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용어·지식/한글군사용어

한글 군사용어 해설 (ㅊ)

머린코341(mc341) 2014. 7. 5. 20:40

 

한글 군사용어 해설 (ㅊ) 

 

차단(遮斷, Interdiction)
적이 어떤 지역 또는 통로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제반 수단을 이용하여 저지 또는 방해하는 것.
 
차단기뢰원(遮斷機雷原, Interception Minefield)
기뢰가 부설된 구역에 선박이 접근치 못하게 제지할 목적으로 갖는 방어용 기뢰원으로 항만방어구역 내로 출입하는 모든 선박을 위협하기 위해서 부설된 기뢰원.
 
차단사격(遮斷射擊, Interdiction Fire)
적이 어떠한 지역이나 지점을 사용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하여 실시되는 사격.
 
차단선(遮斷線, Interdiction Line)
적을 특정지역에서 포착 섬멸하기 위하여 병력을 배치하는 저지선으로서 지형의 특징, 가용병력, 기동력 및 적의 침투능력을 고려하여 선정함.
 
차단지역(遮斷地域, Interdiction Area)
수도권에 대한 적의 공중위협에 대처하기 위하여 설정된 수도권 방공작전지역으로, 적 항공기를 수도권에 도달하기 전에 최종적으로 격멸하기 위한 구역이다. 이 지역은 P-73지역을 포함하여 수 개의 차단지대로 되어 있음.
 
차량화부대(車輛化部隊, Motorized Unit)
타 부대의 지원 없이 인원, 무기 및 장비를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완전히 수송화된 부대.
 
차장(遮障, Screen)
이동중이거나 정지하고 있는 부대의 전방, 측방 혹은 후방에 대한 감시를 유지하기 위하여 관측, 보고 및 적과의 접촉유지를 통해서 그 부대에 조기경고를 제공하는 경계임무 또는 방어시 저항방법의 일부로서 관측소, 정찰대 등을 운용하여 적의 접근을 경고하고 능력 범위내에서 와해, 격멸하는 것.
 
차장부대(遮障部隊, Screening Force)
현행작전을 적의 방해활동이나 관측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우군과 적 사이에서 활동하는 부대. 통상 기계화부대로 구성됨.
 
차장연막(遮障煙幕, Screening Smoke)
적의 지상 및 공중 관측을 방해하고, 적의 전자광학, 관측장비를 무력화시키기 위해 우군 작전지역이나 적과 우군부대 사이의 지역에서 운용하는 연막형태.
 
차폐 전파방해(遮蔽電波妨害, Screen Jamming)
적의 전자전 탐지로부터 자신을 차폐시킬 목적으로 수행하는 전파방해.

 

 

차폐(遮蔽, Defilade)
고지, 능선, 둑과 같은 장애물에 의해서 적의 관측과 사격으로부터 방호되는 것.
 
차폐사격(遮蔽射擊, Defilade Fire)
능선 또는 고지의 배사면에 위치하는 표적에 대하여 실시하는 사격.
 
착륙관제 유도장치(着陸官制誘導裝置, Ground Controlled Approach; GCA)
악천후에 대비, 항공기가 무사히 착륙할 수 있도록 지상에서 유도해 주는 장치.
 
착륙보조물(着陸補助物, Landing Aids)
항공기의 접근과 착륙에 보조역할을 하는 조명등, 라디오 비이컨, 레이더 및 통신장치 또는 체계.
 
착륙장소(着陸場所, Landing Site)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착륙점을 갖는 착륙지대 내에 있는 장소.
 
착륙지대(着陸地帶, Landing Zone; LZ)
항공기(헬리콥터)의 착륙을 위해서 사용되는 목표지역 내에 위치한 특정지대, 병력이나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특정한 지상의 구역으로 통상 음어화함.
 
착륙지대통제반(着陸地帶統制班, Landing Zone Control Party)
특정한 착륙지대를 위하여 지상에서 항공기의 교통통제를 실시 하는 통신 및 신호장치를 설치, 운용하도록 특별한 훈련을 받고 장비를 갖춘 인원의 한 집단.
 
착륙지역(着陸地域, Landing Area)
1.(공수) 공중투하나 착륙을 위하여 부대나 장비를 착륙시키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지역. 이 지역에는 1개 이상의 투하지대나 활주로가 포함됨.
2.항공기의 이착륙을 위하여 지정되거나 사용되는 육지, 수면이나 갑판 표면.
 
착륙지점(着陸地點, Landing Point)
회전익 항공기가 착륙할 수 있는 착륙장소 내의 한 지점.
 
착저(着底, Bottoming)
해저에 침강하여 정지함으로써 전원손실을 막고 적의 탐지를 예방하려는 잠수함의 운용술.

 

 

착지점(着地點, Impact Point)
최초낙하산 또는 공중 투하화물이 지상에 착지할 투하지대의 한지점.
 
참모(參謀, Staff)
지휘관의 지휘권 행사를 보좌하기 위하여 임명되었거나 파견된 장교들이며, 참모는 지휘관이 부대지휘의 막중한 책임과 불확실한 전장상황에서도 지휘관의 의지를 자유롭게 실현하고,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보좌함. 이를 위하여 참모는 항시 지휘관의 의도를 명찰하고 하의상달을 도모하며, 상·하 의지를 일치시켜 임무를 완성할 수 있도록 책임을 다하여야 함.
 
참모각서(參謀覺書, Staff Supervision)
사단급 이상 참모가 관할 전 부대 참모에게 조언 또는 강조사항을 수록한 문서이며, 발행참모부별, 발행연도별 일련번호를 부여함.
 
