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열병식> 항모킬러 '둥펑 21D' '둥펑-26' 등 핵전략무기 첫선
84%가 첫 공개…ICBM '둥펑-31B'와 '둥펑-41'은 미공개
(서울·홍콩=연합뉴스) 김선한 기자 최현석 특파원 = 중국이 3일 베이징(北京) 도심과 톈안먼(天安門) 광장에서 진행한 항일전쟁 승리 70주년 기념대회 열병식에서 최첨단 무기를 최초 공개해 강력해진 군사력을 전 세계에 과시했다.
이날 열병식에 참가한 27개 장비부대는 미사일과 탱크, 전차, 대포 등 40여 종, 500여 개의 무기·장비를 선보였다.
이들 무기는 전부 중국산이며 84%가 이번에 처음으로 외부에 모습을 드러낸 최신형이다.
특히 이날 비상한 관심을 모은 것은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인 '둥펑-21D'(DF-21D)와 '둥펑-26'(DF-26)이다. 두 미사일 모두 이번에 첫선을 보였다.
중국 열병식에서 처음 선보인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인 '둥펑-21D'(DF-21D) (AP=연합뉴스)
사거리 900∼1천500㎞로 '항공모함 킬러'로 알려진 둥펑-21D는 2001년 중국 정부가 처음 배치 사실을 확인했지만, 그동안 한번도 공개되지 않다가 이번 행사에서 공개됐다.
또 둥펑-21D의 파생종인 둥펑-26은 사거리 3천-4천㎞로 태평양상의 미군 전략기지 괌도를 타격할 수 있어 '괌 킬러'라는 별명이 붙었다. 특히 이 미사일은 이동식발사차량(TEL)을 통해 지상에서도 항공모함 전단에 대한 공격 능력도 갖췄다.
열병식 때 신무기를 선보여 많은 주목을 받는 전략미사일 부대(제2포병)는 이날 대륙간탄도미사일(IC BM) '둥펑(東風·DF)-31A' 등 7종의 미사일 100여 기를 공개했다. 2009년 열병식에서 선보인 5종(108기)을 웃도는 규모다.
신형 ICBM인 둥펑 31A의 사거리는 1만km로 미국 본토 대부분에 도달할 수 있으며 핵탄두를 운반할 수 있다. 중국은 2007년부터 이 미사일을 실전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둥펑-5A는 액체연료를 사용, 사전에 연료를 주입하는 데 시간이 걸려 신속한 상황 대응에 한계가 있지만, 고체연료를 쓰는 둥펑-31A는 이런 문제점을 극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중국 열병식에서 처음 선보인 탄도미사일 '둥펑-26'(DF-26) (AFP=연합뉴스)
또 둥펑-5A ICBM의 개량형으로 사거리가 1만2천∼1만5천㎞에 이르러 미국 본토까지 타격이 가능한 둥펑-5B도 이번에 첫 공개됐다.
그러나 비상한 관심을 모았던 차세대 핵전략 ICBM '둥펑(東風·DF)-31B'와 '둥펑(東風·DF)-41'은 공개되지 않았다.
공개 시 주요 제원 등 핵심 정보가 노출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라는 게 군사 전문가들의 풀이다. 아울러 중국의 '군사굴기'를 경계하는 서방 등의 시선을 의식한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미국 본토의 웬만한 주요 표적을 타격할 수 있는 사거리 1만1천200㎞의 둥펑-31B는 러시아제 RT-2PM 토폴(Topol)의 중국 모델로 지난해 9월 첫 시험발사에 성공한 다탄두(MIRV) ICBM이다.
사거리 1만4천∼1만5천㎞인 둥펑-41은 명중 오차율이 120m 아래로-31A(300m)보다 정교하고 핵탄두도 10발까지 탑재할 수 있는 MIRV 기능도 갖춰 미국의 미사일 방어(MD) 체계를 무력화할 수 있는 핵미사일로 주목을 받아왔다.
이날 열병식에선 사거리 1천㎞가량인 '둥펑-16'도 시선을 끌었다. 둥펑-11 개량형인 둥펑-16은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열도와 일본 오키나와(沖繩), 대만 등을 공격권에 둘 수 있다.
