출되어 응집을 일으킴.
황산제이철 (黃酸第二鐵, ferric sulfate)
응집제로 널리 쓰이며 화학식은 Fe2(SO4)3. 수중의 알칼리와 반응하여 수산화물을 생성함. 플록의 형성 및 침전시간은 황산알미늄보다 빠르며 응집가능 pH의 범위는 5 ~ 11로 넓은 것이 특징임.
황산제일철 (黃酸第一鐵, ferrous sulfate)
응집제로 널리 쓰이며 화학식은 FeSO4?7H2O. 소석회와 함께 사용하여야 하며 고탁도의 원수에 적합하므로 경제적임. 플록은 무겁고 수온이나 pH변화에 의한 영향이 작음. 최적 pH는 8.5 ~ 11로 높음.
황철석 (黃鐵石, pyrite)
FeS2, 등축정계, 경도6~6.5, 조 산화변질하면 갈철광으로 변화하며 여러번에 걸쳐 변화를 함. 유산(硫酸)제조에 필요한 SO2를 발생시키며, 황철광화작용은 열수변질에 의해 암석 가운데서 황철광을 만드는 작용을 함.
황화물 (黃化物, sulfide)
황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 무기화합물로 황화수소, 금속과의 화합물이 흔히 존재하고 유기화합물로 멜카프탄, 이황화탄소 등이 있음. 황산화물은 대기오염물질임.
황화수소 (黃化水素, hydrogen sulfide)
무색의 유독가스로 계란이 부패한 듯한 냄새를 가짐. 화학식 H2S. 천연적으로는 화산, 유황광산, 온천지대 등에서 발생하나 정유 공장, 하수처리장, 오염된 하천, 제강공장 등에서 발생하며 대기오염 물질임.
회귀계수 (回歸係數, regression coefficient)
회귀방정식에서 독립변수의 계수. 1차 선형회귀분석에서는 회귀직선의 기울기에 해당됨.
회귀곡선 (回歸曲線, regression curve, regression line)
종속변수와 독립변수간의 회귀방정식을 도표로 나타낸 직선이나 곡선.
회귀분석 (回歸分析, regression analysis)
한개의 종속변수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독립변수간의 관계식을 도출하는 통계학적인 방법으로 종속변수와 독립변수간의 관계가 선형인가 비선형 인가에 따라 선형 회귀분석과 비선형 회귀분석으로 나눔.
회귀조 (回歸潮, tropic tide)
지구 주위를 적도와 약 23.5°의 각도를 이루는 궤도를 따라 공전하는 달이 최대의 적위를 가질 때(즉 달과 지구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적도와 최대의 각을 이룰 때) 발생하는 조석으로서 연속되는 두 고조의 수위차이가 최대가 됨.
회복가능변형 (回復可能變形, recoverable deformation)
하중을 가하여서 발생된 변형중 하중이 제거되면 회복이 가능한 변형.
회복시험 (回復試驗, recovery test)
양수시험시 양수를 중지한 후 주어진 시간간격동안 양수정이나 주위의 관측정에서의 압력수두나 지하수위 상승량을 측정하는 양수시험.
회분식 반응조 (回分式 反應槽, batch reactor)
처리수의 유출입이 없는 정지상태에서 처리하는 수처리시설의 한 종류. 수조에 1회에 처리할 분량의 물을 넣고 처리한 후 유출시킴. 접촉산화방식에 의한 하수처리 또는 분말활성탄 흡착 등에 쓰임. ↔ 연속식 반응조.
회분침강곡선 (回分沈降曲線, batch precipitation curve)
현탁액의 시간에 따른 침강상태를 그린 곡선. 현탁액을 투명 실린더에 넣고 현탁물층의 높이를 시간별로 구해 plot하며 정속 및 감속침강구간, 임계점 등을 표시함. 침강 농축(沈降濃縮)의 분석에 사용됨.
회색주철 (灰色鑄鐵, grey cast iron)
주철의 일종으로 함유탄소의 대부분이 유리탄소로 되며, 파면이 암회색. KS D4301에 의해 규정되어 있음. 회주철품.
회전 강성도 (回轉剛性度, rotational stiffness)
부재의 단부에 단위회전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회전력.
