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함박도 초토화 계획은...K-9·천무 동원한 화력전
공대지 정밀유도폭탄(J-DAM) 타격 가능성도
5일 오전 경기도 화성시 해병대사령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의 해병대사령부 및 서북도서방위사령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이승도 사령관이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연합뉴스
이승도 해병대사령관이 15일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지난 2017년 5월 서해 북방한계선(NLL) 근처에 위치한 함박도에 대한 초토화 계획을 세웠다고 밝힘에 따라 군 당국이 일찌감치 함박도의 군사적 위협 가능성을 인지하고 대비해온 사실이 확인됐다.
이 사령관은 이날 함박도 초토화 계획 실행 부대를 해병 2사단이라고 했다. 해병 2사단은 경기 김포, 강화 지역에 주둔하고 있다.
예하 포병연대가 K-9 자주포와 천무 다연장로켓 등을 운용하고 있다. 그런 만큼 함박도 초토화 계획은 K-9 자주포와 천무 다연장로켓 등을 동원한 화력 타격전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사령관도 "해병 2사단 화력 계획을 세웠다"고 밝혔다. 포병 부대들이 함박도를 타격 지점으로 하는 계획을 세웠다는 것이다. K-9의 사거리는 40km, 천무 사거리는 80km 정도다.
해병 2사단 주둔지에서 함박도까지 거리를 감안하면 유사시 K-9, 천무로 충분히 타격할 수 있다는 게 군사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해병 2사단뿐 아니라 공군도 함박도 타격 계획을 세웠을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무인도인 함박도 면적은 1만9971㎡(6000평)로 축구장 3개 정도의 크기다. 공군의 공대지(空對地) 정밀유도폭탄(J-DAM) 등을 사용해 충분히 초토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해병대가 함박도 초토화 계획을 수립한 계기는 그 무렵 북한 선박이 함박도에 접안한 사실이 포착됐기 때문이다. 초토화 계획 수립 시점은 문재인 정권 출범을 며칠 앞둔 시점이었다.
해병대는 특히 이날 국감에서 함박도를 비롯해 서해 NLL 인근 무인도 5곳(갈도·장재도·무도·아리도·함박도)에 대한 군사 기지화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교시에 따라 지난 2015년부터 시작됐음을 인정했다.
김정은이 2014년 8월 군사 기지화하라는 교시를 내렸고 이에 따라 북한군이 함박도 등에 레이더와 감시 장비 등을 배치하는 요새화 작업에 나서자 우리 군도 초토화 계획을 수립하게 됐다는 뜻이다.
해병대의 이런 설명은 국방부가 함박도에 설치된 레이더가 군사용이 아닌 민간용이라고 밝혀온 것과 배치된다. 국방부는그간 "군사용이 아니라 일반 상선이나 어선에 달려 있는 항해용 레이더"라고 해왔다.
북한이 함박도를 군사기지화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선을 그은 셈이다. 그러나 이 사령관의 이날 발언은 북한이 함박도에 포병 부대를 들이는 등 군사기지화할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북한군 최고사령관인 김정은의 지시로 군사기지화가 진행된 코 앞의 합박도의 군사적 위협 가능성을 국방부가 의식적으로 과소 평가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조선일보] 2019.10.15
'★해병대 실무부대 > 해병대 2사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병대2사단 과학화 경계시스템 체계적 운용법 숙달 (0) | 2021.07.22 |
---|---|
[해병대2사단] K55A1 사격, 속도·사거리 ‘서프라이즈’ (0) | 2017.10.22 |
[해병대2사단] 상륙기습훈련...무더위도 적군도 이긴다! (0) | 2017.08.03 |
한민구, 제2해병사단 방문…"빈틈없는 경계태세 유지" (0) | 2017.06.17 |
"가족이자 전우"…서해 최전방 지키는 '해병대 남매 (0) | 2017.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