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용어·지식/한글군사용어

한글 군사용어 해설 (ㅈ)

머린코341(mc341) 2014. 7. 5. 18:05

 

한글 군사용어 해설 (ㅈ)  

 

자극성 작용제(刺戟性作用劑, Irritant Agent)
재채기, 눈물, 두통을 일으키며 그 후에는 구토와 일시적인 전신불수의 증상이 나타나는 화학작용제.
 
자기기뢰(磁氣機雷, Magnetic Mine)
표적이 통과할 때 표적의 자성으로 지자기가 변화함에 따라 발생된 유도전류가 발화장치를 작동하도록 설계된 기뢰.
 
자기변화 탐지기(磁氣變化探知器, Magnetic Anomal Detection)
지구의 정상적인 자장에 잠수함 자체의 자장이 작용하여 왜곡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수중 잠수함을 식별하고 위치를 파악하는 수동적인 탐색수단. 탐지능력은 항공기 고도, 잠수함의 크기 및 자력조건에 따라 다름.
 
자기소해(磁氣掃海, Magnetic Sweep)
함정이 예인하는 자기색에 전류를 통하여 형성되는 전극자기로 자기기뢰의 발화장치를 작동하게 하는 소해방법.
 
자기처리(磁氣處理, Deperming)
함정 주위에 커다란 전도체의 코일을 설치함으로써 함정의 영구자장을 감소시키는 것.
 
자기편차(磁氣偏差, Magnetic Variation)
진북과 자북 간의 수평각. 진북의 동쪽 또는 서쪽에 위치함에 따라 동쪽 또는 서쪽을 도, 분으로 측정함. 자침편차라고도 함.
 
자기폭풍(磁氣暴風, Magnetic Storm)
태양의 자장이 태양폭발의 영향으로 심한 변동을 나타내어 지구의 전리층을 약화시켜 무선통신을 방해하는 현상.
 
자기표시환(磁氣表示環, Magnetic Indicator Loop; MIL)
항만구역으로 접근하는 수상 혹은 수중표적의 위치를 알릴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수중 탐색장치로서 해저에 부설된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음.
자기표시환은 그 위를 지나가는 철제의 존재로 인하여 생기는 자장의 왜곡을 기록하며, 이 자장의 변화는 육상사무실에 있는 기록부에 기록되며 기록기에는 경종이 달려 있음.
 
자동무선망 연결기(自動無線網連結機, Automatic Net Radio Interface; ANRI)
이동가입자가 무선기(무선전화)로 고정 및 타 이동가입자와 통화할 수 있도록 전자교환기에 자동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장비 및 체제를 말함.
 
자동방향 탐지기(自動方向探知機, Automatic Direction Finder)
항공기에 사용되는 항법장비로서 이 장비와 어떤 무선통신소의 주파수를 맞추어 놓음으로써 자침이 계속적으로 무선통신소 방향을 가리키며 비행방향을 알려 줌.

 

 

자동보급(自動補給, Automatic Supply)
사용부대의 청구 없이 자동적으로 불출되는 보급제도를 말함. 이는 추정, 경험 또는 소비 실적률에 근거를 두고 일정한 기간 동안 자동적으로 발송 또는 불출됨.
 
자동비행 통제체계(自動飛行統制體系, Automatic Flight Control System)
1.항공기나 미사일의 내부와 외부장치에 의하여 진로나 비행자세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모든 장비를 포괄한 체계.
2.조종사가 목적지에 관한 첩보를 입력시 자동적으로 항공기가 원하는 방향으로 비행시키는 장치.
 
자동암호조립(自動暗號組立, Automatic Link Encryption)
평문으로 타전한 전문이 자동암호조립기계를 통과하여 자동적으로 암호문으로 조립되는 것.
 
자동작전-방공(自動作戰-防空, Automatic Operation)
방공포병의 작전통제체제상 상급제대와 하급제대 간의 항적경보, 식별, 교전명령, 교전통제, 교전결과 보고 등을 제원망 및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시되는 작전형태.
 
자동제원 처리장치(自動諸元處理裝置, Automatic Data Processing Equipment)
사무의 자동화 처리나 복잡한 대량계산을 처리하는 전자계산기로서, 군에서는 급여·인사행정·군수보급행정 등에 이용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장비로 구성되어 있음.
1.디지털 전자계산기:내부에 저장하거나 외부에서 조종하며 지시에 따라 자동적인 산출 또는 기타 논리적인 계산을 할 수 있도록 계산기 주요부분에 전자회로를 사용하고 있는 1개의 기계 또는 상호 연결된 기계.
2.부수장비:타자기를 포함하여 계산기에 부수되는 모든 산출장치(통신장비 제외).
 
자동할당-방공(自動割當-防空, Automatic Allocation)
적성항적을 자동위협 평가하여 방어지역과 유도탄 교전지역을 판단함과 동시에 적성항적에 대한 속도, 방향, 반응시간을 고려하여 최적포대에 표적이 할당되는 작전수행상태. 주로 상급부대 지시가 있을 때나 대량항적에 대한 운용과 판단 및 능력초과시 실시함.
 
자동화 방공체계(自動化防空體系, Korea Air Defense Ground Environment; KADGE)
방공레이더 및 외부체제를 통해 수집된 방공작전 자료가 실시간으로 컴퓨터에 입력, 처리 및 전시되고 탐지, 식별 및 요격에 필요한 자료를 자동 혹은 반자동으로 처리하는 MCRC 및 그와 연결된 체계.
 
자동화 종심작전 협조체계(自動化縱深作戰協調體系, Automated Deep Operations Coordination System; ADOCS)
군단급 이상 제대의 자동화 통합 표적처리를 위하여 현행 전투상황을 추적하여 육군 항공기의 항로분석 및 적 방공화기 제압과 사격부대 지정 및 사격임무를 수행하며 표적추천, 승인, 처리 및 공역통제, 화력지원협조수단 전파에 관련하여 자동화 처리와 그래픽 기능을 제공함.
 
자료감시-방공(資料監視-防空, Data Quality Monitor)
레이더 기지로부터 중앙방공통제소로 전송되어 수상기상에 전시되는 항적자료의 상태를 감시하는 행위.
 
자료환류(資料還流, Data Feedback)
정보 및 첩보자료가 수집, 생산, 처리체계 내에서 상호 교류되는 것을 말함.

 

 

자북(磁北, Magnetic North)
지구의 자장의 영향만을 받으며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든 자침이 가리키는 북쪽 방향.
 
자연장애물(自然障碍物, Natural Obstacle)
사막, 하천, 협곡, 산악 등과 같이 자연적인 지형지물이 이동에 제한을 주는 것과 도시, 촌락, 제방 등과 같이 근본적으로는 군사목적을 갖고 있지 않지만 결과적으로 군사활동에 제한을 주는 인공구조물.
 
자연처리법(自然處理法, Natural Disposing)
제독방법의 일종으로 바람, 비, 습기, 흙, 물 등의 자연 제독제로서 시간경과에 따라 작용제를 파괴, 중화, 제거시키는 제독방법.
 
자위권(自衛權, Right of Self-Defense)
국가 또는 국민에 대한 현실적 또는 급박한 불법침해가 있을 경우, 이를 배제하여 국가 또는 국민을 방위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실력을 행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하며, 광의로는 긴급피난을 포함함.
 
자위적 선제타격(自衛的先制打擊, Self-Defensive Preemptive Attack)
적의 공격이 임박한 명백한 증거가 있거나 기습공격을 개시한 상황에서 즉각적인 행동을 개시하지 않으면 생존권이 치명적으로 손상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적의 공격개시 직전 또는 공격개시와 동시에 적을 타격하는 군사행동이며 이는 유엔헌장 제51조(자위권 인정)에 의한 자위권의 발동을 의미함.
 
자유강하(自由降下, Free Fall)
낙하자의 선택으로 인위적으로 낙하산이 작동되든가 미리 정해 둔 고도에서 자동적으로 낙하산이 작동되는 낙하산 기동.
 
자유기동(自由機動, Free Maneuver)
양군(兩軍)의 선택에 따라 각 부대가 임의로 행동하는 기동연습.
 
자유로켓(自由~, Free Rocket)
비행중에 유도나 조종이 되지 않는 로켓.
 
자유무기(自由武器, Free Weapon)
사용이 가능하며 현재 사격에 대한 지정된 표적이 없는 무기로서 최소한 1개 이상의 표적에 대하여 사격이 가능함.
 
자유사격(自由射擊, Free Fire)
우군으로 확실히 식별된 표적 이외의 모든 표적에 사격.

 

 

자유사격지역(自由射擊地域, Free Fire Area; FFA)
설정한 부대(사령부)와의 추가적인 협조 없이 어떠한 무기체계에 의해서도 사격을 할 수 있는 특정 지정지역으로서 그 설정목적은 신속한 사격을 도모하는 데 있음.
 
자유투하(自由投下, Free Drop)
1.항공기로부터 낙하산을 사용하지 않고 장비나 보급품을 투하하는 것.
2. 낙하산이 펴지지 않고 그대로 떨어지는 것을 말할 때도 있음.
 
자유표면효과(自由表面效果, Free Surface Effect)
함정의 격실이나 탱크 내에 일부만 차 있는 액체(물이나 연료)가 함정의 요동이나 경사에 따라 이리저리 자유롭게 이동하여 함정의 안정유지에 방해를 가져오는 효과.
 
자유화 지역(自由化地域, Freed Area, Reclaimed Area)
적에 의해 국내법의 적용범위가 제한되어 있던 지역으로부터 적을 축출하고 국내법의 적용범위를 확대하게 된 지역.
 
자율작전(自律作戰, Autonomous Operation)
1.전시 상급제대와의 통신망 두절시 작전계획 및 교전수칙에 의거 독자적인 작전을 수행하는 것.
2.상급부대와 모든 통신망이 두절되었을 때 지휘관이 부대를 자율적으로 운용하며 무기통제 및 교전에 대한 책임을 지는 표적할당의 통제수준임.
 
자이로스코프(콤파스)(Gyroscope(Compass))
회선나침의를 지칭하는 말. 이는 관성항법장치의 원리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속도와 위치를 알 수 있는 장비임.
 
자장변화 탐지(磁場變化探知, Magnetic Anomaly Detection)
자성을 가진 물질이 접근시 처음의 지구자장이 왜곡되는 것을 탐지하는 것. 처음의 탐지거리는 짧더라도 정보사항으로 입수한 접촉자료의 확인에는 매우 유용함.
 
자재보안(資材保安, Material Security)
비밀에 속하는 통신기구 및 재료에 관계자 이외 사람이 접근함을 방지함에 필요한 조치.
 
자주부교(自走浮橋, Mobile Assault Bridge)
지상주행 및 수상항행이 가능한 수륙양용차량에 도판 및 부교가설장치를 장착한 자주식 부교차량. 수상에서 개개의 자주부교를 연결한 부교를 구성하여 전차 및 전투차량 등의 신속한 도하에 사용됨.
 
자주포(自走砲, Self-Propelled Artillery)
1.차량 위에 탑재된 야포로서 차량에 탑재된 채로 운반되고 또한 사격할 수 있게 된 기동성 있는 포.
2.자주포가 전차와 다른 점은 장갑이 얇고 중량이 비교적 가벼우며, 포는 360도 회전이 불가능하고 자위대책이 미약함.

 

 

자체방어(自體防禦, Self Defense)
적의 침투부대의 기습을 제압하거나 감소시켜 부대의 임무 및 기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부대, 함정, 기지단위의 독립작전.
 
자체추진기뢰(自體推進機雷, Mobile Mine)
기뢰가 투하된 후 부설위치까지 자체 추진력으로 가도록 설계된 기뢰.
 
작전(作戰, Operation)
1.전략, 전술, 근무, 훈련 및 군 행정임무에 관한 군사적인 행동 또는 그 수행.
2.어떠한 전투 또는 전역에서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전투수행 과정으로서 이동, 보급, 공격, 방어 및 기동 등이 포함됨.
 
작전개념(作戰槪念, Concept of Operations)
작전 또는 작전과 관련된 지휘관의 가정과 의도의 윤곽을 구두나 서면으로 표현한 것. 작전개념은 특히 일련의 작전이 동시에 또는 계속적으로 수행될 때 작전계획에 구체적으로 기술되며 작전의 전모를 밝히기 위하여 작성됨. 이것은 일차적으로 목적을 더욱 명백히 하기 위한 것이며 `지휘관의 개념'이라고도 부름.
 
작전계획(作戰計劃, Operation Plan; OPLAN)
진술된 가정을 기초로 하여 단일작전이나 동시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일련의 작전을 망라한 계획. 이는 예하부대 지휘관으로 하여금 지원계획이나 명령을 준비할 수 있도록 상급제대 사령부에서 작성하는 지시임.
 
작전공역(作戰空域)
항공작전이 수행되는 공간으로서, 지상 및 해상의 공중과 우주 공간을 포함함.
 
작전기동단(作戰機動團, Operational Maneuver Group)
1.주로 작전술 차원의 종심공격을 실시하는 제대로 편조된 고속 기동부대(러시아).
2.술어적 의미에서는 대체로 편조된 기동화부대(또는 상황에 따라 고유의 기동화된 편성부대)라는 편성(조직) 그 자체를 지칭하는 면이 있지만 종심공격(전술 내지 작전술 차원의 목적)을 위하여 그와 같은 부대를 사용하는 운용방법의 개념이 함축되어 있음).
 
작전기만(作戰欺瞞, Operational Deception)
적 지휘관의 관심사항에 편견이 일어나도록 사실을 조작, 왜곡 또는 위조함으로써 적 지휘관으로 하여금 오판토록 계획하여 아 지휘관을 돕는 계획 및 시행방책.
 
작전기지(作戰基地, Base of Operation)
한 부대가 그곳을 중심으로 하여 공세적인 작전을 개시할 수 있고 불리한 경우에는 그 지점으로 철수하여 자체 방어를 할 수 있도록 보급시설이 구비되어 있는 지역 또는 시설.
 
작전기획(作戰企劃, Operation Planning)
전략기획과 작전계획을 연계시켜 주는 기획활동으로서 실제 또는 예상되는 군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존 군사능력의 운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며, 전·평시 및 전·평시 전환 상황하에서 계속되는 광범위한 기획활동.

 

 

작전노출지침(作戰露出指針, Operation Exposure Guide)
부대가 임무수행중 방사선을 받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고 지휘관이 고려하는 핵 방사선의 최대허용량임.
 
작전단계화(作戰段階化, Operation Phasing)
작전을 효과적으로 계획하고 통제하기 위하여 수개의 단계로 구분 실시하는 것.
통상 작전의 단계화는 한 작전의 성격 및 특성이 변경되고 다른 형태의 작전이 시작될 때, 또는 공격기동 형태가 변경될 때, 부대의 주요 재편조가 요구되거나 작전의 기간을 상세히 예측할 수 없을 때 실시됨.
 
작전대기상태(作戰待機狀態, Operational State of Alert)
평시(우발, 기습) 및 방어준비태세 증가에 따라 방공포병부대의 즉각적인 전력발휘를 위한 인원, 장비의 작전상태 및 부대 교육훈련/정비를 위한 상태.
 
작전동원(作戰動員, Operational Mobilization)
전시, 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에서 주요전투부대의 편성이나 작전수요를 위한 동원에 대비하기 위하여 사전에 개인에게 작전동원명령서를 교부해 두었다가 유사시 예비군을 동원하는 것.
 
작전명령(作戰命令, Operation Order; OPORD)
작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예하지휘관에게 임무와 작전수행방법, 협조사항 등을 지시하는 명령으로서, 명령발행부대의 임무가 변경되었거나 새로운 임무를 부여받았을 때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발행함.
 
작전보안(作戰保安, Operation Security; OPSEC)
아군의 부대활동과 기도를 적이 탐지하지 못하게 하는 제반수단으로서 아군의 부대활동 통제, 방첩, 기만 등이 포함됨.
 
작전부대(作戰部隊, Operating Forces)
전투를 기본임무로 하는 부대와 그의 부수지원부대.
 
작전사(作戰司, Operations Command)
전투를 주 임무로 하는 각 군의 작전부대로서, 합참으로부터 과업을 직접 부여받아 작전을 수행하는 부대
 
작전선(作戰線, Line of Operations)
군사적 목표달성을 위해 현 작전기지 또는 배치지역으로부터 일련의 목표들을 연결하는 개념적 선으로서 이 선은 결정적 지점을 경유하여 종국에는 적의 중심으로 지향됨. 작전의 성공을 위해서는 작전선의 결정과 전투력의 집중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여야 함.
 
작전소요통제(作戰所要統制, Operational Requirement Control)
전시 또는 평시, 작전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의 획득, 비축사용에 대한 통제업무를 말하며, 주로 합참과 각군본부 간에 이루어짐. 즉 합참은 군령분야 최고사령부로서 전투에 필요한 자원(인적, 물적)의 준비태세 파악이 작전지휘를 위한 필수 불가분의 요소이므로 전투에 필요한 자원의 관리가 비록 군정사항에 속하더라도 작계시행을 위해서 작전소요통제를 할 수 있음.

 

 

작전술(作戰術, Operational Art)
전략지침에서 제시된 군사전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유리한 상황을 조성하는 방향으로 일련의 작전을 계획하고 실시하며, 전술적 수단들을 결합 또는 연계시키는 활동.
 
작전연속체(作戰連續體, Operational Continum)
다양한 형태의 군사작전 및 활동의 범주 내에서 이루어지는 평시의 경쟁, 분쟁, 그리고 전쟁의 일반적인 상태.
 
작전예비(作戰豫備, Operational Reserve)
특정작전을 지원하기 위하여 설정한 인원이나 물자의 긴급예비.
 
작전인가구역(作戰認可區域, Approved Areas of Operation; AAO)
평시 아군의 해상 및 공중전력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하여 합참의장이 설정하는 구역.
 
작전적 기동력(作戰的機動力, Operational Mobility)
군 부대가 주임무를 달성하기 위한 능력을 유지코자 작전전구의 지정된 한 장소에서 타 장소로 이동하는 능력과 특성을 의미함.
 
작전적 실체 평가(作戰的 實體 評價, Operational Net
Assessment; onA)
작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적·아 및 작전환경에 대한 총체적인 분석을 통하여 효과(Effects)를 설정하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노드(Nodes)를 식별하며, 노드에 대한 조치(Action)와 가용한 자산(Resources) 운용에 대한 연계성을 식별하여 작전수행에 필요한 지식을 제공하는 활동임.
 
작전적 심리전(作戰的心理戰, Operational Psychological Operations)
전구급 목표달성을 지원하기 위해 작전적 차원에서 실시하는 심리전으로서 전략심리전과 전술심리전으로 연결됨.
 
작전준비태세(作戰準備態勢, Operational Readiness)
1.부대 및 무기체계에 적용되었을 때 편성 또는 계획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장비 및 인원준비상태의 결합.
2. 장비에 있어 설계된 기능수행의 기능상태.
3. 인원에 있어 부여된 임무 또는 기능수행의 가용성과 자격.
 
작전지속(作戰持續, Operationl Sustainment)
작전적 수준에서의 주요작전을 지속하는 상태 및 능력을 말하며 인사, 군수 등 모든 근무지원활동을 포함하는 개념.
 
작전지속능력(作戰持續能力, Sustainability)
군사적 목표달성을 위하여 전투활동을 위해 요망되는 수준과 기간을 유지해 주는 능력으로서 군사작전을 지원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대(병력), 물자 및 소모품을 제공하고 유지하는 기능.

 

 

작전지역, 작전구역(作戰地域, 作戰區域, Area of Operatios)
부여된 임무를 완수하기 위하여 지휘관에게 권한과 책임이 부여된 지역이며, 지상과 해상에서 지역 구분시 사용됨.
 
작전지침(作戰指針, Operational Guidance)
작전의 임무수행을 위하여 부여하는 지시 및 협조사항의 기준 또는 방향을 제시해 주는 기본방침.
 
작전지휘(作戰指揮, Operational Command; OPCOM)
작전 임무수행을 위하여 지휘관이 예하부대에 행사하는 권한으로서 작전수행에 필요한 자원의 획득 및 비축, 사용 등의 작전소요 통제, 전투편성(예속, 배속, 지원, 작전통제), 임무부여, 목표의 지정 및 임무수행에 필요한 지시 등의 권한을 말하며 행정지휘에 대한 상대적 개념의 용어로서 여기에는 행정 및 군수에 대한 책임 및 권한은 포함되지 않음.
 
작전통제(作戰統制, Operational Control; OPCON)
작전계획이나 작전명령상에 명시된 특정임무나 과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지휘관에게 위임된 권한으로서 시간적, 공간적 또는 기능적으로 제한된 특정임무와 과업을 완수하기 위하여 지정된 부대에 임무 또는 과업부여, 부대의 전개 및 재할당, 필요에 따라 직접 작전통제를 실시하거나 이를 예하지휘관에게 위임 등의 권한을 말하며 여기에는 행정 및 군수, 군기, 내부편성 및 부대훈련 등에 관한 책임 및 권한은 포함되지 않음.
 
작전통제권 이양(作戰統制權移讓, Change of Operational Control; CHOP)
부대 또는 단위부대의 작전통제에 대한 책임이 작전통제권자로부터 타 권한자로 이양되는 것(작전통제권 변경).
 
작전투명도(作戰透明圖, Operation Overlay)
한 작전에 관련된 부대의 위치 및 병력을 나타내는 투명도.
 
작전한계점(作戰限界點, Culminating Points of Operations)
공격 또는 방어작전부대가 전투력의 저하, 전투원의 피로, 긴요물자의 결핍 등으로 인해 더 이상 작전을 지속하기 어려운 상태 및 그 시기를 말하며 공격한계점과 방어한계점이 있음.
 
작전해역(作戰海域)
해양작전이 수행되는 공간으로서, 수상, 수중 공간을 포함함.
 
작전환경(作戰環境, Operational Environment)
군사작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조건과 주변의 상황으로서, 여기에는 국가목표와 이를 달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제반 고려사항, 작전지역, 주민의 성향, 적의 구성 및 임무, 무기체계 등이 포함됨.
 
잔교(棧橋, Finger Pier)
해안선으로부터 해중으로 길게 뻗어 돌출하여 양측에 선박을 접안시켜 선적 및 하역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부두.

 

 

잔류방사선(殘留放射線, Residual Radiation)
낙진, 인공적으로 산포한 방사선 물질 또는 핵폭발의 결과로 일어나는 방사로 인하여 생기는 핵 방사선.
 
잔류부대(殘留部隊, Residual Forces)
계속적인 군사작전을 위하여 즉시 이용할 수 있는 전투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계획적으로 보류하여 사용치 않는 군의 잔류부대.
 
잔류오염(殘留汚染, Residual Contamination)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진 후에 잔존하는 오염. 이와 같은 조치들은 통상 오염이 감퇴하도록 방치하는 경우도 있음.
 
잔류접촉 분견대(殘留接觸分遣隊, Detachment Left in Contact)
자발적인 철수시에 주력부대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호하고 정상적인 방어를 가장하기 위해서 적과 접촉하고 있는 잔류부대.
 
잔류침투(殘留浸透, Stay-Behind Infiltration)
적의 점령이 예상될 때 우군 지배지역에 사전에 부대를 잔류시켰다가 적이 전진 통과하면 침투목적이 달성되는 침투방법의 하나임.
 
잔류핵방사선(殘留核放射線, Residual Radiation)
핵무기가 폭발하여 형성되는 분열생성물, 미분열물질 그리고 중성자 감응방사선 물질에서 방출되어 1분 후부터 영향을 주는 방사선임.
 
잔류효과(殘留效果, Residual Effect)
핵무기가 폭발해서 1분 이후 오랜 기간을 두고 미치는 효과. 이에는 감응방사능, 방사능 낙진 등이 포함됨.
 
잔여상륙군보급품(殘餘上陸軍補給品, Remaining Landing Force Supplies)
잔여상륙군보급품은 지휘관이 설정한 규정휴대량, 해상담프 또는 사전 적재헬기 공수보급품에 포함되지 않은 재보충용 보급품 및 장비로 구성됨.
 
잔존부대(殘存部隊, Remaining Forces)
전투작전의 어떤 특정단계에 있어 군의 전체 잔존력.
 
잠망경심도(潛望鏡深度, Periscope Depth)
잠망경을 수면상에 노출하는 데 필요한 잠수함 심도.

 

 

잠수정(潛水艇, Midget Submarine; SSM)
150톤 이하의 소형 전투잠수정.
 
잠수함 강습부대(潛水艦强襲部隊, Submarine Striking Forces)
유도 또는 탄도미사일 발사장치를 보유하는 잠수함으로 핵공격을할 수 있는 유도기능을 구비한 잠수함부대.
 
잠수함 고시(潛水艦告示, Submarine Notice; SUBNOTE)
잠수함 안전해역 및 잠수함 경비구역 밖에서 작전 및 이동하는 잠수함의 안전을 위하여 잠수함의 국적, 함명, 예정 도착시간, 항로, 속력 및 구역 등에 관한 사항을 함대사령관을 거쳐 지역 및 단위 사령관에게 전달되는 전문 또는 서신.
 
잠수함 방책(潛水艦防柵, Submarine Barrier)
순수한 잠수함으로 구성된 대잠방책.
 
잠수함 비상식별 신호(번호)(潛水艦非常識別信號(番號), Submarine Emergency Identification Signals)
잠수함이 비상사태에 처했을 때, 이를 알리기 위하여 사용하는 신호로서 적색은 잠수함이 위기상태시 사용하며, 황색은 부상을 알리기 위해 사용하고, 흑색 또는 녹색은 어뢰를 발사했을 시 사용되는 신호.
 
잠수함 안전구역(潛水艦安全區域, Submarine Havens)
잠수함이 예정항로에 따라 그 주위에 설정한 이동구역으로서 이 구역에서는 잠수함은 공격당하지 않으며 수상함정은 피해야 함.
 
잠수함 안전항로(潛水艦安全航路, Submarine Safety Lane)
잠수함이 경비구역으로 이동시 우군세력과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신속히 전개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특정 해상항로.
 
잠수함 이동안전구역(潛水艦移動安全區域, Submarine Moving Haven)
잠수함 이동시 특정한 구역의 크기 및 전진속력이 부여된 이동구역으로서 잠수함의 추정위치를 중심으로 전후방 좌우로 구역이 설정되며, 평시 항해시 상호간섭방지를 위하여 반드시 잠수함이 위치해야 할 구역.
 
잠수함 자유부상구역(潛水艦自由浮上區域, Stovepipe, Safety Ring)
잠수함의 편대이동 또는 경비정 2척 또는 3척의 잠수함이 잠항상태에서 상봉 또는 상호경비구역 교대시 심도제약을 받지 않으며 부상할 수 있도록 설정된 동심원 구역.
 
잠수함 작전심도(潛水艦作戰深度, Submarine Operating Depth)
잠수함이 작전하는 수면 또는 수중심도를 말하며 다음과 같이 대별함.
1. 수 면:잠수함이 완전히 수면에서 부상하여 행동할 때.
2. 반 수 면:잠수함이 잠수하기 시작 혹은 부상하기 시작할 때의 심도.
3. 스노켈링:잠수함이 `스노켈링'할 때의 심도.
4. 잠망경 심도:잠수함의 잠망경 또는 `레이더'를 내놓고 항해할 때의 심도.
5. 잠수심도:잠수함이 완전히 잠수하였을 때의 심도.

 

 

잠수함 탐지거리예보(潛水艦探知距離豫報, Submarine Range Prediction)
잠수함 작전을 돕기 위하여 전 대양의 음파손실과 거리탐지조건을 제공하는 체계.
 
잠수함 회피장치(潛水艦回避裝置, Submarine Evasive Devices)
잠수함이 허위반향을 생성시켜 자체 소음을 은폐함으로써 음탐기 작동시나 유도어뢰를 혼란시키기 위한 잠수함용 모든 장치.
 
잠수함(潛水艦, Submarine; SS)
자체 잠수할 수 있는 300톤 이상의 함정으로 독립작전이 가능하며 주무장은 어뢰나 어뢰발사관, 발사용 유도탄로켓을 장착할 수 있음.
 
잠적(潛蹟, Hiding)
적의 관측, 추적 및 수색으로부터 자신의 신체, 장비 및 행동을 일시적 또는 순간적으로 숨기거나 은신하는 것.
잠재전력:인구, 산업, 기술, 산업기반시설, 물자동원기반
 
잠정 편성장비표(暫定編成裝備表, Tentative Table of Organization & Equipment)
시험적인 편성을 하고 있는 부대에서 인원 및 장비 혹은 그 양자에 대하여 규정한 표.
 
잠정부대(暫定部隊, Provisonal Unit)
특정한 임무수행을 위해서 제한된 기간중에 임시적으로 편성되는 인원 및 장비의 결합체.
 
잠항전보(潛航電報, Diving Message)
예정된 잠항시간 및 잠항기간을 알리기 위하여 잠항훈련시 잠수함이 잠항하기 전에 발신하는 전보.
 
잠항접근해역(潛航接近海域, Submerged Approach Area)
잠항한 잠수함이 어뢰를 발사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하여 접근해야 하는 제한해역으로 이는 잠수함과 표적의 속도 비율에 의해 결정됨.
 