열병식에서 선보인 DF-31A(EPA=연합뉴스)
공중에서는 전투기, 폭격기, 함재기, 해상초계기, 공중급유기 등 각종 군용기 200여 대가 위용을 자랑했다.
주력 전투기인 젠(殲)-10과 젠-10A, 젠-11, 젠-15, 공중조기경보기 쿵징(空警)-2000, 무장헬기 즈(直)-9, 즈-8 등이 등장했다.
그 중 전략폭격기 훙(轟)-6H를 대폭 개량한 신형 전략폭격기인 훙-6K가 가장 큰 관심을 받았다.
순항속도 768㎞인 훙-6K는 마하 4의 속도로 250∼400㎞에 있는 항공모함 등 적 해상 목표물을 250㎏의 고폭탄두로 타격할 수 있는 잉지(鷹擊)-12 등 대함 미사일을 탑재한다.
함재기인 젠-15는 러시아 수호이(SU)-33을 바탕으로 제작된 것으로 2010년 시험비행 과정에서 처음 모습이 공개됐으며 폭탄 탑재량 등이 미국의 F-18 호넷 전투기에 버금가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구체적인 사양은 공개되지 않아왔다.
최신 드론(무인항공기) '윙룽'(중국명 이룽·翼龍)도 시선을 사로잡았다. 윙룽 가격은 대당 100만 달러(약 10억6천만 원)로, 외관이 비슷한 미군의 무인기 MQ-9 리퍼(Reaper)의 3천만달러보다 현저히 싸 국제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탑재 능력이 0.4t인 대형 드론 '차이훙 4호(彩虹·레인보우)'도 모습을 보였다.
[연합뉴스] 2015.09.03.
********************************************
중국 열병식서 첫 공개된 무기들
▲ DF-21D 대함 탄도미사일
중국이 지난 9월 3일 개최한 중국의 항일전쟁 승전 70주년 기념대회 열병식에 공식 ‘데뷔’할까 관심을 모은 신무기들이 있었다. 대륙간탄도미사일 DF(둥펑)-41, J-20·J-31 스텔스 전투기다. 이들 무기는 개발이 완전히 끝나지 않았기 때문인지, 아니면 미국을 덜 자극하기 위해서 때문인지는 몰라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대신 가장 관심을 끈 신무기는 DF-21D대함 탄도미사일(ASBM)이다. 이 미사일은 최대 1500~2000㎞ 이상 떨어진 미 항공모함 전단 등을 타격할 수 있다. 항모 전단은 세계 어디에서든지 미국의 군사력을 과시하고 실전에서도 강력한 전투력을 발휘하는 상징적인 존재다. 항모 전단을 정밀 타격할 수 있다는 것은 미국에 실질적인 위협이 된다는 얘기다. 미국은 DF-21D를 항모 전단 등 미 해공군력의 중국 본토 접근을 견제하는 ‘반(反)접근 지역거부’(A2AD) 전략의 핵심무기 중 하나로 평가해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여왔다.
지난 2010년 로버트 윌러드 미 태평양함대 사령관은 중국이 미 항모 전단을 위협할 수 있는 대함 탄도미사일 DF-21D를 배치하기 시작했다고 발표, DF-21D에 대한 관심을 촉발했다. 미 항모 전단을 정밀타격할 수 있는 무기는 DF-21D가 처음은 아니다. 중국과 러시아는 미 항모를 타격할 수 있는 초음속 순항(크루즈) 미사일들을 여러 종류 개발해 배치해놓고 있다.
미국은 왜 DF-21D에 민감한 것일까? 지금까지 항공모함 등 수상 함정을 공격하는 미사일은 포물선형 궤도로 비행하는 탄도미사일이 아니라 정밀한 유도장치를 갖추고 수평 궤도를 비행하는 순항미사일이었다. 순항미사일은 탄도미사일보다 속도가 느려 요격이 쉬운 단점이 있지만 탄도미사일이 갖지 못하는 움직이는 함정을 정확히 타격한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탄도미사일이 목표물까지 비행하는 10여분 동안 항공모함은 9㎞ 이상이나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중국이 개발한 DF-21D는 움직이는 항모의 위치를 확인, 포물선형 궤도를 수정해가며 목표물을 정확히 타격할 수 있다.