참모감독(參謀監督, Staff Supervision)
지휘관 예하의 타 참모장교와 개인에 대하여 지휘관의 계획 및 방침을 주지시키며, 이를 수행하는 데 조력하고 그 수행진도를 파악하여 지휘관에게 조언함으로써 지휘관이 의도하는 대로 시행될 수 있도록 활동하는 과정.
 
참모판단(參謀判斷, Staff Estimate)
참모장교가 지휘관의 중요한 행동방책에 영향을 미치는 관심 사항의 특정한 분야를 요소별로 전문적인 평가를 하는 것.
 
참조선(參照線, Reference Line)
방향 또는 방위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선.
 
참조점(參照點, Reference Point)
현저하고 위치확인이 용이한 지점 또는 상대적인 위치를 알기 위한 어떠한 기준점.
 
참호매장(塹壕埋葬, Trench Burial)
사망자가 다수일 때에 처리하는 매장 방법, 도랑을 파서 그 속에 개개 유해를 나란히 쌓아 파묻는 것.
 
창(廠, Depot)
보급품의 수령, 분류, 저장, 계정, 불출, 정비, 조달, 제작, 조립, 연구 또는 폐품활용을 위한 업무 중 하나 이상의 업무를 수행할 책임을 지고 있는 편성된 장소.
 
창정비(廠整備, Depot Maintenance; DM)
수리 및 분해수리나 재생이 요구되는 완제품, 부분품 및 결합체에 대한 정비를 말하며, 이는 장비의 조달소요를 감소시킴.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야전정비부대의 정비능력 초과분을 지원함.

 

 

채프(Chaff)
레이더 영상에 혼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전자파를 반사시키는 데 사용되는 얇고 좁은 모양의 금속성이나 도금한 종이 또는 플라스틱 조각 등의 물체로서 윈도우라고도 하며, 길이는 방해대상 장비의 주파수에 따라 결정됨. 통상 파장의 1/2의 길이로 만들며 저주파보다는 300MHz 이상의 고주파에 효과적임.
 
채프회랑(~回廊, Chaff-Corridors)
채프전술의 일종으로 채프살포 편대를 편성하여 대량의 채프를 살포함으로써 공중공간에 채프가 퍼져 있는 일정지역.
 
척후병(斥候兵, Scout)
야전에서 첩보를 수집하는 자. 적에 관한 첩보를 얻기 위하여 한 지역을 정찰하는 훈련된 관측병.
 
천수통과능력(淺水通過能力, Shallow Fording)
특수방수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자체의 고유장치로 하저와 접촉하면서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는 능력.
 
천해(淺海, Shallow Water)
해면파가 해저지형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해역의 수심, 일반적으로 수심이 파장의 1/2 이하일 때 천해라 함.
 
철갑소이탄(鐵甲燒夷彈, Armor-Piercing Incendiary)
철갑탄과 소이탄을 분리해서 사용하는 대신에 소총이나 기관총에 사용시 링크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탄약이며, 이 탄은 철갑탄과 유사하나 탄두충전물에 탑 대신 소이제가 들어 있음.
 
철수 호송선단(撤收護送船團, Evacuation Convoy)
전쟁초기에 지역철수를 위하여 사용되는 대양 호송선단.
 
철수(撤收, Withdrawal)
전개하고 있는 부대의 전부 혹은 일부가 적으로부터 이탈하는 작전. 철수는 주간 혹은 야음하에서 실시되며 적의 강압하에서 또는 자발적으로 실시될 수 있음.
 
철수로(撤收路, Routes of Withdrawal)
지연작전간 한 지점에서 타 지점으로의 부대이동을 통제 및 협조하기 위한 통로.
 
철수작전(撤收作戰, Withdrawal Action)
지휘관의 의도에 의해서 부대가 적군으로부터 이탈하는 기동.

 

 

철수전 폭파표적(撤收前爆破標的, Prewithdrawal Demolition Target)
철수 전에 폭파할 준비를 갖춘 표적. 이러한 폭파는 권한이 위임된 책임장교의 명령에 따라 적시에 수행함.
 
철퇴(撤退, Retirement)
적과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하에서 전투를 회피하기 위하여 부대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작전.
 
첨병대(尖兵隊, Advance Guard Support)
전위의 2개 주요 구성부대의 하나. 다른 하나는 전위본대. 첨병대는 3개 단위로써 구성되며, 앞으로부터 첨병분대, 첨병소대 및 첨병중대의 순서임. 첨병대는 전위본대를 보호함.
 
첩보(諜報, Information)
정보 생산을 위하여 다양한 출처로부터 획득된 처리되지 않은 자료
 
첩보보안(諜報保安, Information Security; INFOSEC)
활자, 구두, 그림 및 통신을 통한 첩보의 누설을 예방하는 조치로서, 적에게 자료의 노출을 방지하고 보호하기 위해 인원 및 첩보의 공개를 제한함.
 
첩보요구(諜報要求, Information Request; IR)
첩보요구는 통상 우선첩보요구보다는 시급하지 않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과제나 특정한 첩보의 수집 및 정보생산을 위해 필요한 사항임.
 
첩보위성(諜報衛星, Spy Satellite)
상대국의 활동을 정찰하기 위하여 쏘아 올린 인공위성으로서 스파이위성 또는 군사정찰위성이라고 칭함.
 