회전건조기 (回轉乾燥機, rotary dryer)
하수슬러지 등의 건조에 쓰이는 장치의 하나. 회전 드럼에 슬러지를 넣고 회전시키며 건조를 촉진함.
회전생물막접촉기 (回轉生物膜接觸機,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
생물학적 하수처리장치의 하나. 일련의 원판 또는 벌집형 원통을 하수에 절반쯤 잠기게 하여 수평축 주위로 회전시켜, 원판에 부착된 슬러지에 미생물이 번식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도록 함.
회전시추 (回轉試錐, rotary boring / drilling)
비트에 가한 압력과 회전력으로 지반을 천공하는 방법. 지반조사에 광범위하게 사용됨.
회전식제설차 (回轉式除雪車, rotary snow plough)
회전하는 날개로 눈을 잘라내어 그 원심력으로 선로 밖으로 눈을 던져서 제설하는데 사용하는 제설차. 보일러 및 기관을 장비하고 있음.
회전율 (回轉率, turnover)
→ 주차회전율.
회전 지점 (回轉支点, hinge support)
구조물이 지점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나 이동할 수 없도록 만들어진 지점.
회전 진동수 (回轉振動數, circular frequency)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물체가 단위시간 동안 회전한 회전수.
회전차선 (回轉車線, turning lane)
교차로 등에서 자동차를 우회전시키거나 좌회전시키기 위하여 직진하는 차선과 분리하여 설치되는 차선.
회전체 (回轉 - , revolving screen)
원통상 또는 다각통상의 체. 골재의 체가름에 쓰임. 통은 중심폭 주위를 회전하며, 한쪽끝에서 공급되는 골재는 다른쪽 끝으로 제품이 되어 배출됨. 동시에 물을 공급하므로 골재알은 깨끗해지며 더욱이 인공골재의 경우, 체가 회전할 때 마모작용을 받아 골재알의 모가 부서져 둥글게 되는 이점이 있음.
회전틀 (回轉 - , rotary frame)
상자형들보, I-형들보 등을 소요각도로 회전하기 위해 이용하는 포지셔너.
회절 (回折, diffraction)
일련의 파랑이 방파제 또는 섬 등의 장애물에 부딪칠 때 파랑에너지가 파봉선(波峰線)을 따라 횡적(橫的)으로 기하학적 그늘 부분까지 전파되는 현상, 또는 일반적인 정의로서 파의 에너지가 큰 지역으로부터 적은 지역으로 에너지가 전달되는 현상.
회절파 (回折波, diffraction wave)
방파제나 곶의 배후 등 파의 직접적인 내습이 차폐된 지역에 파의 회절 현상으로 인하여 개방된 지역의 파가 휘어져 들어오는 파.
횡갱 (橫坑, cross tunnel, adit)
터널 시공에 있어서 본갱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설치된 대개 수평한 갱도(坑導)로 수평터널 사이의 짧은 횡단터널 혹은 산허리 터널에서는 경사면까지의 터널임.
횡거 (橫距, meridian distance)
각 측선의 중점에서 기준선(보통은 남북방향의 좌표축)에 내린 수직선 길이.
횡단면 (橫斷面, cross section)
도로를 횡방향으로 절단했을 때 나타나는 형상.
횡단면 수평화구간 (橫斷面 水平化區間, tangent runout)
도로배수를 위해 양측으로 횡단구배를 가진 포장면이 완전히 수평한(편구배= 0 %) 상태로 점차 바뀌는데까지의(또는 그 반대인 경우의) 변이구간.
횡단보도 (橫斷步道, crosswalk)
보행자의 차도횡단을 위해 노면표시로 구분한 차도 횡단구역.
횡단보도교 (橫斷步道橋, pedestrian crossing bridge)
횡단하는 보행자를 차도면 보다 상부에 분리한 입체횡단교.
횡단측량 (橫斷測量, cross sectioning)
노선중심점의 직각방향으로 지형, 지물을 관측하여 횡단면도를 작성하는 작업.
횡방향마찰 (橫方向摩擦, side friction)
차량이 곡선부를 주행할 때 원심력에 대항하는 마찰력.
횡방향 지지기둥 (橫方向 支持 - , braced column)
브레이싱에 의하여 횡방향 변위를 구속한 기둥.
