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전투기 2차사업 2021년부터 추진…4조원 규모"(종합)
방사청 국방위 국감 업무보고…"F-35A 연말까지 5대 추가도입"
"경항모급 대형수송함 개발과정서 수중스텔스 기능도 연구"
F-35A
[방위사업청 제공]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준삼 기자 = 군의 차세대 전투기(FX) 2차 사업이 2021년부터 5년간 추진된다. 전체 사업비는 4조원 규모(3조9천905억원)다.
대북 전략표적 감시를 위한 군 정찰위성은 2022년부터 순차적으로 발사된다.
방위사업청은 7일 경기 과천 방위사업청사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 국정감사 업무 보고에서 이런 내용의 주요 방위사업 추진 계획을 공개했다.
방사청은 FX 2차 사업에 대해 "현재 국방부 소요 검증을 진행 중으로 검증 결과에 따라 사업추진기본전략을 수립한 후 사업 타당성 조사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FX 2차 사업 기종으로 F-35A를 20대 추가 구매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는 관측도 나오지만, 군당국은 아직까지 정해진 것은 없다는 입장이다.
FX 1차 사업 기종인 F-35A는 2021년까지 총 40대가 전력화될 예정으로, 모두 7조 7천7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스텔스 기능을 갖춘 5세대 전투기인 F-35A는 최대 속력이 마하 1.8로, 전투행동반경은 1천93㎞다. 공대공미사일과 합동직격탄 (JDAM), 소구경 정밀유도폭탄(SDB) 등으로 무장한다.
스텔스 기능으로 적지에 은밀히 침투해 핵과 미사일 시설, 전쟁 지휘 시설 등 핵심 표적에 치명적인 타격을 가할 수 있는 위력을 갖추고 있다.
F-35A는 지난 3월 말 2대가 한국에 처음 도착한 것을 시작으로 최근까지 모두 8대가 인계됐고, 연말까지 5대가 추가 인도된다고 방사청은 설명했다.
'장보고-II' 잠수함
[현대중공업 제공] photo@yna.co.kr
방사청은 3천t급 잠수함인 장보고-Ⅲ 개발 상황과 관련해서는 "배치-1 선도함 운용시험평가가 올해 10월부터 내년 8월 사이 진행되고, 배치-2의 경우 체계개발 착수회의가 오는 11월 열린다"고 설명했다.
'배치-1'은 국내에서 최초 독자설계 및 건조 중인 잠수함이며, '배치-2'는 '배치-1'보다 더욱 작전 운용 능력이 향상된 체계로, 납 축전지 대신 리튬전지를 추진체로 탑재하며 10개의 수직발사관을 갖출 것으로 알려졌다.
방사청은 "지난 4월 '배치-2' 체계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한 이후 이달 중 체계개발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라며 "'배치-2' 선도함은 2019∼2026년, 후속함 건조는 2021∼2028년 추진될 것"이라고 밝혔다.
군 정찰위성 확보사업인 '425 사업' 추진 현황도 보고됐다.
'425 사업'은 2015∼2025년까지 1조 2천214억 원을 투자해 전략표적 감시를 위한 군 정찰위성을 국방과학연구소 주관으로 개발하는 사업이다.
방사청은 "현재 체계개발을 위한 시제계약 체결을 완료하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며 올해 12월과 2021년 각각 합성영상레이더(EO/IR) 위성과 고성능 영상레이더(SAR) 위성에 대한 상세설계를 완료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 정찰 위성들은 2022년부터 순차적으로 발사된다.
고고도무인정찰기(HUAV) 글로벌호크 도입 일정과 관련해서는 "비행체 인도 및 영상판독처리체계 구축이 내년 5월까지 진행된다"고 밝혔다.
고고도무인정찰기 글로벌호크
[자료사진. EPA]
글로벌호크는 모두 4대가 도입되며 조만간 1호기가 한국에 도착한다.
방사청은 "비행시험을 통해 비행체의 완벽한 성능을 검증 중이며, 기준 미충족 항목에 대해서는 기술적 보완을 병행 실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중고도무인정찰기(MUAV)의 경우 체계개발 마지막 단계인 시험평가가 진행 중이며 내년 11월 '양산기본계획'이 심의·의결될 예정이며, 군단정찰용 무인정찰기는 사업타당성 조사에 대한 재검증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방사청은 2022∼2033년까지 경항모급 대형수송함-Ⅱ를 건조하는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방사청은 개념설계 및 핵심기술개발을 수행하기 위해 2020년 예산으로 271억원을 책정했으며 여기에는 '스텔스 성능 기술' 항목으로 40억원이 반영됐다고 밝혔다.