첩보처리(諜報處理, Process of Information)
첩보가 정보로 전환되어 가는 과정으로서 통상 기록, 평가, 해석의 과정을 거쳐 정보로 전환됨.
 
첩보출처(諜報出處, Source of Information)
적, 지형 및 기상에 관한 첩보를 제공하는 근원, 이러한 첩보의 근원에는 사람, 물건, 활동이 있음.
 
첩보평가(諜報評價, Evaluation of Information)
첩보내용과 사실과의 차이를 찾아 그 진실성 여부를 검토하는 작업. 평가는 첩보의 적합성, 출처기관의 신뢰성, 첩보의 정확성을 평가함.

 

 

첩보해석(諜報解析, Interpretation of Information)
주제와 관련된 현존 지식과 관련시켜 첩보의 의의를 결정하는 행위. 여기에는 첩보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타당성 추리를 염출하는 과정을 밟음.
 
청색장비(靑色裝備, Equipment in Blue Category)
장비 가용성 판정기준으로서 아래와 같은 상태의 장비.
1. 전투준비태세가 완비된 장비
2.정상적인 운영조건하에서 90일간 가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비.
3. 예비부속 및 공구가 완전 확보된 장비.
4. 기능시험에 합격한 장비.
 
청음부표, 소노부이(聽音浮標,~, Sonobuoy)
수중청음장치와 송신장치를 갖춘 잠수함 탐지용의 소형 부표로(항공기에서 투하됨), 수중의 음파를 청음하여 무선수신기에 재 송신하도록 설계된 것.
 
청음초(聽音哨, Listening Post)
첩보 또는 적 행동에 대한 적시적절한 경고가 될 음향을 청취할 목적으로 야간에 방어선 전방에 배치되는 경계초소.
 
청음효과(聽音效果, Hydrophone Effect)
함정, 잠수함 혹은 어뢰로부터 방사되어 음탐장비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수중음.
 
체감상태(遞減狀態, Lapes Condition)
체감상태는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온이 하강하며, 대기는 불안정한 상태임. 체감상태는 지상 4m의 기온이 0.5m의 기온보다 낮은 상태로서 대체로 하늘이 맑거나 구름이 30% 이하로 덮인 주간에 많이 일어남.
 
체계(體系, System)
일정한 원리에 의하여 각기 다른 것을 계통적으로 통일한 조직을 말하며, 체계와 체제는 대단히 유사하나, 그 내용에 따라 구분 사용하여야 함. 체계는 복잡한 현상을 원리에 의한 정렬을 말하며, 체계는 운용형태나 양식을 기준으로 한 것을 말함.
예) 체계를 갖추다.
 
체공시간(滯空時間, Endurance)
재급유 없이 주어진 조건하에서 항공기가 비행을 계속할 수 있는 시간.
 
체류(滯留, Staying Behind)
적의 점령이 예상될 때 아군 지배지역에 사전에 부대를 배치시켰다가 적이 전진 통과하면 침투목적이 달성되는 방법.
 
체류시간-공수(滯留時間-空輸, Station Time-Air Transport)
승무원, 승객 및 화물을 탑승하고 비행을 대기하는 시간.

 

 

체류침투(滯留浸透, Stay Behind)
작전지역에서 적이 전진 통과하기 전이나 점령하기 전에 작전팀(요원)을 계획된 작전지역에 위치시키는 것.
 
체제(體制, System)
사회를 하나의 유기체에 비하여 볼 때 그 조직의 양식 또는 사회조직을 말함.
예) 사회주의 체제
 
초계(哨戒, Patrol)
우군 전력을 보호하기 위한 경비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며, 항공기나 함정의 경비임무를 지칭함.
 
초계항공전대/분대/단대(哨戒航空戰隊/分隊/單隊, Patrol Plane Group/Unit/Element)
경계, 정찰, 대잠작전 등의 임무를 상륙기동부대가 이동중 또는 목표구역에서 작전중일 때 수행하는 초계항공기의 기동편성.
 
초과사격(超過射擊, Overhead Fire)
아군부대 머리 위를 통과하는 직사화기의 사격.
 
초기 핵방사선(初期核放射線, Initial Radiation)
핵폭발에 따라 발생하는 핵방사선으로서 화구로부터 폭발 즉시 방출되는 방사선, 폭발순간에 방출되는 중성자와 감마선과 상승하는 화구와 구름 등에서 방출되는 알파, 베타 및 감마선이 포함됨. 잔류 핵방사선에 비하여 지면상의 인원이나 물자에 대한 영향은 상승하는 원자운이 유효방사 거리 내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소멸됨.
 
초기효과(初期效果, Initial Effect)
핵무기가 폭발해서 1분 이내에 미치는 효과. 이에는 폭풍, 열, 복사선, 초기 핵방사선, 전자기파가 포함됨.
 
초도배당량(初度配當量, Initial Issue Quantity; IIQ)
현존 부대는 물론 전시에 창설되도록 계획된 모든 부대의 완편인가량 합계를 말함. 다만 전시에 창설될 부대의 장비 중 민수장비로 대치 가능한 것은 동원에 의하여 충당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창설 소요로 판단하여 전쟁개시 이후 소요에 포함시킴.
 
초도보급(初度補給, Initial Supply)
창설부대나 증편부대에 대하여 초도소요품으로 인가된 물자나 인가 건의하여 인가를 득한 물자를 해당 보급지원부대에서 보급하는 최초 보급품을 말함.
 
