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넥스원, 대포병 탐지레이더 개발완료… 내년부터 전력화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국내방산업체인 LIG넥스원이 '대포병 탐지레이더-Ⅱ'에 성공했다. 내년초부터 양산에 착수해 전방부대에 실전배치될 계획이다.
3일 방위사업청에 따르면 정부가 2011년 11월부터 약 540억원을 투자해 진행해온 대포병 탐지레이더-Ⅱ 개발사업이 5년 9개월 만에 성공적으로 종료됐다.
대포병 탐지레이더-Ⅱ는 지난 4월 시험평가에서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은 데 이어 제작 기준이 되는 국방 규격도 정해졌다. 국산화 비율은 약 95%이다. 방사청은 내년 초 양산에 들어가 순차적으로 전방 부대에 실전배치할 계획이다.
이 레이더는 북한이 대한민국 수도권을 겨냥해 다수 배치한 장사정포에 대응하는 핵심 무기 체계다. 군 당국은 개전 초 육군 화력의 최우선 공격 목표를 수도권 북쪽에 배치된 북한 장사정포 파괴에 두고 있다.
전쟁 개시 하루 만에 북한 장사정포 90%를 격멸하는 게 목표다. 이를 위해서는 북한군 장사정포의 위치를 찾아내는 대포병 레이더를 다량으로 배치하는 게 필수적이다.
대포병 탐지레이더-II의 주요 기능은 유사시 북한군이 장사정포를 쏠 경우 날아오는 포탄을 탐지한 뒤 비행 궤도를 역추적해 장사정포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다.
북한군 장사정포 위치 정보는 아군 포병부대에 실시간으로 보내진다. 아군 포병부대는 북한군의 장사정포를 바로 파괴할 수 있다.
우리 군은 지금까지 미제 AN/TPQ-36ㆍAN/TPQ-37와 스웨덴제 아서-K 대포병 레이더를 사용했다. 지난 1994년 3월 북한의 '서울 불바다' 발언 이후 미제 대포병 레이더를 긴급히 전력화했다.
그러나 AN/TPQ-37은 지난 2010년 11월 연평도 포격 사태 때 북한군의 1차 포격을 맞아 제대로 된 대응에 실패했다. 레이더가 쉽게 과열돼 24시간 가동할 수 없기 때문에, 포격 당시 레이더를 꺼놓았다.
대포병 탐지레이더-Ⅱ는 군이 운용 중인 최신형 대포병 탐지레이더인 아서-K보다 탐지 범위와 작전지속 능력이 30∼40% 향상됐다.
아서-K의 탐지거리는 약 40㎞이지만, 대포병 탐지레이더-Ⅱ는 60㎞를 넘는다. 연속 운용시간도 아서-K(약 6시간)보다 2시간 이상 길다. 2대를 교대로 운용할 경우 365일 지속 작전이 가능하다.
군 관계자는 "대포병 탐지레이더-Ⅱ가 전력화되면 기존 해외 도입 장비보다 탐지 범위, 작전 지속 시간, 동시 표적 처리 능력 등이 크게 향상돼 대화력전의 중추적인역할을 할 것"이라며 "국내 기술로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정비와 후속 군수 지원이 용이할 뿐 아니라 운영유지 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시아경제] 2017.08.03
************************
軍, '北 포격도발 원점' 탐지레이더 개발…내년 실전배치
기존 아서-K보다 탐지거리·운용시간 길어
대포병 탐지레이더-Ⅱ 운용개념도 [방사청 제공]
(서울=연합뉴스) 이영재 기자 = 북한군의 포격 도발시 '도발 원점'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우리 군이 즉각 대응 사격할 수 있게 해주는 '대포병 탐지레이더-Ⅱ'의 국내개발이 완료됐다.