횡방향 철근 (橫方向 鐵筋, lateral reinforcement)
일반적으로 기둥속의 주철근을 둘러싸는 띠 모양, 링모양 또는 나선상의 철근.
횡방향 프리스트레스 (橫方向 - , transverse prestress)
부재의 주축에 직각으로 가하는 프리스트레스.
횡변형도 (橫變形度, lateral strain)
축방향하중을 받는 경우 이에 직각 방향의 변형도.
횡 보강재 (橫補剛材, lateral bracing)
횡하중 또는 횡좌굴에 대한 주 부재의 저항성을 높이기 의하여 덧대는 보조 부재.
횡비틀림좌굴 (橫-挫屈, lateral torsional buckling)
휨모멘트를 받는 부재가, 휨응력작용면의 면외로 비틀림을 동반하여 좌굴하는 현상.
횡스티프너 (橫 - , transverse stiffener)
보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설치되는 보강재. 플레이트거더에서는 수직보강재가 이에 해당됨.
횡압력 (橫壓力, lateral pressure)
토압 및 수압, 풍압 등 구조물의 측면에 작용하는 횡방향으로부터의 압력.
횡월류 (橫越流, side overflow)
개수로의 측벽에 물넘이 웨어를 설치할 때 수로내의 흐름에 직각방향으로 물이 넘쳐 흐르는 현상. 가로 물넘이라고도 함.
횡유입류 (橫流入流, lateral inflow)
어떤 수로구간에 수로에 접한 유역으로부터 수로를 따라 횡방향으로 하천, 호수 또는 저수지로 유입하는 흐름.
횡접합점 (橫接合點, tie-point)
사진과 사진, 모형(model)과 모형, 스트립(從接合模型, strip)과 스트립간의 연결을 위하여 중복부에 표시한 사진상의 점.
횡좌굴 (橫挫屈, lateral buckling)
→ 가로 좌굴.
횡중복도 (橫重複度, lateral overlap, sidelap)
촬영방향에 직각으로 중복시키는 것으로 최소한 5 % 이상이어야 함.
횡취기 (橫取機, side loading carrier)
포장 층별로 재료를 부설한 후 진행방향에 직각인 축에 설치된 time으로 재료를 혼합하는 장비. 재래의 노반위에 보충재료를 가해서 혼합할 경우에는 우선 노면의 요청수정후 하충재료를 배합비 대로 입경이 큰 재료부터 부설함.
횡치식 용접 (橫置式鎔接, firecracker welding)
긴 피복아크 용접봉을 홈에 밀착시켜 두고, 일단에서 아크를 발생시켜, 아크의 진행에 의해 자동적으로 되는 용접. 용접봉이 휘는 것을 막기 위해 구리받침대를 이용하는 것이 많음.
횡파 (橫波, ① cross wave ② transversal wave)
① 파동을 전파하는 매질(媒質)이 파동의 진행 방향에 직각으로 진동하는 파동.
② 지진에 의해 발생되는 파의 일종으로서 전파속도가 느리고 파동 진행방향에 직각을 이루고 체적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형태만 변화하는 파. 전단파, S파, 비틀림파라고 함.
횡하중 (橫荷重, lateral load)
구조물 또는 부재에 대해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
횡하중말뚝 (橫荷重 - , laterally loaded pile)
수평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말뚝으로 주동말뚝과 수동말뚝으로 구분됨. 수평하중말뚝이라고도 함.
효과척도 (效果尺度, measure of effectiveness)
교통시설이 운전자, 승객, 보행자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을 나타내는 지표. 약어 MOE.
효소 (酵素, enzyme)
생물에 의해 만들어지는 고분자 유기촉매로서 생체 내의 화학반응에 촉매로 작용함. 효소는 단백질인 점과 촉매반응이 상온, 상압에서 진행되는 점이 무기촉매와의 차이임.
효용함수 (效用函數, utility function)
각 개인의 효용을 함수로 나타낸 것으로서 교통에서는 수단선택모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됨. 즉, 개인의 만족을 나타내는 척도로 쓰이며 개인의 목적추구는 효용을 극대화하려고 한다고 가정함.
