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 Marines/미해병대 소개

미 해병대 계급 체계

머린코341(mc341) 2015. 2. 6. 02:59

미 해병대 계급 체계

 

 

 

1. 한국 해병대 계급 체계 (한국 육군과 동일)

 

한국 해병대의 계급 체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1) 병 : 4계급 체계

이병, 일병, 상병, 병장

 

(2) 부사관 : 4계급 체계

하사, 중사, 상사, 원사

 

(3) 장교 : 11계급(준사관 1 + 사관 10) 체계

준사관 : 준위

위관 : 소위, 중위, 대위

영관 : 소령, 중령, 대령

장성 : 준장, 소장, 중장, 대장(해병대 미보유)

 

2. 미 해병대 계급 체계

 

미 해병대 사병 E-1 등급인

"Private (훈련병, 신병)" 계급은 계급장이 부여되지 않음

"Private (훈련병, 신병)"은 미 해병대 신병훈련소에 입소하자마자 부여되는 최초 등급으로

계급보다는 급여 명칭으로 활용됨.

 

이들의 훈련소에서 통상적인 신분 명칭은 Recruit이며, 수료식 이전까지는 해병 대원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미 해병대 'Private'는 신병훈련소 입소부터 대략 6개월 기간동안 부여됨

 

미 해병대 신병들은 신병훈련소(부트캠프)에서 13주 (1주 가입소 + 12주 신병훈련) 신병훈련을 이수한 다음,

10일간의 휴가를 보낸뒤, 병과(주특기)에 상관없이 신병 전원은 미 해병대 보병학교(SOI : School of Infantry)에서 보병 기초교육을 이수한다.

 

보병 주특기(MOS)을 받은 신병들은 보병학교 예하,

보병훈련대대(Infantry Training Battalion)로 배치되어 59일간 보병기초교육을 이수한다.

 

그외 주특기(MOS)을 받은 신별들은 보병학교 예하,

해병전투훈련(MCT : Marine Combat Training) 부대로 배치된 후, 29일간 보병기초교육을 이수한다.

그 뒤에 각 병과(주특기) 교육훈련 기관에서 주특기 교육을 이수한다.

 

즉 'Private' 계급의 미 해병대 대원들은 실무부대 배치 이전의 훈련병(신병)들인 셈이다.

 

물론, 교육훈련 과정에서 특별한 평점 우수자는 실무부대 배치 이전에 이병(Private First Class) 이나 일병(Lance Corporal) 으로 진급하기도 한다.

 

미 해병대의 'Private'와 같이

계급장이 없는 훈련병(신병)들의 등급인 E-1의 명칭을

미 해군과 연안경비대는 'Seaman Recruit'

미 공군은 'Airman Basic'

미 육군은 'Private'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미 육군은 급여등급 E-1인 '훈련병'과 E-2인 '이등병'을 동일하게 'Private'로 부르고 있다.

다만 급여등급을 위해 미 육군은

E-1 등급의 'Private'는 약어로 "PVT'로 표기하고

E-2등급의 'Private'는 약어로 "PV2'로 표기하고 있다.

 

 

미 해병대 계급체계

 

(1) 사병 (Enlisted)

 

E-1 — Private (Pvt) : 훈련병(신병)
E-2 — Private First Class (PFC) : 이병
E-3 — Lance Corporal (LCpl) : 일병

 

부사관 (NCO : Non-commissioned Officer)

E-4 — Corporal (Cpl) : 상병
E-5 — Sergeant (Sgt) : 병장

 

참모 부사관 (SNCO : Staff Non-commissioned Officer)
E-6 — Staff Sergeant (SSgt) : 하사
E-7 — Gunnery Sergeant (GySgt) : 중사
E-8 — Master Sergeant (MSgt) : 상사
E-8 — First Sergeant (1stSgt) : 일등 상사
E-9 — Master Gunnery Sergeant (MGySgt) : 원사
E-9 — Sergeant Major (SgtMaj) : 주임원사 (부과별)
E-9 — Sergeant Major of the Marine Corps (SgtMajMarCor) : 해병대 주임원사

 

(2) 장교

 

준사관 (Warrant Officer)

W-1 — Warrant Officer 1 (WO) : 준위1
W-2 — Chief Warrant Officer 2 (CWO-2) : 선임 준위2
W-3 — Chief Warrant Officer 3 (CWO-3) : 선임 준위3
W-4 — Chief Warrant Officer 4 (CWO-4) : 선임 준위4
W-5 — Chief Warrant Officer 5 (CWO-5) : 선임 준위5

 

사관 (Officer)

 

위관

O-1 — Second Lieutenant (2ndLt) : 소위
O-2 — First Lieutenant (1stLt) : 중위
O-3 — Captain (Capt) : 대위

 

영관
O-4 — Major (Maj) : 소령
O-5 — Lieutenant Colonel (LtCol) : 중령
O-6 — Colonel (Col) : 대령

 

장성
O-7 — Brigadier General (BGen) : 준장
O-8 — Major General (MajGen) : 소장
O-9 — Lieutenant General (LtGen) : 중장
O-10 — General (Gen) : 대장

 

 

2. 미 육군 계급체계

 

(1) 사병 (Enlisted)

 

E-1 — Private (PVT) : 이병 (훈련병 = 신병)
E-2 — Private (PV2 : Private E-2 ) : 이병
E-3 — Private First Class (PFC) : 일병

E-4 — Specialist (SPC) : 상병 (부사관 진급대기 상병, 부사관 진급 자격교육훈련 참가권이 부여됨)


 

부사관 (NCO : Non-commissioned Officer)
E-4 — Corporal (CPL) : 상병

E-5 — Sergeant (SGT) : 병장

E-6 — Staff Sergeant (SSG) : 하사
E-7 — Sergeant First Class (SFC) : 중사

E-8 — Master Sergeant (MSG) : 상사
E-8 — First Sergeant (1SG) : 일등 상사

E-9 — Sergeant Major (SGM) : 원사

E-9 — Command Sergeant Major (CSM) : 주임원사
E-9 — Sergeant Major of the Army (SMA) : 육군 주임원사

 

(2) 장교

 

준사관 (Warrant Officer) : 전문 기술 장교

W-1 — Warrant Officer 1 (WO1) : 준위1
W-2 — Chief Warrant Officer 2 (CW2) : 준위2
W-3 — Chief Warrant Officer 3 (CW3) : 준위3
W-4 — Chief Warrant Officer 4 (CW4) : 준위4
W-5 — Chief Warrant Officer 5 (CW5) : 준위5

 

사관 (Officer)

 

위관

O-1 — Second Lieutenant (2LT) : 소위
O-2 — First Lieutenant (1LT) : 중위
O-3 — Captain (CPT) : 대위

 

영관
O-4 — Major (MAJ) : 소령
O-5 — Lieutenant Colonel (LTC) : 중령
O-6 — Colonel (COL) : 대령

 

장성
O-7 — Brigadier General (BG) : 준장
O-8 — Major General (MG) : 소장
O-9 — Lieutenant General (LTG) : 중장
O-10 — General (GEN) : 대장

 

미 육군 원수

General of the Army GA (Reserved for wartime only) - 전시에 필요할 경우만 존재함

 


계급별 특징과 명칭(실무병들이 부르는 속어.. 앗쎄이)...과 급여 체계, 진급 평가 및 기간

 

 

출처 : Naver카페 대한민국 해병대연구, 트로이반 후배님

         http://cafe.naver.com/rokmc2006/19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