그러려면 항모의 위치를 밤낮으로 실시간 추적하는 전자광학 위성 등 정찰위성과 위성이 파악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탄도미사일에 전해줄 수 있는 데이터링크 기술, 그리고 미사일의 궤도를 비행 도중에 바꿀 수 있는 첨단기술과 방대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런 난제 때문에 대함 탄도미사일이 만들어지기 힘들었는데 중국이 그런 난관을 극복하고 DF-21D를 개발, 배치했다는 것은 의미가 크다. DF-21D는 낙하할 때의 속도가 마하 10(음속의 10배)이 넘는 것으로 알려져 요격도 어렵다.
중국은 중국 내륙에서 오키나와 인근에서 작전 중인 미 항모를 DF-21D로 때릴 수 있게 돼 서태평양 지역에서 미 항모 전단 활동은 종전보다 위축될 가능성이 커졌다. 이번에 첫 공개된 DF-26 신형 탄도미사일도 A2AD 전략을 구현하기 위한 무기로 평가된다. DF-26은 최대 사거리 3500㎞ 이상으로 미 전략거점인 괌을 사정권에 두고 있다. 이들 무기 공개는 ‘아시아 회귀’ 전략에 따라 아·태 지역에서 활동을 강화하는 미국 군사력을 견제하려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미사일 중엔 ‘중국판 스파이크’ 미사일로 불리는 HJ-10 신형 대전차 미사일(최대 사거리 20여㎞)도 처음으로 등장했다.
‘윙룽’ 무인정찰 및 공격기도 첫선을 보였다. 중고도 무인정찰기이지만 공대지(空對地) 미사일도 장착하는 공격기로도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미국 무인정찰 및 공격기로 유명한 ‘프레데터’ ‘리퍼’를 빼닮아 ‘프레데터’ ‘리퍼’ 짝퉁 무기로 불리기도 한다. 프레데터와 리퍼는 이라크전과 아프가니스탄전에서 반군 및 탈레반, 알카에다 지도자들을 헬파이어 대전차 미사일 등으로 공격, 암살해 공포의 대상이 됐다. 중국도 그런 무기체계를 배치하는 단계에 이른 것이다. 윙룽은 무게 1.1t으로 20시간 이상 연속비행이 가능하다.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국가에 수출되기도 했다.
항공기 중에선 J-15 함재기, H-6K 폭격기, KJ-500 조기경보기 등도 첫선을 보인 신무기로 주목을 받았다. J-15는 러시아 SU-33 전투기를 개량한 항공모함 탑재기로 현재 중국 유일의 항모인 랴오닝함에 실려 있다. J-15는 4.6t가량의 무장을 탑재할 수 있는데 이는 미국 항공모함 탑재 함재기의 성능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사거리가 250㎞ 이상인 초음속 공대함 순항미사일 YJ-12를 장착할 수 있어 미 항모 전단은 물론 일본 이지스함 등에도 위협적인 존재가 될 수 있다.
H-6K 폭격기는 H-6 폭격기 중 최신형으로 각종 순항미사일을 장착할 수 있다. KJ-500 조기경보기는 Y-9 수송기에 대형 레이더를 단 것으로, KJ-2000·KJ-200 조기경보기와 함께 중국 조기경보기 전력을 구성하고 있다. 이밖에 WZ-19 정찰 및 경공격헬기, WZ-10 공격헬기 등도 타격력을 가진 중국군의 신무기로 주목을 받았다.
[주간조선] 2015.09.14.
'★군대행사 > 군사 Para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ina’s Biggest Military Parade Ever (0) | 2015.09.07 |
---|---|
<中열병식> 세계 정상·원로들 불러 사상 최대 '군사쇼' (0) | 2015.09.07 |
중국군 군사 퍼레이드 사진들 (0) | 2015.09.07 |
<中열병식> 사진으로 보는 열병식…"中군사력 한눈에" (0) | 2015.09.07 |
China’s weapons display for victory parade: Japan not attending (0) | 2015.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