초수평선레이더(超水平線~, Over the Horizon Rader; OHR)
전리층과 지표 사이에 반사를 반복하면서 도래하는 단파대를 사용하는 레이더로 수평선 너머의 표적을 탐지할 수 있는 레이더.

 

 

초수평선상륙작전(超水平線上陸作戰, Over the Horizon Amphibious Operation)
해안선에서의 가시거리 및 레이더 탐지범위 밖으로부터 발진되는 상륙작전.
 
초수평선표적획득(超水平線標的獲得, Over the Horizon Targeting; OTH-T)
장거리 유도탄을 보유한 발사함소의 탐지거리 밖에 위치한 표적 정보를 제3 정보원으로부터 획득하는 것. 여기에 사용되는 제3 정보원으로는 인접 레이더기지, 함정, 항공기(헬기, 고정익 항공기), 잠수함 등이 있음.
 
초월전진(超越前進, Leep-Frog Jumps)
1. 적과 대치하고 있는 아군부대를 초월해서 전진하는 것.
2. 우군부대가 점령 또는 잠적하고 있는 선을 통과하여 후방부대가 전방부대와 교대하여 전진하는 것.
 
초음속 순항기(超音速順航機, Supercruiser)
초음속 순항을 위해 고안된 항공기. 통상 Mach 1.5~2.0의 속도로 순항하는 항공기.
 
초전(初戰, First Battle)
피아 편성된 부대간의 초기전투 행동. 현대전은 초전의 승패가 전쟁의 승패에 직결되기 때문에 초전의 중요성은 증대되고 있음.
 
초점지역(焦點地域, Focal Area)
선박에 의하여 취하여지는 항로가 통상 집중하거나 또는 교차하는 지역.
 
촉각기뢰(觸角機雷, Horn Mine)
기뢰 몸통이나 부속품에 장치된 돌출각이 목표물에 접촉하면 휘거나 절단되어 기뢰가 작동하도록 설계된 기뢰.
 
촌단공격(寸斷攻擊, Multiple Counter-Attack Operation)
적의 전차 및 기계화부대에 의한 전격전에 대응하는 전술개념으로서 전차 및 기계화 위주의 종심 기동부대가 아군의 주방어지역을 돌파하여 계속 종심지역으로 전진하였을 때 측후방으로 기동하여 적 공격제대의 간격이나 부대간격을 절단함으로써 적의 조직적인 공격능력을 분쇄하여 공격기세를 약화시키고 적 부대의 균형을 와해, 마비, 격멸시키는 방어시의 공세행동임.
 
총노출량(總露出量, Total Dosage)
화학작용제 농도에 총 노출시간을 곱한 노출량의 단위.
 
총동원(總動員, Total Mobilization)
동원의 구분시 동원 범위에 의한 구분으로서 사전 계획된 국가의 유형, 무형의 제반자원을 단계적으로 모두 동원하는 것을 말함.

 

 

총력전(總力戰, Total War)
국가 각 분야의 총체적인 힘을 기울여 수행하는 전쟁.
 
총력전략(總力戰略, Total Strategy)
국가목표의 달성, 특히 국가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전·평시를 통해서 국가의 정치적, 군사적, 경제적 및 심리적인 힘을 총합적으로 발전시켜 이것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방책을 말하며 국가전략 및 대전략과 동의어임.
 
총류탄(銃榴彈, Rifle Grenade)
소총의 총구에 부착하는 특수 발사장치로부터 발사되도록 만들어진 유탄 또는 소형폭탄. 이는 소총에서 격발되는 특수공포탄으로써 추진됨.
 
총체전력(總體戰力, Total War Potential, Total Force)
한 국가의 가용한 상비 및 동원 전력의 총계(총합)
 
총톤수(Gross Tonnage)
1.선박의 용적을 톤으로 표시한 것. 이는 선박의 선수와 선미에 있는 웰갑판 환기 및 조명장치 발라스트 탱크 등의 용적을 제외한 나머지 선박용적률로 나누어 나온 숫자를 총톤이라 하며, 선박을 등록할 때 이 톤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명 ‘등록톤수’ 라고도 함.
2.법적 또는 등록된 선박 톤수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수용력으로 100입방피트를 1톤으로 한 선박 내부의 총 입방면적을 말함.
 
최대 지속잠항속도(最大持續潛航速度, Maximum Sustained Submarged Speed)
잠수함이 정상기능을 유지하면서 잠항을 지속할 수 있는 최대속도.
 
최대위협표적-방공(最大威脅標的-防空, High Threat Target)
사격포대에 접근중인 다수 표적 중 가장 위협이 크다고 판단되는 표적.
 
최대유효사거리(最大有效射距離, Maximum Effective Range)
한 무기로 원하는 파괴를 가하기 위하여 명시된 정확성을 갖고 파괴용 사출탄을 도달시킬 수 있는 최대거리.
 
최대유효음탐속력(最大有效音探速力, Maximum Effective Sonar speed; MESS)
음탐기의 성능을 과도하게 저하시키지 않으면 개별 수상함이 기동할 수 있는 최대속력.
 
최대이륙중량(最大離陸重量, Maximum Takeoff Weight)
항공기가 이륙함에 있어서 설계상 또는 운영상의 제한으로 인한 최대 적재중량.

 

 

최대작전심도(最大作戰深度, Nominal Diving Depth)
공격 및 방어시 허용되는 최대 잠수수심으로서, 잠수함이 적의 음탐기 성능을 고려한 공격 및 방어를 위한 최대한 잠수하는 작전 잠수수심.
 