잡음(雜音, Noise)
활성적인 전자기적 또는 기계적 체계에 있어서 원하는 신호의 정상 수신이나 진행상에 간섭을 유발시키는 원치 않는 전자적 방해 또는 소음.
 
장갑 보병전투차(裝甲步兵戰鬪車, Armored Infantry Fighting Vehicle; AIFV)
보병이 승차한 채로 전투할 수 있게 만든 장갑차량.

 

 

장거리 사각촬영(長距離死角撮影, Long Range Oblique Photographic)
항공기의 동체 중앙에 촬영기를 장착하여 조종사가 임의로 좌측 또는 우측방향을 선택 촬영할 수 있으며 고공에서 원거리에 있는 물체를 촬영하는 것.
 
장거리 수송(長距離輸送, Long Distance Transportation)
편도 160킬로 이상의 수송거리를 말하며 적하역 시간보다 차량운행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는 수송을 말함.
 
장거리 전자항법(長距離電子航法, Long Range Navigation; LORAN)
2개 또는 그 이상의 고정송신소로부터 보내는 펄스전자파의 시간차이를 이용하여 자체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거리 전자항법방식.
 
장기 병력손실판단(長期兵力損失判斷, Long Term Personnel Loss Estimates)
작전 계속일수가 6일 이상일 때 인가병력을 기준하여 예상손실을 판단하는 것.
 
장비배당표(裝備配當表, Table of Allowance)
인원배당표(T/D)에 의거하여 편성된 단위부대 및 특정기능부대에 대한 장비인가량을 규정한 문서.
 
장비인가표(裝備認可表, Table of Equipment; T/E)
장비인가 기준에 의거 부대별로 보유하고 있는 장비인가 현수.
 
장비인가현수표(裝備認可現數表, Equipment Authorization Inventory Data; EAID)
부대 및 부서별 완·감편 장비인가 및 보유현황이 수록되어 있는 장비인가 문서로서 매년 초 발간 배포하며, 중앙 장비인가 보유표와 기지별 장비인가 보유표가 있음.
 
장애물(障碍物, Obstacle)
군사이동을 정지, 지연, 제한, 방해 또는 전환시키는 인공 또는 자연 지형지물.
 
장애물운용 및 거부계획(障碍物運用및拒否計劃)
적의 이동을 협지로 유도하고 방향을 변경시키고 제한 및 지연 혹은 지지하기 위한 장애물의 운용 및 적의 인원과 장비의 부가적인 손실을 가하는 데 관계가 있는 작전계획(명령).
 
재고관리(在庫管理, Inventory Management, Stock Management)
보급기관에서 장차의 수요에 신속히 그리고 경제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재고를 최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과학적으로 관리하여 사용 부대의 수요를 가장 효과적이고 능률적으로 충족시키는 과학적인 관리활동을 말함.

 

 

재난(災難, Disaster)
작전임무 수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사태로서 다음과 같은 상태를 말함.
1. 적의 공격행위로 인하여 발생한 피해(전시재난).
2. 평시 우발적으로 발생한 주요사고(평시재난).
3. 자연현상에 의하여 발생한 피해(자연재난).
 
재난통제(災難統制, Disaster Control)
적대행위, 자연 또는 인공적인 재난에 대비하여 사전에, 중간에 또는 그 후에 피해가능성을 감소하고 그 효과를 최소로 하며, 복구를 개시하기 위하여 취하는 조치.
 
재돌입 운반체(再突入運搬體, Re-Entry Vehicle)
탄도의 최종단계에 있어서 지구 대기권으로 재돌입하도록 제작한
우주운반체의 부분.
 
재래식 무기(在來式武器, Conventional Weapon)
핵무기, 화학무기 및 생물학무기를 제외한 무기의 총칭으로서 통상무기 또는 비핵무기라고도 함.
 
재래식 부대(在來式部隊, Conventional Forces)
비핵무기를 사용하여 작전을 수행할 능력이 있는 부대.
 
재무장(再武裝, Rearming)
1.항공기, 해군함정, 전차 또는 장갑차 등에 대하여 항시 전투에 사용할 수 있도록 탄약, 포탄 및 기타의 무장품목을 규정된 지정량으로 준비하는 것. 불완전한 병기장비의 대치도 포함됨.
2.포탄이나 야포, 박격포, 또는 로켓의 포탄에 있는 신관을 재조절하여 원하는 시간에 폭발하도록 하는 것.
 
재전개 비행장(再展開飛行場, Redeployment Airfield)
평시에 전면적으로 점유하지 않으나 전쟁 발발시 즉각 평상위치로부터 재전개하는 부대가 사용하며 점유하는 비행장. 이 비행장에는 주비행장과 동일수준의 작전시설을 충분히 보유하여야 함.
 
재조직(再組織, Reorganization)
재조직은 부대의 전투력이 50% 미만으로 저하되어 재편성 방법을 통해서는 임무수행에 필요한 전투력을 회복시킬 수 없을 때 실시하는 전투력 복원방법으로서, 복원부대를 안전지대로 이동시켜 병력, 장비, 보급품을 대규모로 보충하고, 지휘통제체계를 재구성하며, 임무수행에 필요한 훈련을 실시하여 전투임무에 복귀시키는 조치.
 
재집결지(再集結地, Rallying Point)
분리 또는 소산된 부대원들이 재차 집결하는 지역.
 
재편성 비행장(再編成飛行場, Regroup Airfield)
군용 또는 민간비행장으로서 항공기가 H시 이후에 재무장, 재출격준비, 무장경계의 속행, 해외전개 또는 차후 전투임무 수행을 목적으로 재집결이 계획된 비행장.

 

 

재편성(再編成, Reorganization)
전투간, 전투후, 또는 적진지(목표) 점령 후의 혼잡한 부대질서를 정돈 복구하고 부대의 전투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취해지는 모든 활동.
 
저·중고도 교전구역-방공(低·中高度交戰區域-防空, Low and Mid Altitude Engagement)
동시교전을 방지하고 효과적인 교전을 실시하기 위하여 방공 교전구역이 설정되며 저·중고도 교전구역은 호크유도탄과 같은 저·중고도 대공유도탄과 단거리 대공무기가 교전을 실시하는 공역이며, 이 구역은 통상 무기의 성능으로 인하여 전투지역 전단을 초과함. 단거리 대공무기는 집권화 통제가 곤란하므로 이 구역을 명확하게 선포함으로써 아군기가 이 구역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해야 함.
 
저각도 상승폭격(低角度上昇爆擊, Low Angle Loft Bombing)
수평선상 35도 이내의 각도에서 무기를 투하하는 폭격의 한 형태.
 
저강도분쟁(低强度紛爭, Low-Intensity Conflict)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또는 심리적 목표 달성을 위해 실시되는 제한된 정치 군사적 투쟁.
 
저격병(狙擊兵, Sniper)
적의 요원을 사살하는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통상 특수장비를 가진 우수한 사격기술이 있는 소총병.
 
저고도 귀환회랑(低高度歸還回廊, Low Altitude Recovery Corridor)
오인에 의한 아군 사격으로부터 아군기를 보호하고 안전한 진입을 목적으로 지표면으로부터 포병고도 사이에 일정한 폭, 고도, 길이로써 설정된 회랑.
 
저고도 침투(低高度浸透, Low Level Terrain Flight)
전술적인 상황하에서 생존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가능한 최저고도를 유지하여 적지 또는 위협지역 내에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저고도 침투경로를 사용하는 비행기술.
 
저고도 탐지레이더(低高度探知~, Low Altitude Acquisition Radar)
저고도로 접근하는 표적을 탐지하여 표적의 방위각, 속도, 접근, 후퇴각 상태 및 개략적인 거리제원을 제공하며, 이 제원은 자동제원처리소에서 처리되고 포대/소대 작전통제소에서 전시됨.
 
저고도폭격(低高度爆擊, Low Altitude Bombing)
300 내지 2,700m의 고도간에서 폭탄을 투하하는 수평폭격.
 
저공기습(低空奇襲, Pop-Up)
항공기의 공격방법 중 저고도 침투공격기술의 하나로서 이 방법을 운용하는 항공기는 기습을 달성하기 위하여 목표에서 약 10~ 20㎞ 떨어진 공격개시점으로부터 저고도 지형추적 탐지기술로 접근하여 표적으로부터 3~5㎞ 떨어진 지점에서 항공기를 상승시켜 공격고도(무기에 따라 600~2,100m)에 도달한 후 목표를 확인하고, 목표로부터 500~1,500m에서 무기를 투하하고 항공기는 고속 저고도로 도피하는 방법.

 

 

저공조준폭격(低空照準爆擊, Low Altitude Bomb Aiming System; LABS)
항공기가 지형상 고도 30~300m, 속도 400~750노트로 비행하여 예정지점에 도달하면 조종사는 항공기를 상승자세로 끌어올리면서 폭탄을 투하하고 비행했던 반대방향으로 비행하는 방법. 이 전술은 주로 핵폭탄을 투하시 사용되지만 재래식 무기 투하시에도 사용됨.
 
저공투하(低空投下, Lay Down)
전투기와 폭격기가 공히 사용하는 무기투발 방법으로서 통상 야전에서 목표에 폭탄을 투하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항공기는 고도 약 100m, 속도 60~450노트로 고도를 변경하지 않고 목표상공을 비행하면서 폭탄을 투하함. 저속 저고도 비행은 임무의 성공률을 증가시키며 투발감속장치를 사용하여 폭탄의 낙하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항공기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음.
 
저공폭발(低空爆發, Low Air Burst)
화구의 최대반경 이상의 고도로 지면 혹은 수면 상공에서 이루어지는 폭발로서 비교적 낮은 공중에서 폭발하는 형태. 야전에서 지상표적에 가장 효과적으로 피해를 주는 데 사용되며 방사능 낙진은 생기지 않음.
 
저속공중투하(低速空中投下, Low Velocity)
항공기에서 화물용 낙하산을 사용하여 보급물자 및 장비를 매초당 30피트를 초과하지 않는 낙하속도 내에서 투하하는 것.
 
저위력 핵무기(低威力核武器, Nominal Nuclear Weapon)
약 20킬로톤에 상당하는 폭발력을 가진 핵무기를 기준하여 그보다 낮은 위력을 가진 핵무기를 말함.
 
저장목표(貯藏目標, Stockage Objective; SO)
현 보급운용을 지속하고 예측할 수 있는 장차의 수요를 충당하기 위하여 보유하여야 할 현재고의 최대량을 말하며, 이는 운용수준과 안전수준의 합계로써 이루어짐.
 
저장수준(貯藏水準, Stock Level; S/L)
전시 소요충당을 위해 보급시설에 인가된 전투예비탄약을 말함. 저장수준은 군수참모부장이 피지원부대 무기수와 보급일수 및 일일보급량에 의해 결정하며, 각 탄종별 및 군별로 설정됨.
저장수준=무기수×일일보급량×보급수준
 
저지(沮止, Blocking)
1.병력이나 화력 장애물 또는 화력과 장애물의 협조에 의해 적의 행동을 정지시키거나 방해하는 방어행동.
2.접근로에 장애물을 설치하여 적의 전진이나 이동을 못하게 하는 것.
 
저지진지(沮止陣地, Blocking Position)
측후방지역에 접근하는 적을 저지하거나 또는 적이 특정방향으로 전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편성되는 진지.
 
저항방법(抵抗方法, Degrees of Resistance)
방어시의 한 기동부대가 공격부대에 대항하여 저항할 수 있는 확보(방어), 지연 및 차장의 세 가지 저항정도.

 

 

저항부대(抵抗部隊, Resisting Force)
기존 정권이나 점령세력에 반항하는 집단으로서 통상 유격대, 보조부대 및 지하공작대로 분류됨.
 
저항운동(抵抗運動, Resistance Movement)
합법적으로 설립된 정부나 점령군에 반항하여 시민의 질서 및 안정을 교란하기 위하여 한 나라 주민의 일부에 의한 조직적인 행동.
 
적 후방 종심지역작전(敵後方縱深地域作戰, Deep Operations)
아직 접촉하고 있지 않는 적 부대와 적 후속부대가 전방으로 이동과 증원을 하지 못하도록 고립, 지연, 저지, 차단, 격멸시켜 적 전투력의 수적 우세 달성을 방지함으로써 아군의 근접지역작전을 지원하는 작전임. 따라서 지상, 공중, 해상의 통합된 입체적 기동을 실시하며 화력타격, 포위, 우회, 침투, 습격, 위력수색, 적진잔류, 특공작전 등을 다양하게 사용하여야 함. 적지종심작전과 동의어.
 
적극방공(積極防空, Active Air Defense)
적 공중공격을 제거하거나 또는 그 효율성을 감소하기 위하여 취하는 직접방어활동. 항공기, 대공포, 대전자수단 그리고 지대공 유도 미사일 사용 등의 대책이 포함됨.
 
적극방어(積極防禦, Active Defense)
강력한 제병협동부대로서 상호지원이 가능한 종심진지에서 직접적이고 계속적인 공세행동으로 공격하는 적 부대를 격파하는 것.
 
적기 판단기준(敵機判斷基準, Hostile Aircraft Criteria)
적대행위를 자행하는 항공기를 적기로 판단하는 기준.
 
적능력(敵能力, Enemy Capabilities)
적이 실제적으로 수행 가능한 방책으로서 만약 적이 채택한다면 우리의 임무완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책. `적 능력'은 시간·공간, 기후, 지형 및 적군의 병력과 배치를 포함하며 군사작전에 영향을 미치게 될 모든 기존요소를 포함하며 전략적인 측면에서 전시나 평시에 적의 국가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력의 범위내에서의 방책을 의미함.
 
적대세력(敵對勢力, Hostile of Influence)
국가의 지정에 관계없이 적대행위를 자행하거나, 적대의도를 나타내거나, 적성으로 선포된 세력 혹은 테러단체.
 
적대행위(敵對行僞, Hostile Act)
적대세력이 아군의 영토, 국민과 재산에 대해 공격 또는 기타 무력행위를 자행하거나 우군의 임무 혹은 부여된 직무를 방해, 저지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무력을 사용하는 행위.
 
적색경보(赤色警報, Warning Red)
적 항공기의 내습이 긴박할 때 발하는 경보.

 

 

적색장비(赤色裝備, Red Equipment)
장비 사용성 판단기준으로서 다음과 같은 상태의 장비를 말함.
1. 기능시험에 불합격한 장비.
2. 예비부속 및 공구가 전혀 확보되지 않는 상태의 장비.
3. 즉각 가동이 불가능한 상태의 장비(D/L장비).
4. 파견·대여 등으로 24시간 이내에 복귀 불가능한 장비.
 
적성항적(敵性航跡, Hostile Track)
설정된 기준에 의거 항적이 적의 공중, 탄도 및 궤도 비행중인 위협이라고 판정될 때 부여하는 취급부분.
 
적송명령(積送命令, Shipment Order)
한 기관으로부터 다른 기관으로 보급품 또는 장비를 적송할 것을 지시하는 서면상의 요청 또는 요구.
 
적외선 방해방어책(赤外線妨害防禦策, Infrared Counter Countermeasure)
적군으로부터 아군의 적외선 장비나 체계의 효과적인 사용을 거부하기 위한 방해행위에도 불구하고 아군의 적외선 방사장비나 체계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취해진 제행위.
 
적외선 방해책(赤外線妨害策, Infrared Countermeasures)
적외선 방사에 사용하는 적 장비나 전술효과를 방해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취해지는 모든 행위.
 
적외선 추적(赤外線追跡, Infrared Track)
표적으로부터 발사되는 적외선을 유도탄에 장착된 적외선 감지기를 이용하여 포착 및 추적하는 유도기술로서, 주로 공대공 및 지대공 유도탄에 사용됨.
 
적외선 탐지기(赤外線探知機, Infrared Detector)
적외선의 출처를 발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휴대용 기구.
 
적외선 호밍유도(赤外線~誘導, Infrared Homing Guidance)
적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포착하여 표적을 추적하여 명중시키는 유도방식.
 
적응성 시험(適應性試驗, Adaptability Test)
표준화된 어느 장비가 특정한 부대나 조직체에 대하여 어느 정도 적합한가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시험. 적응성 시험은 표준화하기 전에 실시하는 사용부대 시험과 다르며 사용을 위한 장비의 적부성을 시험하는 것.
 
적재 가용일(積載可用日, Available to Load Date)
부대가 탑재함(搭載艦)으로부터 이동할 준비 마감 일시를 가리키는 시차별 부대전개제원에 명시된 날짜.

 

 

적재공간(積載空間, Broken Stowage)
화물 및 함정의 적하실의 형태가 고르지 못하여 생긴 화물간의 공간.
 
적재인수(積載因數, Storage Factor)
화물이 가지는 용적과 중량과의 비율이며 이는 화물의 용적을 화물의 중량으로 나눈 것.
 
적지종심작전(敵地縱深作戰, Deep Operations)
적지 종심상에 항공 및 장거리 타격수단을 집중하여 공중강습 및 공정부대를 투입하여 적의 C4I 시설, 화력지원수단, 증원전력 등 전략적, 작전적 중심을 무력화하며, 적의 전투력을 조기에 분산, 혼란 및 마비시키는 작전 형태임.
 
적진잔류부대(敵陣殘留部隊, Stay Behind Forces)
방어작전, 후퇴작전 등을 실시하다가 사전에 계획된 지역이나 일정지역에 일부 소수인원을 적진에 잔류, 은거시켜 중요지형의 확보 및 통제, 적에 관한 첩보 및 정보수집, 표적획득, 사격요청 및 유도, 습격, 매복, 차단작전 등을 실시하는 인원이나 부대.
 
적치도(積置圖, Stowage Diagram)
적재계획에 포함하여 갑판이나 설치대에 적재하는 모든 화물의 정확한 위치를 표시한 축척도.
 
적하(積荷, Stowage)
파손 또는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함선의 선창 또는 객실에 화물을 쌓는 방법.
 
적하목록(積荷目錄, Manifest)
특정 목적지로 수송되는 승객이나 품목을 상세하게 기술한 문서.
 
적합성(適合性, Adequacy)
계획된 작전의 범위와 개념의 부여된 임무달성을 위해 적합함을 의미하는 작전계획 검토 기준.
 
전개 데이터 베이스(展開~, Deployment Data Base)
계획 시행을 지원하기 위한 부대, 물자, 보충인원 이동소요를 포함하는 합동전개체제 데이터 베이스. 이 데이터 베이스에는 시차별 부대전개제원, 위기조치체제의 개발된 자료, 소요되는 부대, 인원, 물자를 지원하기 위해 수송운영기관에 의해 개발된 이동계획 혹은 목록을 포함함.
 
전개, 배치(展開, 配置, Deployment)
1.의도하는 작전준비를 보강하기 위하여 종횡으로 종심 있는 대대급 이하 단위부대의 배치.
2.해군용어로는 접적 항해 또는 접적 배치로부터 전투배치 대형으로 변경하는 것.
3. 전략적인 의미로는 군대를 원하는 작전지역에 재배치하는 것.
4. 부대계획에 지시된 대로 병력 및 부대의 지정된 배치.
5.포장된 낙하산이 투하되어 완전히 펼쳐지고 기능을 발휘할 때까지의 일련의 기능.
6.군부대 정면의 확장, 그리고 밀집대형으로부터 전투대형으로의 전개.

 

 

전개도표(展開圖表, Deployment Diagram)
상륙작전의 돌격단계에 있어서 주정단이 대기구역으로부터 공격개시선에 이르는 진입대형과 그리고 상륙대형으로 전개이동하는 방법을 표시한 도표.
 
전격전(電擊戰, Blitzkrieg)
제1차 세계대전 후 퓰러(T.F.C. Fuller)와 리델하트(B.H. Liddel Hart)에 의해 후티어전술의 문제점을 분쇄하기 위한 기습적인 기동으로써 공격을 실시하며 적을 격파하는 경이적인 급속작전. 이는 속전속결의 근본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동과 기습을 최대로 이용한 전법.
 
전과확대(戰果擴大, Exploitation)
1.전투에서 달성한 성공의 이점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공격작전의 한 형태.
2.성공적인 공격으로 적의 방어체계가 약화되거나 또는 붕괴되었을 시 이의 이점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공격작전으로 목적은 적 방어의 재편성을 방지하고, 철수를 방지하며, 종심 깊은 목표를 확보하여 적 부대를 격멸하기 위한 것.
 
전구(戰區, Theater)
단일의 군사전략목표 달성을 위해 지상, 해상, 공중작전이 실시되는 지리적 지역.
 
전구고고도지역방어(戰區高高度地域防禦, Theater High Altitude Area Defense)
미국의 전구미사일 방어(TMD) 임무부대의 일원으로 탄도탄 위협에 상층방어, 즉 대기권 내·외 장거리 요격능력을 제공하고, 공격해 오는 탄도탄과 교전하여 이를 무력화시키는 미 육군의 21세기 개발사업임.
 
전구유도탄방어(戰區誘導彈防禦, Theater Missile Defense; TMD)
전구 내에서 표적을 공격할 수 있는 탄도탄, 순항유도탄 및 공대지 유도탄에 대한 방어개념으로서 제한된 공격에 대한 세계방어(GPALS)의 일부이나 독립적으로 기능수행이 가능함.
 
전구자동화 지휘통제 정보관리체계(戰區自動化指揮統制情報管理體系, TACCIMS)
연합사령관의 지휘통제를 위하여 탱고 지휘소를 중심으로 예하작전 통제부대를 통제하기 위한 자동화 처리체계.
 
전구항공통제본부(戰區航空統制本部, Theater Air Control Center; TACC)
전구항공통제체계의 핵심부대로서 공군 구성군사령관에게 공중상황에 대한 통제력을 제공함. 주요기능은 항공작전에 투입되는 전력의 전개를 계획, 지시, 관장, 협조, 수정, 통제하는 것임.
 
전구항공통제체계(戰區航空統制體系, Theater Air Control System; TACS)
항공전력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지휘통제기구로서 공군력 운용의 계획, 지시, 통제, 조정 및 타군과의 항공작전 협조 등을 위하여 필요한 편성 및 장비를 갖춘 항공작전체계.
 
전구핵무기(戰區核武器, Theater Nuclear Weapon)
유럽이나 아시아 등 전구에 배비(配備)한 핵무기로서, 전술핵무기를 위주로 하여 일부의 전략핵무기도 포함될 수 있음. 통상 사정거리 500~1,500마일의 준장거리 탄도탄과 사정거리 1,500~4,000마일의 중거리 탄도탄 등이 여기에 속하며, 폭격기의 경우는 항속거리 3,500~6,000마일의 중거리 폭격기가 여기에 포함됨.

 

 

전군방공경보망(全軍防空警報網, Whole Army Air Defense Warning Net)
방공경보수신기가 인가 및 보급된 전 부대에 방공경보를 전파하기 위한 통신망.
 
전기(戰技, Techniques)
지휘관, 개인 또는 부대가 전투간 부여된 임무를 수행함에 있어 인원, 화기, 장비 등을 사용하는 방법을 말함.
 
전단(傳單, Leaflet)
심리전의 한 수단으로 항공기나 기타 수단에 의해서 적지에 산포하는 `삐라.'
 
전단(戰團, Flotilla)
둘 이상의 구축함전대 또는 기타함정의 전대로 구성되는 행정 또는 전술편성.
 
전달계수-핵(傳達係數-核, Transmission Factor-Nuclear)
차폐물의 외부(인접부)선량과 내부선량의 전달비율. 전달계수는 차폐물을 통하여 받는 선량의 계산에 상용됨.
 
전대(戰隊, Squadron)
2개 분대 이상의 함정이나 둘 이상의 비행편대로서 구성되는 편성체. 통상 동일형의 함정이나 항공기로 구성.
 
전략(戰略, Strategy)
승리에 대한 가능성과 유리한 결과를 증대시키고, 패배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수단과 잠재역량을 발전 및 운용하는 술(術)·과학.
 
전략개념(戰略槪念, Strategic Concept)
전략판단의 결과로 채택된 방책으로서 그 개념으로부터 발전된 기본계획을 구상할 수 있도록 충분히 융통성이 있으며 광범위한 용어로 표현함.
 
전략경보(戰略警報, Strategic Warning)
적에 의한 전쟁행위가 절박하다는 경고로서 적대행위 이전에 이러한 경고는 분, 시간, 수일 또는 그보다 앞서 발령될 수 있음.
 
전략공격(戰略攻擊, Strategic Attack)
적의 전쟁수행기반을 파괴하고 그 능력과 국민의 항전의사를 붕괴시키기 위해서 통상 적국의 선정된 목표(도시, 중요산업, 군사, 교통, 통신시설, 군대집결지 등)에 대해 직접 행하는 공격작전. 전략공격시에는 재래식 병기(비행폭격)에 의한 것부터 핵병기(항공기에서 발사되는 핵미사일, ICBM, IRBM 등)를 사용하는 것까지 몇 개의 단계가 있음.
 
전략공수(戰略空輸, Strategic Airlift)
군사작전을 계속 유지하기 위하여 전투지역간 또는 국내와 해외 전투지역 간에 인원, 군용자재 등을 계속적으로 항공 수송하는 것.
 
전략기뢰원(戰略機雷原, Strategic Minefield)
적의 해상교통을 파괴 또는 교란함으로써 적의 전쟁지속능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기뢰를 부설하는 구역.
 
전략목표 공격작전(戰略目標攻擊作戰, Strategic Objective Attack Operation; SOAO)
적의 전쟁의지 혹은 전쟁지속능력을 말살하기 위하여 적의 중심과 관련된 주요 전략표적에 대해 공격하는 작전.
 
전략물자(戰略物資, Strategic Materials)
1.한 나라의 기본적인 운영요건을 충족시키는 데 필요한 모든 물자로서 일국의 경제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며 발전과정에 있어 핵심이 되는 중요물자.
2. 국가의 비상시에 생산능률에 있어서 그 양이나 질적으로 불충분하기 때문에 국외의 자원으로부터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조달하지 않으면 안 되는 국가안보상 또는 전략상 긴요한 물자.
 
전략병기(戰略兵器, Strategic Arms)
전략목적에 쓰이는 병기, 즉 대륙간 탄도탄·핵잠수함·전략폭격기 등의 총칭.
 
전략선전(戰略宣傳, Covert Propaganda)
상대방을 전략적으로 궁지에 빠뜨리기 위해서 진실한 것을 제외한 왜곡된 것을 확대해 나가는 선전.
 
전략심리전(戰略心理戰, Strategic Psychological Warfare)
국가목표 달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대상국의 전 영토, 전 국민을 대상으로 정치, 경제, 군사적으로 실시하는 계획된 심리전.
 
전략예비(戰略豫備, Strategic Reserve)
전쟁을 승리로 이끌기 위해 결정적인 시기와 장소에 투입할 수 있도록 준비한 대규모 증원부대로서 통상 언제 어느 장소라도 투입될 수 있도록 기동력과 전투력을 구비한 정예부대로 구성됨.
 
전략유도탄(戰略誘導彈, Strategy Missile)
전략목표 공격용의 유도탄으로서 종래의 전략공군과 유사한 용도에 사용되며 장거리사정과 큰 파괴력을 필요로 하며, 사정거리는 대개 1,500마일 이상으로 탄두에는 메가톤급의 수폭을 장착하는 것이 보통임.
 
전략임무(戰略任務, Strategic Mission)
적의 전쟁수행 역량과 전쟁을 일으키려는 의지를 점진적으로 와해 및 파괴할 목적으로 선정된 일련의 표적 중 1개 혹은 그 이상의 표적에 대하여 지시된 임무. 표적에는 기간산업시설, 원료의 근원(생산지), 긴요(전략)물자·중요물자집적소, 발전시설, 교통망, 통신시설, 기타 이와 유사한 표적체제가 포함됨.

 

 

전략적 군사기만(戰略的軍事欺瞞, Strategic Military Deception)
전략적 군사목표, 정책, 계획에 도움이 되는 적의 군사정책을 유발하기 위해 상급부대 지휘관들이 지원하는 또는 그들이 직접 계획하고 시행하는 합동군사기만.
 
전략적 완충공간(戰略的緩衝空間, Strategic Buffer Zone)
공세적 방위전략을 채택하고 있는 한 국가가 선제기습에 의한 초기 충격력을 흡수하기 위하여 설정한 공간으로서 시나이 전역(10월전쟁)의 바브래선으로부터 120㎞ 후방에 설치한 제2방어선까지의 공간을 그 예로 들 수 있음.
 
전략적 이점(戰略的利點, Strategic Advantage)
한 국가가 적대국과의 관계에서 군사적 또는 정치적 상황을 유리한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관계.
 
전략적 중심(戰略的中心, Strategic Center of Gravity)
전력의 원천 또는 전력의 균형을 이루는 근원으로서 피아가 행동의 자유를 유지하거나 유형 전투력 또는 전투의지를 창출하는 장소나 능력 또는 특성을 의미함.
 
전략적 집중(戰略的集中, Strategic Concentration)
전역계획을 수행하기에 유리하도록 부대를 배치하여 그 부대의 작전개시가 의도될 수 있는 지역에 지정된 부대를 집결하는 것.
 