이준삼 기자 jslee@yna.co.kr
[연합뉴스] 2019.10.07
********************
4조원 투입되는 '차세대전투기' 2차사업 2021년부터 추진
F-35A 연말까지 5대 추가 인도…총 13대
경항모급 대형수송함 사업엔 271억 배정
'수중 스텔스' 기술 개발에 40억 투입
지난 1일 국군의 날을 맞아 대구 공군기지(제11전투비행단)에서 열린 '제71주년 국군의 날 행사'에서 F-35A 스텔스기가 편대비행을 하고 있다./대구=사진공동취재단
[아시아경제 문제원 기자] 전체 사업비가 4조원에 달하는 공군의 차세대 전투기(FX) 2차 사업이 2021~2025년 5년간 추진된다.
방위사업청은 7일 경기 과천 방위사업청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 업무보고에서 이같은 계획을 공개했다.
방사청은 이 사업과 관련해 "현재 국방부 소요검증 진행 중"이라며 "검증 결과에 따라 사업추진기본전략 수립 후 사업타당성조사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전체 사업비는 3조9905억원이다.
앞서 방사청은 2014년 FX 1차 사업을 통해 미국 록히드마틴사가 생산한 F-35A 40대를 7조4000억원에 구매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지난 3월부터 9월까지 F-35A 총 8대가 인도됐으며, 연말까지 5대가 추가로 인도될 예정이다.
방사청은 "최초 항공기 운영을 위한 1단계 시설(1개 비행대대 등)을 지난해 12월 완공한 후 현재 2단계 시설공사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2단계 시설은 2020년 12월쯤 완공될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군이 이착륙 전투기 탑재가 가능한 대형수송함-II 사업을 시작하기로 하면서 FX 2차 사업에서 F-35B를 도입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지만, 수송함이 2030년대가 돼야 건조될 것으로 보여 1차 사업과 같이 F-35A를 20대 추가 도입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미 항모 '에이브러햄 링컨' (사진=연합뉴스)
방사청은 이날 경항모급 대형수송함-Ⅱ를 건조하는 사업과 관련해서는 "2022년 사업 착수를 위한 선행조치로서 개념설계 및 핵심기술개발을 수행하기 위해 내년도 예산 271억원을 책정했다"고 설명했다.
개념설계 위탁연구와 국외 컨설팅 등의 개념설계에 약 16억원이 반영됐으며, 핵심기술인 '함재기 탑재 함정 비행갑판 및 플랫폼 설계 기술'(95억원)과 '통합 전투체계 기술'(120억원), '수중 스텔스 성능 기술'(40억원) 개발에 255억원이 배정됐다.
스텔스 기술의 경우 수중방사 소음저감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개발에 성공할 경우 유사시 수송함의 생존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방사청은 2007년부터 2031년까지 약 10조원을 투자해 3000t급 잠수함을 국내 연구개발로 확보하는 '장보고-Ⅲ 잠수함' 사업과 관련해서는 올해 10월부터 내년 8월까지 배치-Ⅰ 선도함 운용시험평가를 실시하고, 오는 11월 배치-Ⅱ 체계개발 착수회의를 시작한다고 설명했다.
방사청은 국내 기술력의 성숙도를 고려 장보고-Ⅲ 잠수함 사업을 '배치' 단계별 진화적 개발으로 추진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1조2214억원을 투자해 군 정찰위성을 개발하는 '425 사업'은 오는 12월 합성영상레이더(EO/IR) 위성 상세설계를 완료하고 2021년 고성능 영상레이더(SAR) 위성 상세설계를 완료할 계획이다. 위성은 2022년부터 순차적으로 발사된다.
[아시아경제] 2019.10.07
'★군사소식칼럼 > 군사·국방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항모, KF-X사업 등 2019년 방위사업청 국정감사 업무보고 자료 / 방사청 제공 (0) | 2019.10.08 |
---|---|
[2019국감]고속상륙정 사업, 중고품에 가짜 시험성적서 내도 정상 계약 (0) | 2019.10.08 |
방사청 "F-35A 올해 총 8대 인도…내년부터 2021년까지 전력화" (0) | 2019.10.08 |
방사청 "국내 건조 경항공모함…수중 스텔스 성능 선행연구" (0) | 2019.10.08 |
軍, 10년간 해외무기 구매에 46조…美 무기만 36조 (0) | 2019.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