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소식칼럼/군사·국방 소식

[2019국감] "대형수송함 사업, 경항모 아닌 중형항모급으로 변경 필요"

머린코341(mc341) 2019. 10. 10. 18:03

[국감] 최재성 "한국형 경항모, 중형 항공모합으로 변경해야"


[the300]해군·공군 국감에서 주장…"주변국 군비확장 속도 감안하면 중형항모 필요"


제공 = 최재성 의원실  

 
2033년 전력화를 목표로 추진 중인 한국형 경(輕)항공모함의 '건조 가능성 검토연구 용역' 당시 7만톤급 중형항모와 4만톤급 경항모 2가지 안이 제시됐던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최재성 의원은 10일 국회 국방위원회의 해군·공군에 대한 국정감사에 앞서 배포한 자료에서 이같이 밝히고, 주변국 전력을 감안하면 경항모가 아닌 중형항모급 능력을 갖추도록 계획을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에 따르면 해군이 대형수송함(경함모) 계획을 확정할 당시 수행한 연구용역에서 두 가지 안이 제시됐다. 


1안은 7만톤급 중형항모로 만재배수량이 7만1400톤에 달하고 길이 298m ,넓이 75m에 이른다. 중형항모에는 승조원 1340명이 탑승할 수 있으며 고정익(32대)과 회전익(8대) 항공기 40대를 실을 수 있다. 예상획득비용은 5조4000억원에 달했다. 


2안은 4만톤급 경항모로 만재배수량이 4만1500톤에 달한다. 길이 238m, 넓이 62m에 이른다. 경항모는 승조원 720명이 탑승할 수 있으며 고정익(12대)과 회전익(8대) 항공기 20대를 실을 수 있다. 예상획득비용은 3조1000억원에 달했다. 


최 의원은 "두가지 안이 검토됐지만 획득비용, 획득기간 등을 종합해 경항모로 최종 결정됐다"면서 "그러나 경항모는 갑판 길이가 약 240m에 불과, 단거리 이륙 및 수직이착륙기 외에는 기동이 불가능해 다목적성 측면에서 전술적 제한사항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최 의원은 "현재 동북아 주요국의 군비확장 속도를 감안하면 2033년 미래전장의 모습은 지금과 확연히 다를 수밖에 없다"며 "따라서 수직이착륙만이 아닌 미국 해군 운용 함재기인 F35-C 등도 운용할 수 있도록 계획을 변경·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F-35A는 미 공군이, F-35B는 미 해병대가 ,F-35C는 미 해군이 운용하는 전투기다. 우리나라 경항모 탐재 전투기는 현재로선 수직 이착륙기인 F-35B 도입이 유력한 상황이다.


최 의원은 "중국의 경우 만재배수량 6만톤급의 랴오닝과 산동함을 운용 중"이라며 "항공모함이 가진 강력한 전쟁억제 기능과 분쟁해역에 대한 제공권 확보 등 전술적 이점을 극대화 하려면 중형항모급 능력을 갖추도록 계획 변경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머니투데이] 2019.10.10


********************


[2019국감] "대형수송함 사업, 경항모 아닌 중형항모급으로 변경 필요"


단거리 이륙 및 수직이착륙기 외에는 기동 불가능
최재성 의원 "중형항모급으로 계획 재검토해야" 


F-35B 전투기가 미 해군 강습상륙함인 와스프(LHD-1)에서 이륙하고 있다. [사진=록히드마틴]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우리 군이 2033년 전력화를 목표로 경항공모함급 대형수송함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주변국 전력 등을 비교할 때 전력상 중형항공모함급은 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경항모급의 대형수송함은 계획 상 공격헬기 24대 이상, 기동헬기 12대 이상, 수직이착륙 전투기 16대 이상 등이 탑재될 예정이다. 사실상 상륙함 겸 항공모함으로서의 능력을 구비한다는 의미다.


그러나 갑판의 길이가 240여m로 짧아 단거리 이륙 및 수직이착륙기 외에는 기동이 불가능하다. 다목적성 측면에서 전술적 제한사항이 우려된다는 것이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최재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0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대형수송함 계획을 확정할 당시 수행한 연구용역 자료에 두가지 안이 검토됐다.


7만톤급 중형항모와 4만톤급 경항모로, 중형항모 획득예상비용은 5조4000억원, 경항모 획득비용은 3조1000억원 수준이다. 획득비용과 획득기간 등을 종합해 최종 경항모로 결정됐다.

 

그러나 현재 동북아 주요국의 군비확장 속도를 감안하면 2033년 미래 전장의 모습은 지금과 확연히 다를 수밖에 없다는게 최 의원 지적이다. 따라서 수직이착륙만이 아니라 미 해군이 운용하는 함재기인 F35-C 등 통상이착륙 전투기도 운용이 가능하도록 계획을 변경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최 의원은 “중국의 경우 만재배수량 6만톤 급의 랴오닝을 비롯해 만재배수량 6만 7000톤의 산동함을 운용중인데, 이들 모두 활주길이를 300m 이상 구현해 통상이착륙 전투기를 운용 가능하게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항공모함이 가진 강력한 전쟁억제 기능과 분쟁해역에 대한 제공권 확보 등의 전술적 이점을 극대화 해야한다”며 “중형항모급 능력을 갖추도록 계획 변경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2019.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