전략적 취약성(戰略的脆弱性, Strategic Vulnerability)
적의 능력범위(우리가 알고 있는)내에서 적이 아군에게 가해 올 행동에 의해서 심히 감소되거나 불리하게 변화될 중요한 국력의 요소들에 미치는 감수성으로 이러한 감수성은 정치, 지리, 경제,
과학, 사회 및 군사적 요소와 관련됨.
 
전략정보(戰略情報, Strategic Intelligence)
국가 및 국제적 수준의 정책 및 군사 기획수립에 요구되는 정보.
 
전략지시(戰略指示, Strategic Directives)
합참의 군령권 보좌 및 국가전쟁지도 주요 기능수행을 위해 전략상황 평가 및 판단결과 도출로 전략적인 지침을 지시화한 것으로서, 합참의 국가통수 및 군사지휘기구 승인하에 연합사에 전략지시를 하달함.
 
전략지침(戰略指針, Strategic Guidance)
정치지도자들이 설정한 정치적 목표를 구현하기 위하여 군사전략 차원의 군사력운용에 관한 일반적인 지침으로서 전략목표, 자원의 사용, 제한사항 및 고려되는 적의 위협요소가 포함된 전략지시와 이전의 기준 또는 방향을 제시하는 기본방침.
 
전략판단(戰略判斷, Strategic Estimate)
지휘관의 임무, 목표 및 방책결정에 영향을 주는 광범위한 전략적 요소에 관해 지휘관에 의해 작성되는 판단서.
전략폭격(戰略爆擊, Strategic Bombing)
적국의 전쟁지속능력을 분쇄하기 위하여 주요 군사시설, 물자저장소, 교통망 등 정치, 경제, 사회 등 국력의 중추지역에 대한 폭격.
 
전략폭격기(戰略爆擊機, Strategic Bomber)
전략폭격을 주임무로 하는 폭격기. 대륙간을 왕복하는 장거리 항속 성능과 더불어 핵폭탄 또는 핵탄두 미사일의 충분한 탑재능력, 적의 공격을 회피하는 능력 등이 요구됨.
 
전략핵(戰略核, Strategic Nuclear)
대도시나 공업 중심지를 파괴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핵무기를 지칭함. 대륙간 탄도미사일, 잠수함 발사탄도 미사일, 전략폭격기 적재 핵폭탄 등을 말하며, 파괴력은 수백 킬로톤 이상임.
 
전력(戰力, War Potential)
전쟁을 수행할 목적과 기능을 갖는 조직적인 무력 또는 군사력으로서 군사무기체계, 장비, 조직, 전술교리, 군사훈련 및 기반시설이 망라됨.
 
전력구조(戰力構造, Force Structure)
인력배분, 유형별 전투부대 및 수, 주요 무기체계 등 전력의 개략적인 구상(Design).
 
전력발전(戰力發展, Force Development)
전력의 개선에 대한 노력으로서 군사력 기획과정에 포함되는 요소임.
 
전령통신(傳令通信, Messenger Service)
통신문을 직접 송달하는 통신수단으로서 모든 부대에서 운용할 수 있는 가장 보안성이 양호하고 신뢰성과 융통성이 있는 통신수단임. 이는 긴 통신문이나 부피가 큰 문서를 송달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수단.
 
전리품(戰利品, War Trophy)
국제법 또는 전쟁법상 전투에서 노획한 국가가 소유할 수 있도록 규정된 노획한 모든 품목. 즉 적의 병기·마필 등 직접·간접으로 작전에 유효하게 제공될 수 있는 국유재산.
 
전면방어(全面防禦, Perimeter Defense)
방어지역의 전면에 따라 부대를 배치함으로써 노출된 측방이 없는 사주방어를 말함.
 
전면전쟁(全面戰爭, General War)
1.교전국가의 총자원이 동원되고 주요 교전국이 국가적 존망위기에 놓이는 주요세력간의 무력분쟁.
2.전쟁목적, 지역, 참가국가, 전쟁수단에 있어서 전혀 무제한적이며 전 세계적인 대규모 전쟁(제한전쟁과 반대되는 무제한전쟁 개념).

 

 

전면포위(全面包圍, Encirclement)
2개 이상의 포위부대에 의하여 적의 측방과 후방을 완전히 차단한 후 적의 주위를 둘러싸고 적을 공격하는 포위형태임.
 
전면핵전(全面核戰, General Nuclear Warfare)
핵보유국 및 그 동맹국들이 핵무기를 전면적으로 사용하는 무력전으로 해당국 본토에 지향됨.
 
전방감시 적외선장비(前方監視赤外線裝備, Forward Looking Infrared System; FLIS)
물체가 방사하는 적외선을 검출하여 그 온도 분포를 영상화하는 장치로서 원리는 물체가 발산하는 적외선을 탐지하여 물체와 배경 사이의 온도차를 이용하는 것이며,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몇 킬로미터 앞에서 검출할 수 있음. 헬리콥터의 야간조명용 및 목표의 탐지식별용, 전차의 화력통제장치 등에 사용되고 있음.
 
전방감시소(前方監視所, Reporting Post)
지방관제소의 포착범위를 연장키 위하여 전방의 감시 및 방공조기경보 임무를 수행하는 지방관제소의 예하기구.
 
전방방어지역(前方防禦地域, Forward Defense Area)
전투지역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전 방에 투입된 부대에 의해서 편성된 지역.
 
전방방어진지(前方防禦陣地, Forward Defense Position)
1.기동방어시 적공격의 긴박함을 경고하며 공격부대를 그에게 보다 불리한 지형으로 유인하고 공격부대의 전진을 저지 또는 방해하기 위하여 방자가 사용하게 되는 지형격실, 거점 및 관측소의 연결을 말함. 전방방어진지는 필요한 최소의 병력에 의해 점령되고 대다수의 방어부대는 역습에 사용함.
2.지역방어시 전투지역 전단에서 적의 접근로를 봉쇄하고 지역을 통제하기 위하여 종심 깊이 준비된 진지를 말함. 전방방어진지에는 부대의 주력이 배치되며 진지를 점령하고 있는 부대는 전력을 다하여 적을 저지하여야 하며 적이 돌파에 성공하면 적을 역습에 유리한 지역으로 유인하거나 강요하게 됨.
 
전방위전략(全防衛戰略, Amni-Directional Defense Strategy)
특정국가만을 가상적으로 하지 않고, 또한 특정 동맹국에만 의존함이 없이, 자국의 의사에 반하는 전쟁에 말려들어 가는 것을 피하면서, 세계의 어느 국가가 공격해 오더라도 자국의 역량만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실력(핵을 포함)을 갖춤으로써 전쟁의 발생을 억지, 저지하되, 일단 전쟁이 발발할 경우에는 자주적으로 자유로이 자국의 운명을 결정하는 수단에 호소한다는 정치 및 군사방책.
 
전방전투지경선(前方戰鬪地境線, Forward Boundary; FB)
화력지원협조수단의 하나로서 연합사령관이 종심전투지역 내의 표적들에 대한 항공, 지상, 함정발사무기들의 공격을 조정하는 것과 이에 대한 책임을 설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승인하는 선. 연합단위부대는 밖의 표적을 공격할 때 공구사사령관의 승인을 얻어야 함.
 
전방제대(前方梯隊, Forward Echelon)
방어시 주전투지역(주방어지역)에 전개된 부대.
 
전방항공관제소(前方航空管制所, Forward Air Control Post)
중앙관제소와 지방관제소의 취약구역을 보완하고 저고도로 침투하는 적기를 포착하기 위하여 전투지역전단 가까이 위치하며 고도의 기동성을 구비한 레이더부대로서 항공기를 유도하는 기능도 보유하고 있음.

 

 

전방항공의무후송(前方航空醫務後送, Forward Aeromedical Evacuation)
공중수송방법으로 환자를 전장 내의 지점간이나 전장으로부터 최초 치료지점까지 그리고 전투지대 내의 차기 치료지점으로 후송하는 단계.
 
전방항공통제관(前方航空統制官, Forward Air Controller; FAC)
지상군의 전방 전투부대에 파견되어 지상군부대에서 요청하는 근접항공지원작전, 공중정찰 및 공수요청 등을 지원 처리하고 항공기를 적에 유도 통제하는 장교.
 
전범(戰犯, War Criminal)
전쟁범죄인. 전쟁중에 제네바 협약 또는 전투법규를 위반한 자. 광의로는 평화에 대한 죄와 인도에 대한 죄를 범한 자가 이에 포함됨.
 
전법(戰法, How to Fight)
전쟁에서 가용한 수단과 방법을 효과적으로 배비하고 운용하여 작전적 수준의 전투에서 `어떻게 싸울 것인가?'를 체계화시킨 전투수행방법으로, 개략적인 전투수행의 방향과 모델.
 
전복활동(顚覆活動, Subversion)
군사, 경제, 심리, 사기 또는 정치기반을 비밀리에 훼손시키기 위하여 기도되는 비밀활동. 전복활동 수행을 위하여 기도되는 비밀활동에는 선전활동, 태업활동, 기타활동이 있으며 주로 도시지역에서의 지하공작대 요원에 의하여 실시되는 정치활동이 있음.
 
전비기준(戰備基準, Readiness Standards)
작전수행능력의 기준으로 지휘관에 의하여 선정된 변수와 성능, 가용자원 및 환경조건.
 
전비정보(戰備情報, Readiness Information)
부대의 작전태세 및 평가에 관련된 정보사항으로 가용자원, 환경조건, 교육실습, 전비기준, 요구되는 작전능력 및 지휘관에 의한 전비평가 등이 포함됨.
 
전비태세(戰備態勢, Operational Readiness)
각종 세력 등이 전투수행 및 전투를 지원할 수 있는 준비태세를 갖추는 것.
 
전사면(前斜面, Forward Slope)
적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
 
전선(戰線, Front Line)
전개하여 전투에 투입된 제1선 보병부대의 선을 말하며 일명 전투선 또는 제1선이라고도 함.

 

 

전선부대진출선(戰線部隊進出線, Forward Line of Own Troops; FLOT)
우군의 전선, 우군의 최전방 배치선 혹은 특정시 전군작전에서의 우군 최전선 진지를 연하는 선으로 즉 전선·부대진출선을 말함.
 
전송사진(電送寫眞, Facsimile, Photoradiagram)
1. 사진을 전송하는 방법 또는 전송한 사진.
2. 유선 또는 무선으로 문자, 사진 및 그림 등을 그대로 먼 거리까지 보내는 장치임.
 
전술 회전경(戰術回轉徑, Tactical Diameter)
함정의 원침로와 일정한 타각으로 180도 방향을 전환한 후의 새 침로와 처음 침로 간의 수직거리.
 
전술(戰術, Tactics)
1. 전투시 부대의 운용.
2.아군 상호간 및(혹은) 적과 관련하여 부대의 모든 잠재력을 발휘하기 위한 질서 있는 부대배치(배열) 또는 기동.
3.작전술 수준에서 설정된 목표달성을 위하여 가용한 전투력을 통합하여 적을 격멸하는 전투와 교전에서 적용하는 활동.
 
전술경보(戰術警報, Tactical Warning)
1.적의 행동개시를 통보하는 것. 이러한 경보는 공격개시로부터 표적에 도달시까지 언제나 받을 수 있음.
2.위성과 미사일 감시에 있어서 특정한 위협적인 사건이 발생하고 있다고 작전지휘본부에 하는 통보. 여기서 위협사건이란 아래 사항을 포함함.
가. 전쟁 발생국가(적대행위를 개시한 나라).
나.사건형태 및 규모(사건형태를 식별하고 무기의 규모 또는 수량을 결정).
다.피공격 국가(물체의 탄도를 관측하고 탄착점을 예측함으로써 결정).
라. 사건 발생시간(적대행위가 발생한 시간).
 
전술공역(戰術空域, Tactical Air Space)
`군 작전수행을 위하여 설정된 공역'으로서 민간항공기를 포함한 모든 항공기의 사용이 가능한 일반공역과 대치되는 개념으로 사용할 시는 `군사공역'으로도 통용됨.
 
전술관제(戰術管制, Tactical Control)
표적기 정보와 코미트(COMMIT)의 목적(kill, ID)만 통보하여 요격하는 방식으로서 방공무기통제사는 조종사에게 지시방위를 제공하지 않음.
 
전술군수단(戰術軍需團, Tactical Logistic Group; TACLOG)
상륙작전시 함안이동간 상륙군의 소요에 관하여 해군통제장교에게 조언하기 위하여 상륙군의 인원으로 구성된 기구.
 
전술기뢰원(戰術機雷原, Tactical Minefield)
특수 전술작전 또는 알고 있는 적의 전술목표를 방해하기 위하여 기뢰를 부설하는 것.
 
전술기지(戰術基地, Tactical Base)
한 부대가 그곳을 중심으로 하여 공세적인 작전을 개시할 수 있고 불리한 경우에는 그 지점으로 철수하여 자체방어를 할 수 있도록 보급시설이 구비되어 있는 지역(또는 시설).

 

 

전술도로(戰術道路, Tactical Road)
지상군 및 장비물자의 전개에 필요한 도로.
 
전술부대(戰術部隊, Tactical Unit)
직접지원에 필요한 근무지원부대와 함께 전투시에 한 지휘관하에서 한 단위로 작전하며 적과 교전하도록 편성된 전투부대.
 
전술사격 지휘체계(戰術射擊指揮體系, Tactical Fire Direction System; TACFIRE)
계수형 통신망(장비)을 이용한 전산화된 포병사격 지휘체계.
 
전술심리전(戰術心理戰, Tactical Psychological Operation)
전술지역에서 적군 또는 적군 주민을 대상으로 전투의지 및 조직을 와해시키기 위하여 전술적 차원에서 실시하는 심리전.
 
전술자재(戰術資材, Tactical Materials)
장벽 및 거부, 도하작전, 교량복구, 송유관, 하역장 개발 등에 소요되는 일체의 자재를 총칭함.
 
전술작전(戰術作戰, Tactical Operation)
전투를 하기 위해 부대가 기동하고 화력을 사용하는 것.
 
전술작전본부(戰術作戰本部, Tactical Operation Center; TOC)
현행 전술작전 및 이에 대한 전술적 지원에 관련이 있는 일반 및 특별참모요원들로 주지휘소 내에 구성된 조직체.
 
전술적 결심수립 절차(戰術的決心樹立節次, Tactical Decision Making Procedure)
부여된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지휘관과 참모가 단일조직체가 되어 지휘관을 중심으로 건전한 결심을 수립하는 논리적인 사고과정으로서 기존의 지휘관 및 참모활동순서, 판단, 전술적 결심 및 조치, 전술적 결심수립과정 등의 유사한 계획수립절차를 통합 및 체계화하였음.
 
전술적 이동(戰術的移動, Tactical Movement)
적과 직접적인 접촉이 없는 조건하에서 전술적 임무를 띤 부대 및 장비의 이동.
 
전술적 전환(戰術的轉換, Tactical Diversion)
선박이나 호송선단이 최종 목적지는 변경하지 않고 정박지에 대기하는 기간을 포함하는 항로 또는 항로에 이르는 항해속도 등을 작전상의 이유로 수정하는 것.

 

 

전술정보(戰術情報, Tactical Intelligence)
전술작전의 계획과 실시에 필요한 정보.
 
전술정보망(戰術情報網, Tactical Digital Information Link; TADIL)
중앙방공통제소와 미공군 자료처리장비(MCE) 및 유도탄 사격통제장비(AN/TSQ-73) 간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제원망.
1.전술정보망-A:중앙방공통제소에서 공중조기경보기를 통제하는 데 사용하는 망으로서 단일주파수로 일방향통신(동시 송·수신 불가)이 가능하고 동시 다수 부서 연동이 가능함.
2.전술정보망-B:중앙방공통제소와 자동화 사격통제소 간 불필요한 항적을 여과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망으로서 송·수신이 동시 가능한 지점간 통신으로 동시 2개부서 연동이 가능함.
3.전술정보망-C:공군 조기경보기와 항공기 간 또는 해군이 대공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망.
4.전술정보망-J:주파수 변환방식을 사용하여 재밍 저항이 있는 무선망으로서 전술정보망-A와 동일기능 수행.
 
전술조치선(戰術措置線, Tactical Action Line; TAL)
적기 침투시 아 방공작전의 대응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적의 평시 비행활동과 전진기지를 고려하여 설정한 선으로 적성항적이 이 선을 침투하거나 이 선 이남에서 탐지될 경우 요격기, 유도탄, 대공포에 의한 즉각적인 전술조치가 이루어짐.
 
전술종대(戰術縱隊, Tactical Column)
부대가 용이하게 전투대형을 취할 수 있고 신속히 이동할 수 있도록 전술적으로 알맞게 편성되는 대형이며 적과의 접촉 가능성이 희박할 때 사용.
 
전술지도(戰術地圖, Tactical Map)
전술 및 행정목적으로 사용되는 대축척도.
 
전술지속(戰術持續, Tactical Sustainment)
전술적 수준에서의 지속능력을 말하며 모든 근무지원 활동을 포함하는 개념.
 
전술지휘관-해군(戰術指揮官-海軍, Officer in Tactical Command Naval)
지휘권을 행사할 자격을 갖춘 현지 선임장교 또는 그가 전술지휘권을 위임한 장교.
 
전술지휘소(戰術指揮所, Tactical Command Post)
야전에서 한 부대의 지휘관(또는 부지휘관)이 부대에 부여된 임무를 달성하기 위하여 전투를 지휘하고 통제하는 본부.
 
전술책임구역(戰術責任區域, Tactical Area of Responsibility; TAOR)
지상의 특정된 구역이며 이 구역의 책임은 단일 지휘관에게 지정되고 그 지휘관에게 그 구역 내의 활동에 대하여 예외적인 자유를 갖게 하며 이 구역은 통상적으로 점령, 방어될 목표와 부대산개, 군수지원, 감시 및 경계에 필요한 인접지역이 포함됨.
 
전술철조망(戰術鐵條網, Tactical Wire Entanglement)
적의 공격대형을 분열시키고 강력한 방어화력을 집중할 수 있는 지역에 적을 고착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철조망.

 

 

전술탄도유도탄(戰術彈道誘導彈, Tactical Ballistic Missile; TBM)
지구의 궤도를 따라 비행하다가 지구를 이탈하여 목표에 도달하는 탄도탄의 일종으로 전략, 전술탄도탄으로 구분되며, 전술목적으로 사용되는 탄도유도탄.
 
전술통제(戰術統制, Tactical Control; TACON)
동일 전투지대 내에서 작전을 실시하는 양개 부대의 협조된 작전수행이 요구될 때 일시적인 지휘관계를 설정해 주는 것으로서 제한된 기간 동안 양개부대의 지휘 및 통제체계를 단일화시켜 전투력 발휘를 보장하는 데 있음.
 
전술폭격선(戰術爆擊線, Tactical Bomb Line)
지상군사령관이 규정한 선으로서 그 선 전방에 대한 폭격은 자기부대에 위험을 초래하지 않으리라고 인정하는 선.
 
전술항공 통제전대(단)(戰術航空統制戰隊(團), Tactical Air Control Group)
1.(육상)-전술항공 책임지역 내에서 공세 및 수세임무를 위하여 지상에서 항공기의 통제와 경보기능을 제공하는 전술항공 편성체의 융통성 있는 행정 및 전술 구성부대.
2.(함상)-전술항공 책임지역 내에서 공세 및 수세임무를 위하여 해상에서 항공기의 통제와 경보시설을 제공하는 상륙작전부대의 행정 및 전술적 구성부대(전술항공통제전단).
 
전술항공 협조관-공중(戰術航空協調官-空中, Tactical Air Coordinator Airborne)
항공기로부터 지상부대나 해상부대의 근접지원에 참가하는 전투항공기의 활동을 조정하는 장교.
 
전술항공 협조반(戰術航空協調班, Tactical Air Coordination Element)
전술항공협조반은 군단 전술작전본부에 있는 공군부대요원으로서 군단을 지원하는 공군의 임무를 계획하고 통제하며 육군의 계획에 대해 조언하고 항공작전의 문제점을 알려 줌.
 
전술항공관제소(戰術航空管制所, Tactical Air Direction Center)
전구항공통제본부의 전반적인 통제하에 있는 공중작전기구. 그 기구로부터 어떤 책임구역 내에서 전술항공작전의 항공기와 항공기 경보업무 기능이 지시됨.
 
전술항공수송(戰術航空輸送, Tactical Air Transport)
다음과 같은 직접적인 지원에 항공수송을 사용하는 것.
1. 공수강습
2.공중수송부대의 운반
3. 전술공중보급
4. 전방비행장으로부터 부상자의 철수
5. 은밀작전
 
전술항공의료수송(戰術航空醫療輸送, Tactical Aeromedical Evacuation)
전투지로부터 외부지대로 또한 병참지대 내의 지점간에 환자를 항공으로 수송하는 단계.
 
전술항공작전본부(戰術航空作戰本部, Tactical Air Operations Center)
항공지휘 및 통제체제의 예하 작전기구. 할당된 지역에 출입하는 모든 공중교통과 방공작전 및 유인항공기의 요격과 지대공무기를 지시하며 통제함. 전술항공지휘본부의 작전통제하에 있음.

 

 

전술항공장교-해군(戰術航空將校-海軍, Tactical Air Officer-Navy)
상륙작전 기동부대사령관 아래서 상륙작전의 모든 단계에 걸쳐 항공분야에 관한 계획을 협조하며, 목표지역으로 이동시 목표지역에서 지원부대의 항공작전을 조종하는 항공장교. 통제권이 육상으로 이양될 때까지 전술항공통제본부(해상)의 모든 작전을 통제하며 다음과 같은 책임을 짐.
1. 공세 및 수세적인 작전을 포함하는 전술항공작전을 위하여 할당된 목표지역에 있어 모든 항공기의 통제.
2.목표지역에 진입하거나 이를 통과하는 기타 모든 항공기의 통제.
3. 목표지역에서 모든 공중경보시설의 통제.
 
전술항공정찰(戰術航空偵察, Tactical Air Reconnaissance)
지형, 기상, 적군의 배치, 구성, 이동, 시설, 병참선, 전자 및 통신 등에 관한 첩보를 획득하기 위한 공중정찰 활동. 포병 및 함포사 격의 수정과 조직적이며 임의적인 전투지역 표적 또는 공중구역을 관측하는 것이 포함됨.
 
전술항공지시관(戰術航空指示官, Tactical Air Director)
전술항공관제소의 모든 작전을 맡은 장교. 책임구역에 배당된 전 항공기와 항공경보 및 지시에 대해 전술항공통제관에게 책임을 짐. 전술항공통제본부(해상)와 분리되어 운용될 때는 전술항공지시관은 전술항공통제관의 기능을 대행함.
 
전술항공지시본부(戰術航空指示本部, Tactical Air Direction Center; TADC)
전구항공통제본부의 통제하에서 특정 목표지역의 모든 항공작전을 조정 및 지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구.
 
전술항공지원(戰術航空支援, Tactical Air Support)
공군이 항공기를 이용하여 지상 또는 해상부대에 전술적 수준에서 제공하는 모든 형태의 지원작전.
 
전술항공지원반(戰術航空支援班, Tactical Air Support Element)
전술항공지원을 현행 전술지상작전에 조정하고 통합하기 위하여 육군의 사단, 군단 또는 야전군의 전술작전본부(TOC) 내에 위치한 G2 및 G3 항공요원으로 구성된 기구.
 
전술항공통제관(戰術航空統制官, Tactical Air Control; TAC)
전구항공통제본부의 모든 작전을 책임진 장교. 책임구역 내에서 전 항공기와 항공경보시설 통제에 관하여 책임을 짐.
 
전술항공통제반(戰術航空統制班, Tactical Air Control Party; TACP)
지상부대에 대하여 전술항공지원을 효과적으로 협조, 통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장비 및 공군요원으로 구성된 팀으로서 항공지원작전의 협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단, 여단(연대), 대대에 각각 배속되며 전술항공 요청망을 조작하고 유지하는 임무를 수행함.
 
전술핵(戰術核, Tactical Nuclear)
군사목표를 공격하기 위한 것으로 야포와 단거리 미사일로 발사할 수 있는 핵탄두, 핵지뢰, 핵기뢰 등이 포함됨.
 
전술핵무기(戰術核武器, Tactical Nuclear Weapon)
전술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소형 핵무기. 위력의 크기는 상황과 사용목적에 따라 다르나 통상 20KT 이하의 핵무기를 지칭함.

 

 

전술호출부호(戰術呼出符號, Tactical Call Sign)
전술적인 군부대나 전술 통신시설을 식별하는 호출부호.
 
전술회피(戰術回避, Tactical Evasion)
적의 탐지장비의 능력과 제한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적의 탐지를 회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반행동.
 
전술훈련(戰術訓練, Tactical Training)
전술훈련이란 전투작전의 각종 상황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개인 및 부대에 대한 훈련.
 
전시(戰時, Wartime)
상대국에 대한 선전포고, 작계시행시로부터 휴전이 성립될 때까지의 기간.
 
전시근로소집(戰時勤勞召集, Wartime Labour Service Mobilization)
전시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로 동원령이 선포되었을 때 군에서 필요한 근로인력을 적기에 획득, 군사업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소집하는 것.
 
전시소모율(戰時消耗率, Wartime Consumption Rate)
과거의 전시 경험자료와 장차전의 양상을 고려하여 결정한 인수로서 장비의 보유수 또는 인가수에 대한 손실비용.
 
전시소요(戰時所要, Gross Requirement)
전시소요는 일명 총소요라고 칭하며 평시에 군이 유지할 소요와 일정기간 동안의 전쟁개시 이후 소요를 합친 총수량.
 
전시예산(戰時豫算, War Budget)
전시 또는 국가비상사태에 대비하여 동원운영 계획에 기준을 두고 전년도에 준하여 편성된 예산을 말하며 M+30일, M+60일, M+130일, M+364일로 구분 편성함.
 
전시재보급(戰時再補給, Wartime Resupply)
전시 동원능력에 초과되는 수량은 재보급 계획으로 획득되며 동맹군 전쟁예비물자(WRSA) 또는 연합군에 대한 범세계 표준보급지원(WSSFAF) 계획에 포함됨. 이들은 수송시간을 고려하여 획득가능 수량을 판단하며 이것 역시 평시예산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될 수 있는 대로 많은 수량을 계획하는 것이 경제적이지만 우리 군이 단독으로 결정할 수 없고 지원국측과 협의를 해야 함.
재보급 계획에 포함된 장비는 수송시간을 고려하여 월별로 가용수량을 판단해야 하며, 이 계획에 의하여 소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수량은 국내 및 해외조달에 의하여 계획됨.
 
전시주둔국지원(戰時駐屯國支援, Wartime Host Nation Support; WHNS)
국가간에 상호 체결한 협정에 의해 전시 주둔국의 영토 내에서, 주둔국에 의해 외국군에게 제공되는 민간과 군사 부문의 지원.

 

 

전시특례(戰時特例, Special Regulation in War Time)
전시, 사변 또는 다른 법률에 의거 동원이 선포된 경우에 병역법에 의거 병역의무기간을 45세로 연장하는 것.
 
전시파손항공기 긴급수리대(戰時破損航空機緊急修理隊, Aircraft Battle Damage Repair Section)
전시 전투임무 또는 전투임무 지원비행중 적의 공격이나 기타 원인에 의하여 항공기 파손시 임무에 투입하기 전에 수리를 완료하기 위한 작업조를 말함.
 
전역(戰役, Campaign)
주어진 시간과 공간 내에서 전략적 또는 작전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실시하는 일련의 연관된 군사작전.
 
전역계획(戰役計劃, Campaign Plan)
전역(戰役)을 성공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계획. 전역계획의 목적은 계획된 작전에 대한 장기적 안목을 제공함으로써 책임을 가진 지휘관으로 하여금 계획과 조달을 위해서 충분한 시간을 갖도록 하는 데 있으며 전역계획은 근본적으로 전술적이 아닌 전략적 개념의 문서임.
 
전역미사일 방어(戰域~防禦, Theater Missile Defense; TMD)
전구내에서 전술탄도미사일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수행되는 4가지 작전으로서, 첫째는 수동방어로서 감지기 설치, 정보 및 조기경보 전파 분야이며, 둘째는 적극방어로서 전술탄도미사일을 요격 및 격파할 수 있는 방어미사일 운용이며, 셋째는 공격작전으로서 전술탄도미사일의 이동, 저립, 발사장비에 대해 야전포병 및 항공 차단자산을 이용한 대화력전, 넷째는 앞서 언급한 3가지 작전들과 혼합된 C4I체계로 구분됨.
 
전위(前衛, Advance Guard)
주력부대의 안전한 전진을 보장하기 위하여 주력부대 전방에 파견되는 부대로서 별도의 엄호부대가 없을 시는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함.
1. 적 방어체제의 결함을 발견 및 이용.
2. 주력부대가 적에 관한 정보 없이 적 진지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
3.소규모의 적 저항을 제거하고 적의 주저항에 마주치면 주력부대의 전투전개를 엄호함.
 
전위전투(前衛戰鬪, Advance Guard Action)
적을 견제 또는 기만하여 주력부대의 전진과 전개를 엄호하기 위하여 전위가 취하는 공격 또는 방어행위.
 
