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0톤급 중형 잠수함 장보고-Ⅲ 사업 첫발 뗐다 (국방일보, 2014.11.27)
대우조선해양 강재절단식 2018년 진수목표 건조 착수 국가 위상·창조 경제 ‘업’
황기철 해군참모총장이 27일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열린 3000톤급 중형 잠수함 강재절단식에서 강재절단기 스위치를 누르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제공
국가전략무기체계로서 해양 안보 수호의 든든한 버팀목이 될 3000톤급 중형 잠수함 ‘장보고-Ⅲ(Batch-Ⅰ) 사업’이 힘차게 첫발을 내디뎠다.
대우조선해양은 27일 경남 거제 옥포조선소에서 3000톤급 중형 잠수함의 건조 시작을 알리는 강재절단식(Steel Cutting Ceremony : 착공식)을 개최했다. 또 잠수함용 연료전지시스템 인도식을 병행, 본격적인 제작에 착수했다.
행사에는 대우조선해양·해군·방위사업청·국방과학연구소 관계관 등 90여 명이 참석했다.
우리나라는 장보고-Ⅲ 사업을 통해 잠수함 자체 설계·건조가 가능한 세계 12번째 국가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대우조선해양은 2007년부터 3000톤급 중형 잠수함 개발·설계 작업을 진행해 왔다. 올해 3월에는 장보고-Ⅲ사업단을 신설한 후 방위사업청·해군과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에 박차를 가했다. 이를 바탕으로 잠수함에 탑재할 전투·소나체계, 연료전지, 추진전동기 등 주요 장비 39종에 대한 연구개발을 추진했다.
장보고-Ⅲ 선도함은 2018년 진수를 목표로 하고 있다. 2년의 전력화 과정을 성공적으로 종료하면 2020년 작전배치될 예정이다.
대우조선해양은 독일에서 기술을 전수받아 1987년부터 잠수함을 건조했다. 2012년에는 인도네시아에 3척의 잠수함을 수출하는 등 현재까지 17척의 잠수함을 수주·건조해 국내 최다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고재호 사장은 “장보고-Ⅲ 사업은 국가 위상을 격상하고 중형 잠수함 시장을 개척해 창조경제에 이바지할 것”이라며 “21세기 거북선을 건조한다는 사명감으로 사운을 걸고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국방일보, 윤병노 기자 trylover@dema.mil.kr
http://kookbang.dema.mil.kr/
'★군사소식칼럼 > 군사·국방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번째 유도탄고속함 ‘이병철함’ (0) | 2014.12.21 |
---|---|
軍, 오늘 합동참모회의서 통영함 조기 전력화 결정 (0) | 2014.12.21 |
<통영함 성능시범…소해함 도움받아야 구조작업 가능> (0) | 2014.12.21 |
“전력 공백 막아라” 통영함, 조기 투입 필요하다 (0) | 2014.12.21 |
軍, 독도방어훈련 실시…해병대 상륙훈련은 취소 (0) | 2014.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