최대허용선량(最大許容線量, Maximum Permissible Dose)
현행 작전상의 군사적 고려사항과 일치되도록 군사지휘관이나 기타의 권한자가 그 부대 요원이 특정기간에 흡수하게 되는 누적 방사선의 최대 허용한계를 규정한 방사선량.
 
최소 안전고도경고(最小安全高度警告, Minimum Safe Altitude Warning; MSAW)
자동레이더종말체계 ARTS(Automated Rader Terminal System)에 포함되어 모든 관제항공기를 감시하여, 통상 최소강하고도(MDA; Minimum Descent Altitude) 100피트 이하의 불안정 상황 가능성을 경고하는 것.
 
최소 정상폭발고도(最小正常爆發高度, Minimum Normal Burst Altitude)
지상으로부터의 고도를 말하며, 이 고도 이하에서는 항공 핵탄두는 통상 폭발시키지 않음. 항공위험과 지상활동을 둘 다 알고 있는 지휘관이 적절한 최소정상 폭발고도를 선정함.
 
최소안전거리(最小安全距離, Minimum Safe Distance)
1.아군부대의 상공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는 최하의 탄도에 해당하는 거리.
2.핵무기 운용에 있어서 부대안전을 99% 보장함에 소요되는 요망지상 원점으로부터 아군부대 진지까지의 최소거리.
 
최소연료(最小燃料, Minimum Fuel)
조종사가 정상 항공통제를 받아 안전하게 착륙하는 데 충분한 항공기 탑재연료.
 
최소예상선(最小豫想線, Minimum Line of Expect)
적의 입장에서 아군이 공격하지 않으리라고 생각하는 지점 또는 지역을 아군이 판단하는 곳으로서 손자병법의 “出其不意”를 리델하트가 간접접근 전략에 적용한 것으로서 심리적인 면이 강조된 용어임.
 
최소위험경로(最小危險經路, Minimum Risk Route; MRR)
아군의 공군 고속기가 전술작전지역에 들어가 임무수행 후 아군 지역으로 복귀시 적기로 오인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전에 설정하는 비행로.
 
최소저항선(最小抵抗線, Minimum Resistance Line)
적의 입장에서 아군이 공격하지 않으리라고 생각하여 군사적인 대비책을 강구하지 않은 지점 또는 지역으로 손자병법의 “攻其無備”를 리델하트가 간접접근 전략에 적용한 것으로서 물리적인 면이 강조된 용어임.
 
최소피해반경(最小被害半徑, Minimum Radius Damage)
수직 공산오차를 고려하여 요망 폭발고도 중심으로 단발 운용시 90% 보장범위 내에서 가장 불리한 곳에 폭발될 것으로 예측하고 이때의 피해 범위를 정한 것임.

 

 

최저고도폭격(最低高度爆擊, Minimum-Altitude Bombing)
900피트 이하의 고도에서 투하토록 하는 수평폭격 또는 활공폭격.
 
최저안전고도(最低安全高度, Minimum Safe Altitude)
고지 또는 기타 지상장애물로 인하여 그 이하는 비행에 위험한 고도.
 
최저요격선(最低邀擊線, Minimum Line of Interception)
방공무기의 방어구역선 밖에서 요격기가 전투시간 동안의 비행 거리를 포함한 거리개념으로 148㎞ 내외가 됨.
 
최저탐지선(最低探知線, Minimum Line of Detection)
적 폭격기가 관제레이더 범위선까지 비행하는 거리가 가산된 최저탐지 요구선.
 
최저표척사격(最低標尺射擊, Grazing Fire)
기관총의 집중탄도의 중심이 지면으로부터 1m 이상 올라가지 않은 사격으로서 탄도상에서도 피해를 줄 수 있고 피탄지에서도 피해를 줄 수 있는 사격의 효과를 최대로 거둘 수 있는 원리로서, 평탄하거나 균등히 경사진 지형에서 600m 이내에 적에게 조준사격할 때 탄도고도가 1m를 넘지 않는 사격.
 
최적심도(最適深度, Best Depth; BD)
잠수함이 수상함으로부터 탐지되지 않고 활동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수심.
 
최종거리 탄도탄(最終距離彈道彈, Ultimate Range Ballistic Missile)
지구를 일주한 거리의 반 또는 반보다 약간 긴 사거리를 가진 탄도탄으로서 임의의 발사지점에서 지구상 어느 곳에 있는 목표라도 사격할 수 있음.
 
최종상태(最終狀態, End State)
군사작전을 통하여 달성해야 할 피·아의 군사적 상황으로서, 임무와 작전의 목적을 기초로 군사력이 지향되어야 할 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야 함.
 
최종폭탄투하선(最終爆彈投下線, Final Bomb Release Line)
적의 폭격기가 목표의 원단에 명중을 가하기 위하여 그의 마지막 폭탄을 투하하는 방어된 지역 또는 목표 주위의 가상선.
 
최초 폭탄투하선(最初爆彈投下線, Initial Bomb Release Drop Line)
적의 폭격기가 방어지역이나 표적의 가장 근접지역에 폭탄을 명중시키기 위하여 투하하는 최초지역 또는 표적 주위의 가상선.

 

 

최초 항적설정(最初航跡設定, Initiate Track)
운영수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비요격기류 항적 또는 최초 입력부호를 수상기에서 설정하는 행위.
 
최초보급(最初補給, Initial Supply)
해군에서는 상륙작전시 후속함선에 의하여 수송되는 재보급이 가능할 때까지 최초강습에서 상륙군을 지원하기 위한 보급의 규정된 수준에 달성되도록 목표지역으로 이동을 위한 계획된 보급.
 
