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무기·장비/전략·전술·핵무기

北ICBM에 맞대응…美, 내일 ICBM '미니트맨Ⅲ' 시험 발사

머린코341(mc341) 2017. 8. 3. 14:05

北ICBM에 맞대응…美, 내일 ICBM '미니트맨Ⅲ' 시험 발사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공군기지서 석 달 만에 재시험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북한이 지난달 28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4형'을 발사한 가운데 미국 공군도 2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ICBM인 '미니트맨Ⅲ'을 시험 발사한다고 로스앤젤레스 타임스(LA타임스)가 지난달 31일 보도했다.


지난 5월 3일 반덴버그 공군기지서 실시한 '미니트맨Ⅲ' 시험 발사 광경 [AP=연합뉴스]


미 공군이 2일 오전 0시 1분부터 6시 1분 사이에 발사 예정인 미니트맨Ⅲ는 탄두가 장착되지 않은 시험용으로, 미니트맨Ⅲ의 정확도와 준비상태, 효율성 확인이 목적이다.


그러나 미 공군이 이미 올해만 세 차례나 미니트맨Ⅲ를 시험 발사했다는 점에서 이번 시험 발사는 북한의 ICBM 도발에 맞대응하려는 의도가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 관측이다.


미 공군은 앞서 지난 2월 8일과 4월 26일, 5월 3일에 각각 미니트맨Ⅲ 시험 발사에 성공, 미국의 핵 억지력을 확인했다.


미국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미니트맨 3 발사 장면 [위키미디어 제공]


비영리단체인 '핵시대 평화재단'은 "북한의 ICBM 발사에 대한 직접적 대응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무게 35t, 최고 시속 마하 23, 3단 고체연료 추진형인 미니트맨Ⅲ는 최대사거리가 1만3천㎞여서 반덴버그 기지에서 평양까지 30분이면 충분히 도달한다.


[연합뉴스] 2017.08.01


*******************


美공군, 2일 ICBM '미니트맨 3' 시험발사


미 공군의 '미니트맨 3' ICBM [EPA=연합뉴스]


(뉴욕=연합뉴스) 이귀원 특파원 = 북한의 두 차례에 걸친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급 미사일 시험발사로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이 2일(현지시간) ICBM 시험발사를 단행한다.


미 공군의 지구권타격사령부(GSC)는 이날 성명을 통해 "ICBM 시험발사는 무기 시스템의 효율성과 전투준비태세,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래픽] 美 ICBM 미니트맨3 시험발사


미국이 시험발사에 나서는 ICBM은 탄두를 싣지 않은 '미니트맨 3'로 캘리포니아 주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2일 오전 0시에서 6시 사이에 발사될 것으로 알려졌다.


AFP 통신은 반덴버그 기지에서의 시험발사는 대개 수주 또는 몇 달 전에 이뤄지는 사전계획에 따라 실시되지만, 이번 시험발사는 북한의 최근 ICBM급 시험발사 이후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이뤄지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미국 공군은 지난 2월과 5월에도 '미니트맨 3'를 발사해 태평양 해상의 표적을 명중시킨 바 있다.


LGM-30G Minuteman III


사일로 안에서 대기하고 있는 파멸의 무기


미국이 가지고 있는 유일한 지상 발사형 ICBM이며 장수만세 물건 중 하나다. 앞의 LGM은 3가지 뜻을 담고 있는데, 앞의 L은 지상발사형 미사일, G는 지표면 타격, M은 유도 미사일이란 뜻이다.


이름은 미국 독립전쟁때 활약한 민병대를 지칭하는 말인 미니트맨에서 유래되었다.


처음 개발은 1962년도이며, 현재 배치되어 있는 건 1970년에 개량된 미니트맨 III 미사일이다.


그냥 저 LGM-30 미니트맨 미사일로만 친다면 미군이 2030년까지 굴려먹을 생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잘한다면 장수만세 후보에 들어갈 수 있다. 약 450기가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미니트맨 배치 전에 미국이 보유하던 ICBM은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로켓이라 미리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발사 준비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미니트맨의 경우는 3단을 모두 고체 연료 로켓으로 만들어서 약 1분 정도의 시간만 있으면 발사할 수 있다.


SALT II 체제로 피스키퍼가 황천길로 간 지금, 미국의 유일한 지상 발사형 핵미사일이다.



동생인 피스키퍼는 황천길로 가면서, 자신이 품고 있던 외계인 고문으로 얻은 기술의 극치인 개량 관성항법장치와 더불어 자신의 탄두를 형에게 넘겨주었으며, 거기에 더불어 Mk-12a 재돌입장치, AIRS로 인해, 안 그래도 원래 원형공산오차가 150m 수준이었던 미니트맨의 CEP는 피스키퍼만한 120m가 되어 버렸다(...)[1]


최고 속도는 시속 28,176km이고 항속 거리는 13,000km이다. 거리는 긴데 비해, 가격은 피스키퍼보다 10배나 저렴한 7백만 달러이다. 보잉사 돈 많이 버네.


그리고 탄두는 W62, W78, 그리고 동생이 남긴 유품(?)인 W87탄두를 쓰는데, W62는 2010년에 퇴역해버리고 W78은 335~350 킬로톤, W87은 300킬로톤의 위력을 낼수 있다.


미니트맨 III의 내부구조도


미니트맨 III는 최초의 MIRV중 하나로, W78탄두를 사용시 최대 3개의 핵탄두를 실을 수 있지만 START II 조약에 의해 각각의 미사일당 핵탄두 하나씩만 장전되어 있다.


그리고 초기의 대량생산된 임베디드 컴퓨터중 하나가 이 미사일의 제어 컴퓨터이기도 하다. 예전엔 저장장치로 디스크를 사용하였으나,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인해 반도체 메모리로 바뀌었다는 듯.


현용 ICBM 중 정보공개가 가장 많이 되어있다. 인터넷에서 ICBM 정보를 찾아 보면 미니트맨 III 자료가 가장 방대하고 상세하다.


나무위키에서도 ICBM이나 MIRV, 또는 기타 관련문서에 있는 예시는 미니트맨 III 기반인 것이 많다.


[연합뉴스] 2017.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