후강판 (厚鋼板, steel plates)
열간압연에 의해 제조된 강판으로, 통상 두께 3.0 mm 이상인 것. 특히 3.0 mm 이상 6.0 mm미만인 것을 중판, 6.0 mm 이상인 것을 후판이라고도 함.
후기양생 (後期養生, after curing)
초기 양생에서 계속해서 콘크리트가 충분히 경화할 수 있도록 수분의 증발을 막는 양생 또는 물을 주는 양생.
후막관 (厚膜管, thick-walled tube)
열간 압연에 의하여 제조된 관으로 일반적으로 두께 3 mm 이상인 것.
후방교선법 (後方交線法, resection)
미지점(기계점)으로 부터 기지점 방향을 관측하여 수평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후빈 (後濱, backshore, back beach)
전빈에 계속된 육지쪽의 해안.
후석회처리 (後石灰處理, lime post-treatment)
탈수된 슬러지의 pH를 높이기 위해 석회를 혼합하는 것. 소석회 또는 생석회를 사용하며 전석회처리에 비해 건조석회 사용이 가능한 점, 탈수장치가 필요하지 않은 점 등의 장점이 있음.
후시 (後視, back sight)
기지점에 세운 수준표척의 읽음 또는 기지점의 방향에 대한 시준. BS라고도 함.
후연소기 (後燃燒機, after burner)
자동차 배기가스의 오염물중 가연성인 것, 즉 일산화탄소, 미연소 탄화수소 등을 재연소하여 제거하기 위한 장치. 직접연소식과 촉매식이 있으며 협의로는 전자를 말함.
후열 (後熱, post heating)
용접부 또는 가스 절단 부근의 열 영향부의 경화를 방지하고, 또 확산성 수소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여, 구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접 직후 또는 열절단직후에 열을 가하는 것.
후염소처리 (後鹽素處理, post chlorination)
과다 번식한 조류를 침전여과에 앞서 제거하는 것이 전염소처리임에 반해, 정수된 물의 공급에 앞서 잔류효과를 위해 염소를 주입하는 것.
후침전 (後沈澱, after precipitation)
정수과정에서 응집제와 함께 주입된 과잉의 소석회가 배수도중 수도관내에서 탄산칼슘으로 침전되는 현상. 응집제로 황산알미늄, 황산제일철 등을 사용할 때 소석회가 사용되며 과잉주입되지 않도록 해야 함.
후크 볼트 ( - , hook bolt)
선단이 갈고리모양으로 구불어져 있는 볼트.
후크 법칙 ( - 法則, Hooke’s law)
탄성체의 응력과 변형도가 선형적인 관계를 가진다는 법칙.
후퇴용접 (後退鎔接, back step welding)
패스 방향과 용접방향이 역으로 되는 용접방법. 반 스탭 용접이라고도 함.
후프 텐션 ( - , hoop tension)
얇은 원형 구조물에서 내부압력으로 인하여 그 원주방향으로 발생하는 인장 응력.
훈증 (燻蒸, fumigation)
살균 소독법의 하나. 밀폐시킨 공간에 휘발성 또는 분무제의 살충제를 살포하고 일정시간 경과시킨 후 환기함. 비닐하우스, 선박 등 공간이 좁고 밀폐가 쉬운 곳에 적합하며 효과도 큼.
훼일세이프 구조 ( - 構造, fail safe structure)
일부의 부재가 붕괴되어도 구조전체는 안전하여 그 설계하중중 소정의 비율의 하중을 일정기간 받을 수 있는 구조.
휘발성고형물 (揮發性固形物, volatile solid(VS))
물을 600 ℃로 가열할 때 산화, 휘발되는 물질로서 유기물이 이에 해당되나 예외로서 탄산마그네슘이 포함됨. 흔히 하수슬러지의 무기안정화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측정함.
휘발성부유고형물 (揮發性浮游固形物, volatile suspended solid(VSS))
미세입자 또는 콜로이드상태로 존재하는 휘발성고형물.
휘발성유기물 (揮發性有機物, volatile organic matter)
휘발성고형물중 순수한 유기물에 해당하는 것.
휘석 (輝石, pyroxeneaugite)
중성화성암 및 접촉변성암 등에 염기성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유색광물로 사방휘석 및 단사휘석으로 대별되며 흑색, 녹색, 청색 등 여러색을 나타냄.