최초사진판독보고서(最初寫眞判讀報告書, Initial Photographic Interpretation Report; IPIR)
기 계획된 임무목표 또는 이 목표에 상응하는 주요정보, 첩보를 보고하는 데 사용되며, IPIR은 판독 후 4시간 이내에 가능한 빨리 전파해야 함.
 
최초양륙기간(最初揚陸其間, Initial Unloading Period)
양륙이 주로 전술적인 성격을 가지며 상륙군의 소요에 즉각 호응해야 하는 함안이동의 일부분임.
 
최초운영능력(最初運營能力, Initial Operational Capacity; IOC)
신규 획득되어 야전배치된 무기체계에 대하여 확정된 운영개념. 요구운영능력의 달성정도 및 발전된 전력화 지원요소의 완전성을 확인, 평가하는 것.
 
최초접근(最初接近, Initial Approach)
절차상 최초 항법시설이나 또는 사전에 이미 결정된 위치에 최초접근하는 계기접근절차의 한 부분. 계기접근절차와 관련되지 않을 시는 비행장의 최종목적지나 비행장에 최종접근이 시작되는 보고지점상에 도착하기 전까지 항공기의 비행구간.
 
최초지시(最初指示, Initiating Directive)
상륙작전에 대한 최초명령으로 합동참모본부 의장에 의해 설정된 부대의 지휘관이나 합동참모본부 의장이나 기타의 고위당국에 의해 인가된 기타 지휘관들에 의해 하달하게 됨.
 
최초진입점(最初進入點, Initial Point)
표적으로 돌진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사용되는 시각 또는 전자적으로 쉽게 구별이 되는 특정지점, 참조점으로 사용되는 지상 표면에 미리 선정한 지점.
 
최초집결지(最初集結地, Initial Assembly Area)
전시에 인원 및 물자를 집결하기 위하여 읍·면·동 단위에 설치된 장소.
 
최초회의(最初會議, Initial Conferrence)
최초지시를 수령한 상륙기동부대 사령관이 상륙군 사령관 및 해군과 상륙군의 예하지휘관 및 주요 참모들과 임무수행을 위한 기본적인 문제해결을 위하여 개최되는 회의로서 통상 상륙기동부대 사령관이 주관하나 필요에 따라 일정 및 회의장소를 협조하여 실시함.

 

 

최후방어사격(最後防禦射擊, Final Defensive Fire)
여하한 시도조건하에서도 전투진지에 대한 적의 돌격을 최후적으로 저지 격멸하기 위하여 계획된 방어사격.
 
최후저지선(最後沮止線, Final Protective Line)
적의 돌격이 모든 가용한 화기의 교차사격에 의해 저지되도록 선정된 선. 이 선은 진지전면과 평행될 수도 있고 교차될 수도 있음.
 
추격(追擊, Pursuit)
도주하는 적 부대를 격멸하여 결정적인 승리로 전투를 종결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공격작전을 말하며, 통상 전과확대에 이어서 실시되므로 한시라도 공격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사전에 준비해야 함. 추격의 목적은 방어능력을 상실하고 도주를 시도하는 적 부대를 직접 압박하고 퇴로를 차단하여 협력함으로써 적 주력을 격멸하는 데 있음.
 
추적(追跡, Tracking)
1.이동표적의 축차적 위치를 관찰하여 도표상에 표시하고 발광점을 고착해서 거기서부터 표적이 이동하는 데로 계속 표정하는 것.
2.총포를 이동표적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적절히 조준하게 하거나 지향하도록 하는 것.
3. 적을 뒤따르거나 추격하는 것.
4.비행기나 선박을 향한 유도탄이 표적 근처에 도달하면 표적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선인 전파를 감지하고 계속 추격하는 것.
 
추적유도(追跡誘導, Homing Guidance)
표적 및 추적레이더로부터 방사되는 전파를 유도탄 유도장치가 수신하여 유도제원을 산출해서 표적을 찾아가는 유도방법.
 
추정과업(推定課業, Implied Task)
지휘관의 임무분석 결과, 임무를 달성함에 있어서 필요 불가결한 것으로 결정된 과업들로서 상급사령부로부터의 임무에는 명시되지 않은 과업임.
 
추정출발일(推定出發日, Estimated Departure Date)
수송가능 능력평가를 위한 모의상황에서 각 이동소용 자산이 승선항을 출발할 수 있는 적재가용일 이후 최초의 날.
 
추진보급지원(推進補給支援, Automatic Supply)
전투부대가 전투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접적 및 주요 전투부대에 긴요물자(급식, 유류, 탄약 등)의 지원요소를 사전 판단하여 상급 군수지원부대에서 예하 피지원부대에 추진보급 지원하는 것으로서 군수지원부대는 전투부대를 찾아서 지원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하고 피지원부대는 지원부대가 찾아갈 수 있도록 필요한 대책을 강구해야 함.
 
추진진지(推進陣地, Advance Position)
전투진지보다 적에게 더 접근된 지역에 있으나 전투진지로부터의 지원거리에 있으며 공격이나 또는 방어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진지.
 
추출공수(抽出空輸, Low Altitude Parachute Extract)
저고도에서 낙하산을 이용하여 물자 및 무기를 낙하하는 것.

 

 

추측위치(推測位置, Running Fix)
알고 있는 처음 위치에서 항해한 방향으로 항해시간과 속력을 고려하여 추측으로 구한 위치. 항주위치라고도 함.
 