전이(轉移, Transference)
여러 지점을 연결하는 일련의 직선의 길이와 방향을 야외작업으로 실측(實測)함으로써 요구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측지방법이며 개전이, 폐전이, 방향전이 등의 방법으로 분류됨.
 
전이고도(轉移高度, Transition Altitude)
항공기의 고도를 진고도와 관련하여 판단할 수 있는 비행장 부근의 고도.
 
전자간섭(電磁干涉,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적이 우군의 전자장치에 적절치 못한 반응을 유발시키도록 전기적 또는 전자기적 교란을 말함.

 

 

전자공격(電子攻擊, Electronic Attack; EA)
전자전의 한 분야로서 적의 전투능력을 파괴, 무력화, 감소시킬 의도로 적의 지휘·통제·통신 및 전자무기체계에 대하여 전파를 사용하거나 전자파를 직접 조사(照射)하는 공격행위를 말함.
 
전자광학 방해책(電子光學妨害策, Electro Optic Countermeasures; EOCM)
전자광학체계의 최대 효율적인 사용을 방해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해책.
 
전자광학 장비(電子光學裝備, Electro Optical Equipment)
카메라의 필름 대신 전자광학장치를 부착하여 촬영된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바꿔 실시간 전송하는 장비. 탑재수단으로는 U- 2R, UAV, 정찰위성 등이 있음.
 
전자기 간섭(電磁氣干涉,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적이 우군의 전자기기 혹은 전자장비의 효과적인 성능을 감소시키거나 방해시키는 간섭현상.
 
전자기 방사(電磁氣放射, Electromagnetic Radiation)
전기 및 자기장의 진동으로 인해 생성되는 방사로서 광속도로 전파됨. 이것은 감마방사, X선,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및 레이더파, 무선파를 포함함.
 
전자기 스펙트럼(電磁氣~, Electromagnetic Spectrum)
어떠한 전자기 복사에서 나타나는 주파수(혹은 파장). 특정한 스펙트럼은 단일 또는 넓은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음.
 
전자기 위장(電磁氣僞裝, Electromagnetic Camouflage; ELCAM)
전자파를 사용하는 적의 탐지로부터 부대, 군수품, 장비 또는 시설의 탐지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자파를 차폐, 흡수시키거나 우군의 통신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전자기 침투(電磁氣浸透, Electromagnetic Intrusion)
운영자를 기만하거나 혼란을 유발시키기 위한 목적의 한 방법으로 송신진로에 전자기 에너지를 고의적으로 삽입시키는 것.
 
전자기만(電子欺瞞, Electronic Deception)
적이 전자장비로 수신한 첩보의 사용을 오도하기 위해 계획적으로 전자파 에너지를 방사, 재방사, 변경, 흡수 또는 반사시키는 방법으로 조작기만과 모방기만, 모의전자기만이 있음.
 
전자방사통제(電子放射統制, Emission Control; EMCON)
전자보호(EP)의 일부로서, 아군 전자장비의 특성을 탐색, 탐지하여 방사원의 위치를 결정하려는 적의 행위를 거부하고 아군부대 상호간의 상호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자파 방사를 통제하는 것임.

 

 

전자방해(電子妨害, Electronic Jamming)
적이 사용하는 전자기기, 장비 또는 체계의 이용도를 약화시키기 위해 전자파 에너지를 계획적으로 방사, 재방사 또는 반사시키는 것.
 
전자병기(電子兵器, Electronic Weapon)
전자기술을 응용한 군용병기. 즉 극초단파 전자관 회로를 이용하여 적을 찾아내고 조종사격, 대피 등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제작된 장비임.
 
전자보안(電子保安, Electronic Security; ELSEC)
전자장비 및 레이더와 같은 비통신 전자기 방사를 도청하거나 연구하여 가치 있는 첩보를 획득하는 적의 전자정보활동을 거부하기 위해 취해지는 제반 보호책.
 
전자보호(電子保護, Electronic Protection; EP)
적의 전자공격(EA)으로부터 아군의 전자시설을 보호하는 것으로서 우군에 관한 적의 첩보수집 능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대전자전지원(anti-ES)과 우군의 전자장비가 방해 및 기만을 받을 때 피해를 최소로 줄이고 전자장비의 기능을 계속 최대로 유지하기 위한 대전자공격(anti-EA)으로 구분함.
 
전자식별(電子識別, Electronic Identification)
피아 식별장비(IFF/SIF)에 의해서 적기, 불명기, 우군기에 대한 식별과 레이더에 의하여 속도, 고도 및 위치를 판단하는 행위.
 
전자엄폐(電子掩蔽, Electronic Cover)
우군 전술부대의 위치탐지를 거부하고 우군의 능력이나 의도를 적으로 하여금 오도하게 하기 위하여 지휘통제통신 정보체계 및 무기체계와 관련된 전자기 방사의 억제, 통제, 변경 또는 가장하는 것.
 
전자위장(電子僞裝, Electronic Camouflage)
적 도청자가 전자장비를 이용하여 아군의 부대위치, 군수품, 장비 또는 시설을 탐지 확인할 가능성을 최소로 줄이기 위하여 허위 전자신호를 발사하거나 방사되는 전자신호를 변경하여 적이 탐지하고자 하는 목표물을 위장하는 것.
 
전자장벽(電子障壁, Electronic Barrage)
대전자보호의 하나로서 광범위한 주파수에 걸쳐 동시적인 전파방해에 대한 대책.
 
전자전 연락반(電子戰連絡班, Electronic Warfare Liaison Element)
전반적인 연합·합동 임무를 지원하기 위해 연합·합동 전자전활동 협조를 위한 전자전 참모반으로서 연합사/지상구성군사 전자전 기구의 일부이며 전구항공통제본부에 위치함.
 
전자전 정보(電子戰情報, Electronic Warfare Intelligence)
관계하고 있는 외국이나 전자전 수행을 위하여 작전지역에 관계되는 모든 가용한 정보의 수집, 평가, 분석, 종합 그리고 해석의 결과로부터 얻은 산물.

 

 

전자전 지원(電子戰支援, Electronic Warfare Support; ES)
우군의 군사작전을 지원하기 위하여 적의 전파를 수신, 분석, 식별하는 전자전의 일부로서 위협의 즉각적인 판단으로 자체방어를 위한 조기경보 등 전술적 용도의 탐색과 전략무기체계의 설치위치나 이동 또는 그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전략적 지원을 위한 용도의 탐색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ES를 통하여 획득된 첩보나 정보는 우군의 전자공격(EA) 또는 전자보호(EP) 대책수립 및 집행에 중요한 자료가 됨.
 
전자전(電子戰, Electronic Warfare; EW)
적의 지휘, 통제, 통신(C3) 및 전자무기체계의 기능을 마비 또는 무력화시키고, 적의 전자전 활동으로부터 아군의 지휘, 통제, 통신 및 전자무기체계를 보호하는 제반 군사활동. 수행기능에는 전자전자원(ES), 전자공격(EA), 전자보호(EP)가 있음.
 
전자전투(電子戰鬪, Electronic Combat; EC)
군사작전의 지원하에 적의 전자기 능력에 대해 취해지는 활동으로 전자전투에는 전자전(EW), 지휘통제전(C2W), 대공제압(SEAD) 등이 포함됨.
 
전자정보(電子情報, Electronic Intelligence; ELINT)
핵 폭발 또는 방사성 물질이 아닌 다른 출처로부터의 전자방사나 비통신망 전자기 방사로부터 기술 및 위치 등에 대한 첩보를 수집하여 획득된 비통신 정보.
 
전자정찰(電子偵察, Electronic Reconnaissance)
전자공격이나 전자보호에 앞서 수행하는 것이며, 적의 전자기 방사에 대한 탐지, 식별, 평가 및 위치 확인 등을 수행하는 것으로 전자전 지원책의 일부임.
 
전자침투(電子浸透, Intrusion)
운용자를 속이거나 교란을 목적으로 통신 경로상에 고의적으로 전자파 에너지를 개입시키는 것으로 미지(MIJI)의 일부분임.
 
전자파(電子波, Electronic Wave)
전계(電界), 또는 자장(磁장)의 주기적 변화에 의하여 전파와 자파가 동시에 서로 동반하여 널리 공간에 전파되는 행동을 말함.
 
전장 가시화(戰場可視化, Visibilization of Battlefield)
지금까지 상급사령부에서 예하 작전부대의 작전수행 장면을 직접 눈으로 볼 수 없었으나 장차전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전투현장을 그대로 볼 수 있음.
전장 가시화란 디지털화한 정보통신망을 이용, 자체의 수집수단과 범국가적 정보관리체계, 연합 및 합동 정보관리체계를 연동하여 지휘소로 수집되는 전 출처 및 정보를 자동화시켜 실시간에 융합시키고, 결심자와 전투원, 지원자가 실시간대에 전장실상을 화면같이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임.
 
전장 공동화(戰場空洞化, Empty Battlefield)
무기의 치명성 및 장사정화, 탄약의 정확성 및 단위 시간당 발사량 증가로 개인 및 부대가 생존하기 위한 미래의 전투공간으로 넓게 소산함으로써 전장 내의 병력밀도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가는 현상을 말함. 이는 또한 정보기술 발달로 지휘관 및 핵심시설이 넓게 산재하여도 지휘가 가능함으로써 전장 공동화현상이 가속화되어 가고 있음.
 
전장 자동화(戰場自動化, Battlefield Automation)
전장감시, 정보, 기동, 화력 등 모든 체계를 자동화하고 이들을 역시 자동화된 전술작전체제에 의해서 효율적으로 지휘, 통제하기 위한 것. 이를 위하여 고속 다기능이며, 고도의 편의성 및 신뢰성이 보장되는 자동화된 광범위한 통신수단이 수반되어야 함.

 

 

전장 정보분석(戰場情報分析, Intelligence Preparation of the Battlefield; IPB)
장차 어떤 부대가 작전을 하게 될 예상지역에 대해서 평상시에 적 기상 및 지형에 관한 광범위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 자료를 정밀 분석하여 작전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는 것으로서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적응할 수 있는 정보자료를 사전에 준비하는 기법. 전장정보준비와 동의어.
 
전장 협조반(戰場協調班, Battlefield Air Coordination Element; BCE)
전역항공통제본부에 지상구성군을 대표하는 육군반. 전장협조반은 야전군의 항공요청을 처리하고 전역항공통제본부를 위하여 지상전투상황을 감청하고 전파하며 현행정보, 공역 및 작전자료를 교환하기 위한 필요한 접촉을 제공함.
 
전장(戰場, Battlefield)
전투행위가 전개되고 있는 장소로서 공중전을 위한 공중공간도 포함됨.
 
전장감시(戰場監視, Battlefield Surveillance)
전투정보를 위한 첩보를 적시에 제공하기 위하여 전투지역을 계속적이며 조직적으로 감시하는 것으로서 레이더, 망원경, 육안, 항공, 정찰 등에 의하여 주야 날씨 여하를 막론하고 조직적으로 계속해서 수행되는 전투지역을 감시함.
 
전장기능(戰場機能, Function of Battlefield)
전장에서 전력발휘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긴요한 군사적 역할과 활동을 의미하며, 이는 전장에서 통합된 제전장요소에 대한 통제를 용이하게 하고 전력소요 도출의 기초를 제공함.
 
전장의 디지털화(戰場의~化)
디지털 통신망을 통하여 음성, 고속데이터, 영상정보를 실시간에 수직 및 수평적으로 유통시켜 정보를 공유하고 전장상황의 공통인식을 보장하는 것.
전장이 디지털화됨으로써 실시간 전장상황을 인식하고 전장 작전체계간의 분할된 자료를 전송 및 통합이 가능하며, 전투력을 효과적, 결정적으로 한 곳에 집중시킬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됨. 또한 자료교환의 속도가 증가되고, 모든 작전수행 단계에서 명령권자 중심으로 정보의 통합 및 게시가 가능함.
 
전재구역(轉載區域, Transfer Area)
상륙작전시 상륙주정으로부터 상륙장갑차에 인원이나 장비 및 보급품을 전재하는 구역으로 이 구역은 상륙해안에서 떨어진 전재선 근처이며 기중기를 장치한 함정이나 바지선이 위치함.
 
전쟁 이외의 군사활동(戰爭 以外의 軍事活動, Military Operationn War)
전쟁과 구분되는 분쟁시나 평시에 군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국가정책을 뒷받침하는 제반 활동.
 
전쟁(戰爭, War)
1.상호 대립하는 2개 이상의 국가 또는 이에 준하는 집단간에 있어서 군사력을 비롯한 각종 수단을 행사하여 자기의 의지를 상대방에게 강요하려는 행위 또는 그러한 상태.
2.주권을 가진 국가간의 조직적인 무력투쟁상태로서 선전포고와 더불어 개시되고 강화조약으로 무력투쟁이 종결될 때까지의 상태.
3.국가의 생존이 달려 있는 국가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역(campaigns).
 
전쟁계획(戰爭計劃, War Plan)
국력의 제요소를 통합하여 국력에 의해 전쟁을 억제하고 자국의 목표를 추구하는 광의의 전쟁계획과 적의 무력침공에 대비하고 적의 의지를 무력으로 굴복시키기 위한 전쟁실행계획인 협의의 전쟁계획으로 분류.
1. 광의의 전쟁계획
국가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전·평시를 통해 군사력을 건설, 유지, 운용하기 위한 군사정책, 군사계획과 이에 관련된 정책시행.
2.협의의 전쟁계획
적의 무력침공에 대비한 군사력 운용계획으로 육·해·공군의 작전계획과 직접 이에 관련된 전쟁계획.

 

 

전쟁구역(戰爭區域)
전쟁 임박 또는 발발시 적을 봉쇄하거나 중립국 선박 및 항공기 등의 통제범위를 제공하기 위하여 합참의장이 설정하여 국가통수기구의 승인을 받아 선포하는 구역.
 
전쟁대비 수리부속(戰爭對備修理附屬, War Readiness Spare Kit; WRSK)
전시에 비행대대가 모기지에서 타 기지로 전개될 시 30일간의 항공작전 임무수행을 지원하는 데 소요되는 부속품을 평시에 확보 비축하는 품목과 수량을 말함.
 
전쟁범죄(戰爭犯罪, War Crime)
개인 또는 부대가 공인된 법률 및 전시관례를 위반하는 것.
 
전쟁수준(戰爭水準, Level of War)
국가목표 달성을 위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군사력을 운용하는 전쟁의 수준을 전략, 작전술, 전술로 대별하는 개념.
 
전쟁연습(戰爭演習, War Game)
2개 또는 그 이상의 대항하는 부대가 참가하여 실제상황이나 또는 가정된 현실적인 상황하에서 규칙과 제원 및 절차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모의군사작전.
 
전쟁예비량(戰爭豫備量, War Reserves; WR)
전쟁초기에 다량의 물자를 단시일내에 획득하기가 곤란한 물량을 평시에 확보하여 특정지역에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시 즉각 보충하기 위한 예비보급품의 양을 말함. 전쟁예비는 전·평시 차이량, 군 전쟁예비, 사전배치물자, 기지전쟁예비 등이 포함되며, 각종 전투예비 물자 및 비축물자 등을 총칭하는 용어로 사용됨.
 
전쟁원칙(戰爭原則, Principle of War)
전쟁수행을 지배하는 기본적인 원리를 말함. 이러한 전쟁의 원칙은 전쟁법칙과 원리에 기초를 두고 있으나 경험요소에 의해 산출된 것으로서 전쟁원칙의 적절한 적용은 지휘권 행사와 군사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대단히 중요함.
 
전쟁잠재력(戰爭潛在力, War Potential)
전시에 동원가능한 군사력의 기반이 될 국가자원이며, 군사력의 일부로서 전쟁가능능력과 동시에 전쟁력이며, 전력과 동의어로 사용될 수 있음.
 
전쟁지도(戰爭指導, Conduct of War)
전시에 있어서의 국력운용에 관한 지표로서 전쟁의 수행을 위한 요강의 제정, 무력발동에 따르는 통수권의 행사, 국가전략과 군사전략 간의 통합, 조정 및 효율적인 통제 등 궁극적인 전쟁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가 총역량을 전승획득에 집중시키도록 조직화하는 지도역량과 기술을 말함.
 
전지교섭요원(戰地交涉要員, Parliamentarian)
전투지역에서 교전군의 지휘관이 사용하는 사자로서 직접적 전선 내부로 들어가서 적의 지휘관과 공개적으로 직접 의사를 전달하거나 협상을 위하여 파견하는 요원.

 

 

전지구 위치파악시스템(全地球位置把握~, Global Position System; GPS)
미국정부가 구축중인 항법체계로서 21개의 위성(예비 3개 별도)을 이용하여 지상 어디서나 24시간 측지 및 측량이 가능하여 지상측량, 선박 및 항공기 운항시 위치식별에 사용함.
 
전진기지(前進基地, Advanced Base)
전구내 또는 부근에 위치하여 군사작전 지원을 주임무로 하는 기지.
 
전진로(前進路, Route of Advance)
한 부대가 목표(목적지)에 이르기 위하여 따라야 할 특정한 진로.
 
전진착륙장(前進着陸場, Advanced Landing Field)
목표지역의 내부 또는 부근에 위치하며 통상 최소한도의 시설을 갖춘 비행장.
 
전진축(前進軸, Axis of Advance)
기동통제 목적으로 부여되는 적 방향으로 확정된 일반적인 통로임. 이는 지형이나 부대규모에 따라서 도로와 도로군 또는 지정된 일련의 지점을 포함함.
 
전진한계선(前進限界線, Limit of Advance)
기동부대의 안전과 지원화력의 통제 및 협조를 위하여 기동부대의 진출을 통제하기 위한 한계선을 말함.
 
전천후 전투기(全天候戰鬪機, All Weather Fighter)
야간이나 악천후시에도 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방빙, 제빙장치를 갖추었으며, 목표수색용 레이더, 자동사격 조준용 레이더, 자동조종장치, 계기착륙장치를 완비한 전투기.
 
전초(前哨, Outpost)
본대의 정지간, 숙영간 혹은 진지에 있는 동안 이를 적의 관측과 기습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본대로부터 약간의 거리를 두고 운용되는 경계파견대.
 
전초함, 전초기(前哨艦, 前哨機, Picket)
항공조기경보와 같은 특별한 목적으로 어떤 지리상의 위치에 배치된 함정이나 항공기 또는 잠수함으로부터 호송함을 보호하기 위하여 경계진의 외측에 위치한 대잠함.
 
전치폭발(前置爆發, Preposition Burst)
후퇴시 혹은 특수한 상황하에서 사전에 폭발물을 매설, 장전하였다가 시한식 혹은 전파신관에 의하여 폭발시키는 방법.

 

 

전탐 방해막(電探妨害幕, Window)
얇고 좁은 철편으로 레이더의 반사에 혼란을 가져오도록 항공기에서 떨어뜨리는 쇠붙이 또는 금속편.
 
전탐대항책(電探對抗策, Radar Counter-Measure)
정상적인 레이더의 작동을 방해하는 전파방해.
 
전탐망(電探網, Radar Netting)
통합된 표적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레이더를 단일부서로 연결하는 조직망.
 
전탐수평선(電探水平線, Radar Horizon)
직사레이더 방사선이 지표면에 접선하는 선.
 
전탐전초(前探前哨, Radar Picket)
레이더 탐지거리를 증가시킬 목적으로 피보호 부대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위치한 함정 또는 항공기.
 
전탐침묵(電探沈黙, Radar Silence)
일정한 주파수 또는 전 주파수에 대해 레이더 전자파 송신을 금지하는 전자군기.
 
전탐탐지권(電探探知圈, Radar Coverage)
레이더가 물표를 탐지할 수 있는 한계.
 
전탐항법(電探航法, Radar Navigation)
야간 또는 시정 불량한 비행상태하에서 레이더에 의해서 지형을 판단하며, 항공기 및 함정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
 
전투(戰鬪, Combat, Battle)
1. 적을 섬멸하여 승리를 획득하기 위한 직접적인 행동.
2. 작전을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한 작전행동의 한 수단.
3.전술적 수준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되는 통상 군단급 이하제대의 협조된 활동.
 
전투감시(戰鬪監視, Combat Surveillance)
전술적인 지상 전투작전을 위한 첩보를 적시에 제공하기 위하여 전투지역(battle area)을 전천후 주야간 계속적이고 조직적으로 감시하는 것.

 

 

전투공간(戰鬪空間, Battlespace)
한 부대의 최대능력에 의해서 적을 포착해서 지배할 수 있는 공간. 미래의 전투공간은 종래의 정면, 종심, 고도 이외에 시간, 인간, 전자기적 요소가 추가되었음.
 
전투근무지원 계획(戰鬪勤務支援計劃, Combat Service Support Plan)
한 부대의 작전에 수반되는 전투근무지원에 관한 사항을 망라한 계획이며, 장차 전투근무지원 명령으로서 그 효력을 발생하게 됨. 전투근무지원 계획수립은 개략적인 전술계획이 세부적으로 발전되기 전에 전투근무지원 가능성을 검토하여야 하며, 채택된 일반적인 전술작전을 지원하는 전투근무지원 계획은 세부적인 작전계획과 협조되고 동시에 발전되어야 함.
 
전투근무지원 명령(戰鬪勤務支援命令, Combat Service Support Order)
어떤 부대가 수행할 작전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전투근무지원에 관한 사항을 기술한 명령.
 
전투근무지원 부대(戰鬪勤務支援部隊, Combat Service Support Unit)
전투부대, 전투지원부대 및 전투근무지원부대의 전투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인사, 군수, 민사 및 기타 행정을 지원하는 부대.
 
전투근무지원 운용본부(戰鬪勤務支援運用本部, Combat Service Support Operation Center; CSSOC)
전술작전본부의 상대적 기구로서 통상 주지휘소 내에 설치되어 현행전투 및 전투지원작전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전투근무지원 활동을 지휘, 통제, 조정 및 협조시키며, 전투근무지원요소를 통합시키고 지역피해 통제업무에 관련된 일반 및 특별참모와 관련부대의 지휘관 또는 대표자로 구성된 기구로서 사단급 이상 부대에서 운용함.
 
전투근무지원 원칙(戰鬪勤務支援原則, Principle for Combat Service Support)
효과적인 전투근무지원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 원칙으로서 집중지원, 추진지원, 신뢰성, 간편성, 적시성, 균형성, 권한, 경계, 경제성 등 9대원칙을 적절히 적용하는 것임.
 
전투근무지원(戰鬪勤務支援, Combat Service Support)
전술 및 전략에 포함되지 않는 군사면의 제반 지원. 즉 행정 및 군수분야 활동으로서 전투, 전투지원, 전투근무지원 부대에 대하여 임무수행에 필요한 모든 자원, 즉 인원, 장비, 물자, 시설 및 자금을 통제 관리 및 제반근무를 제공하는 것임.
 
전투기 교전지대(戰鬪機交戰地帶, Fighter Engagement Zone; FEZ)
단거리 방공무기체계의 교전범위 밖에서 전투기에 의하여 교전이 이루어지는 구역.
 
전투기 소탕작전(戰鬪機掃蕩作戰, Fighter Sweep Operations)
할당된 작전지역 내에서 적기 또는 감시표적을 탐색하여 공격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공격적 임무.
 
전투기(戰鬪機, Combat Fighter)
1.기본임무가 공중전투(공대공, 공대지, 공대함 포함) 목적으로 제작, 개조된 항공기.
2.전술기(Tactical A/C)의 대체용어로서 전투기(Fighter), 전폭기, 공격기 등을 포함하는 개념.

 

 

전투기동부대(戰鬪機動部隊, Combat Maneuver Forces)
사격과 기동으로 적과 교전하는 부대로서 주로 보병, 기갑, 수색(공중 및 기갑수색), 공격용 회전익 항공기 부대들을 말하며, 이는 곡사화기로 적과 교전하는 부대 또는 전투지원 및 전투근무지원을 제공받는 부대와는 구분됨.
 
전투기지(戰鬪基地, Combat Base)
대유격 작전시 중대급 이상 부대의 작전, 행정, 전투지원 및 전투근무지원의 중추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편성된 시설.
 
전투긴요품목(戰鬪緊要品目, Combat Critical Item)
전시 전투력 형성에 중요한 장비 및 보급품과 전쟁지속에 지배적인 영향을 주는 물자로서 군이 평시 확보하거나 전시동원, 조달 또는 해외지원에 의하여 필히 지원되어야 할 품목으로 긴요품목과 필수품목을 합하여 총칭함.
 
전투단(戰鬪團, Battle Group)
각종 주요병과의 협동부대로 운용되는 증강된 보병으로 이 지상부대의 통상적인 구성비율은 보병 1개연대, 포병 1개대대, 전차 1개중대, 공병 1개중대 및 대공포 1개포대로써 구성되나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전투단위부대 적재(戰鬪單位部隊積載, Combat Unit Loading)
주로 해군에 사용하는 용어로 이는 돌격대대 상륙단과 같은 전투부대의 전부 또는 일부가 기본 전투장비 및 보급품과 함께 단일 함선에 완전히 적재하는 방법으로 하선과 동시에 전술계획을 즉각 지원할 수 있고 또한 변경할 가능성이 있는 전술계획에 최대한의 융통성을 부여하는 적재방법임.
 
전투대기-방공(戰鬪待機-防空, Battle Station)
방공포병부대가 즉각 전투에 돌입하여 적기와 교전할 수 있는 대기상태로서 세부내용은 부대예규에 포함됨.
 
전투대형(戰鬪隊形, Combat Formation)
특별히 소총분대 및 소대를 위주로 만들어진 것이나 전투에 있어 소규모 부대의 통제 및 전술적 운용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전개대형.
 
전투력 복원(戰鬪力復元, Restoration of Combat Power)
부대가 심대한 인적, 물적 손실을 입어 정상적인 전투근무지원 절차를 통해서는 현행 및 장차작전수행이 곤란할 때 즉각적인 전투력 회복을 위해 취하는 지휘조치로서 전투력 복원에는 재편성과 재조직이 있음.
 
전투력 증강(戰鬪力增强, Force Enhancement)
연합사 위기조치절차상 전구내 취약점을 보강하고 필요한 군사력 균형을 유리하게 하기 위하여 기 배치된 연합사 부대를 증원하기 위한 군부대를 말함.
 
전투력 집중(戰鬪力集中, Combat Power Concentration)
아군의 전투력을 결정적인 시간과 장소에 신속히 집중하여 적보다 상대적인 전투력의 우세를 달성하는 것을 말하며 이는 타 지역에서의 전투력 절약을 통하여 달성할 수 있음.

 

 

전투력 투사(戰鬪力投射, Force Projection)
세계 어느 곳에나 신속한 경보전파, 동원, 전개 및 작전을 실시할 수 있는 능력.
 
전투력(戰鬪力, Combat Power)
전장에서 부대가 전투를 수행하여 군사적 목표를 달성해 나가는 능력이며, 유형적 요소와 무형적 요소로 구성됨.
 
전투명령(戰鬪命令, Combat Order)
전략 및 전술작전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투근무지원에 관련된 사항을 지시하는 명령.
 
전투발전(戰鬪發展, Combat Development)
적과 싸워서 승리하기 위하여 장차전에 대비하는 총체적인 연구발전 노력임. 즉 현재 및 장차전에서 전투개념을 설정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교리, 무기체계, 편성, 교육훈련 등에 대한 연구발전을 통하여 현존 전력을 향상시키고 장차 전력을 개발하는 과정임.
 
전투배치(戰鬪配置, Battle Disposition)
전투가 긴박할 때의 전투준비태세. 이는 전투 위치에 전원이 배치되며 경계태세가 완비되고 탄약은 즉각적으로 장전할 수 있도록 준비되며 포나 유도탄은 발사대에 장전됨.
 
전투부대(戰鬪部隊, Combat Forces)
사격과 기동으로써 적에게 접근하여 적을 격멸 포획하며 지형을 확보, 통제하는 부대.
 
전투생존책(戰鬪生存策, Combat Survival)
전투중에 우군부대로부터 뜻하지 않게 고립된 군인이 취해야 할 방책으로 개인생존법, 기피, 도피 및 체포 후의 행동에 관련된 절차가 포함됨.
 
전투서열(戰鬪序列, Order of Battle)
군사부대의 단대호, 지휘구조, 그리고 병력의 배치와 운용 및 장비, 보급방법 등에 관한 정보.
 
전투선하장교(戰鬪船荷將校, Combat Cargo Officer)
주요 상륙함정 또는 해군참모조직에 보직된 탑재장교. 부대 및 보급품과 장비의 탑재 및 양륙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해군 지휘관을 보좌하고 또한 대표역할을 주기능으로 함.
 
전투손실(戰鬪損失, Combat Consumption; CC)
1.전사, 전상으로 인한 사망이나 전투중 실종과 포로 등 전투로 인한 손실(combat loss).
2.일명 전투소모라고도 하며, 전쟁이 발발하여 군이 전투에 참가했을 때 적의 공격으로 인한 피해손실 및 활동으로 인한 정상 소모량 등을 말함. 전투손실은 전쟁초기에는 대량손실이 예상되나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손실이 점차 감소됨. 이러한 손실은 일정기간을 정하여 해당 기간중에 손실량만을 전시소요로 산정하게 됨.

