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군 도입 증가하는 Phalanx 함정용 근접방어시스템
MK.15 Phalanx. 미국이 개발한 CIWS. Phalanx는 그리스의 보병 방진인 팔랑크스를 뜻하고, '방어 체계'인 만큼 이 진형에서 이름을 따 왔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미국에서 개발한 물건이니 미국식 발음을 따라서 '팰렁스'라고 읽는다. Aegis 방공체계를 이지스라고 부르는 것과 같다.
미국의 대표적 CIWS인 레이시온사의 팰렁스는 제너럴 일렉트릭사의 M61A1 개틀링포를 기본으로 하고, 자체 레이더와 화기관제 시스템을 갖춘 독립형 근접방어체제이다.
머리의 원통은 KU밴드로써, 레이더와 주요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고,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이 KU밴드와 발칸, 즉 마운트 상에 모두 위치하고 있어 갑판을 뜯을 필요없이 함의 어느 부위에도 탑재가 가능해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서 활용되고 있다.목표가 CIWS의 레이더에 들어오면 목표를 추적하여 20mm 개틀링을 발사하고 발사한 총알의 탄도와 목표의 탄도를 계산하여 자동으로 총신의 방향을 조절하는 똑똑한 시스템이며, 목표가 파괴되면 다른 목표를 포착하여 이 운동을 다시 반복한다.
이 제어순서는 "피드백 제어" 시스템을 응용한것이다. 하지만 하나의 목표물에대해 위력을 발휘하지만, 다수의 목표물에는 취약점을 보이고 있고, 탄약의 소모가 극심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골키퍼나 시가드 등의 CIWS는 다수의 표적을 상대로 순차적으로 돌아가며 점사를 가하는, "동시교전"이란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한국은 이지스를 살 때 패키지로 주는 이 팰렁스를 걷어차 버리고 골키퍼를 가져다 붙였다. (당시 골키퍼가 더 우수한 장비이기때문이기도 했지만 혹시 모른다 이것도 통영함급 비리가 있었는지) 그러나 인천급은 가격 문제와, 사실상 서방 CIWS의 표준으로 자리잡은 팰렁스가 시장규모도 크고, 지속적인 군수보급과 업그레이드가 용이한 잇점 때문에 결국 팰렁스를 달았다. 또한 공간문제도 큰 이유였다.
인천급은 한국군이 건조한 CIWS 장착 함선 중에서 가장 작은 배수량(3,251톤)의 함선으로서, 그것도 한정된 예산속에 줄어든 여유공간에서 최대한 효율을 뽑아내야 했던 함정이었다. 골키퍼의 경우 별도의 콘트롤 룸과 장비 밑부분에 탄악고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인찬급에 76mm 함포와 차지공간이 비슷한 골키퍼를 달았다면 다른 무장이나 기능을 포기하던지 했어야 했을것이다.
미국에는 모든 해군 함정들이(심지어 군수지원함까지 달고 있다! 팰렁스를 장비하고 있으며 일본 또한 꾸준히 팰렁스를 주력 CIWS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그렇게까지 전망이 밝지많은 않은 게, 미국 해군의 경우 알레이버크급 중에서는 이 무기를 떼고 다니는 경우가 적지 않다. 게다가 미군의 신형함 건조 계획인 LCS와 줌왈트급 어느 쪽에도 이 무기를 채택한 물건이 없다
서방의 표준 CIWS이지만 화력이 너무나 약하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20mm 벌컨포의 경우 위력이 너무나 약하여 설령 열화우라늄 탄자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사거리가 다른 CIWS에 비하여 크게 떨어진다. 실제 영국에서 엑조세로 실험했을 때 몇몇 엑조세가 근접한 곳에서 격추되어 군함이 심각한 피해를 입기도 했다. 때문에 25mm포로 업그레이드 하려는 계획이 진행 중이다.
이라크에서의 박격포탄을 요격하기 위해서 이 녀석의 지상형태인 C-RAM(Counter Rocket, Artillery, and Mortar)이란 물건이 나왔다. 뱀발로 팰렁스의 KU밴드는 스타워즈의 R2D2와 닮았다. 실제로 미군들도 이 별명으로 부르곤 한다고. (글출처 https://namu.wiki)
출처:핸국해군 도입 증가하는 Phalanx 함정용 근접방어시스템
[비겐의무기사진이글루] 2015.11.08.
'★군사무기·장비 > 해상무기·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is is Charles de Gaulle (0) | 2015.11.19 |
---|---|
Mk-110 57mm rocks today’s Friday Firepower (0) | 2015.11.19 |
해군 추진중인 ‘미니 이지스함’ 성능은? (0) | 2015.11.10 |
어떠한 공격도 막아 낸다. 아테나 여신의 무적 방패 이지스! (0) | 2015.11.07 |
미 핵추진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호 부산 입항 (0) | 2015.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