축성(築城, Fortification)
어느 지역의 자연적인 방어력을 증강하고 적의 행동으로부터 인원과 물자를 보호하고 적군의 행동을 제한하고 아군의 병력 절약을 위하여 그 지형에 적합한 군사시설을 구축하는 것.
 
축차공격(逐次攻擊, Piecemeal Attack)
부대가 가용하게 되는 대로 축차적으로 투입하여 공격하는 것.
 
축차목표(逐次目標, Successive Objective)
최초로 주공부대의 일부가 나머지 부대의 지원하에 한 목표로 돌격하며 그 다음 다른 부대가 타 목표를 공격하도록 되어 있는 일련의 목표. 돌격부대가 최초 목표를 소탕할 수 있다는 것을 지휘관이 확인하면 최종목표에 이르기까지 이런 방법을 계속할 수 있으며 통상 이러한 방법은 기갑부대에 적용됨.
 
축회전차폐(軸回轉遮蔽, Turn Count Masking)
잠수함에 수상함의 정확한 속력을 은폐하는 방법으로 자함 스크류 회전수를 상이하게 운용하는 방법.
 
출동준비지역(出動準備地域, Mounting Area)
상륙작전이나 공정작전에 지정된 부대가 그 장비와 더불어 집결하여 돌격준비를 위하여 함선이나 항공기에 탑재하는 장소.
 
출동집결(出動集結, Marshalling)
1.상륙작전 또는 공수작전에 참가하는 부대를 탑승점 근처에 있는 임시병영으로 이동시키거나 가능한 시기에 각 부대별로 집결시켜 전투를 위한 준비를 완료하고 적재준비를 하는 절차.
2.보급품이나 장비품 특히 수송용 차량 등을 전방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조립하고 유지하고 편성하는 절차.
 
출발점(出發點, Starting Point)
1. 각종 소대형이 계속적으로 도착하여 이루게 되는 종대 또는 단 위대가 이동을 명령한 지휘관의 통제하에 들어가는 지정된 장소.
2.시각 또는 전자장치로 분명하고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표적에 대한 포격의 개시점으로 사용되는 점.
3.항공기가 침로를 정하는 표시로 사용되는 비행점검점(departure point).
 
충격파(衝擊波, Shock Wave)
공중, 수중 및 지하 폭발에서 생기는 고열가스의 팽창으로 인하여 공중, 수중 및 지하에 계속적으로 전파되는 압력파.
 
충돌침로(衝突針路, Collision Course)
1.이동물표와 충돌할 수 있는 침로로서 대잠공격시의 적의 잠수함에 접근하기 위해 이 침로를 취함.
2.항공기와 다른 항공기가 충돌할 것이 예상되는 지점으로 직접 향해 있는 가시선 비행경로(Line of Sight)

 

 

충무계획(忠武計劃, Chung-Mu Plan)
전시 또는 국가 비상사태시에 국가가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평시에 준비하는 범국가적인 비상대비 계획으로 동원계획의 기초가 되며 정부 자원관리 주관부처별로 소관자원의 운영과 기능수행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게 됨. 이러한 충무계획을 시행하는 목적은 국가비상시 군사작전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전시 정부기능을 유지하며 국가자원의 신속한 동원을 보장하고 국민생활의 안정을 도모하는 데 있음.
 
충원소요(充員所要, Filling Requirement)
전시, 사변 또는 다른 법률에 의하여 동원이 선포된 경우에 현역군 부대편성이나 작전수요에 필요한 인원.
 
충원소집(充員召集, Filling Mobilization Call-Up)
전시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로 동원령이 선포될 경우에는 부대편성이나 작전수요를 위하여 예비역장교, 준사관 및 부사관과 군복무 종료 후 8년 이내가 되는 예비역의 병 및 교육소집을 마친 보충역의 부사관 또는 병을 소집하는 것을 말함.
 
취역(就役, Commission)
임명된 장교의 지휘 아래 함정이 취역기(pennent)를 달고 당직자를 배치하여 현역근무를 시작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의식을 취역식이라 함.
 
측거의(測距儀, Range Finder)
표적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구. 광학 측거의에는 실상측거의(Stereoscopic)와 합동측거의(Coincidence)가 있으며, 전탐기는 가장 정확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음.
 
측면이동(側面移動, Flanking Movement)
부대가 알고 있거나 의심되는 적의 측방을 향하여 곧바로 지향해 가는 것.
 
측방관측 공중레이더(測方觀測空中~, Side-Looking Airborne Rader; SLAR)
레이더 전파에 있어 주사방향의 분해능력은 안테나의 가로넓이가 클수록 좋기 때문에 항공기 측방에 가로로 긴 안테나를 장비하게 한 레이더. 지표, 해상에 대한 높은 분해능력을 얻을 수 있음.
 
측방탐색 항공탑재 레이더(側方探索航空搭載~, Side Looking Airborne Rader; SLAR)
비행항로의 좌우로 조준된 안테나를 갖고 있는 고도의 분해능력을 가진 항공탑재 레이더. 이 장비는 사진과 비슷하게 매우 세밀한 영상구역 지도를 제공하는데 7,000피트까지 고도를 따라 비행하며 적 지역의 지도를 만드는 데 이용되며, 해면 잡음상황하에서 잠수함 스노클(Snorkels)을 탐지하는 데도 이용됨.
 