 

 

전투예비량(戰鬪豫備量, Battle Reserves)
부대 및 개별 예비품에 부가하여 전투지역 부근에 군, 군단, 사단, 연대에 의하여 비축된 예비보급품. 예를 들면 탄약의 전투예비량은 한국군 보유자산과 동맹군 전쟁예비물자(WRSA) 탄약으로 구성됨.
 
전투예비탄약(戰鬪豫備彈藥, Combat Reserve Ammunition)
전쟁초기에 보충수요를 충당하기 위하여 보유하여야 할 탄약의 수량을 말하며, 일수로 표시됨.
 
전투예비품목(戰鬪豫備品目, Combat Reserve Item)
즉시 그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완전하게 저장된 장비 또는 품목으로서 상당한 기간 동안 격심한 작전상태에서도 사용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품목.
 
전투이양선(戰鬪移讓線, Battle Handover Line; BHL)
식별이 용이한 지형지물을 따라 미리 선정된 선 또는 지역으로서 부대간에 전투책임이 타 부대로 이양되는 선을 말하며, 초월작전간 양개 부대의 상호협조 및 통제를 용이하게 하고 초월부대의 공격기세를 유지할 목적으로 통상 상급부대에서 통제선 개념으로 설정함.
 
전투작전본부(戰鬪作戰本部, Combat Operations Center)
해병대에 사용하는 용어로서 지상 및 항공전투, 전투지원, 전투근무지원요소 또는 이와 유사한 요소를 운용하는 부대의 전술작전 통제를 위해 요구되는 주작전기관으로서, 전투작전본부는 지휘관의 명을 받들어 지속적으로 작전을 감청, 기록 및 감독하며 이러한 임무수행을 위해 필요로 하는 인원과 통신망으로 구성됨.
 
전투적재(戰鬪積載, Combat Loading)
예기되는 전술작전을 고려하여 편성된 탑재계획에 의거 지정된 방법으로 인원을 배치하고 장비 및 보급품을 적재하는 것을 말함. 각 물자는 항목별로 적재하여야 하며, 필요시 즉시 하적할 수 있도록 되어야 함.
 
전투전초(戰鬪前哨, Combat Outpost; COP)
방어시 각 제대별로 운용하는 경계부대 중 전방연대가 설치 운용하는 경계부대로서 적을 조기에 경고, 전투지역에 대한 지상관측 및 사격방지, 능력범위내에서 지연 및 와해, 전투지역 위치 기만 등을 할 수 있도록 연대장이 통상 대략적인 배치선, 병력 및 구성을 지정함.
 
전투정보(戰鬪情報, Combat Intelligence)
전술작전의 계획을 수립하고 실시하는 데 지휘관이 필요로 하는 적, 기상 및 지형에 관한 지식. 이는 부대 임무 영향을 미치는 것. 기상 및 지형에 관한 모든 불확실성을 최소한으로 감소시켜 줌으로써 지휘관의 건전한 결심 수립과 임무수행에는 물론 아군의 기도와 행동을 비닉하기 위한 방첩조치와 적의 정보활동을 방해 또는 불량하게 하여 지휘관을 보좌하는 데 목적이 있음.
 
전투정보실(戰鬪情報室, Combat Information Center)
함정이나 항공기에 승조한 장성급장교 또는 함장이나 기장 그리고 특정의 통제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전술첩보를 수집, 전시, 평가 및 전파하는 인원과 장비를 구비하는 곳으로서 지휘관은 일부의 통제, 보조 및 협조기능을 전투정보실에 위임하는 수도 있음.
 
전투정찰(戰鬪偵察, Combat Patrol)
첩보수집, 습격, 파괴, 후방교란 등의 목적으로 대부대에서 파견되는 정찰활동으로 통상 첩보수집과 전투임무를 동시에 수행함. 전투수색과 동의어.

 

 

전투정찰대(戰鬪偵察隊, Combat Patrol Team)
적과 독립전투를 수행하기 위해 본대로부터 파견되는 전술단위 부대로서, 이 부대는 경계를 제공하거나 적 부대 장비 또는 시설을 파괴, 교란 또는 포획하는 데 운용됨. 작전은 습격, 매복, 경계임무와 정보수집 등이 포함됨.
 
전투준비태세(戰鬪準備態勢, Combat Readiness)
적대행위 이전의 최종 전투준비상태를 말하며 주로 전술적 차원에서 사용됨. 군사태세의 하위개념으로서 `전비태세', `전투태세', `작전준비태세'는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임.
 
전투지경선(戰鬪地境線, Boundary)
인접한 부대, 대형, 지역간에 작전협조 및 조정을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지표상에 설정한 선으로 전방, 후방 및 측방 전투지경선으로 구분되며, 전투지경선을 초과하는 작전은 인접 혹은 상급부대와 협조 및 인가 없이 수행할 수 없음.
 
전투지대(戰鬪地帶, Combat Zone)
1. 작전실시를 위하여 전투부대가 필요로 하는 지역.
2. 야전군 후방 전투지경선의 전방지역.
 
전투지대공역(戰鬪地帶空域, Airspace in a Combat Area)
야전군 후방지경선부터 사단 전방에 위치한 화력지원협조선까지의 공역.
 
전투지역(戰鬪地域, Combat Area)
전투작전에 참가하고 있는 아군부대간의 상호 방해됨을 방지하고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설정된 지상, 해상, 공중의 제한지역.
 
전투지역전단(戰鬪地域前端, Forward Edge of the Battle Area; FEBA)
엄호 및 차장부대가 작전하는 지역을 제외한 지상전투부대의 주력이 전개하고 있는 일련된 지역의 최첨단 한계.
 
전투지원(戰鬪支援, Combat Support)
전투부대에 제공되는 화력지원과 작전지원(보조작전)을 말하며, 야전포병, 방공포병, 항공(공중수색 및 전투헬기 제외), 공병, 헌병, 통신 및 전자전이 포함됨.
 
전투지원부대(戰鬪支援部隊, Combat Support Troops)
전투부대의 전투력을 증강하기 위하여 작전면에서 지원하는 부대로서 수행기능에 따라 전투지원기능만을 수행하는 부대와 전투지원 및 전투근무지원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부대가 있음.
 
전투지원수준(戰鬪支援水準, Combat Support Level)
전투작전을 지원하기 위하여 평시 수준에 추가해서 소요되는 보급품의 수량임.

 

 

전투지휘(戰鬪指揮, Combat Command)
임무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하조직 및 장병들이 행동으로 옮길 수 있도록 결심을 수립하고 지도하며 동기를 유발시키는 술(術). 현재 및 장차 상태를 가시화하고 최소의 희생으로 장차 상태로 도달하기 위하여 작전개념을 수립하는 것을 포함하며, 또한 임무부여, 자원의 우선순위 결정 및 할당, 작전실시를 위한 결정적인 시간과 장소의 선정, 전투간 계획수정의 시기 및 방법을 식별하는 것 등이 포함됨.
 
전투지휘훈련(戰鬪指揮訓練, Battle Command Training Program; BCTP)
육군교육사 주관하에 사단 및 군단급 지휘관과 참모의 실전적 전투지휘통제능력 향상을 위해 첨단 컴퓨터 모의기법을 이용하여 작전의 성공과 실패를 실전과 유사한 상황하에서 경험해 봄으로써 취약점을 발견, 훈련소요를 염출하고 이를 수정 보완하기 위한 훈련임.
※ 훈련명칭은 훈련제대별로 해당연도에 일련번호를 부여한 별도명칭 사용(예, 백두산 '98-1)
 
전투차량(戰鬪車輛, Combat Vehicle; COMVEH)
특수 전투기능을 위해 제조된 장갑 또는 비장갑으로 된 차량. 부가적 장비로서 장갑방어 또는 무장장비가 비전투차량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 차량을 전투차량으로 구분하지 않음.
 
전투첩보(戰鬪諜報, Combat Information)
화력의 운용이나 기동을 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자료로서 추가적인 처리나 해석 또는 기타 자료와의 통합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수령된 것.
 
전투첩자(戰鬪諜者, Action Agent)
정보용어로서 표적에 접근하여 임무를 수행하는 첩자를 말함.
 
전투초계비행(戰鬪哨戒飛行, Combat Air Patrol; CAP)
방어제공작전의 임무형태로 적의 공중침투가 예상되고 공중활동이 증가되는 경우 요격기의 공중대기로 전탐기의 탐지취약을 보강하고, 가능한 표적지역으로부터 원거리에서 교전 및 격파시키기 위해서 실시되며, 해당 방공관제기구의 직접, 원격 관제하에 운용됨.
 
전투치중대(戰鬪輜重隊, Combat Train)
전투부대를 즉각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전투부대를 지원하는 부대로서 탄약, 정비, 연료, 윤활유 및 의무차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야전치중대에 상대되는 용어임.
 
전투편성(戰鬪編成, Combat Organization, Task Organization)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예·배속 및 지원부대에 전술적 임무를 부여하고 지휘관계를 설정하는 것.
 
전투평가(戰鬪評價, Combat Assessment; CA)
표적업무의 최종절차로서 군사작전 동안의 전력운용에 대한 전반적인 효과 결정을 의미하며 전투평가는 전투피해 평가, 무기효과평가 및 재공격 건의의 세 가지 주요부분으로 구성되고 전투평가의 목적은 장차전 전투력에 대해 재공격 여부를 건의하기 위한 것임.
 
전투폭격기(戰鬪爆擊機, Fighter-bomber)
1.공중전투와 대지전투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투용 항공기.
2.지상공격 및 차단임무수행을 목적으로 공대지무장을 운용할 수 있는 전투기.

 

 

전투피로증(戰鬪疲勞症, Combat Fatigue)
어려운 전쟁상황에서 심한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에 직면하여 인체의 정상방어 기능이 일시적으로 붕괴되면서 불안, 공포, 행동장애 등을 나타내는 일련의 증상을 말하며, 환자의 상태를 세분화하면 전쟁공포증, 전쟁신경증, 전투쇼크 등 더 많은 증후들로 구분할 수 있으나 혼란 방지를 위해 `전투피로증'이라고 함.
 
전투피해평가(戰鬪被害評價, Battle Damage Assesment; BDA)
소모된 아군부대에 대한 필수적인 전술적 복원요소들을 결정하고, 아군부대와의 교전 후에 적의 전투효율성을 결정하는 과정임.
 
전투필수품목(戰鬪必須品目, Combat Essential Item; CEL)
부대의 유효한 전투능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각군본부에서 지정한 필요품목임.
 
전투하중(戰鬪荷重, Combat Load)
전장에서 개인이 임무수행에 필요한 최적의 장비류를 휴대할 수 있는 무게.
 
전투행동반경(戰鬪行動半徑, Combat Radius)
특정한 전투장비, 자재, 인원 등을 탑재한 군용기가 특정한 비행제원(엔진출력, 속도, 고도 등)에 의하여 어떤 전장에 진출하여 소정의 전투행동(전투기의 경우 최대전투 출력으로 5분간) 후 다시 같은 경로를 되돌아올 수 있는 최대 진출거리.
 
전투휴대량(戰鬪携帶量, Combat Load)
전투참가시 개인 또는 차량으로 운반되며, 재보급이 실시가능할 때까지 전투작전수행에 긴요한 장비 및 보급품을 말하며, 여기에는 완전무장에 필요한 개인피복, 장비, 화기 및 탄약 등이 포함됨. 전투휴대량을 설정함에 있어서는 전투병사의 활동 능률을 향상시키고 자기 및 부대의 위급한 임무수행에 필수 불가결한 품목과 수량으로 제한하여 설정하여야 함.
 
전파간섭(電波干涉, Electronic Interference)
전자장비에 필요없는 반응을 유발시키는 전기적 또는 전자기적인 혼란. 전기적 간섭이란 전자기적 에너지를 방사하도록 고안되지 않은 전기적 장치의 운용에 의해 생기는 간섭을 말함.
 
전파발사통제명령(電波發射統制命令, Emission Control Orders)
전자발사장치의 사용을 인가, 통제 또는 금지하는 데 사용하는 명령.
 
전파방벽(電波防壁, Barrage)
대전자 방해책의 하나로서 광범위한 주파수대에 걸쳐 동시적인 전파의 방해에 대한 대책.
 
전파방사 통제(電波放射統制, Emission Control; EMCON)
전자보호(EP)의 일부로서 아군 전자장비의 특성을 탐색, 탐지하여 방사원의 위치를 결정하려는 적의 행위를 거부하고 아군부대 상호간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자파 방사를 통제하는 것.

 

 

전파방해 추적(電波妨害追跡, Track on Jam)
표적에서 방사된 전파방해신호를 이용하여 사격통제 레이더나 다른 수신기로써 표적의 각과 거리를 계속 추적하는 것.
 
전파방해 탐지기(電波妨害探知器, Jammer Finder)
전파방해출처에 고도의 지향성 연필 빔(pencil beam)을 조준 발사하여 표적의 거리제원을 획득하기 위한 탐지기.
 
전파심리전(電波心理戰, Wave Psychological Warfare)
주체측의 의도를 전파매체를 통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함으로써 심리전의 효과를 달성하려는 것. 전파매체는 라디오, TV 등이 있음.
 
전파탐지기(電波探知機, Radar)
표적의 탐색과 위치결정, 항해, 유도, 폭격 그리고 여러 가지 목적수행을 위하여 빔이나 무선반사파 에너지를 이용하는 체계.
 
전환(轉換, Divert)
비행중인 항공기의 표적, 임무 또는 목적지를 변경하는 것.
 
전환수송(轉換輸送, Transfer Transportation)
이동중인 인원 및 화물의 해당 수송망이 상황에 따라 그 방법으로 계속 수송이 곤란할 때 실시하는 수송방법. 이는 한 수송방법으로부터 타 수송방법으로 또는 한 수송단위로부터 타 수송단위로 인원이나 화물을 이적하여 수송하는 과정을 말함. 예를 들면 철도수송-육로수송-철도수송으로 되는 것임. 전환수송은 지역사령관이 예상되는 전환시점을 설정계획하고 실시하며, 복구소요시간이 6시간 이상 소요시 전환수송을 실시함.
 
전환점(轉換點, Turning Point)
조종사가 접근방향으로부터 공격선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는 점.
 
절대고도(絶對高度, Absolute Altitude)
지표면(수면)으로부터 비행중인 항공기에 이르는 수직거리.
 
절대무기(絶對武器, Absolute Weapon)
파괴력에 있어서 더 이상 기대할 수 없다는 이론상의 무기. 일반적으로 원자 및 수소폭탄 무기를 말함.
 
절대습도(絶對濕度, Absolute Humidity)
특정한 온도에서 단위용적을 공기가 지니고 있는 실제의 수증기량으로서 절대습도는 흡수성 연막의 농도를 짙게 함.

 

 

절충교역(折衷交易, OFF-SET)
외국으로부터 군사장비, 물자 및 용역을 획득할 때 외국 계약자에게 기술이전 및 부품 역수출 등 일정한 반대급부를 요구하는 조건부 교역을 말하며, 이는 획득하고자 하는 군용물자와 관련된 기술이전 및 부품수출에 관한 직접절충교역과 획득하고자 하는 군용물자와 직접 관련이 없는 간접절충교역의 두 가지 형태로 구분함.
 
점령(占領, Occupation)
점령은 다른 국가나 그 지역을 영구히 점유(통치)할 의사가 있을 경우에 점령이라 부름.
 
점령군(占領軍, Occupation Troops)
점령군은 지역내의 법과 질서를 유지하고 항복 또는 휴전조항의 이행을 보장하기 위하여 점령한 적 영토내에서 실질적인 통제를 하는 군대.
 
점령기지(占領基地, Lodgement Area)
강습상륙 작전시 상륙군에 의하여 확보된 지역으로서 통상 상륙군 최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근거지로 규정됨. 이 지역은 계획된 전투작전 수행에 필요한 부대의 집결을 위해 충분한 지역을 제공함.
 
점령지구(占領地區, Occupied Territory)
교전국 군대의 권한과 실질적인 통제하에 있는 영토. 이 용어는 그 특정지역을 통할하고 있는 민간정부와 명시적이거나 묵계로 맺어진 평화협정, 조약 또는 기타의 의정서에 의거하여 통치하는 지역에 대하여 적용되지 않음.
 
점령지역(占領地域, Occupied Area)
점령지역은 점령군의 권한과 실질적인 통제하에 있는 영토를 말함. 민사협정에 따라 초청된 군대의 주둔이나 배치된 지역은 점령지가 아니며, 강화조약에 따라 통치·합방되는 지역은 점령지역이라 부르지 않음.
 
점발원 화학탄(點發源化學彈, Mucosa)
점발원탄은 작용제를 단일점으로 분포시키는 것을 말함. 예를 들면 항공기에 의하여 투발되는 대형 화학폭탄이나 화학지뢰 등이며, 복수 점발원과 비교되는 말임.
 
점전파방해(點電波妨害, Spot Jamming)
고정된 좁은 주파수 대역에 대한 잡음방해 방법으로 적 레이더 및 통신장비의 특성을 잘 알고 있을 때 사용하며, 고출력 사용 및 지속적인 방해가 가능하나, 주파수 변경기능을 가진 장비에 대한 방해효과가 미약하고 동시에 2개 이상의 장비에 대한 방해는 할 수 없음.
 
접근관제(接近管制, Approach Control)
시계 및 계기비행 항공기의 도착과 출발을 위한 항공교통 관제이며 접근관제시설에 의해서 수행되며 접근관제소는 중앙항로관제소로부터 이양받은 지역 내의 항로비행을 관제함. 접근관제시설이 없는 지역은 중앙항로관제소에서 담당함.
 
접근로(接近路, Avenues of Approach)
특정규모의 부대를 목표에 도달시키거나 지역으로 유도하기 위한 공중 및 지상경로.

 

 

접근수로(接近水路, Approach Lanes)
공격개시선으로부터 외해 쪽으로 수송함정구역에 이르는 주정로의 연장선. 표식함정 및 주정 또는 부표로써 식별함.
 
접근예정표(接近豫定表, Approach Schedule)
주정단의 각 예정파가 대기지역으로부터 공격대기선까지 또한 공격개시선으로부터 지정해안에 이르는 이동이 규정된 시간에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준비된 각파의 상륙예정표.
 
접속수역(接續水域, Contiguous Sea Zone)
영해 기준선으로부터 24해리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그 영토 및 영해상의 관세, 조세, 출입국 및 보안관계 등의 규칙 위반을 예방하거나 처벌하기 위하여 필요한 국가 관할권을 행사하는 지역.
 
접안(接岸, Touch Down)
상륙작전에서 돌격부대의 선두부대가 적 해안에 처음으로 상륙하는 것.
 
접적보고(接敵報告, Contact Report)
시각, 무선, 음탐기로써 적과 접촉하였을 때 보고하는 것. 적을 최초로 접촉하였을 때 바로 입수된 첩보를 보내는 것을 최초 접적보고라고 함. 추가하는 첩보를 포함하여 계속적인 보고는 상세보고라고 부름.
 
접적이동(接敵移動, Movement to Contact)
적과의 접촉이 단절된 상태하에서 상황을 전개하거나, 접촉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 실시하는 공격작전으로 접적이동에는 조우전이 포함됨.
 
접적이탈(接敵離脫, Disengagement)
적과의 접촉을 끊고, 적으로부터 관측도 되지 않고 직접사격에 의한 교전도 되지 않는 지점으로 이동하는 것.
 
접적전진(接敵前進, Advance to Contact)
적과 접촉을 유지하거나 회복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작전으로 공격작전시 적과 접촉이 없는 공격부대는 적과 접촉이 이루어질 때까지 전진하다가 적과 접촉시 공격대형으로 전개하여 공격.
 
접적지역(接敵地域, Contact Area)
전쟁초기 전방지역의 군사작전에 직접 관련된 전방사단 작전지역을 말함. 전선이 유동적인 상황하에서는 접적지역의 종심은 깊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부지원 민사활동의 통제책임도 전진하는 사단의 책임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군단이 보다 많이 담당하게 됨.
 
접촉기뢰(接觸機雷, Contact Mine)
기뢰 몸통 또는 그 부착물이 선체에 접촉함으로써 발화장치를 작동하도록 설계된 기뢰.

 

 

접촉상실(接觸喪失, Contact Lost)
어떤 표적이 시각, 소나 또는 레이더 탐지권 내에 아직 있는 것으로 믿어지나, 잠정적으로 접촉을 소실하였으며 최종표적의 항적기점이 정확하지 않은 상황을 통보하는 데 사용하는 말.
 
접촉선(接觸線, Line of Contact; LC)
2개의 부대가 대치하여 교전하고 있는 위치를 일반적으로 묘사하여 그린 선.
 
접촉유지(接觸維持, Maintain Contact)
적의 위치 및 활동사항을 계속적으로 알아내기 위하여 아군부대가 적과 충분히 접촉할 수 있도록 필요한 행동을 취하는 임무.
 
접촉점(接觸點, Contact Point)
1.지상전에 있어서 둘 이상의 부대가 접촉을 필요로 하며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지점.
2.공중작전에 있어서 편대장이 항공통제기구와 함께 무선접촉을 유지하는 위치.
 
접촉정찰대(接觸偵察隊, Contact Patrol)
전투정찰대의 목적에 의한 분류방법에 의한 세분된 정찰대로서 인접부대와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하여 선발된 정찰대.
 
정강(政綱, Platform)
1. 정치의 대강
2. 정부 또는 정당이 국민에게 실현을 공약한 정책의 대강
 
정규군(正規軍, Regular Forces)
전시는 물론 평시에도 유지하는 상비군. 정규군은 국가의 법령에 의하여 정식으로 편성된 군대이며 그 행동에 관하여는 국가가 직접 이를 관할하고 또한 책임을 짐.
 
정면, 전방(正面, 前方, Front)
1. 부대가 점령한 한 측방으로부터 다른 측방까지의 횡적공간.
2. 적 방향.
3. 2개의 대항하는 부대의 접촉선.
4. 전투상태가 없을 때 사령부가 대면하고 있는 방향.
 
정면공격(正面攻擊, Frontal Attack)
최단거리를 이용하여 적의 진지정면으로 지향하는 공격으로서 통상 전정면에 배치된 모든 적 부대를 동시에 강타하는 기동형태.
 
정면이동(正面移動, Frontal Movement)
부대가 알고 있거나 의심되는 적의 정면을 향하여 곧바로 지향해 가는 것.

 

 

정밀공격(精密攻擊, Deliberate Attack)
잘 준비(편성)된 진지를 점령하고 있는 강력한 적부대에 대하여 실시하는 공격작전.
 
정밀기획(精密企劃, Deliberate Planning)
합동전략기획문서에서 지정된 우발사태에 대한 개념요약과 합동작전계획의 발전을 포함한 합동작전기획 및 시행체계의 과정임. 이는 국방기획의 주기와 일치되고 합동전략기획체계 절차에 따라 통상 평시에 수행됨.
 
정밀낙진예측(精密落塵豫測, Detailed Fallout Prediction)
낙진입자가 떨어질 지역을 사전에 알아내는 정밀한 방법. 이는 화학장교로 편성되는 화생방반에서 실시함.
 
정밀도하(精密渡河, Deliberate Crossing)
광범위한 계획과 세밀한 준비를 필요로 하는 도하로서 대안에 있는 적의 방어와 장벽을 극복하는 데 필요한 병력과 장비의 증가가 요구되어 세밀하게 계획되는 도하작전임.
 
정밀돌파(精密突破, Deliberate Breaching)
상세한 계획과 철저한 사전 준비로 적의 장애물 또는 장애물 지대를 돌파하는 것으로서 통상 공병에 의하여 수행됨.
 
정밀방어(精密防禦, Deliberate Defense)
접적이 없거나 또는 접적이 긴박하지 않을 때, 그리고 편성을 위한 기간을 충분히 가질 수 있을 때 통상 편성하는 방어. 보통 특화점, 요새 및 통신계통을 통합하는 광범위한 요새 지대를 포함함.
 
정밀유도무기(精密誘導武器, Precision Guidance Missile)
일반적으로 탄 1발로 표적을 50% 이상 파괴할 수 있는 탄을 말하며, 각종 감지기술을 이용하여 표적명중률을 향상시킨 미사일. 전략무기인 순항미사일(cruise missile)과 전술무기인 스마트탄이 있음.
 
정밀접근레이더(精密接近~, Precision Approach Radar; PAR)
기지내 활주로 근처에 위치하여 착륙을 위한 전천후 착륙유도장치로서 기지에 접근하는 항공기를 착륙점으로 정확하게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레이더.
 
정밀폭격(精密爆擊, Precision Bombing)
특정한 점 표적을 조준하는 폭격.
 
정박(碇泊, on Berth)
선박이 승객이나 화물을 승선시키거나 하역시키기 위하여 부두 또는 지정 부표 등에 계류했을 때를 말함.
정보(Intelligence)
1. 가용한 첩보를 수집, 처리, 평가 및 해석한 결과로 획득된 지식.
2. 다양한 형태에 내포된 일반적인 사실이나 자료(Information).
 
정보목표(情報目標, Intelligence Objective)
정보목적을 위하여 탈취, 감시, 경계 및 획득하도록 선정된 목표.
 
정보보증(情報保證, Information Assurance; IA)
정보와 정보체계의 이용성, 통합성, 비밀성, 인증(認證), 부인거부(否認拒否)를 보장함으로써 정보와 정보체계를 보호하고 방어하는 정보작전의 한 분야이며, 정보보증에는 정보체계에 보호 및 탐지와 대응 능력을 설치하여 자체 복구능력을 포함함.
 
정보보호(情報保護, Information Security; INFOSEC)
활자, 구두, 그림 및 통신을 통한 정보의 누설을 예방하는 조치로서, 적에게 자료의 노출을 방지하고 보호하기 위해 인원 및 정보의 공개를 제한함.
 
정보분석조(情報分析組, Intelligence Analysis Team)
국지도발 대비작전 정보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대급이하 부대에 편성되는 조직체로서 수행하는 임무는 거수자의 신원을 식별, 유기물이나 침투단서를 발견 분석, 작전 전개 및 종결을 판단 건의, 원점을 보존, 차단작전 건의 등임.
 
정보순환단계(情報循環段階, Intelligence Cycle)
첩보를 수행하기 위하여 계획과 명령을 작성하고 첩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첩보를 정보로 전환하여 이를 작전에 활용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지휘관, 참모 및 부대에 전파하고 사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하며, 통상 4단계로 구분함.
1. 계획 및 명령단계.
2. 첩보수집단계.
3. 첩보처리단계.
4. 전파 및 사용단계.
 
정보요구(情報要求, Intelligence Requirement)
1.부여된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기상, 지형 및 적에 관하여 알고자 하는 사실들.
2.첩보수집 또는 정보생산에 필요로 하는 일반 또는 특정한 주제.
 
정보요약(情報要約, Intelligence Summary)
부정첩보를 포함한 정보와 첩보의 중요한 항목을 편찬한 것. 이것은 가장 신속한 통신계통을 통하여 송달되며 이 요약에는 판명된 적정판단이 포함되고 예하부대가 상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됨.
 
정보우위(情報優位, Information Superriority)
상대적이고 국지적이며 한시적으로 상대방보다 우월한 정보능력을 확보하여 큰 제약 없이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
 
정보융합기술(情報融合技術, Data Fusion Technology)
여러 종류의 다양한 센서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상호 비교, 평가, 종합하여 필요한 정보를 생산하는 기술.

 

 

정보융합체계(情報融合體系, Korea Intelligence Fusion System; KIFS)
신호정보·영상정보·인간정보·위성정보 등 다양한 출처로부터 수집되는 각종 첩보를 자동처리하여 기존 데이터 베이스(DB)와 연동하여 표적을 식별하고, 정확한 위치와 기동상태를 추적하여 적의 상황 및 위협을 평가하는 체계.
 
정보작전(情報作戰, Information Operations)
정보우위를 달성하기 위해 전·평시 가용한 수단을 통합하여 아측의 정보 및 정보체계는 방어하고, 상대의 정보 및 정보체계에 공격을 가하거나 영향을 주는 작전.
 
정보작전지역(情報作戰地域, Tactical Intelligence Zone)
적, 기상 및 지형에 관계되는 정보를 획득하고 관장하는 지역으로서 계획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정보자료를 사용하기 위해 설치함. 정보작전 지역의 종심은 부대제대에 따라 상이하며 상급부대의 정보작전 지역은 예하부대 정보작전 지역을 포함함.
 
정보전(情報戰, Information Warfare)
특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특정 적에 대해 위기나 분쟁 또는 전쟁시 정보작전이 수행되는 실제적 활동.
 
정보제압(情報制壓, Counter Information; CI)
정보영역을 통제하는 데 필요한 제반 방책으로서 공격적인 정보제압과 방어적인 정보제압이 있음. 공격적인 정보제압은 아측에 정보영역을 사용 가능하도록 보장하고 적에게는 사용치 못하도록 차단하는 것으로서 물리적 공격, 군사기만, 심리전, 전자전 및 정보공격이 있으며, 방어적인 정보제압은 아측의 정보를 적 정보전으로부터 보호하는 활동으로서 물리적인 방어, 물리적 보안, 견고화, 작전보안, 통신보안, 컴퓨터 보안 및 방첩 등이 있음.
 
