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미사일 전력강화…다탄두 ICBM 개발 확대 (연합뉴스, 2015.05.17)
<그래픽> 중국 장거리 탄도 미사일 다탄두 장착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중국이 장거리 탄도 미사일에 다탄두를 장착하며 미사일 전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 8일 공개된 미국 국방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 '둥펑(東風·DF)-5'에 여러 개의 탄두가 서로 다른 목표를 공격하는 '다탄두 각개 유도 미사일'(MIRV)을 새로 장착했다. yoon2@yna.co.kr
(서울=연합뉴스) 고미혜 기자 = 중국이 장거리 탄도 미사일에 다탄두를 장착하며 미사일 전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 8일 공개된 미국 국방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 '둥펑(東風·DF)-5'에 여러 개의 탄두가 서로 다른 목표를 공격하는 '다탄두 각개 유도 미사일'(MIRV)을 새로 장착했다.
DF-5는 사거리가 1만 2천∼1만 5천㎞에 달해 태평양을 건너 미국 본토에 도달할 수 있는 장거리 미사일로, 1971년 처음 시험 발사됐다.
미 국방부는 중국이 DF-5 20기를 지하격납고에 보유 중이라고 밝혔다.
민간 전문가들은 이 20기 가운데 10기가 개량돼 미사일 1기당 3개씩의 탄두가 장착됐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중국의 DF-21D 미사일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이렇게 되면 DF-5를 통해 중국에서 미국으로 발사될 수 있는 탄두의 수가 종전 20개에서 40개로 늘어나는 것이다.
중국은 이미 수십 년 전부터 탄두를 소형화해 1개의 미사일에 여러 개의 탄두를 장착하는 기술을 보유해 왔다.
그럼에도 냉전시대 미국과 옛 소련이 주도한 핵무기 개발 경쟁에 동참하지 않았는데,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취임 이후 노선에 분명한 변화가 생겼다고 NYT는 분석했다.
항공모함과 잠수함을 개발하고 군을 현대화하는 등 향후 동북아 지역에서 있을 수 있는 위기에 대비해 미국에 맞설 군사력을 키우는 데 집중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 베이징 육군박물관에 전시된 DF-2 미사일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애슐리 텔리스 카네기 국제평화재단 선임연구원은 "중국의 미사일 업그레이드는 장기적 관점에서 미국과의 경쟁에 준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임이 분명하다"며 "중국은 늘 미국이 핵 전력에서 앞서 있다는 것을 두려워했다"고 말했다.
중국의 이 같은 움직임이 미국의 미사일방어(MD) 체계 개발 행보에 대한 대응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은 지난 2013년 초 지상 미사일방어체계를 업그레이드해 지상발사 요격미사일 기지를 30에서 44개로 늘릴 것이라고 밝혔는데 이것은 중국이 아니라 북한을 견제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미국과학자연맹의 한스 크리스텐센은 "중국은 그들이 탄도미사일방어체계를 뚫을 수 있는 지 확인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에 중국이 'MIRV 클럽'에 새로 가입한 것은 최소한의 핵 억지력만을 갖추기 원하며 핵무기 개발 경쟁에 끼지 않겠다는 중국 정부의 기존 주장을 무색케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출처 : (서울=연합뉴스) 고미혜 기자 mihye@yna.co.kr
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15/05/17/0603000000AKR20150517018700009.HTML
'★군사무기·장비 > 전략·전술·핵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억제전력의 진수,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 (0) | 2015.05.21 |
---|---|
마지막때의 전쟁은 핵전쟁 (0) | 2015.05.19 |
Destroy a Monday from these silos (61 Photos) (0) | 2015.05.01 |
파키스탄, 핵탄두 탑재 가능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0) | 2015.04.17 |
미 '냉전 산물' 핵무기 현대화 고심…예산 확보가 관건 (0) | 201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