측위(側衛, Flank Guard)
능력 범위 내에서 적을 격파, 격멸, 지연함으로써 적의 지상관측 직사화기 및 기습적인 공격으로부터 이동중이거나 정지하고 있는 부대를 방호하기 위하여 그 부대의 측방에서 작전하는 경계부대.
 
층심도(層深度, Layer Depth)
해면으로부터 가장 예민한 온도변화를 가진 층의 깊이.

 

 

층심도거리(層深度距離, Range at Depth)
층심도에서 활동하는 잠수함을 탐지할 수 있는 최대거리. 이는 대잠함정의 유효 음탐거리의 산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의 하나임.
 
치료소(治療所, Clearing Station)
환자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의무치료시설. 통상 사단지역에 위치함. 치료소는 응급치료 또는 보조치료를 함.
 
치명결점(致命缺點, Critical Defect)
품질요구조건에 맞지 않는 결합상태가 인명에 위험을 주든가 복구비용이 과다한 경우이며, 치명결점에 해당하는 중요 하자품은 보급 및 지휘계통으로 동시에 보고함.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 브레이크가 듣지 않는 것은 치명결점임.
 
치사량(致死量, Lethal Dosage)
화학작용제에 오염되어 사망할 수 있다고 예측된 양이며, 증기치사량은 LCT, 액체 치사량 LD로 표시함.
 
치사선량(致死線量, Lethal Dose)
대량의 방사선에 노출되었을 때 비확률적 영향으로 최악의 것은 노출후 단기간에 사망하는 경우임. 전신이 약 7그레이의 방사선에 노출되면 2~3주간 이내에 100% 사망하며 이것을 전치사선량(LD100)이라고 함. 약 4그레이로는 50%가 거의 1개월 이내에 사망하는데 이것을 반치사선량(LD50)이라고 함.
 
치사작용제(致死作用劑, Lethal Agent)
표적지역에 있는 인원에 대하여 치사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화학 또는 생물학작용제.
 
치장(置藏, Store)
장비 및 물자의 사용통제와 치장방침에 의거 평시 운영량(운용수준) 초과분, 인가초과분 및 전시 긴요물자·장비 등에 대하여 사용을 완전 통제함으로써 전시 소요를 충당하기 위하여 일정한 장소에 저장하는 것을 말함.
 
치장장비(置藏裝備, Stored Equipment)
장비 사용통제와 치장방침에 의거 전시 동원소요를 평시에 비축하기 위하여 인가된 장비라 하더라도 전량 사용하지 않고 작전 및 교육수행 등 필수소요에 국한하여 운용하고 기타 장비는 치장해 둠으로써 수명을 연장함과 동시에 운영유지비를 절약하기 위하여 치장해 둔 장비를 말함.
 
치중대(輜重隊, Train)
군수지원을 제공하는 제반 전투근무지원 부대의 집단을 말함. 이는 지상부대에 의한 보급, 후송 및 근무를 제공하는 차량과 그의 운영요원으로 구성됨.
치중대에는 각종 분배소, 수집소, 취사장, 정비반, 차량반 및 수용소, 급수장, 통신, 총포 및 차량정비반, 후송반, 영현반과 지원 배속부대 및 예하대(隷下隊)의 일부 치중대가 치중대 부근에서 운용되며, 이는 전투치중대와 야전치중대로 구분함.
 
침공작전(侵攻作戰, Intruder Operations)
적지 상공에서 주간이나 야간에 실시되는 공격작전. 제1차적인 목적은 적 기지 주변에 있는 적 항공기를 파괴하는 데 있음.

 

 

침략(侵略, Aggression)
일국에 의한 타국의 주권, 영토보존, 정치적 독립에 대한 무력 행사 또는 이에 준하는 기타 군사적 행위로서 1974년 12월 14일 유엔총회 본회의에서 의결된 국제적 공인용어임.
 
침묵해제(沈黙解除, Silence Lifted)
무선 및 시각통신의 침묵을 더 이상 유지할 필요가 없다고 인정될 때 침묵을 해제시키는 것.
 
침투 및 국지도발 대비계획(浸透 局地挑發 對備計劃)
적이 일정지역에서 특정 목적을 위해 우리 국의 국민과 재산 또는 영역에 가하는 일체의 위해(危害)행위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계획.
 
침투 및 국지도발 대비작전(浸透 및 局地挑發 對備作戰)
평시 및 분쟁시 적이 일정한 지역에서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리의 국민과 재산 또는 국가 영역에 가하는 일체의 군사적·비군사적 위협에 대비하는 작전.
 
침투 및 국지도발(浸透 局地挑發)
적이 일정지역에서 특정 목적을 위해 우리 국의 국민과 재산 또는 영역에 가하는 일체의 위해행위.
 
침투(浸透, Infiltration)
적이 특정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우리 영역을 침범한 상태.
 
침투도발(浸透挑發, Infiltration Provocation)
적이 특정임무 수행을 위해 우리 영역을 은밀히 침범하여 행하는 일체의 위해행위.
 
침투로(浸透路, Infiltration Lane)
침투부대가 사용하도록 규정한 통로로서 이는 침투시 침투부대의 일반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화력과 기동을 협조하여 침투부대의 안전을 도모할 목적으로 운용함.
 
침투보호의(浸透保護衣, Permeable Protective Clothing)
수포성 작용제를 중화시킴으로써 침투를 방호해 줄 수 있도록 화학제로 처리된 특수피복.
 
침투종대(浸透縱隊, Infiltration Column)
일반적인 횡대 또는 전술종대 대형보다는 방어간격 혹은 경계가미약한 지역을 이용하여 은밀히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편성된 대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