휠 엑스커베이터 ( - , wheel excavator)
굴착버킷을 다수 장치한 휠을 회전시켜서 연속적으로 토사를 굴착하는 기계.
휠 기중기 ( - , wheel crane, mobile crane)
2개의 축 또는 그 이상의 바퀴식 하부 주행체를 갖는 자주 크레인.
휠 트랙킹 시험 ( - , wheel tracking test)
아스팔트 혼합물의 내유동성을 실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하는 시험. 소정의 크기의공시체상을 하중조정한 소형의 고무차륜을 반복하여 주행시켜 그 때의 단위시간당의 변형량에서 동적 안정도를 구함.
휠 트랙터셔블 ( - , wheel tractor shoverl)
주행장치를 차륜식으로 한 트랙터 셔블, 차륜식로더하고도 함.
휨 ( - , bending)
부재가 부재축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하중을 받아, 휘는 변형에 의하여 하중에 저항하는 현상.
휨 강도 ( - 强度, bending strength)
휨에 대하여 주어진 재료가 저항할 수 있는 강도.
휨 강도시험 ( - 强度試驗, bending test)
콘크리트의 휨강도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단순보의 중앙점 하중법, 3등분점 하중법 등이 있음.
휨 강성 ( - 剛性, flexural rigidity)
부재의 휨 변형에 저항하는 능력으로 탄성계수와 단면 2차모멘트의 곱.
휨 균열 ( - 龜裂 , flexural crack)
휨 모멘트에 의하여 부재의 인장면에 발생하는 균열.
휨 모멘트 ( - , bending moment)
부재를 휘게 작용하는 모멘트.
휨 모멘트도 ( - 圖, bending moment diagram)
외력을 받은 부재의 각 점에 생기는 휨모멘트의 크기를 부재축을 따라 나타낸 그림.
휨 변위 ( - 變位, flexural displacement)
부재가 휨으로써 발생되는 변위.
휨 변형 ( - 變形, flexural deformation)
외부하중이 부재에 휨을 일으켜 발생시키는 변형.
휨 부재 ( - 部材, bending member, flexural member)
휨모멘트를 받는 부재.
휨 부착 ( - 附着, flexural bond)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에 있어서 외부하중 작용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와 긴장재 사이에 일어나는 응력.
휨 부착응력 ( - 附着應力, flexural bond stress)
휨모멘트는 단면에 따라 변화하므로 철근에 일어나는 인장력도 단면에 따라 변화하며 철근과 콘크리트의 경계면에는 철근의 축방향으로 부착응력이 일어나며 이를 휨부착응력이라 함.
휨 응력 ( - 應力, bending stress)
휨모멘트로 인하여 발생되는 응력. 휨응력은 작용하는 휨모멘트와 단면의 중립축으로 부터 떨어진 거리에 비례하며, 단면2차모멘트에 반비례.
휨 전단균열 ( - 剪斷龜裂, flexural shear crack)
이미 발생한 휨균열의 선단에서 시작되고 발달된 사인장균열.
휨 중심 ( - 中心, center of flexure)
→ 전단 중심.
휨 평면 ( - 平面, plane of bending)
휨 부재에서 모든 하중이 임의의 평면상에서 주어져 있고, 하중에 의한 휨 처짐 역시 하중과 같은 평면상에서 발생할 경우 그 임의 평면을 가르킴.
휴게소 (休憩所, rest area)
주로 장거리 통행이 많은 지역간 도로변에 휴식, 주유 또는 간단한 정비 등을 위한 시설이 제공되는 장소.
휴대용콘관입시험기 (携帶用 - 貫入試驗機, portable / pocket cone penetrometer)
콘관입시험기의 일종. 관입력이 100 kg 미만의 인력으로 관입시킬 수 있는 시험기.
흄관 ( - 管, hume pipe)
철선을 종, 횡으로 조립한 바구니를 몰드에 넣고 회전하면서, 혼합한 콘크리트를 몰드 속에 넣어 원심력에 의해 제조하는 관,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이라고도 함.
흉벽 (胸壁, parapet wall)
비말 또는 위험 등을 방지할 목적으로 구조물의 상벽에 설치한 벽.
