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소식칼럼/군사·국방 소식

해군 "원자력 추진 잠수함 확보 노력…자체 TF 운용중"

머린코341(mc341) 2019. 10. 10. 18:17

해군 "원자력 추진 잠수함 확보 노력…자체 TF 운용중"(종합)


"향후 국방부·합참과 협업 추진"…민주당 최재성 의원도 필요성 언급


미 해군 원자력 추진 잠수함 오클라호마시티호(SSN Oklahoma City)
[미 해군 페이스북]


(서울·계룡대=연합뉴스) 김귀근 이준삼 기자 = 해군은 10일 해군력 강화 조치 등의 일환으로 원자력 추진 잠수함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관련 태스크포스(TF)를 운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군은 이날 육·해·공군 3군 통합기지인 충남 계룡대에서 진행된 국회 국방위 국정감사 업무보고를 통해 "장기적 관점에서 해군 자체 TF를 운용하고 있다"며 원자력 추진 잠수함 확보 구상을 밝혔다.


해군은 또 "(원자력 추진 잠수함 확보는) 국가정책에 따라 결정될 사안으로 향후 국방부, 합동참모본부와 협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군의 이런 입장은 현재 원자력 추진 잠수함 개발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는 뜻이 아니라 장기적 관점에서 확보할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더불어민주당 최재성 의원도 이날 해군본부 국감 질의자료를 통해 원자력 추진 잠수함 도입 필요성을 제기했다.


최 의원은 "해군의 연구용역 결과에 따르면 원자력 추진 잠수함이 현용 디젤 잠수함보다 작전 성능이 월등히 뛰어나고 한반도에서 운용하기 가장 유용한 전력으로 평가받았다"면서 "핵확산금지조약(NPT), 국제원자력기구(IAEA) 안전조치협정 상 제한도 없다"고 밝혔다.


아울러 최 의원은 "참여정부 당시 '632사업'으로 원자력 추진 잠수함 건조 계획이 비밀리에 추진됐으나 언론 보도로 외부에 노출되면서 추진 1년 만에 사업이 중단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문재인 정부 들어 원자력 추진 잠수함 도입에 대한 논의가 있었지만, 현재 추진 논의가 지지부진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최 의원은 또 해군 자료를 인용해 "2007년 2건의 원자력 추진 잠수함 추진 연구용역을 진행한 이후 별다른 추가 검토가 없다"면서 "해군은 '수중전력발전TF(테스크포스)'를 운용 중이지만 단순 정보 수집 활동에 그치고 있다"고 전했다.


이준삼 기자 jslee@yna.co.kr


[연합뉴스] 2019.10.10


********************


해군 "핵잠수함 확보 위한 TF 운용…참여정부 이후 16년만"


미국 해군 로스앤젤레스급 공격형 핵잠수함. (뉴시스DB) 

 
【계룡대=뉴시스】김성진 기자 = 해군은 10일 원자력 추진 잠수함(핵잠수함) 확보를 위한 자체 태스크포스(TF)를 운용 중이라고 밝혔다. 해군이 핵잠수함 검토 TF를 운영 중이라고 공식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핵잠수함 TF 운영은 참여정부 이후 16년 만이다.


해군은 이날 계룡대 해군본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 업무보고 자료에서 원자력 추진 잠수함 확보 노력을 하고 있다며 "국가정책에 따라 결정될 사안으로 향후 국방부, 합참과 협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해군의 핵잠수함 TF 운용은 장기점 관점에서 주변국 안보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


앞서 해군은 지난 2003년 참여정부 당시 '623 사업'으로 원자력 추진 잠수함 건조 계획을 비밀리에 추진했으나 이 사실이 외부에 노출되면서 1년 만에 사업을 중단했다.


국방부는 이후 송영무 국방부 장관 재임 시절인 지난 2017년 핵잠수함 도입과 관련해 민간단체에 연구용역을 추진했다. 해군은 해당 연구용역을 통해 핵잠수함의 도입이 필요성이 있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지난해 4월 판문점 선언 등 남북 관계가 진전되면서 핵잠수함 도입과 관련된 논의가 수면 아래로 가라 앉았다.


군 안팎에서는 핵잠수함 국내건조가 추진되면 추진체가 결정되지 않은 3000t급 장보고-Ⅲ Batch-Ⅲ 잠수함을 핵추진 잠수함으로 개발하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핵잠수함은 원자력 추진으로 산소와 물, 연료 등의 공급 없이 장기간 수중작전이 가능해 전략자산으로 분류된다.


김성진 기자 ksj87@newsis.com

   

[뉴시스] 2019.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