정보종합반(情報綜合班, All Source Intelligence Center; ASIC)
모든 출처로부터 접수되는 첩보를 종합분석, 조기에 경보하여 신속하고 합리적인 지휘결심 및 참모판단에 기여하고 생산된 정보의 신속한 전파임무를 수행하는 곳.
 
정보체계(情報體系, Information System)
모든 정보의 수집, 생산, 전파, 활용, 관리를 유기적으로 연결, 통합하여 최적화하는 과학적 수단(전산과 통신기술)과 조직, 절차, 시설의 통합체.
 
정보판단(情報判斷, Intelligence Estimate)
적 또는 잠재적인 적에게 가용한 방책과 그 방책의 채택 가능성에 관한 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특정상황이나 조건에 관련된 정보요소에 대한 평가.
 
정부행정지원(政府行政支援, Government Administration Support)
전시 또는 비상사태시 정부의 행정기능을 정상화시키기 위한 군의 제반 민사지원활동.
 
정비대충장비(整備代充裝備, Maintenance Float; M/F)
지원정비시설에서 즉각적인 수리가 불가능하거나 정비기간 동안 정비대상장비를 장기간 운영치 못함으로써 임무수행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가능장비와 사용불가장비를 1:1로 교환해 주기 위한 정비 대치품목을 시설부대 또는 보급지원시설과 정비공장에서 저장하도록 인가한 완성품을 말함.

 

 

정비인시(整備人時, Maintenance Man-hour)
정비작업시 정비공의 기술수준을 숙련공(1.00), 준숙련공(0.75), 미숙련공(0.5)으로 분류하여 정비할 수 있는 작업량을 표시하는 측정단위로서 숙련공 1명이 1시간 동안 실시하는 작업량을 1인시라고 함.
 
정상동원(正常動員, Normal Call Up)
동원의 한 형태로서 전시 충원소집을 위하여 동원령 선포후 H+15일부터 계속되는 동원.
 
정조(停潮, Tidal Stand)
고조와 저조 사이 조석이 정지되는 것.
 
정찰 및 관측구역(偵察및觀測區域, Reconnaissance and Surveillance Area)
전방 방어구역에서 경계부대 배치구역까지 확장된 구역으로, 적의 활동 및 자원에 관한 첩보수집 업무를 수행하는 탐지구역과 초계구역을 포함함.
 
정찰 및 수중파괴전대(偵察및水中破壞戰隊, Reconnaissance and Under-Water Demolition Group)
정찰부대와 수중파괴반을 탑재한 함정들로 기동편성된 전대로 정찰, 수로측정 및 지연 또는 인공 장애물을 파괴함.
 
정찰(偵察, Reconnaissance)
시각 관측이나 기타 탐지방법에 의하여 적이나 잠재적인 적 활동과 자원에 관한 첩보를 입수하거나 특정지역의 기상, 수로 또는 지리적 특성에 관한 제원을 획득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임무.
 
정찰기전대(偵察機戰隊, Reconnaissance Plane Group)
상륙기동부대가 목표지역으로 이동 도중 또는 목표지역 내에 있는 동안에 수색, 정찰 및 대잠작전과 같은 임무를 수행하는 정찰기부대의 기동편성.
 
정찰대(偵察隊, Patrol Party)
첩보를 수집하거나 혹은 파괴, 교란, 작전소탕, 혹은 경계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보다 상급부대에 의해서 운용되는 지상군(해군 또는 공군) 분견대.
 
정찰사격(偵察射擊, Reconnaissance Fire)
위장된 것으로 의심되는 지역 또는 자연적으로 은폐되어 관측이 안 되는 지역 중에서 극히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지역에 대하여 정보획득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사격.
 
정찰위성(偵察衛星, Reconnaissance Satellite)
지구상 중요지역에 군사 행동상황에 관한 정보수집을 주목적으로 한 위성. 카메라, 각종 센서, 밀리파라디오미터, 통신전자정보 수집장비, 레이더 등을 적절히 탑재해서 사진정찰, 전자정찰, 해양감시 등을 함.

 

 

정책(政策, Policy)
부여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행동을 규제하는 모든 원리적 기준 또는 결정된 어떤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수반되는 일반적 지표.
 
정책회의(政策會議, General Council)
각군 참모총장의 정책 결심을 보좌하는 최고 자문기구로서 각군의 장기·중기·단기 기획 및 계획과 주요 군사력 건설 및 운용, 군의 기본운용방침, 율곡사업계획 및 예산과 교육 훈련목표, 방침제도의 발전에 대한 안건을 최종심의를 통해 확정하기 위하여 참모차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정책기획실장, 일반참모부장 및 비서실장을 위원으로 하는 각군본부 심의회의.
 
정치·군사게임/연습(政治·軍事~/演習, Politico-Military Game/ Exercise; POLMIL GAME)
국가안보의 위기상황을 가상적으로 설정하고 이를 부여하여 일정한 규칙에 따라 정치·군사차원의 정책대안을 개발하고 토의하는 과정. 통상 국가안보정책결정조직을 대표하는 전문가들로 구성하여 대안개발에 중점을 둘 경우는 게임으로, 실제 정책결정자의 교육 및 능력향상을 목적으로 실시할 경우에는 연습으로 호칭.
 
정탐(偵探, Scouting)
수상함정, 잠수함 또는 항공기에 의하여 실시되는 수색, 경비, 추적 또는 정찰을 포함한 임무.
 
정탐선(偵探線, Scout Line)
정탐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배열된 정탐단위가 이루는 선.
 
정탐작전(偵探作戰, Scouting Operation)
적에 관한 정보의 획득, 배포를 위한 작전으로 여기에는 탐색, 경비, 추적 및 정찰의 4개 방법이 있음.
 
제1격(第一擊, First Strike)
상대방에 대해서 상대방보다 먼저 핵공격을 개시하는 경우로서 기습이나 선제가 될 수도 있고 공개적인 선전포고에 의한 공격이 될 수도 있음. 적 능력의 취약성 때문에 일방의 제1격을 가능케 할 수 있는 능력(제1격으로 적의 보복공격을 완파시킬 수 있는 역량)을 제1격 능력이라고 함.
 
제2단계신문(第二段階訊問, Second Phase Interrogation)
포로신문 용어로서 전략적 신문을 말하며 이는 야전군급 이상 부대에서 실시함.
 
제공권(制空權, Air Supremacy)
전 전쟁지역에서 적 공군력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는 절대적인 공중우세의 정도를 말하며 공중우세 및 공중제패의 개념을 포함한 보다 광의의 개념임.
 
제공작전(制空作戰, Counter Air Operation)
공중우세를 획득유지하기 위하여 적의 공중세력과 방공체계를 파괴 또는 무력화시키는 작전으로 공세제공작전과 방어제공작전으로 구분됨.

 

 

제대(梯隊, Echelon)
1. 지휘본부(사령부)의 일부(예:전방제대, 후방제대).
2.지휘계통에 있어서 독립(분리)된 수준(예:연대와 비교했을 때 사단은 상급제대, 대대는 하급제대).
3.주전투임무가 부여된 종심상에 놓인 한 부대의 일부(예:공격제대, 지원제대, 예비제대).
4.분할된 예하부대들이 차례로 전후로 위치하는 대형(예:제1제대, 제2제대).
 
제대이동(梯隊移動, Echeloned Displacement)
한 부대가 부대의 기본임무를 단절함이 없이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것. 통상 부대는 2개(본대, 선발대)의 기능요소로 분할됨. 본대가 작전을 계속하는 동안 선발대는 새로운 지역으로 이동하며 기능을 발휘하게 되면 본대에 합류됨.
 
제독(除毒, Decontamination)
오염되어 있는 화학 및 생물학작용제를 흡수, 밀폐, 파괴, 중화 및 제거하고, 방사능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인체, 물체 또는 지역을 안전하게 만드는 절차.
 
제독제(除毒劑, Decontaminants)
화학작용제 또는 생물학작용제를 흡수, 제거, 중화, 파괴, 증발시키고 방사능 물질을 제거, 용해시키는 물질 및 에너지이며, 자연제독제와 화학제독제로 구분됨.
 
제병협동(諸兵協同, Combined Arms)
1.상호 협동하는 육군의 2개 이상의 전투 및 전투지원부대의 협조된 작전.
2.적 회전익 항공기에 대응하는 전방사단지역 제병과 부대의 자체 방공능력을 보장하기 위하여 전투헬기에 대공스팅어를 장착하거나 M-1전차의 탄약개량 및 장갑 보호능력 개선 및 브래들리 전투용 차량의 대공조준기재 개발 등이 포함되는 전방지역 방공체계(FAADS)의 하나.
 
제병협동부대(諸兵協同部隊, Combined Arms Team)
2개 혹은 그 이상의 병과로 구성된 결합체로서 임무수행을 위해 상호 지원할 수 있는 부대로 구성됨. 부대는 통상 전차, 보병, 공격헬기, 야전포병, 방공포병, 그리고 공병으로 편성 및 구성됨.
 
제압(制壓, Suppression)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적 인원 및 장비의 전투능력을 제한시키는 것으로 그 효과는 통상 사격을 하고 있는 동안에만 지속됨.
 
제압사격(制壓射擊, Neutralization Fire)
적의 화력사용을 방해하거나 압도적으로 위축시키기 위하여 가하는 포병사격.
 
제원기록사격(諸元記錄射擊, Registration Fire)
차후에 효과적인 사격을 가하기 위하여 사전에 정확한 제원을 얻고자 실시하는 사격.
 
제차대형(梯次隊形, Echelon Formation)
전진하는 방향과 경사지에 구성부대(요소)를 배열한 대형.

 

 

제트기류(Jet Stream)
지구의 위도 30도~50도 부근 중위도의 고도 10~14㎞ 상공에 강한 서풍이 불어오는 바람. 계절에 따라 위도, 고도, 풍속에 약간 차이는 있으나 강할 때는 시속 250㎞가 되며, 태평양을 횡단하는 항공로에서 이것을 이용하여 동진할 때는 비행시간이 수시간 단축되나 서진할 때는 지연됨.
 
제파공격(梯波攻擊, Echelon Attack)
어느 한 공격지역에 종으로 수개 제대를 편성하여 파도가 밀려오는 것처럼 연속적인 타격으로써 방어지대를 공격하는 전법. 일명 파상공격이라고도 함.
 
제한공역(制限空域, Airspace Reservation)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의하여 지정된 육지 또는 수역상공으로서 국방이나 기타 정부목적을 위하여 비행이 금지되거나 또는 제한되는 공간.
 
제한구역(制限區域, Restricted Area)
1.우군간에 상호방해를 예방 또는 최소한도로 국한하기 위하여 특별한 제한책을 강구하고 있는 지역 또는 공간.
2.비밀취급인가를 받지 않은 사람이 비밀 구분된 첩보나 자료에 접근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별한 보안책이 강구된 구역.
 
제한사격(制限射擊, Weapon Tight)
적기로 확인된 표적에만 사격하는 것.
 
제한식별구역(制限識別區域, Limited Identification Zone; LIZ)
방공식별구역 내에서 아군 항공기를 조기에 식별하여 효율적으로 항공작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공군작전사령관이 합참의장의 승인을 받아 설정하는 구역.
 
제한전쟁(制限戰爭, Limited War)
한정된 정치목적에 부합되도록 행동지역, 사용수단, 사용무기, 병력 및 달성해야 할 목표 등에 일정한 제한을 가하면서 수행하는 무력전.
 
제한주파수(制限周波數, Restricted Frequencies)
허가 없이는 방해할 수 없는 주파수임. 통신 및 정보참모장교, 기타 관계부서 작전장교와 협조하여 작전참모가 작성하고 승인함. 제한 주파수는 금기(taboo), 보호(protected), 감시(guarded) 주파수로 분리함.
 
제한표적(制限標的, Limited Targets)
정보수집이나 장차 우군작전에 대한 가치를 지닌 표적으로서 일정기간 동안 작전적 상황이 변화될 때까지는 공격이 불가능한 표적으로 주요교량, 방송국, 발전소 등임.
 
제한화력계획(制限火力計劃, Restrictive Fire Plan)
우군의 항공기를 위하여 지상에서 발사하는 비핵화력으로부터 안전한 공역을 설치하기 위한 화력계획.

 

 

제해권(制海權, Command of the Sea)
적 해군으로부터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는 해양우세의 정도를 말하며 완벽한 제해권은 불가하므로 해양통제의 개념으로 사용됨.
 
조공(助攻, Supporting Attack)
공격작전시 주공의 성공을 돕기 위하여 공격을 실시하는 전술집단(부대).
 
조기경보(早期警報, Early Warning)
전자 또는 시각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적성항공기 또는 유도병기의 접근에 대해 조기에 경보하는 것.
 
조기경보위성(早期警報衛星, Early Warning Satellite)
적의 대륙간탄도탄(ICBM) 또는 잠수함발사탄도탄(SLBM)의 공격에 대하여 될 수 있는 한 긴 반응시간을 갖기 위하여 이들의 발사를 조기에 탐지하는 임무를 가진 위성.
 
조기교전(早期交戰, Early Engagement)
적기가 공격하기 이전에 교전할 수 있도록 방공포병무기를 배치하는 것. 이 조기교전은 통상 적기가 재래식 무기를 사용할 때 적용되며 공대지 유도탄이나 전술탄도탄과 같이 장거리 투발무기를 사용시는 적용이 곤란함.
 
조립생산(組立生産, Assembly Product)
기술도입 생산의 한 형태로서 외국과 계약에 의하여 부품이나 구성품을 도입하여 이를 국내 기술진이 조립하여 생산하는 것을 말하며, 조립하는 구성품 단위에 따라 완전조립생산(C.K.D), 부분조립생산(S.K.D)으로 구분함.
 
조명지원계획(照明支援計劃, Illumination Support Appendix)
전술항공, 육군항공, 포병 및 박격포에 의한 조명을 지원하는 계획으로 기동계획을 고려하여 작성됨.
 
조병창(造兵廠, Arsenal)
무기, 탄약을 제조 수선하며 저장, 보급하는 건물 혹은 장소.
 
조사레이더(照射~, Illuminator Radar)
유도탄 무기의 긴요한 부분으로 전파를 표적에 조사하여 추적하는 데 사용됨. 조사에너지는 표적에서 반사되며 미사일이 이것을 탐지하여 표적에 호밍하는 데 이용됨. 능동호밍 유도방식에서는 조사레이더가 미사일에 내장되어 있으나 반능동 호밍 유도방식에서는 선박, 항공기 또는 지상에 위치함.
 
조석표(潮汐表, Tide Tables)
조석, 조류에 관하여 그때 그 장소에서뿐만 아니라 앞으로 도착할 지역의 조석이나 조류의 추산에 필요한 서적이며 매년 또는 5년마다 발간함.

 

 

조약(條約, Treaty)
협의의 조약이란 국가간의 정치, 외교적 관계에 대한 포괄적인 고도 최상위의 합의형태를 말하며, 광의로는 문서에 의한 모든 형태의 국가간 합의를 뜻하는데 협약(Convention), 협정(Agreement), 약정(Arrangement), 의정서(Protocol), 합의각서(MOA), 양해각서(MOU) 및 기타 다양한 형태를 포함함.
 
조우전(遭遇戰, Meeting Engagement)
불완전한 전개상태에서 이동하고 있는 부대가 불충분한 정보로 인하여 이동중이나 정지하고 있는 적과 조우되었을 때에 일어나는 전투행위.
 
조음기(造音器, Noisemaker)
잠수함 및 어뢰를 기만하기 위한 수중음향 발생기.
 
조작 전자기만(造作電子欺瞞, Manipulative Electronic Deception; MED)
적을 기만할 목적으로 전자파 신호를 계획적으로 조작하거나 재방사하는 것.
 
조작 통신기만(操作通信欺瞞, Manipulative Communication Deception)
적에게 허위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아군의 통신망에 조작된 통신문을 사용하는 것.
 
조종기뢰원(操縱機雷原, Controlled Minefield)
항만 입구의 항로상에 부설하여 적 함선에 대하여는 장애가 되게 하고 우군 선박의 통행에는 안전하도록 조종할 수 있는 기뢰원.
 
조종사 항적투명도(操縱士航跡透明圖, Pilot's Trace)
출격중 또는 출격직후에 사진정찰기의 조종사가 작성한 지도상의 간략한 투명도. 여기에는 매번 사용된 카메라를 포함하여 사진촬영 위치, 방향, 번호 그리고 횟수 등을 나타냄.
 
조종사보호의(操縱士保護衣, Air Crew Ensemble)
화생방전하에서 원활한 항공작전을 위해 산소 마스크에 정화통을 부착시켜 자동적으로 정화통을 통해 호흡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부속품으로는 특수방호복과 후드, 장갑, 비닐덧신 등 다수의 품목으로 구성되어 있음.
 
조준선 탄막(照準線彈幕, Line of Sight Barrage)
조준각과 신관을 변화시키면서 순간마다 표적의 조준선상에서 폭발되도록 하는 탄막방법.
 
조준점(照準點, Aiming Point)
1.화기의 조준선 방향을 정하거나 관측자가 관측기구를 정치하는 물체 또는 점.
2.폭격수 또는 조종사가 폭탄, 로켓, 기뢰, 수뢰 등을 투하하는 데 참조점으로 사용하는 점.

 

 

조직(組織, Organization)
국방행정을 위하여 적정한 기구를 설정하고, 기능을 배분하며 정원을 책정하여 부대 또는 기관을 설치하거나 체계적 구조를 구성하는 것.
 
조함(操艦, Ship Handling)
출입항, 협수로 통과 및 작전기동 등 함정의 이동을 지휘하는 기술.
 
조화(造化, Harmonization)
공동의 작전목적 달성을 위하여 군간 또는 군과 기관간 그리고 기관 간에 서로 합의해야 할 중요한 사항에 대한 의견 차이나 불일치를 조정하는 절차 또는 조정 결과.
 
조회(照會, Verify)
1.발송통신문의 뜻과 어구가 발송자의 정확한 의사를 전달하는가 확인하는 것.
2.관측자, 탄착 수정자 또는 사격 통제기관으로부터 사격 제원의 재검토와 재검토의 결과를 보고하도록 요구하는 것.
 
종격실(縱隔室, Corridor)
부대가 이동하는 방향과 평행하거나 또는 그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형격실.
 
종대(縱隊, Column Formation)
구성부대(요소)들을 전후로 배열한 대형.
 
종대간격(縱隊間隔, Column Gap)
동일 도로상에서 같은 방향으로 행군하는 2개의 연속부대간의 공간. 한 부대의 후미로부터 후속하는 부대의 선두까지의 길이로 표시하거나 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음.
 
종대엄호(縱隊掩護, Column Cover)
접촉을 유지하며 항공기가 행군 종대를 엄호하는 것. 종대를 위협하는 공중 또는 지상표적을 수색 및 공격함으로써 보호함.
 
종대이륙(縱隊離陸, Stream Take Off)
항공기가 종대형으로 줄지어 이륙하는 것.
 
종말단계(終末段階, Terminal Phase)
1. 유도탄의 중간유도의 종말부터 탄착까지의 유도과정.
2. 탄도탄의 재진입으로부터 탄착까지의 탄도 부분.

 

 

종말속도(終末速度, Terminal Velocity)
1.한 물체가 균일한 밀도의 공기 중에서 무제한 거리를 일정한 중량과 추진력으로 특정한 비행로를 따라 낙하할 때에 도달할 수 있는 가정상의 최고속도.
2. 하강중의 탄환이 무기의 포구 높이에 도달할 때의 속도.
 
종말유도(終末誘導, Terminal Guidance)
1.유도탄의 중간 진로유도와 표적근접지역에 도달할 때까지 적용되는 유도.
2.착륙 또는 공중투하시설에 도착시, 출발시 또는 그 근접상공에 있어서의 운용에 대한 항공기 조종사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전자적, 기계적, 시각적 또는 기타 보조 수단.
 
종말행선지-상선(終末行先地-商船, Terminal Destination Merchant Shipping)
항해지시를 받은 단일 선박 또는 선단의 종말 항만, 해운항 또는 묘박지. 반드시 최종목적지는 아님. 최종목적지(Final Destination), 차후목적지(Immediate Destination), 중간목적지(Intermediate Destination), 원목적지(Original Destination) 참조.
 
종심(縱深, Depth)
공간, 시간 및 자원상의 작전범위를 말하며, 효과적인 기동에 필요한 공간과 작전준비에 필요한 시간 획득에 절대 필요하며 공격 및 방어시 탄력성은 종심에서 비롯되고 적의 행동제한과 융통성, 지속력 감소를 위해서는 종심전투를 시도해야 함.
 
종심방공(縱深防空, Air Defense in Depth)
전술조치선을 설정하여 방공전력을 종류에 따라 단계적으로 운용하는 방공작전개념으로서 전술조치선을 군사전략개념에 의하여 설정하고 상황에 따라 수정됨.
 
종심방어(縱深防禦, Defense in Depth)
적의 공격을 유인하고 점진적으로 약화시키며 모든 진지를 적이 최초에 관측할 수 없도록 방지함으로써 지휘관으로 하여금 예비대를 기동할 수 있도록 계획된 상호지원 방어진지의 배치.
 
종심방어전술(縱深防禦戰術, Tactics on Defense in Depth)
프랑스 구로우 장군에 의하여 개발된 방어전술로서 전방에는 최소한의 병력을 배치하고 1,800~2,700m 후방에 주진지를 설치하여 적의 기습을 방지하고 사전에 적의 공격기도를 간파하여 효과적인 방어를 실시하는 전술.
 
종심작전(縱深作戰, Deep Operations)
아국 영토의 보전을 위하여 조기에 전장을 적지로 확대하고 적지결전을 추구하며 아 전투력을 보존하면서 적 전투력 및 전투의지를 약화시키기 위해 적의 깊은 종심에 있는 적 전투력의 중추부를 타격하며 접적구역에서의 적의 강점은 고착 견제하면서 접적지역 후방의 적 중심에 아군전투력을 집중하는 개념으로서 적지 결전을 추구하는 작전.
 
종심전투(縱深戰鬪, Combat in Depth)
아직 접촉하지 않는 종심상의 적 부대를 차단 및 타격하여 후속제대의 위협을 제거하는 전투이며 이는 공지전투의 핵심요소임.
 
종심지뢰부설(縱深地雷敷設, Axial Mining)
적의 전진축선에 따라 종심 깊게 연속적 또는 간단적으로 요란지뢰를 부설하는 것.

 

 

종심지원사격(縱深支援射擊, Deep Supporting Fire)
적의 예비대와 화기를 제압 격파하고 적의 지휘, 보급, 통신 및 관측을 방해하기 위하여 우군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목표물에 지향하는 사격.
 
종심화력전투(縱深火力戰鬪, Deep Fire Battle)
적이 전방부대와 접적하기 이전에 전전장 동시전투개념에 의거 적을 무력화하기 위해 적 2제대 및 적 화력지원 수단에 대한 화력전투를 실시함으로써 차후작전의 성공을 보장하기 위해 실시하는 전투.
 
종합군수지원(綜合軍需支援, Integrated Logistic Support; ILS)
무기체계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군수지원을 보장하기 위하여 소요제기시부터 설계·개발 ·획득·운영 및 폐기시까지 전 과정에 걸쳐 제반 군수지원 요소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활동.
 
종합정보통신망(綜合情報通信網,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ISDN)
전화, 팩시밀리, 데이터 통신, 화상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디지털화된 하나의 네트워크로 형성한 시스템.
 
종합창(綜合廠, General Depot)
1개 이상의 기술병과 보급품을 수령, 저장 및 불출하기 위한 대규모의 보급시설.
 
좌석대기(座席待機, Battle Station)
조종사가 조종석에서 이륙을 위한 점검을 완전히 마치고 가능한 신속히 이륙할 수 있는 대기상태.
 
좌초(坐礁, Agrounding)
배가 암초에 얹힘.
 
좌표(座標, Coordinates)
지도, 사진 또는 해도 위에 위치를 표시하는 좌표선의 번호나 문자.
 
주간항해표지(晝間航海標識, Daymark)
주간에 항해보조물로 사용되는 표지 또는 어로작업이나 해저전선 부설 등의 특수업무에 종사하는 선박이 조함의 부자유함을 나타내기 위하여 게양하는 표지 또는 신호.
 
주공(主攻, Main Attack)
결정적인 목표에 대부분의 공격역량을 집중 지향하는 전술집단. 부대 임무수행에 최대로 기여하는 목표(통상 결정적인 목표)의 확보에 지향되는 공격.

 

 

주교 진수구역(舟橋進水區域, Causeway Launching Area)
공격개시선 가까이 위치하여 함정이 주교를 진수시키는 구역.
 
주교(舟橋, Pontoon Causeway)
수상에서 군용물품을 도하시키는 데 사용되는 경주정이나 부유물. 상륙작전시 함선과 해안 간의 이동용 다리로 사용되며 상륙전 장비 및 보급품을 이동 양륙시키고 상륙함선 및 주정의 부두가 됨.
 
주기장(駐機場, Apron)
비행장 내에 빈번한 인원탑승, 화물탑재 및 항공기 급유 등이 편리하도록 평탄하고 견고하게 포장된 지역.
 
주도권(主導權, Initiative)
작전의 성공을 위해 아군에 유리한 상황을 조성해 나감으로써 아군이 원하는 방향으로 전투를 이끌어 가는 능력.
 
주도로(主道路, Main Road)
한 지역이나 위치로 통하는 주요 지상 병참선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도로. 통상 고속도의 왕래가 가능한 전천후 교통을 보장할 수 있는 넓이를 가져야 함.
 
주력(主力, Main Force)
중심세력의 부대.
 
주력작전(主力作戰, Major Operations)
전역의 어느 한 단계나 또는 중요한 전투를 치르는 단계에서 나타나는 대규모 부대들의 협조된 활동(작전).
 
주력전대(主力戰隊, Strength Group)
가용한 항공기와 부여된 초계 엄호를 받는 최대규모의 전투함정으로 구성된 해상 작전부대.
 
주력체(主力體, Main Body)
선단으로 지정되지 않았으나 군함 또는 항공기 호송을 받는 전투함 및 해군 보조함 집단 또는 단일함.
 
주력함대(主力艦隊, Major Fleet)
특정 육상 지원부서를 포함한 해군의 주요 작전부대.

 

 

주방공장비체계(主防空裝備體系, Primary Air Defense System; PADS)
자동화 사격통제장비(AN/TSQ 73)가 자동으로 항적을 할당할 수 있도록 작전프로그램에 지정된 호크 및 나이키포대와 같은 무기체계.
 
주방어제대(主防禦梯隊, Main Defense Echelon)
주방어지역에서 운용되는 부대로서 그 지역은 전투지역의 전단의 선단으로부터 전방투입부대가 편성된 지역까지임.
 
주방어지역(主防禦地域, Main Defense Area)
전투지역전단으로부터 전방 방어부대들이 편성되는 지역의 후방간에 위치한 지역.
 
주방어진지(主防禦陣地, Main Defense Position)
1.기동방어시 적 공격의 긴박함을 경고하고 공격부대를 그에게 보다 불리한 지형으로 유도하고 공격부대를 저지 또는 방해하기 위하여 방자가 사용하게 되는 지형격실, 거점 및 관측소의 연결을 말함. 주방어진지는 필요한 최소의 병력에 의해 점령되고 대다수의 방어부대는 공격작전에 사용됨.
2.지역방어시 전투지역 전단에서 적의 접근로를 봉쇄하고 지역을 통제하기 위하여 종심 깊이 준비된 진지를 말함. 주방어진지에는 주방어부대가 배치되며 진지를 점령하고 있는 부대는 전력을 다하여 적을 저지하여야 하며 적이 돌파에 성공하면 적을 역습에 유리한 지역으로 유인하거나 강요하게 됨.
 
주변방사능(周邊放射能, Background Radiation)
체내나 또는 개인이 항상 노출되어 있는 환경에서부터 발생하는 핵(혹은 이온) 방사능.
 
주변방사량(周邊放射量, Background Count)
탐지하려는 것 이외의 어떤 원인으로 탐지기에 나타나는 증거 또는 결과. 주변방사량은 통상 자연발생 방사능 및 우주선에 의한 것을 포함함.
 
주보급로(主補給路, Main Supply Route; MSR)
1.군사작전을 지원하는 대부분의 교통이 이루어지는 작전지역에 이르는 지정된 도로 또는 도로망.
2.전투지대 내에서 각 전술단위부대의 후방지역에서 전방으로 이르는 보급로. 이는 수송의 주축이 되는 도로를 말함.
 
주비행장(主飛行場, Main Airfield)
작전수행에 적절한 위치에 있으면서 전투능력이 최대로 발휘되도록 표준작전시설을 갖춘 비행장.
 
주사격구역(主射擊區域, Primary Fire Sector)
1. 개인이나 부대의 총포사격에 의하여 엄호되어야 할 주요구역.
2.방공포병무기는 통상 가장 위협이 큰 항공기와 교전하기 위하여 주사격구역을 부여하며, 주사격구역에 가까이 있는 표적에 대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사격할 수 있도록 운용함.
 
주요길목(主要~, Choke Point)
임무해역의 전개 또는 증강배치나 모항으로 복귀하는 함정이나 전쟁물자 수송을 위한 선단 등이 통과해야 하는 해역의 길목(병목).