흐름시험 ( - 試驗, flow test)
콘크리트의 흐름의 정도를 시험하는 것으로서 철근사이를 흐르는 정도를 나타냄.
흐름 함수 ( - 函數, stream function)
2차원 비압축성 정상류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칼라 함수로서, 이 함수가 일정한 값을 갖는 선들이 유선이 되며, 두 유선 사이의 단위시간당 유량은 두 유선상의 이 함수값들의 차이와 같음.
흐트러지지 않는 시료 ( - 試料, undisturbed sample)
지반중에서 자연상태로 전혀 교란되지 않는 시료. 즉, 구속압을 제거한 영향만 받고 기계적 교란을 받지 않는 시료로서 주로 강도정수를 측정하기 위한 시료임.
흐트러진 시료 ( - 試料, disturbed sample)
구속압의 제거와 기계적인 교란을 모두 받은 시료이며 주로 토질정수를 측정하기 위한 시료임.
흑운모 (黑雲母, biotite, black mica)
화성암의 중요한 박편상 조암광물. 변질되면 녹니암(綠泥岩) 등으로 변함.
흑철관 (黑鐵管, black pipe)
아연도금을 하지 않은 강철관.
흑피 (黑皮, ① mill scale ② forged surface)
① 강재를 열간가공할 때에 생기는 검은 산화물층.
② 단조한대로의 단조품의 표면. 보통은 스케일을 제거한 상태를 말함.
흑피볼트 (黑皮 - , rough bolt)
축과 머리 모두 마무리하지 않은 압연흑피 그대로의 볼트. 흑볼트라고도 함.
흘수 (吃水, draft, draught)
물체가 수면에 떠 있을 때 수면에서 부체의 최하단까지의 수심.
흘수선 (吃水線, draft line)
잔잔한 물에 떠 있는 배의 선체가 물에 잠기는 한계선
흙갈퀴 ( - , scarifier)
그레이더, 로드롤러 등에 장치하여 굳은 흙을 파헤치는 기구.
흙댐 ( - , earth dam)
흙을 주재료로 하여 축조한 댐으로 단면의 형식에 따라 균일형, 존형 및 심벽형 등으로 분류되고 시공방법에 따라 전압식과 물다짐댐이 있음.
흙막이 ( - , bracing)
지반의 굴착이나 성토 등에서 생기는 수직면이나 사면에 벽체 등의 구조물을 설치하여 지반의 붕괴나 과대변형을 방지하는 것.
흙막이널 ( - , sheeting)
흙막이 가설판자로서 흙에 접하여 이를 지지하는 부재.
흙막이벽 ( - , braced wall)
흙막이작업에 있어 지반의 붕괴나 과대한 변형을 막기 위하여 마련된 벽체.
흙막이앵커 ( - , earth anchor)
→ 어스 앵커.
흙막이판 (“土留板”, lagging)
개착방법에 의하여 지하굴착시 토압에 저항하기 위하여 H빔 등의 흙막이 말뚝사이에 설치되는 판을 흙막이판이라 함. 흙막이판은 최종굴착 깊이에서의 토압강도에 따라서 계산된 판두께를 굴착전면에 사용함.
흙손마무리 ( - , trowel finish)
흙손을 사용하여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거나 채우는 작업.
흙쐐기 ( - , soil wedge)
벽이 붕괴할 때 벽의 배면과 활동면에 대해서 쌓여지는 쇄기모양으로 되는 흙의 부분.
흙 시멘트 ( - , soil cement)
→ 쏘일 시멘트.
흙 안정처리 ( - 安定處理, soil stabilization)
→ 흙의 안정화.
흙의 구조 ( - 構造, soil structure)
흙을 구성하는 토립자나 간극의 배열상태 및 입자간 작용력을 총칭함. 흙의 구조는 흙의 밀도, 함수비와 함께 흙의 역학적 성질을 결정하는 상황요인임. 자연상태의 점토가 퇴적되어 교란될 때의 강도 저하, 지진으로 인한 포화모래의 액상화 등을 흙의 구조를 통하여 이해할 수 있음.
흙의 다짐 ( - , soil compaction)
전압, 기타의 방법으로 흙을 조밀하게 다져 밀도를 증가시키는 것.
