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23일께 '2+2'회의 개최…전작권 합의발표 전망 (연합뉴스, 2014.10.17)
역대 세번째…SCM서 전작권 재연기 조건·시기 확정
지난 2013년 10월에 열린 제45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 (연합뉴스 자료사진)
(워싱턴=연합뉴스) 노효동 특파원 = 한국과 미국이 오는 2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연례안보협의회(SCM)와 연계해 외교·국방장관 연석회의(2+2)를 개최하기로 했다.
양국이 2+2 회의를 여는 것은 2010년 7월(서울)과 2012년 6월(워싱턴)에 이어 세 번째다.
워싱턴 외교소식통들은 16일(현지시간) "지난 4월25일 한미 정상의 합의에 따라 2+2 회의 개최일정을 실무적으로 협의해왔고 그 결과 다음 주 SCM과 연계해 2+2 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소식통들은 그러나 "회의 개최는 확정됐지만 존 케리 국무장관의 일정이 여전히 유동적이어서 최종적인 조율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국은 이번 2+2 회의에서 당초 2015년 말로 예정된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재연기 방안을 합의 발표하고 강력한 대북 억지와 연합방위능력 강화를 위한 양국의 공동노력을 재확인할 것으로 알려졌다.
전작권 전환 재연기 방안은 2+2 회의와 연계해 열리는 SCM에서 최종 확정된다.
이와 관련해 한·미 양국은 전작권 전환의 목표연도를 제시하되 구체적인 날짜를 적시하지 않는 방향으로 최종 협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반도 배치를 놓고 논란이 이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이하 사드) 도입 문제는 이번 SCM의 공식 의제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소식통들이 전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출처 : (워싱턴=연합뉴스) 노효동 특파원 rhd@yna.co.kr
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14/10/17/0608000000AKR20141017004400071.HTML
'★군사소식칼럼 > 외교·안보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민구 "전작권 전환의지 확실…2020년대 중반 가능" (0) | 2014.11.03 |
---|---|
“핵 대응능력 등 갖춰야 전작권 전환” (0) | 2014.11.03 |
국방부 "이번 한미안보협의회에 '사드' 의제 없어" (0) | 2014.10.26 |
포괄적 北미사일 대응작전 수립…美 MD 편입 신호탄? (0) | 2014.10.21 |
“한미 포괄적 미사일 대응 작전 개념 정립 중” (0) | 201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