 

 

주위소음, 수중소음(周圍騷音, 水中騷音, Ambient Noise)
자체소음과 복반사음을 제외한 해양생물, 선박, 강우, 해면의 교란 등에 의해 바다에서 생기는 소음.
 
주저항선(主抵抗線, Main Line of Resistance)
항공 및 함포를 포함한 모든 지원부대의 사격을 협조하기 위하여 지정된 전투진지전단을 연결한 선. 상호지원하는 일련의 방어지역의 전방한계선을 확정하며 엄호부대나 경계부대가 점유 또는 사용하는 지역은 포함되지 않음.
 
주전투지역(主戰鬪地域, Main Battle Area)
적의 공격을 결정적으로 저지하기 위해 싸우는 결정적인 전장으로 전투지역전단으로부터 후방전투지경선에 이르기까지 전개되는 전장의 한 부분. 이는 책임지역 후방 및 측방을 포함하여 MBA라고 표시함.
 
주정공간(舟艇空間, Boat Space)
상륙주정, 상륙장갑차 및 기타 단정의 용량을 정하는 데 사용되는 공간 및 중량계수로서 상륙주정 및 상륙장갑차에 관하여서는 개인장구를 소지한 1인의 소요에 기초를 두고 있음. 즉 1인은 224파운드의 중량 및 13.5입방피트의 공간을 점유할 것으로 가정하는 것임.
 
주정단(舟艇團, Boat Group)
상륙주정의 기본편성으로 1개 주정단은 상륙주정 또는 상륙장갑차의 1회 운행으로 대대상륙단을 상륙시킬 수 있도록 편성됨.
 
주정대(舟艇隊, Boat Unit)
함안이동 및 물자를 수송하며 함안이동시 주정의 교통통제 및 구조작업을 하며 LCM소대, LCVP소대 및 주정수리조로 편성됨.
 
주정로(舟艇路, Boat Lanes)
상륙해안으로부터 공격개시선까지 해상 방향으로 연장된 상륙돌격주정을 위한 항행로. 주정로의 폭은 해당 해안의 길이에 따라서 결정됨.
 
주정조(舟艇組, Boat Team)
상륙작전시 함안이동을 위하여 1척의 상륙주정이나 상륙장갑차에 할당된 병력.
 
주지휘소(主指揮所, Main Command Post)
지휘관이 전술작전을 지휘 통제하는 주시설위치.
 
주진지(主陣地, Primary Position)
부여된 임무를 달성할 수 있는 최선의 수단(방법)을 제공하는 진지.

 

 

주통제장교(主統制將校, Primary Control Officer)
상륙해안을 왕래하는 상륙주정, 상륙장갑차, 상륙함정 등의 이동을 통제하는 임무를 부여받고 주통제 함정에 승선한 장교.
 
주통제함(主統制艦, Primary Control Ship)
공격개시선상에 위치하며 주통제관과 전술군수단이 승선하고 있는 함선.
 
주파(舟波, Boat Wave)
주정조를 싣고 동시에 상륙토록 계획된 수척의 상륙주정이나 상륙장갑차로 구성된 파.
 
주파수(周波數, Frequency)
1초 동안에 물체가 진동하는 진동수. 진동수가 많으면 주파수가 높고 진동수가 적으면 주파수가 낮음.
 
주파수도약(周波數跳躍, Frequency Hopping)
레이더 체계 또는 통신기에 사용되는 전자보호(EP) 기술로서 펄스화된 반송파를 어떤 특정 주파수 대역 내를 주기적 또는 계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송신하고 사용중인 주파수가 전파방해를 받을 때 방해받지 않은 주파수로 송신하는 기법.
 
주파수변조(周波數變調, Frequency Modulation; FM)
1.음성 또는 기타의 신호전류의 세기에 따라 반송파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변조방식.
2.반송파의 주파수를 그 평시값을 중심으로 하여 신호파에 올려 변동시키는 변조방식.
 
주파장(舟波長, Wave Commander)
상륙주정이나 수륙양용차에 탑승하여 주파를 형성하고 주정단장의 지시하에 주파의 모든 이동을 통제하는 장교.
 
주파향도(舟波嚮導, Wave Guide)
주파 향도장교가 탑승하여 상륙차량의 해안으로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주파의 향도임무를 맡은 주정.
 
주행위치(走行位置, Running Fix)
같은 시각에 얻어지지 못한 2개 또는 2개 이상의 위치선(position line)을 공통시간으로 조정하여 구한 교차위치.
 
준비명령(準備命令, Warning Order)
1. 차후 명령이나 행동에 대하여 사전에 예고하는 명령.
2.지휘관이 예하 지휘관에게 절박한 조치에 관해 사전 준비시키기 위해 내리는 지시.

 

 

준비사격(準備射擊, Preparation Fire)
상륙돌격준비로서 돌격부대가 상륙이전에 적 표적에 대하여 실시하는 사격.
 
중간대기구역(中間待機區域, Staging Area)
1.상륙전 또는 공수작전시 목표지역과 출동구역 사이에 있는 일반적인 위치. 출동 후에 원정부대나 그의 일부가 재급유, 함정의 재편성, 연습, 점검, 부대의 재배치 등의 목적으로 그곳을 거쳐서 통과함.
2.병참선에 따라 집결하는 부대나 인원을 위하여 설정된 숙영설비가 구비된 일반적 위치.
 
중간목적지(中間目的地, Intermediate Destination)
기항지시가 내려진 독립 또는 호송선단의 출발 및 최종목적항구, 해운항 중간의 묘박지. 어떤 경우에는 중간목적지는 차후목적지와 동의어가 될 수 있음.
 
중간목표(中間目標, Intermediate Objective)
최종목표에 도달하기 전에 반드시 점령 혹은 격파하여야 할 목표.
 
중간무능화량(中間無能化量, Median Incapacitating Dosage)
조기에 치료를 받지 않으면 비방호되고 노출된 인원의 50%를 무능화시킬 수 있는 노출량.
 
중간치사 노출률(中間致死露出率, Medium Lethal Dosage)
적기에 치료를 받지 않으면 비방호 노출인원의 50%가 사망하게 되는 노출률.
 
중간치사량(中間致死量, Medium Lethal Dosage)
비방호되고 노출된 인원이 적당한 시기에 치료를 받지 않으면 50%가 죽을 수 있는 노출량임.
 
중거리수송기(中距離輸送機, Medium Range Transport Aircraft)
최대 유효탑재량을 적재하고 1,500~3,500NM(2,780~6,486㎞)의 행동반경을 갖는 수송기.
 
중거리탄도탄(中距離彈道彈, Mid-Range Ballistic Missile)
사거리가 600~1,500NM(1,112~2,780㎞)인 탄도유도탄.
 
중계기(中繼機, Middleman)
수상세력간의 장거리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배치된 항공기.

 

 

중계수송(中繼輸送, Relay Transportation)
세미트레라를 견인 수송시 발착지 중간지점에 트레라 전환지점을 설치하고 이 지점에서 견인차를 교대시키고 트레라를 계속 운행하게 하는 수송방식을 말함.
견인차는 일정한 구간만을 왕복하며 세미트레라는 발착지점 전 노정을 왕복운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중계수송은 통상 장거리 수송에 운용됨.
 
중계항(中繼港, Transit Port)
목적지에 가기 전에 잠시 기항하는 통과항.
 
중고도폭격(中高度爆擊, Medium-Altitude Bombing)
8,000 내지 15,000피트를 투하고도로 하는 폭격.
 
중력투하(重力投下, Gravity Bomb Release)
화물 자체의 중량을 이용하여 항공기로부터 투하하는 것으로 고공폭격 방법에서 폭탄투하시 사용함.
 
중립상태(中立狀態, Neutral Condition)
역전과 체감의 중간상태이며, 대기는 보통 안정한 상태임. 중립상태는 지상 4m와 지상 0.5m의 기온차이가 거의 등온(等溫)으로 존재하는 상태로서 대체로 흐린 낮이나 밤, 체감상태가 역전상태로 변하기 시작하는 일몰전 1~2시간 및 역전상태가 체감상태로 변하기 시작하는 1~2시간 사이에 일어남.
 
중성자탄(中性子彈, Neutron Bomb, Enhanced Radiation Weapon)
고성능 방사무기의 일종으로 주로 핵반응에서 나오는 중성자에 의해 인원을 살상하는 소형 핵무기. 일반적으로 핵무기는 출력이 적을수록 방사능에 의한 효과가 커지며 중성자탄을 저출력화함으로써 보통의 소형원폭에 의해 중성자량을 405배로 늘리고 폭풍, 열의 비율을 적게 한 핵폭탄. 따라서 같은 출력의 핵무기에 비해 노출될 인원에 대한 살상반경이 거의 배나 되며, 전차 내부의 인원에 대한 살상반경은 거의 3배나 됨. 연구개발은 1960년대 전 후 미, 소, 불 등에서 시작되었으며 1977년 미국에서 개발에 성공하였음.
 
중순양함(重巡洋艦, Heavy Cruiser; CA)
포(砲)가 전투함의 주무장이었던 시대에(특히 1, 2차 세계대전 이후 유도탄 탑재 이전까지) 주포의 크기에 의하여 순양함을 분류하였으며 주포가 6인치보다 큰 순양함을 지칭.
 
중심(重心, Center of Gravity)
힘과 균형의 근원으로서 한 부대의 행동의 자유나 유형전투력 또는 전투의지를 창출하는 근원이나 능력 내지 특성을 의미하며, 지휘관이 작전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모든 관심과 노력을 지향하는 초점이고, 가용전투력의 운용 방식 결정과 방책 구상의 근간임. 그러나 작전방향의 전환, 적 핵심 지휘관 교체, 새로운 부대/신무기 배치에 따라 중심이 변화될 수 있음. 또한 중심은 판단제대에 따라 상이하며, 상황의 변화에, 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계속 변화되므로 적의 중심을 식별한 후에도 그 변화를 계속 추적해야 함. 그러나 예하 전술부대에서의 중심은 핵심 표적과 같은 개념 이 될 수 있음.
 
중앙데이터처리(中央~處理, Integrated Data Processing, Centralized Data Processing; IDP)
각종 데이터를 1개소에 집중시켜 필요한 처리를 행하는 처리방식으로 집중정보처리, 통합정보처리로도 불려짐.
 
중앙방공통제소(中央防空統制所, Master Control and Reporting Center; MCRC)
전구항공통제본부의 예하부서로서 배당된 방공전력에 대한 자동화된 중앙집권적 작전통제권을 행사하며, 전 구역의 공중감시, 무기운용, 항공기 관제, 항법보조 및 귀환관제 임무를 수행하는 방공관제부서.

 

 

중앙연산처리장치(中央演算處理裝置, Central Processing Unit; CPU)
명령을 해독해서 실행하며 컴퓨터의 중추부를 이루는 장치. 제어장치, 연산장치, 주기억장치로 구성되며 프로그램의 명령에 의한 정보를 읽어내는 것과 전송, 데이터의 4칙 연산, 대소의 비교, 연산결과에 의한 다음 컴퓨터 동작의 선택, 외부와의 정보의 출입 및 기억 등을 수행함.
 
중앙조달(中央調達, Government Procurement)
전군적으로 소요되는 물자 중 현지조달의 특성을 가지지 않는 일체의 공통품목을 중앙 단일 조달기관에서 조달하는 것을 말하며, 군수품 조달은 중앙조달을 원칙으로 함. 해당 기관으로서는 재정경제부 소속기관인 조달청과 국방부 소속기관인 조달본부가 중앙 조달기관에 해당됨.
 
중앙통제장교(中央統制將校, Central Control Officer)
해상 함안이동을 전반적인 조정을 위해 상륙기동부대 지휘관에 의하여 임명된 장교로서 중앙통제함에 승선함.
 
중요감시지역(重要監視地域, Named Area of Interest; NAI)
적 활동을 감시함으로써 적의 특정방책 선택 여부와 활동 및 기도를 판단할 수 있게 해주는 접근로상의 지역 또는 지점(도로교차점, 주요병참선, 개활지, 주요교량, 적 예상 지휘소 등)
 
중요정보(重要情報, Critical Intelligence)
지휘관의 즉각적인 주의를 필요로 하는 중대한 정보. 이 정보는 잠재적 또는 실제의 적의 행동에 대하여 지휘관이 적시에 적절한 결심을 하기 위하여 필요로 함.
1.어떠한 형태든 임박한 적대행위의 발생에 대한 강력한 징후(공격경보).
2. 우방국가에 대한 어떤 성격의 침략.
3. 화생방무기(표적)의 징후 또는 사용.
4.잠재 적성국가 내에서 핵 공격계획의 변경을 초래할지 모르는 중대한 사건.
 
중요지형지물(重要地形地物, Key Terrain)
피아의 지형지물을 확보 또는 통제함으로써 현저한 이점을 제공받는 국지 또는 지역.
 
중점방어-방공(重點防禦-防空, Weighted Coverage)
적의 예상공격 방향이나 방공 우선순위가 높은 부대나 시설에 대하여 방공무기를 집중배치하는 것.
 
중축척지도(中縮尺地圖, Medium Scale Map)
1:600,000보다 크고 1:75,000보다 작은 축척의 지도로서 부대 및 보급품의 이동과 집중을 포함하는 작전계획 수립용으로 사용됨.
 
중포(中, 重砲, Medium, Heavy Artillery)
1.중(中)포(혹은 중간포) 구경 121~160㎜까지의 곡사포 또는 평
사포.
2. 중(重)포 구경 161~210㎜까지의 곡사포 또는 평사포.
 
중화기(重火器, Heavy Weapon)
박격포, 곡사포, 평사포, 중기관총 등 화력이 강력하고 한 사람의 병사가 도수 운반하기 곤란할 정도로 무거운 화기.

 

 

즉각살상(卽刻殺傷, Immediate Chemical Casualty)
화학공격을 받은 후 1시간 이내에 발생된 사상자를 말함.
 
증강(增强, Build Up)
1.부대의 지정된 병력과 차량, 장비, 저장품, 보급품의 지시된 수준을 달성하는 과정. 또한 이 과정을 달성하는 방법에도 적용됨.
2.부대의 능력을 추가하는 임무 때문에 해부대 고유의 편성 이외에 추가적으로 인원 및 장비를 보강하는 것으로서 증강된 부대와 피증강된 부대는 통상 지휘권의 종속관계 유지.
 
증원(增援, Reinforce)
어떤 부대의 임무를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부대 및 화력을 지원하는 것.
 
지(함)대공유도탄(地(艦)對空誘導彈, Surface to Air Missile; SAM)
지상 또는 함상에서 비행목표에 대해 발사되는 미사일. 통상 유도방식에 따라 지령유도, 호밍, 지향전파유도탄 등으로, 사거리에 따라 장·중·단거리용으로, 또한 운용고도에 따라 고·중·저고도로 분류되며 종래의 대공포 등에 비해 명중정도, 전천후성에 있어 특히 우수한 성능을 가짐으로써 이제는 대공전투의 주역이 되었으며 중동전쟁이나 월남전쟁에서는 러시아의 각종 SAM이 대량 사용되었음.
 
지·해 합동작전(地海合同作戰, Ground-sea Joint Operation)
합동작전에 참가하는 군에 따라 분류되는 작전의 한 형태로서, 지상군과 해군이 합동으로 가용한 수단과 방법을 사용하여 적을 저지, 격멸하는 작전을 말하며, 통상 해상화력지원, 연안방어 등으로 이루어짐.
 
지구전(持久戰, Endurance War)
공방을 불문하고 결전을 피하고 목적을 달성하려고 하는 의지를 가지고 행하는 작전 또는 전투.
 
지대(地帶, Zone)
1.요새지역, 방어진지, 전투지대, 교통통제지대 등과 같이 대체로 전선에 평행한 전술상의 중요지역.
2. 종심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개의 철조망의 좁고 긴 지대.
3.일정한 추진장약을 사용하여 고도를 최소각으로부터 최대각으 로 변화시킬 때 탄환이 낙하하게 될 지역.
 
지대사격(地帶射擊, Zone Fire)
어떤 표적이 위치한 전 지역을 제압하기 위해 계획된 야포 또는 박격포의 사격.
 
지대지 유도탄(地對地誘導彈, Surface to Surface Missile; SSM)
지상에서 발사하여 지상표적을 공격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유도탄.
 
지도거리 측정기(地圖距離測程器, Map Measurer)
1개의 작은 바퀴 혹은 로라의 다이얼로 구성된 기구로서 바퀴를 도상의 한 지점으로부터 다른 한 지점까지 굴리면 구간의 거리가 다이얼에 나타나게 되는 계기.

 

 

지령(指令, Directive)
방침의 설정 또는 특정한 행동을 지시하는 명령으로 통상 전구사령관급 이상의 고급사령관에 의하여 발표되는 광범위한 목표, 정책 또는 전략계획을 지칭함.
 
지령유도(指令誘導, Command Guidance)
지휘소에서 미사일에 송신된 정보가 직접 미사일을 유도하는 체계.
 
지뢰(기뢰)대항책(地雷(機雷)對抗策, Mine Counter-Measures)
지뢰나 기뢰로부터 함정, 인원, 항공기 및 차량의 손실이나 위험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모든 방법.
 
지뢰(기뢰)방어(地雷(機雷)防禦, Mine Defense)
지뢰 또는 기뢰에 의하여 위치, 지역 등을 방어하는 것. 지뢰, 기뢰 방어체계에는 부설, 작동, 유지 또한 부설된 지뢰지대(기뢰원)의 방어에 필요한 인원과 장비를 포함함.
 
지뢰(기뢰)탐색(地雷(機雷)探索, Mine Hunting)
각개지뢰(기뢰)의 위치를 확인하고 종류를 식별하며, 제거하기 위한 모든 방책을 포함함.
 
지뢰전, 기뢰전(地雷戰, 機雷戰, Mine Warfare)
지뢰나 기뢰의 전략적, 전술적 활용과 그에 대한 대항책으로서 이는 부설과 방어를 위한 가능한 모든 공격적 및 방어적인 방법을 포함함.
 
지뢰지대간격(地雷地帶間隔, Minefield Gap)
지뢰를 부설하지 않음으로써 우군부대가 전술 대형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특정한 폭을 갖고 있는 지뢰지대의 일부분.
 
지뢰지대통로(地雷地帶通路, Minefield Lane)
적절하게 표시된 지뢰지대 내의 비부설 또는 지뢰제거 통로. 적 지뢰지대를 통과할 통로는 돌파방법 및 소요목적에 따라 그 폭이 결정됨.
 
지뢰지대표지(地雷地帶標識, Minefield Marker)
우군의 안전을 위해 지뢰지대에 설치한 위험 표지.
 
지리적 참조점(地理的參照點, Geographic Reference Points)
위치를 지시하는 수단. 통상 복합문자 또는 부호로써 표시하며 작전명령이나 기타 방법으로 설정됨.

 

 

지리정보(地理情報, Geographic Intelligence)
한 국가의 지리적 능력과 지리상의 취약성 및 가능한 행동방책에 관한 모든 지식. 국력 구성요소로서 본 어느 한 국가의 지정학적 국가 위치, 면적, 형태, 종심, 경계, 지형, 배수, 기후 및 기상, 자원, 해양, 연안, 도서 등의 제 사항에 있어서 그 지리적 약점과 취약성을 알아서 그에 대응하는 가능한 행동방책이 무엇인가에 대한 지식.
 
지리좌표(地理座標, 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지구의 북위 84'와 남위 80'간을 만국횡단 마케트식 투영법으로, 경도는 6' 간격씩 60지대로 구분하고 위도는 8' 간격씩 19지대로 구분 및 1개 지대는 12'로 구분하여 베쎌(bessel) 값을 사용한 군사좌표 체계로 한국, 일본에서 사용중.
 
지리참조좌표(地理參照座標, Geographic Reference; GEOREF)
지상작전에 주로 사용되는 지도(지리좌표나 군사좌표)를 기초로 방공부대에서 고속항공기의 위치표정이 용이하도록 개량한 좌표로서, 연합 및 합동작전에서 주로 방공작전에 공통으로 사용하며 방공포병부대는 평면위치 지시기, 작전상황판 및 조기경보 표정판에 지리참조 격자를 표시하여 사용함.
 
지면반향영상(地面反響映像, Ground Clutter Video)
레이더 수신기가 높은 산 또는 지표상의 영향으로 인해서 레이더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평면위치 지시기에 안테나 고각의 위치에 따라 고정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지면편성(地面編成, Organization of Ground)
지형의 자연방어능력을 보강하고 특정지형(국지)에 점령부대를 위치시킴으로써 방어진지를 발전시키는 것.
 
지명사(指命射, At My Command)
정확한 발사시간의 조정을 원할 때 사용되는 명령.
 
지문항법(地文航法, Ground Reference Navigation)
나침의, 무선방위측정의, 측심의 등을 사용하여 둘 이상의 목표물과의 상대방위를 측정하여 자선의 위치를 파악하여 항해하는 기법으로 연안항해에 적합함.
 
지상 감시레이더(地上監視~, Radar Surveillance Intercept Terrain; RASIT)
전파를 발사하여 물체에 부딪쳐 되돌아오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 표적이 화면에 점으로 표시되고 물체의 특성을 음향으로 구분(시속 3.5㎞ 이상시 식별가능)하는 전천후 지상 이동물체 감시레이더로서 탐지능력은 병력(14~18㎞), 차량(25~30㎞). 1, 3군사 예하 정보중대가 2~3대 운용함.
 
지상 방공무기체계(地上防空武器體系, Ground Air Defense Weapon System)
적의 공격형태 및 전술에 따라 단일 지상 방공무기로서는 효과적인 방공작전수행이 불가능하므로 각종 지상 방공무기를 복합 적용하는 체계.
 
지상 비상대기(地上非常待機, Ground Alert)
지상에 있는 항공기를 완전히 정비하고 무장하여 임무명령을 수령한 특정한 시간 이내에 이륙할 수 있도록 전투승무원이 준비태세를 갖추고 있는 상태.
지상 사격제한공역(地上射擊制限空域, Restrictive Fire Airspace; RFA)
전투지대에서 아군 항공기가 특정임무 수행시 항공기의 안전을 위하여 지상사격을 일시 제한하는 공역.
 
지상 연락반(地上連絡班, Ground Liaison)
육군사령부의 통제하에 있는 육군과 공군 간의 연락을 책임지는 다수의 육군장교 및 차량으로 구성된 육군 단위부대.
 
지상 연락장교(地上連絡將校, Ground Liaison Officer; GLO)
정찰 또는 공세적인 항공지원 활동에 있어서 특별히 훈련된 장교. 훈련과 전투작전에 참가하는 공군 및 해군부대에 대하여 연락을 취하며 육군 지휘관 통제하에 있는 연락반에 통상 편성됨.
 
지상 요격관제(地上邀擊管制, Ground Control Interception; GCI)
지상레이더를 이용하여 아군기를 관제하거나 또는 효과적인 요격을 목적으로 항공기나 유도무기를 통제하는 기술.
 
지상 유도장비(地上誘導裝備, Guidance Station Equipment)
비행중인 유도탄의 유도를 위하여 필요한 유도탄 유도체제 중에서 지상에 있는 부분. 이것은 추적용 레이더, 비율측정기, 제원연결장치, 계산기, 시험 및 정비용 장비로 구분되어 있음.
 
지상 이동감청반(地上移動監聽班, Ground Mobile Intercept Team; GMIT)
지상부대에 의하여 운영되며, 고정반과 기동반으로 구분되고 고정반은 감시기지에 배치되어 첩보를 수집하며, 기동반은 전술전화(R/T), 다중통신(M/C), 무선전신(M/M)에 대한 수집과 방향탐지를 동시에 실시함.
 
지상 전술계획(地上戰術計劃, Ground Tactical Plan)
공정 또는 공중기동부대의 작전시 강습(착륙)후 지상전술 부대의 목표지역에서의 작전계획.
 
지상관제 접근장치(地上管制接近裝置, Ground-Controlled Approach; GCA)
기지내 활주로 근처에 설치되어 기지에 접근하는 항공기 착륙지점을 유도하는 데 사용되는 전천후 착륙유도장치.
 
지상관측반(地上觀測班, Ground Observer Team)
시각이나 청각으로 방어지역 상공의 항공기 이동에 관한 첩보를 제공하는 적은 단위대 또는 파견대.
 
지상군전법(地上軍戰法, Ground Forces Warfighting Method)
육군이 현재 및 장차전에서 가용한 수단과 방법을 효과적으로 배비하고 운용하여 어떻게 싸워 승리할 것인가를 체계화시킨 전투수행 방법으로서 군사전략, 작전술, 전술 등 용병술 체계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서 개략적인 전투수행의 방향과 모델을 제시한 것을 말하며, 작전지역의 특징, 적위협 및 기도, 아 능력, 전쟁발전추세 및 교훈, 전투양상 및 전장실상 등을 분석하여 정립함.

 

 

지상선율(地上線率, Ground Dose Rate)
지상 1미터 높이에서 방사능 측정기로 측정한 방호되지 않는 선율을 말함.
 
지상원점(地上原點, Ground Zero; GZ)
핵무기의 실지 또는 계획상의 폭발 중심점 또는 수직으로 상하에 있는 지상이나 해상의 점.
 
지상준비태세(地上準備態勢, Ground Readiness)
명령 수령후 특정시간 내에 이륙할 수 있도록 항공기를 완전히 비하여 무장하며 인원이 대기하는 상태.
 
지속능력(持續能力, Sustainability)
군사목표 달성을 위한 작전활동에 소요되는 전투력의 수준을 소요되는 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군사활동 지원에 필요한 소모부분과 부대 및 군수품의 일정수준을 유지하고 보충하는 기능임.
 
지속성작용제(持續性作用劑, Persistent Agent)
투발후 오염지역에서 장시간 동안 효과가 지속되는 작용제를 말하며, 일부 신경작용제(VX)와 대부분의 수포작용제가 이 범주에 속함.
 
지속소해(持續掃海, Attrition Sweeping)
계속적인 기뢰공격을 받아 완전소해는 불가능하나 항만폐쇄를 그대로 둘 수 없을 때 계속 소해함으로써 가능한 한 기뢰로부터의 위험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지속적인 소해작전.
 
지속파 전파방해(持續波電波妨害, Continuous Wave Jamming; CWJAMMING)
레이더 수신기의 신호대 잡음비를 변화시키기 위해 일정한 진폭주파수 및 비변조된 전파방해신호를 송신하여 전파방해하는 것.
 
지시(指示, Indication)
방침의 설정, 준비된 계획의 발효 및 특정한 행동 등을 구체적으로 하달하는 명령으로 적극적 행동이 요구되며, 광의로는 활동, 행동 또는 절차의 개시나 통제를 하는 모든 통신을 포함함.
 
지시각서(指示覺書, Directive Memorandum)
장관급 지휘관이 하급 지휘관에게 각성과 이행을 촉구하거나 강조하는 문서로서 연도별 일련번호를 사용함.
 
지역목표(地域目標, Area Target)
비행장, 군수시설, 대부대 집결지 등 상당한 면적을 포함하는 목표.

 

 

지역방공(地域防空, Area Air Defense)
넓은 대부대 작전지역을 대공방어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방공형태로서, 주로 방공임무항공기가 수행하며 중·고고도 대공유도탄을 지역방공에 운용할 수 있음.
 
지역방어(地域防禦, Area Defense)
명시된 기간 동안 특정진지 혹은 지역을 확보 또는 통제하는 방어형태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짐.
1. 지형확보.
2. 전방지역에 전투력할당의 우선권 부여.
3. 최소한의 예비대.
4. 지형을 재획득하고 전방방어지역을 획득하기 위해 역습.
 
지역사격(地域射擊, Area Fire)
사전에 지정된 지역에 대하여 대량으로 실시하는 사격으로서 일반적으로 제압사격과 같음.
 
지역수색(地域搜索, Area Reconnaissance)
특정지역 내에서 지형이나 적의 활동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직접적인 행동.
 
지역수색구조조정관(地域搜索救助調整官, Regional SAR Coordinator)
수색구조지역에서 수색구조작전을 조정하고 지시하는 책임관.
 
지역역습(地域逆襲, Area Counter-Attack)
통상 적이 아군의 견부지역 일부를 확보한 후 진지강화 및 재편성중일 때 실시하나, 적이 아군 견부지역을 공격중 간격이 발생하는 등의 취약점이 노출되었을 때 실시할 수 있으며, 지역역습을 실시하는 목적은 아군 임무수행에 꼭 필요한 견부지역의 일부가 돌파되었을 때 돌파된 견부지역을 회복하여 지역 내의 적 부대를 격멸하는 데 있음.
 
지역예비군(地域豫備軍, The Local Reserve Forces)
예비군편성 대상자로서 직장예비군 또는 동원이 아닌 자로 편성한 개인 또는 집단을 말하며 행정구역단위로 편성함을 원칙으로 함.
 
지역오염(地域汚染, Area of Contamination)
지역이나 시설사용을 제한 또는 거부하기 위하여 화생방작용제를 넓은 지역에 살포하여 지속시키는 것임.
 
지역접근관제소(地域接近管制所, Approach Control)
중앙항로관제소로부터 위임받은 관제공역 내에서 관제업무를 관장하는 기구.
 