흙의 분류 ( - 分類, soil classification)
여러가지 성분이 조합된 흙을 공학적인 이용을 위해 동일한 개념의 군으로 분류하는 것을 의미하며 공학적 분류외에도 입경에 의한 분류 및 삼각분류법이 있음. 공학적 분류법에는 MIT, BS, AASHTO 및 통일분류법이 있으나 이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AASHTO 및 통일분류법.
흙의 삼상 ( - 三相, three phases of soil)
흙은 고상(固相,solid phase), 액상(液相,liquid phase), 기상(氣相,gaseous phase)으로 구성되므로 이것을 흙의 삼상이라 함. 흙의 상태가 삼상의 각각의 체적과 질량의 관계로부터 정의되는 것들로는 함수비, 간극비, 포화도, 밀도, 등이 있음.
흙의 안정화 ( - 安定化, soil stabilization)
흙의 안정성을 증대시키거나 유지하기 위하여 또는 그 공학적 성질을 개선할 목적으로 화학적 내지는 기계적 처리를 하는 것.
흙의 연경도 ( - 軟硬度, consistency of soil)
→ 컨시스턴시.
흙콜로이드 ( - , soil colloid)
점토 또는 유기적인 특히 미소한 입자로서 보통 입경이 0.001 mm 이하의 것을 가리키며, 이의 비표면적은 대단히 크므로 표면반응이 활발하여 흙의 소성 용적변화 및 점착력 등에 크게 영향을 줌.
흙 혼합 플랜트 ( - 混合 - , soil mixing plant)
소일 시멘트나 입도조정재료 등 기층재료를 혼합, 생산하기 위한 플랜트로서 중앙플랜트방식으로 사용함. 골재, 시멘트, 물 등의 공급장치 수개의 재료홉퍼, 연속식 퍼그밀형 믹서, 혼합용의 홉퍼 등으로서 100ton/h ~ 수100ton/h의 생산능력을 가지고 있음.
흡광광도법 (吸光光度法,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시료용액 또는 여기에 적당한 시약을 넣어 발색시킨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중의 성분을 정량하는 방법. 파장200~1,200nm에서의 액체의 흡광도를 측정하며 대기중이나 굴뚝 배출가스 중의 오염물질 분석에 적용함.
흡수 (吸收, absorption)
① 기체가 액체나 고체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일.
② 물질이나 구조체속에서 탄성파, 복사에너지가 감쇠되는 일.
③ 원형질막 등 생체막이 외부로부터 내부로 물질을 받아들이는 일.
④ 흙이 그 내부 간극중에 물을 흡수하는 현상. 간극의 제 성질에 의거 흡수량, 흡수속도 등이 지배됨.
흡수량(골재) (吸水量(骨材), water absorption)
표면 건조 포하상태의 골재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량.
흡수율 (吸水率, water absorption ratio, absortion index)
① 흡수포화되었을 때의 물중량과 실질부분과의 중량비.
② 흡수포화되었을 때의 물중량과 전중량과의 비(골재에 사용).
흡음처리 (吸音處理, accoustic treatment)
① 외부로부터 침입한 소음이나 실내에서 발생한 소음이 실내에서 성장하여 소음레벨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
② 잔향에 의하여 실내 발생음이 길게 남아서 크게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함.
③ 반복반사에 의하여 소음이 원방까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
흡입관 (吸入管, suction pipe)
유체를 빨아 올리는 관로. 펌프의 유입구에서 펌프까지의 관.
흡착 (吸着, adsorption)
활성탄, 실리카 겔, 지오라이트와 같은 다공질 고체가 주위의 기체나 용존물질을 빨아들이는 현상. 세공 내부의 농도가 표면의 농도보다 짙은 상태에서 안정화됨. → 활성탄 흡착.
흡착등온선 (吸着等溫線, adsorption isothermal curve)
활성탄의 흡착량이 포화점에 도달했을 때 용질의 농도(평형농도)와 활성탄의 포화흡착량과의 관계를 선으로 나타낸 것. 포화흡착량과 흡착속도를 구하는데 이용되며 흡착량이 온도에 따라 다르므로 일정온도에서 구함.