방위사업청은 3일 "대포병 탐지레이더-Ⅱ 연구개발사업 종료회의가 지난달 28일 개발업체인 LIG넥스원에서 개최됐다"며 "사업이 공식적으로 완료된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가 2011년 11월부터 약 540억원을 투자해 진행해온 대포병 탐지레이더-Ⅱ 개발사업이 5년 9개월 만에 성공적으로 종료됐다.
대포병 탐지레이더-Ⅱ는 지난 4월 시험평가에서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은 데 이어 제작 기준이 되는 국방 규격도 정해졌다. 방사청은 내년 초 양산에 들어가 순차적으로 전방 부대에 실전배치할 계획이다.
대포병 탐지레이더-Ⅱ [방사청 제공]
대포병 탐지레이더-Ⅱ는 수도권을 위협하는 북한군 장사정포를 무력화하기 위한 우리 군 대화력전의 핵심 장비로, 북한군이 쏜 포탄의 비행 궤도를 역추적해 장사정포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포병부대에 실시간으로 전파한다. 북한군 도발 원점을 정밀 타격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다.
우리 군의 기존 대포병 탐지레이더인 스웨덴산 '아서-K'는 탐지거리가 약 40㎞이지만, 대포병 탐지레이더-Ⅱ는 60㎞를 넘어 적진 깊숙한 곳까지 샅샅이 훑을 수 있다. 연속 운용시간도 아서-K(약 6시간)보다 2시간 이상 길다.
대포병 탐지레이더-Ⅱ는 안테나도 능동 위상배열 방식으로, 수동 위상배열 방식인 아서-K보다 동시 표적 처리 능력이 월등히 뛰어나다.
방사청은 "대포병 탐지레이더-Ⅱ가 전력화되면 기존 해외 도입 장비보다 탐지 범위, 작전 지속 시간, 동시 표적 처리 능력 등이 크게 향상돼 대화력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 "국내 기술로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정비와 후속 군수 지원이 용이할 뿐 아니라 운영유지 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2017.08.03
************************
北, 장사정포 탐지 가능한 대포병탐지레이더-II 국내기술로 연구개발 성공
- 적 화력도발 대응 능력 크게 향상 될 것으로 기대돼
방위사업청(차장 문승욱(청장 직무대리), 이하 ‘방사청’)은 7월 28일 LIG 넥스원(구미)에서 대포병탐지레이더-II 연구개발사업 종료회의를 개최하였다. 이로써 지난 4월 시험평가에서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은 이후 최근 국방규격을 제정하여 사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됐다.
운용개념도
대포병탐지레이더-II는 수도권을 위협하는 북한의 장사정포를 무력화시키기 위한 아군의 대화력전 수행체계의 핵심장비로 내년부터 전방부대에 전력화될 예정이다.
대포병탐지레이더-II가 군에 전력화되면 기존 해외도입 장비에 비해 탐지범위와 작전지속시간, 동시 표적처리능력 등이 크게 향상되어 군 대화력전 수행간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국내 기술로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해외도입 장비와 비교시 정비 및 후속군수지원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운영·유지 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방사청 대화력사업팀장(육군대령 김동호)은 “대포병탐지레이더-II의 국내개발 성공으로 만약 적이 화력도발을 감행한다면 우리군은 즉각적인 대응사격을 통해 적 도발 원점을 초전에 격멸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표적탐지및추적 및 전파 개념도
[비겐의 무기사진 전문 이글루] 2017.08.03
'★군사소식칼럼 > 군사·국방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관진 라인·박지만 동기…대장급 대폭 물갈이 예고 (0) | 2017.08.11 |
---|---|
사상 첫 ‘非육사 육군총장’ 힘받나 (0) | 2017.08.10 |
"핵추진 잠수함, 최대 6개월 잠행 가능… 속도도 빨라 北 SLBM 잡는데 최적" (0) | 2017.08.06 |
핵잠수함 재추진 여부 '주목', 농축 우라늄 획득이 관건 (0) | 2017.08.04 |
美항모 2척 70여일만에 또 한반도 온다…北 추가도발 '경고' (0) | 2017.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