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집단자위권 행사 가능"…오늘 헌법해석변경 단행 (연합뉴스, 2014.07.01)
33년만에 정부 공식견해 바꿔·일본 안보정책 대전환
집단자위권 용인 당위성 주장하는 아베 신조 총리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014년 5월 15일 총리관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집단자위권 허용을 골자로 한 안보법제 변경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있다.(AP=연합뉴스DB)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일본이 1일 역대 내각의 헌법 해석을 바꿔 '집단자위권 행사가 헌법상 허용된다'는 정부 견해를 채택한다.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이 이날 오후 총리관저에서 임시 각의를 열어 일본이 공격당했을 때뿐만 아니라 밀접한 관계에 있는 다른 나라가 무력 공격당했을 때도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면 실력을 행사하는 것이 허용된다는 취지의 헌법 해석을 결정할 것이라고 전했다.
여기에는 이 같은 공격으로 일본의 존립이 위협당하고 국민의 생명, 자유, 행복추구권이 근저에서부터 뒤집힐 명백한 위험이 있으며 이를 배척하고 국가의 존립을 완수해 국민을 지킬 다른 적당한 수단이 없어야 한다는 조건이 덧붙는다.
새 헌법해석은 무력행사 범위를 필요최소한도로 규정한다.
이로써 아베 내각은 '일본도 주권국으로서 집단자위권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를 행사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 스즈키 젠코(鈴木善幸) 전 내각의 1981년 5월 29일 답변을 33년여 만에 수정하게 된다.
일본 정부와 여당은 각의 결정을 토대로 자위대법 등 관련 법 정비를 추진한다.
집단자위권 결정앞두고 日총리관저앞 1만명 반대시위
(도쿄 교도=연합뉴스)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이 집단 자위권 행사를 용인하는 방향으로 헌법 해석을 변경하는 각의(국무회의) 결정을 하기 전날인 30일 저녁 도쿄 나가타초(永田町)의 총리관저 앞에서 시민들이 '아베는 끝났다(Abe is over)' 등이 적힌 플래카드를 들고 자위권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에 따라 공격당했을 때에 한해 최소한의 방위를 한다는 전수방위(專守防衛) 원칙과 전쟁과 무력행사를 금지한 헌법 9조(평화헌법)는 사실상 무력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 정부는 1일 외딴 섬 등에 '무력행사에 이르지 않는 침해'(회색지대 사태)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관련 절차를 개정하고 자위대와 연대해 일본을 방어하는 미군부대의 장비 등을 보호하기 위해 자위대가 무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견해도 함께 채택한다.
또 유엔 평화유지활동(PKO)에 참가한 자위대가 출동 경호, 일본인 구출, 임무 수행 등을 위해 무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법을 정비하라고 명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자위대의 후방지원 범위 확대하도록 권고한다.
아베 총리는 각의를 마친 후 기자회견을 열어 헌법해석 변경의 배경과 안보 법제 정비를 비롯한 앞으로의 계획 등을 직접 설명한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출처 :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sewonlee@yna.co.kr
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14/07/01/0601010100AKR20140701010600073.HTML
'★군사소식칼럼 > 외교·안보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쟁가능한 일본> 정부, 우려 속 예의주시 (0) | 2014.07.01 |
---|---|
<전쟁가능한 일본> 한반도 안보 환경에도 영향 (0) | 2014.07.01 |
한미일 3국 합참의장 1일 첫 회의…'군사협력' 논의 (0) | 2014.07.01 |
<집단자위권 결정앞두고 한미일 軍수뇌회의 개최논란> (0) | 2014.07.01 |
윤병세 "한중정상회담, 북핵불용 분명히 반영될 것" (0) | 2014.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