지역조달품(地域調達品, Local Procuring Item)
주로 장기저장이 불가한 식품류 등을 지역사령관 책임하에 농·수협을 통하여 계획생산, 조달하는 품목이며, 이는 통상 급양대 계통으로 분배됨.

 

 

지역철수(地域撤收, Area Evacuation)
해군의 통제하에 상선이 위험지역에서 안전지역으로 이동하는 것.
 
지역통신소(地域通信所, Area Communication Post)
지역지원을 위한 격자형 통신체계의 핵심통신소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소로서 인접지역통신소, 근접지원통신소, 부대통신소 등을 접속하여 각종 통신요소의 수용과 자동중계 및 자동우회 교환제공 역할을 수행하는 통신소를 말함.
 
지역폭격(地域爆擊, Area Bombing)
소형 또는 점 표적보다는 사실상 일반적 지역인 표적에 대하여 실시되는 폭격.
 
지역표적(地域標的, Area Target)
단일점이 아닌 지역으로 된 표적.
 
지역피해통제(地域被害統制, Area Damage Control)
적의 공격(핵 및 화생무기공격 포함) 또는 자연 및 인위적 재난으로부터 피해를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하여 피해가 발생 중이나 전후에 실시되는 모든 행위를 말함. 지역피해 통제작전의 목적은 피해를 감소시키고 인원 및 장비를 구출하는 데 있기 때문에 모든 제대의 자체 편제장비를 사용, 우발사태에 대비한 계획을 수립하고 훈련되어야 함.
 
지연(遲延, Delay)
부대가 기동의 자유를 잃지 않고 또는 적의 기습적인 침투나 우회를 허용하지 않고 공간을 양보하면서 시간을 획득하기 위하여 부여되는 임무로서, 지연부대는 임무수행을 위하여 공격, 방어, 매복, 습격 또는 기타 전술을 사용함.
 
지연살상(遲延殺傷, Delayed Chemical Casualty)
화학공격을 받은 후 1시간 이후에 발생된 사상자를 말함.
 
지연전(遲延戰, Delaying Action)
적과 결정적인 교전 없이 적에게 최대한의 피해를 가하면서 시간을 얻기 위해 공간을 양보하는 작전의 한 형태로서 지연방법에는 축차진지상의 지연전과 교대진지상에서의 지연전이 있음.
 
지연진지(遲延陣地, Delaying Position)
결정적으로 교전을 하지 않고 적의 전진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점령하는 진지.
 
지원 항모전대(支援航母戰隊, Support Carrier Group)
상륙기동부대에 공중지원을 제공하는 항공기와 지원함정을 포함하여 편성된 항공모함 기동편성.

 

 

지원(支援, Support)
1.지시에 의해서 타 부대를 지원, 방어, 보충 또는 유지하는 군대활동.
2.전투시 단위부대가 타 단위부대를 원조하는 것. 항공, 야포 또는 함포사격이 보병 지원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음.
3. 어떤 단위부대의 일부가 예비대로 후방을 담당하는 것.
 
지원사격(支援射擊, Supporting Fire)
전투중인 부대를 지원 또는 보호하기 위하여 지원부대가 실시하는 사격.
 
지원작전(支援作戰, Support Operations)
1.지원작전은 작전술 차원에서 군사력 운용에 수반되는 군수, 인사, 통신, 수송, 후방지역 경계 등 모든 지원을 망라하여 작전에 통합될 수 있도록 작전운용 차원에서 계획 및 수행되는 것으로, 전술차원의 전투근무지원과 같은 단순한 지원활동과는 구분됨. 작전술 차원에서 지원작전은 전술부대에 유리한 전투여건을 조성해 주는 작전으로 작전운용에 선행되는 중요한 작전.
2.상륙지원작전은 목표지역 고립, 공중 및 해상우세권을 획득하고 특정목표의 파괴, 교란 및 심리전, 첩보수첩, 원거리 적 부대 및 시설의 파괴와 제압을 목적으로 수행되며 상륙부대에 할당되지 않는 부대로 상륙기동사령관(CATF)의 요청과 상급부대의 명에 의거 실시하며, 선견부대 도착전과 상륙기동부대 도착전에 목표지역내 또는 밖에서 실시함.
 
지원포병(支援砲兵, Supporting Artillery)
특정부대(통상 보병)의 지원을 위한 사격임무를 수행하나 차상급 병지휘관의 지휘하에 남아 있는 포병.
 
지원함(支援艦, Support Ship)
공격함이나 보조함으로 지정되지 않고 지원임무를 부여받은 함정.
 
지원화기 협조본부(支援火器協調本部, Supporting Arms Coordination Center; SACC)
상륙작전시 야포 항공 및 함포의 화력지원 및 협조를 위한 기관으로서 모든 통신시설이 가능한 상륙작전기함상에 위치하며 이는 상륙군이 운용하는 화력지원협조본부(FSCC)에 해당되는 해군기관임.
 
지원화기(支援火器, Supporting Arms)
지상단위부대에 대한 지원사격을 실시할 때의 화기로서 항공, 함포 및 야포 등의 무기.
 
지침(指針, Guidance)
어떤 특수한 계획이나 연구해야 할 방향으로서, 상급제대에 의하여 공포될 때 명령의 효력을 발휘하는 정책, 지시, 결정 또는 훈령을 말함.
 
지표(地標, Land Mark)
좌표로 지상에서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자연적 또는 인공적 식별물로서 지도상에 나타난 표지.
 
지향전파유도(指向電波誘導, Beam-Rider Guidance)
지령유도의 일종으로 통제위치에서 레이더 등에 의해 목표를 정밀하게 추적, 목표를 향해 가느다란 전파빔 등을 조사, 이 빔 중심에 비행체를 유도함으로써 목표에 명중시키는 유도방식. 최근에는 전파 대신 레이저광선을 사용하는 것도 출현하고 있음.

 

 

지형격실(地形隔室, Compartment of Terrain)
외부로부터 지역 내로 관측과 관측사격을 제한하는 수림, 능선 혹은 촌락 같은 지형지물에 의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측면, 경계를 가진 지역으로 횡격실과 종격실로 나누어짐.
 
지형대조 유도(地形對照誘導, Terrain Counter Matching; TERCOM)
컴퓨터에 표적까지의 지정코스를 디지털 지도로 기억시켜 미사일이 측정한 지형정보와 미사일의 비행을 지정코스상에 수정유도하는 방법으로 순항미사일의 중간코스 유도에 사용됨.
 
지형분석(地形分析, Terrain Analysis)
군사작전에 미칠 천연 및 인공지물의 효과를 판단하기 위하여 지역에 대한 지리적인 해석을 하는 과정. 이 가운데에는 기상과 기후가 이와 같은 특징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함.
 
지형비행(地形飛行, Contour Flying)
비행경로를 그 지역의 지형선과 일치시켜 저공으로 비행하는 것. 항공기의 이륙지점이나 비행경로가 관측 또는 탐지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사용됨.
 
지형의 군사적 관점(地形의軍事的觀點, Military Aspects of Terrain)
관측과 사계, 은폐와 엄폐, 장애물, 중요 지형지물 및 접근로를 포함하는 전술적인 관점.
 
지형정보(地形情報, Terrain Intelligence)
어떤 지역에 대한 지형의 천연적 및 인공적 특징이 군사적 관점에서 평가 처리된 정보.
 
지형차폐(地形遮蔽, Terrain Masking)
지형특성의 영향으로 레이더의 그림자 현상이 생겨 표적탐지에 장애를 받게 하는 것.
 
지형추적 레이더(地形追跡~, Terrain Following Radar)
항공탑재 레이더로서 저고도로 비행하는 항공기에 수동으로 조종할 수 있도록 전방지형을 전시해 주거나 지형 위의 일정고도를 자동적으로 비행할 수 있는 신호를 제공해 줌.
 
지형추적 침투(地形追跡浸透, Terrain Following Technique)
목표지역에 이르는 시간을 절약하고 레이더에 탐지되는 것을 가급적 회피하기 위해서 지형의 굴곡(종격실)을 따라 침투하는 방법으로 이때 항공기는 고지 정상을 지나칠 때마다 레이더에 탐지될 수 있음.
 
지형추적비행(地形追跡飛行, Terrain Following Fly)
지형으로부터 일정한 고도를 유지하여 지형의 굴곡에 따라 비행하는 것으로서 이에 필요한 장비가 고성능 항공기에 장착되어 있음.

 

 

지형평가(地形評價, Terrain Evaluation)
피아방책에 미치는 지형의 영향을 판단하기 위하여 예상 적전 지역을 평가 및 해석하는 것.
 
지형회피 침투(地形回避浸透, Terrain Evasion Infiltration)
계곡과 레이더의 사각지대를 이용하여 침투하는 방법으로서 항공기는 목표까지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고 은밀히 침투할 수 있음.
 
지휘 및 통제(指揮및統制, Command and Control)
부여된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부대의 작전을 계획하고, 지시, 조정 및 통제하는 것으로서 인원, 시설, 장비, 통신 및 절차 등을 통해 수행되는 연속된 과정.
 
지휘(指揮, Command)
지휘관이 부여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계급 또는 직책을 통해서 예하부대에 합법적으로 행하는 일체의 권한행사를 말함. 지휘시에는 이에 따른 책임이 수반되며 가용한 자원의 효과적인 사용과 할당된 인원에 대한 건강, 복지, 사기 및 훈련에 대한 책임도 포함됨.
 
지휘·통제 및 통신체계(指揮·統制및通信體系, Command, Control and Communication System; C3체계)
지휘관이 부대를 계획, 지시, 조정 및 통제하기 위해 지휘통제체계와 통신체계 중 지휘통제 통신체계에 포함되지 않은 비지휘통제용 통신체계를 합한 체계.
 
지휘각서(指揮覺書, Command Memorandum)
사단급 이상 부대장이 예하부대장에게 지시 또는 강조하는 사항을 수록한 문서.
 
지휘계통(指揮系統, Chain of Command)
최상급 지휘관으로부터 말단 지휘관까지 지휘가 집행되는 지휘상의 계열을 말함.
 
지휘관 및 참모활동순서(指揮官및參謀活動順序)
결심을 수립하고 실시함에 있어서 지휘관 및 참모들이 취해 가는 일련의 행동 또는 단계.
 
지휘관(指揮官, Commander)
지휘권을 가지고 군대를 지휘 통솔하는 관직 또는 그 사람에 대한 일반적인 칭호로서, 지휘관은 자기 부대의 성패에 모든 책임이 부여되어 있음.
 
지휘관계(指揮關係, Command Relationship)
부여된 임무달성을 위하여 부대를 지휘 통솔하는 권한의 정도를 합법적으로 규정한 것을 말하며, 지휘관은 지휘관계에 의해 설정된 범위내에서 예하부대에 권한을 행사할 수 있음. 지휘관계에는 예속, 배속, 작전통제, 작전지휘, 전술통제, 지원 등이 있음.

 

 

지휘관의 개념(指揮官의槪念, Commander's Concept)
한 작전 또는 일련의 작전에 관한 지휘관의 가정이나 의도의 윤곽을 구두나 서면으로 진술하는 것.
 
지휘관의 중요첩보요구(指揮官의重要諜報要求, Commander's Critical Information Requirements; CCIR)
지휘관이 결심수립시 위험을 식별하고 검증하며 이해하는 데 요구되는 중요한 첩보를 말하며, 이는 지휘관 및 참모가 공동으로 결정함.
 
지휘권(指揮權, Command Authority)
지휘관이 계급과 직책에 의해서 예하부대에 대하여 합법적으로 행사하는 권한.
지휘는 가용자원의 효율적인 사용과 부여된 임무를 완수하기 위하여 군대의 운용, 편성, 지시, 협조 및 통제에 대한 권한과 책임이 따르며 부하 개개인의 건강, 복지, 사기 및 군기에 대한 책임도 포함됨.
 
지휘망(指揮網, Command Net)
지휘통제의 목적을 위하여 지휘제대를 그 예하제대의 일부 또는 전체와 연결하는 통신망.
 
지휘소(指揮所, Command Post)
지휘관과 참모가 작전임무를 수행하는 부대의 본부로서 지휘소의 기능은 부대유지를 위한 요구와 전투지시에 관계되는 사항을 분류 정리함. 통상적으로 주지휘소, 후방지휘소, 예비지휘소의 3개 지휘소가 설치됨.
1. 주지휘소(Main Command Post):작전의 계획 및 준비와 부대의 지휘, 통제 및 통신기능의 유지 그리고 정보 및 첩보의 수집, 통합업무를 수행하는 부대의 주본부임. 참모부는 현행 및 장차에 필요한 계획을 발전시키고 전투지원과 전투근무지원사항을 획득하고 협조시킴. 주지휘소는 통상 적의 경포사거리 밖에 위치함. 필요시 전술지휘소를 운용함.
2.후방지휘소(Rear Command Post):전술부대의 부대유지에 관계되는 업무를 수행하는 지휘소로서 전투 및 전투지원 작전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전투근무지원 활동을 지휘, 통제 및 협조시키기 위한 시설이며 여기에는 전투근무지원 운용본부가 설치되어 운용됨.
3.예비지휘소(Reserve Command Post):주지휘소의 기능이 상실되거나 이동간의 작전의 지휘 및 통제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지휘시설임.
 
지휘소연습(指揮所演習, Command Post Exercise; CPX)
각급제대의 지휘관 및 참모의 지휘본부와 통신요원 등을 훈련시키기 위한 연습으로 가상 상황하에서 통신을 유지하면서 지휘소이동 및 운용, 지휘 및 참모절차연습, 작전계획 및 작전예규의 적용, 각종 상황하에서의 지휘 및 통제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연습임.
 
지휘연락(指揮連絡, Command Liaison)
지휘관 사이에 유지되는 밀접한 접촉으로서 효과적으로 상호 협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첩보를 교환하기 위한 연락.
 
지휘축선(指揮軸線, Command Axis)
한 사령부(지휘부)가 그에 연해서 이동해 가는 선(도로).
 
지휘통일(指揮統一, Unity of Command)
모든 전투력의 결정적인 작용에는 한 사람의 책임 있는 지휘관하에 노력의 통일이 요구된다는 뜻.
 
지휘통제·통신·컴퓨터 및 정보체계(指揮統制通信~情報體系, Command, Control, Communications, Computers and Intelligence Systems; C4I Systems)
C4체계와 정보체계를 유기적으로 연동ㆍ통합시켜 자동화된 정보 또는 정보체계를 운용하여 지휘관이 임무 달성을 위하여 부대를 계획하고, 지휘 및 통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계.

 

 

지휘통제·통신·컴퓨터·정보 및 감시·정찰(指揮統制通信 ~情報 및 監視偵察, Command, Control, Communications, Computers, Intelligenc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C4ISR)
C4I체계와 SR체계를 연동한 복합체계로서, 탐지수단과 이를 처리하기 위한 자동화된 네트워크를 통한 효과적인 지휘통제에 의하여 작전을 지원하는 미래의 핵심 기반체계.
 
지휘통제·통신·컴퓨터체계(指揮統制通信~體系, Command, Control, Communications and Computers Systems; C4 Systems)
지휘관의 지휘통제를 지원하기 위하여 지휘, 통제, 통신, 컴퓨터를 유기적으로 연동시켜 교리, 절차, 인원, 장비, 시설 등을 적시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체계.
 
지휘통제·통신체계(指揮統制通信體系, Command, Control and Communications Systems; C3 Systems)
지휘관이 임무 완수를 위하여 부대를 계획, 지시, 통제하는 데 필요한 지휘통제체계와 통신체계가 합쳐진 체계.
 
지휘통제공격(指揮統制攻擊, C2 Attack)
지휘통제공격은 적의 지휘통제체제를 파괴하는 것으로 적의 지휘통제체제의 모든 구성요소에 대해 취하는 제반 물리적 행동이 포함됨.
 
지휘통제전(指揮統制戰, Command and Control Warfare; C2W)
적의 지휘통제 능력을 약화 또는 파괴시키고 첩보획득을 거부하는 반면, 적의 이러한 군사행동으로부터 아군의 지휘통제체계를 보호하기 위하여 정보의 지원하에 물리적 파괴, 전자전, 군사기만, 작전보안 및 심리전의 통합 사용을 말함. 이는 하나의 전략으로서 치명 및 비치명 수단을 시기적절하고 균형성 있게 그리고 상호보완적으로 통합운용함으로써 전투승수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
 
지휘통제체계(指揮統制體系, Command and Control System; C2 Systems)
지휘관이 임무 완수를 위하여 부대를 계획, 지시, 통제하는 데 필수적인 인원, 장비, 시설, 절차, 정보통신 등의 기반체계를 말함.
 
지휘통제품목(指揮統制品目, Command Control Item)
규제품목 또는 통제품목을 망라하고 각급 지휘관이 필요에 의거 품목을 추가하여 특별할당을 요하는 품목으로서 지휘통제품에 관한 리스트 및 청구절차를 하달하는 품목.
 
지휘폭(指揮幅, Span of Command)
한 지휘관 또는 감독자에 예속되어 있는 기구의 수 혹은 부하의 수.
 
직선경비(直線警備, Linear Patrol)
협수로 또는 항만방어를 위하여 특정한 직선상을 왕복하면서 경비하는 방법.
 
직선기선(直線基線, Straight Base Line)
해안선의 굴곡이 심하거나, 해안에 암초나 도서가 많이 모여 있을 때는 일반적인 `통상 기선'이 부적당함. 이때 최원방의 도서나 암초의 최외측점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기선으로 사용하는 데 이를 직선기선이라 함.

 

 

직접관제(直接管制, Close Control)
통제수준이 가장 높은 통제방식으로 단순히 지시방위만을 제공하는 것에서부터 완벽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까지 다양하게 운용될 수 있으며, 지시방위, 지시고도, 지시속도 등의 정보를 제공함.
 
직접수정사격(直接修正射擊, Direct Spotting)
목표물로부터의 평균탄착점오차(MPI)를 수정자 자신이 수정하여 사격을 실시하는 것.
 
직접압박(直接壓迫, Direct Pressure)
철수하는 적 부대 또는 방어진지의 재편성 기회를 거부하고 적을 완전히 격멸하기 위하여 적에게 가해지는 포위기동 이외의 모든 행동.
 
직접압박부대(直接壓迫部隊, Direct Pressure Forces)
추격작전시 적의 교전이탈 및 방어 재편성을 방지하고 최대한의 사상자를 내기 위하여 퇴각하는 적을 압박하는 부대.
 
직접작전(直接作戰, Direct Operation; DA)
적 지역 또는 적이 점령 지배하고 있는 지역 내에서 주로 특수전 임무를 담당한 지원국의 정규군 요원에 의해서 공개적, 비공개적 또는 비밀로 수행되는 제반 작전활동을 말함.
 
직접전략(直接戰略, Direct Strategy)
국가전략(전체전략, 대전략)의 능동적인 측면으로서 군사력의 사용이 우선하는 전략. 즉, 직접전략에 있어서는 군사력이 주요수단이 되며, 승리 또는 억제하는 목표는 이 군사력의 사용이나 그 유지에 의하여 달성됨.
 
직접지원(直接支援, Direct Support)
지원부대가 피지원부대에 작전통제나 또는 배속되지 않았어도 피지원부대의 지원요청에는 지원의 최우선권을 부여해서 지원하는 형태.
 
직접지원부대(直接支援部隊, Direct Support Unit)
1.군수에 있어서는 중간시설을 거치지 않고 사용부대를 직접 지원하는 부대.
2.한 단위부대가 다른 한 단위부대를 지원할 임무를 가진 부대.
직접지원부대는 피지원부대로부터 직접적으로 임무를 받아 실행하며 지원에 우선을 둠. 직접지원부대는 통상 차상급 지휘관의 지휘하에 있음.
 
직접지원사격(直接支援射擊, Direct Supporting Fire)
부대 전체를 지원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일반 지원사격의 반대어로 부대의 일부분을 지원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사격.
 
직접지원포병(直接支援砲兵, Direct Support Artillery)
피지원부대가 요청하는 화력의 제공을 주된 과업으로 하는 포병.

 

 

직접피해평가(直接被害評價, Direct Damage Assesment)
항공관측, 항공사진 또는 직접관측에 의하여 실제 타격지점을 직접 조사하는 것.
 
직접항공요청망(直接航空要請網, Direct Air Request Net)
전술항공통제반(TACP)에서 항공지원작전본부(ASOC)로 긴급항공요청을 하는 항공망으로 공군 항공요청망이라고도 함.
 
직접항공지원본부(直接航空支援本部, Direct Air Support Center; DASC)
상륙작전중 육상화력지원본부 근처에 설치되는 최초의 중요 항공통제기구로서 근접항공지원 및 돌격지원작전의 상륙부대를 지원하기 위한 전구항공통제본부 예하의 항공통제기구.
 
직제(職制, Organization of Office)
국방부 및 그 소속기관, 합동참모본부, 각군본부 및 해병대 사령부 등의 설치근거가 되는 대통령령을 말하며, 직제에는 조직의 설치목적, 임무, 지휘관과 그 보좌기구 및 참모부서의 조직과 분장업무에 관한 사항, 주요 직위에 대한 계급, 정원 등이 포함됨.
 
진고도(眞高度, True Altitude)
비표준 대기상태를 수정한 수정고도로서 이 고도는 평균해면고도 위의 실제높이임.
 
진내사격(陣內射擊, Fires within the Position)
방어사격의 한 형태로서 돌파의 제한 또는 역습을 지원하기 위한 전투진지 내에 계획된 사격.
 
진수선(進水線, Launching Line)
1. 주간작전 진수선(day operations)
수중폭파조의 주정이 모선으로부터 잠수사와 폭발물과 함께 진수하는 것으로 해안에서 4,000~6,000야드 떨어진 선.
2.야간작전 진수선(night operations)
수중폭파조의 주정이 모선으로 하여금 탐지되지 않도록 충분한 거리에서 발진하도록 하는 것.
 
진입회랑(進入回廊, Entry Corridors)
오인에 의한 아군사격으로부터 아군기를 보호하고 안전한 진입을 목적으로 일정한 폭, 고도, 길이로써 설정된 공역.
 
진중심(陣中心, Formation Center)
함정배치의 중심으로 지정된 위치로서 통상 진축의 원점이 되는 기하학적 중심.
 
진지(陣地, Position)
부대에 의해서 점령된 장소 혹은 지역.
진지강화(陣地强化, Consolidation of Position)
새로이 점령한 진지를 사용하기 위해서나 또는 적의 가능성 있는 역습에 대비하여 점령진지를 새로이 편성 또는 보강하는 모든 수단(대책).
 
진지교대(陣地交代, Relief in Place)
상급부대의 지시에 의해서 한 부대의 일부 혹은 전부가 타 부대에 의해서 일개 지역 내에서 교대되는 작전.
 
진지방어(陣地防禦, Position Defense)
결정적인 전투에 대비하여 선정한 전술적인 국지상에 대규모의 방어부대를 배치하는 방어 형태.
 
진지변환(陣地變換, Displacement of Positions)
한 지점으로부터 타 지점으로 이동, 특히 지원부대 또는 지원화기가 전술상 이유로서 한 사격진지로부터 타 사격진지로 이동하는 것.
 
진지보강(陣地補强, Consolidation of Position)
적의 공격에 대비하여 새로이 진지를 편성하며 보강하는 것.
 
진지전(陣地戰, Position Warfare)
기동전과 상반되는 용어로서 방어전이 주로 고정된 진지에만 국한되는 전투.
진지전은 방어를 위주로 한 것이며 적으로 하여금 전략지역 내에 침입하지 못하게 하며 완강히 구축된 진지에 대하여 공격케 함으로써 적 전투력을 와해 또는 소모케 하는 전투.
 
진지점령(陣地占領, Occupation of Position)
한 지역에 진입하여 전투진지로 사용하기 위하여 적절히 지역을 편성하는 것.
 
진지편성(陣地編成, Organization of the Ground)
방어에 있어서 전술적인 면을 고려하여 부대가 점령할 특정지역을 부여하고, 그 지역의 천연적인 방어력을 더욱 강화하여 방어력을 보강하는 것.
 
진축(陣軸, Formation Axis)
경계진이 아닌 원형진형의 기준이 되는 진 중심에서 뻗어난 모든 함정 배치의 기준이 되는 참조선으로, 주력체와 경계함정으로 진이 형성되었을 때 주력체의 축이 진축이 됨.
 
진풍(眞風, True Wind)
기상학적 상태와 지형의 영향을 받아 전반적인 지형형태에 평행한 공기운동의 성분으로 진풍의 방향은 바람이 불어오는 쪽으로부터의 진방위임.
진형(陣形, Formation)
1. 특정목적을 위한 부대 혹은 차량의 질서 있는 배열.
2.함께 행동하는 2척 이상의 함정. 부대 또는 항공기의 질서 있는 배열.
 
질식작용제(窒息作用劑, Chohing Agent)
주로 보호되지 않은 사람의 기관, 코, 인후, 폐에 손상을 주는 화학작용제로서 심한 경우에는 폐에 액체가 충만하여 산소 결핍으로 질식 사망하게 됨.
 
집결묘박지(集結錨泊地, Assembly Anchorage)
주로 원양 항해 선박의 집결과 항해를 위한 묘박지(주 어느 묘박지는 경우에 따라 한 가지 이상의 기능을 수행함).
 
집결지(集結地, Assembly Area)
부대가 차후 행동을 준비하기 위하여 집결하는 장소.
 
집권화 통제(集權化統制, Centralized Control)
단일 지휘체제하에 집중적으로 편성된 통제의 정도.
 
집단군(集團軍, Army Group)
지정된 사령관하에 있는 수개의 야전군.
 
집단방위제도(集團防衛制度, Collective Defense System)
주로 지역을 중심으로 한 방위개념에 입각하여 다수국이 협력하여 행하는 공동방위제도.
 
집단방호(集團防護, Collective Protection)
화생방 방어에 있어서 인원, 장비, 물자, 시설을 보호하기 위하여 단위부대 및 집단이 취하는 기술과 방책을 말하며, 이를 위하여 화생방대피호 구축, 경보망 조직훈련, 음식물, 보급품의 보호 및 제독을 통하여 집단을 보호하는 것을 말함.
 
집단보호기(集團保護器, Filter Unit)
화생방대피호를 구성하는 부수장비로 가스여과기, 공기압력조절기, 공기전향장치, 역류방지밸브, 덮개판, 삼투막문, 대피호 보호기, 오염피복 슈트 등의 총괄적인 명칭임.
 
집단안전보장(集團安全保障, Collective Security)
다수의 국가가 그 상호간에 전쟁, 기타 무력행사를 금지하고 이에 위반하여 전쟁, 기타의 무력행사를 행하는 국가에 대하여 다수의 모든 국가가 집단적으로 방지 또는 진압하는 것.

 

 

집단적 자위권(集團的自衛權,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유엔헌장 제51조에 의하여 인정된 권리로서 자국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타 국가가 무력공격을 받을 경우에 그것이 동시에 자국에 대한 위해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항하여 방위행동을 취할 수 있는 권리.
 
집단호출부호(集團呼出符號, Collective Call Sign)
2개 또는 그 이상의 시설, 권한자 또는 단위대를 표시하는 모든 호출부호. 이러한 집단 호출부호는 그 지휘관과 예하에 있는 모든 지휘관이 포함됨.
 
집성사진(集成寫眞, Mosaic)
관련지역을 망라하는 데 필요한 만큼 많은 수의 항공사진을 결합시키는 것. 이는 보다 정확한 지도를 제작할 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을 때 사용하게 됨.
 
집적소(集積所, Dump)
통상적으로 옥외에 있는 폭탄, 탄약, 장비품 또는 보급품을 위한 임시 저장소.
 
집중(集中, Mass Concentration)
결정적인 목적을 위해서 중요한 장소와 시간에 전투력의 상대적 우세를 유지하는 것.
 
집중사격(集中射擊, Massed Fire)
1. 다수의 화기로 단일표적을 사격하는 것.
2. 2척 또는 그 이상의 함정이 단일표적에 대하여 실시하는 사격.
 
집중지역(集中地域, Concentration Area)
1.통상 전구 내에서 부대가 적극적인 작전을 개시하기 전에 집결하는 지역.
2. 제한된 시간 내에 다량의 포화가 집중되는 제한된 지역.
 
집중표적(集中標的, Target Concentration)
지리학상으로 근접한 표적집단.
 
집중화망(集中火網, Concentrated Fire Net)
취약지를 방어하는 진지에서 적기의 예상접근로나 강제접근로 상공에 부대의 전화기를 유효사거리 내에 집결시켜 사격하도록 계획된 화망.
 
징발(徵發, Requisition)
전시 또는 국가비상사태하에서 군사작전 수행을 위하여 국민의 재산에 대한 사용동의를 받거나 또는 강제로 수용하는 것을 말하며 이는 전쟁이후 반드시 적법한 절차에 의거 보상하여야 함.
징집(徵集, Conscription)
국가가 병역의무자에 대하여 현역에 복무할 의무를 부과하는 것.
 
징후(徵候, Indication)
적의 취약성 및 적의 특정능력 채택 여부를 지적해 주거나 또는 지휘관의 방책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적의 활동 또는 어떠한 작전지역의 특성에 대한 긍정 또는 부정적인 증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