흡착등온식 (吸着等溫式, adsorption isotherm)
흡착등온선을 식으로 표시한 것. 실험에 의해 계수를 결정하며 식의 형태로는 Henry형,
Freun-dlich형, Langmuir형 및 B.E.T.형 등이 있음. → 등온흡착식
흡착수 (吸着水, hygroscopic water, adsorbed water)
흙입자 또는 광물입자의 표면에 물리화학적 힘에 의하여 흡착되어 있는 물.
흡착수막 (吸着水膜, adsorbed water layer)
광물입자 표면의 수분으로 형성된 막.
흡착여과 (吸着濾過, adsorption filtration)
여과에 흡착기능이 결합된 것. 응집여과, 이온교환수지 방식에 의한 여과, 프리코트 여과 등이 예임.
흡착제 (吸着劑, adsorbent)
흡착기능이 있어 기체 또는 액체의 정화에 이용되는 물질. 입상(粒狀) 또는 분말(粉末)형태이며 대표적인 것으로 활성탄이 있고 활성 알루미나, 실리카 겔 등도 사용됨.
흡출고 (吸出高, draft head)
반동수차의 수차중심(프란시스수차에서는 런너 중심)과 방류면과의 수두차.
흡출관 (吸出管, draft tube)
수차의 말단에서 방수로 수면하에 이르는 관.
희석 (稀釋, dilution)
농도가 다른 두 기체 또는 액체가 섞여 전체적으로 농도가 낮아지는 현상. 좁은 의미로는 처리 또는 미처리하수를 하천이나 바다에 방류할 때 사용되는 최종처분의 한 방법을 말하며 미처리하수의 경우 수계를 오염시킴. → 희석방류.
희석방류 (稀釋放流, dilution discharge)
폐수의 최종처분방법의 하나. 미처리 또는 처리하수를 청정한 물로 희석하여 오염물 농도를 허용한도 이하로 낮춘 후 방류하는 것.
희석배수치 (稀釋倍數値, threshold odor number)
약칭 TO. 물의 냄새의 강약을 측정하는 데 사용됨. 희석배율을 늘려가며 냄새를 측정하여 냄새가 느껴지지 않을 때의 희석배수로 표시함. 개인차가 크므로 10인 정도의 측정자가 참가함. 한계취기수라고도 함.
희석비 (稀釋比, dilution factor)
시료가 희석된 배율. 희석된 후의 부피를 원 시료의 부피로 나눈 값.
희석수 (稀釋水, dilution water)
처리하수의 방류, BOD측정, 냄새측정 등에서 희석을 위해 시료에 첨가하는 맑은 물. 목적에 따라 하천수, 증류수 등이 사용되며 희석에 앞서 폭기를 하는 경우도 있음.
희석처분 (稀釋處分, disposal by dilution)
→ 희석방류.
히빙 ( - , heaving)
→ 팽상.
히야신스 ( - , water hyacinth)
성장속도가 빠른 담수식물의 하나. 오염물의 흡수능력이 크며 이 점을 이용하여 오염된 수계의 정화에 사용함.
힌지 ( - , hinge)
→ 활절.
힌지받침 ( - , hinged bearing)
힌지로 지지된 받침으로 회전 만이 자유.
힘 ( - , force)
정지하고 있는 물체를 움직이게 하거나 운동하고 있는 물체의 운동방향이나 속도를 변하게 하는 원인.
힘의 다각형 ( - 多角形, force polygon)
많은 힘들의 합력을 도해적으로 구하기 위하여 주어진 힘들과 평행하고 크기가 같게 순차적으로 그린 다각형.
힘의 모멘트 ( - , moment of force)
물체를 회전시키려는 힘의 능률. 힘의 모멘트는 힘의 크기와 회전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를 곱하여 나타냄.
힘의 분해 ( - 分解, decomposition of force)
하나의 힘을 이것과 똑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방향의 힘 성분으로 나눈 것.
힘의 3요소 ( - 三要素, three elements of force)
힘의 크기, 힘의 작용점, 힘의 방향의 3가지 요소의 총칭.
힘의 작용선 ( - 作用線, line of action of force)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연장한 선.
힘의 크기 ( - , magnitude of force)
힘의 세기의 정도.
힘의 평행사변형 ( - 平行四邊形, parallelogram of force)
한 점에서 만나는 두 힘의 합력을 구하고자 할 때 그리는 평행사변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