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무기·장비/수중무기·장비

미해군 원자력 잠수함(SSN, SSBN, SSGN) 현황

머린코341(mc341) 2015. 5. 24. 08:05

미해군 원자력 잠수함(SSN, SSBN, SSGN) 현황

 

LA급원잠 (Los Angeles Class)

 

대잠수함전, 정보수집, 무력과시, 특수부대 수송, 기습작전, 순항미사일에 의한 대지(對地) 공격, 기뢰부설, 수색과 구조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종전의 스터전급이나 벤자민프랭클린급 잠수함 등에 비하여 월등하게 빠르고, 소음이 작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시울프급이 등장하기 이전까지는 같은 형태의 잠수함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앞선 모델 중의 하나였다. 오늘날의 상황에서도 해군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어, 아직도 미국 해군 공격잠수함의 주력으로 활동하고 있다.

 

원래는 냉전시대 미국 항공모함에 대한 공격을 주임무로 하던 구 소련 잠수함과 수상 기동함대(SAG:Soviet surface action group) 내의 주력함정들을 공격·격침시키기 위한 대잠수함전 및 대수상함전 수행을 임무로 하는 공격용 잠수함으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냉전시대가 끝난 후 구 소련의 해군을 계승한 러시아의 해군력이 질적·양적으로 아주 낮아진데다가, 지구촌 각지에서 발생하는 분쟁에 대한 미국의 '평화유지'를 명분으로 한 개입이 증가하면서 그 임무의 중점이 다른 분야로 옮겨진 것이다.

 

뉴포트 뉴스 조선소와 제너럴다이내믹스의 전자선박부에서 건조되었다. 제1호함인 로스앤젤레스호는 1976년에 취역하였고, 마지막으로 건조된 제 51호함 체인(Cheyenne)호는 1996년에 취역하였다. 2001년 현재 미 해군은 51척의 로스앤젤레스급 원자력잠수함을 보유하고 있다. 이 가운데 16척은 태평양함대 소속이며, 32척은 대서양함대 소속이다. 1991년의 걸프전쟁 때는 9척의 로스앤젤레스급 원자력잠수함이 참전하였는데, 이중 2척에서 토마호크미사일이 발사되었다.

 

승무원은 장교 14명과 수병 140명 등 총 154명이다. 함 내에는 이들에게 90일 이상 식사를 제공할 수 있는 식량을 보관할 수 있다. 바닷물을 담수로 바꾸어 주는 2개의 담수화 플랜트가 있어, 마실 물 등의 생활용수와 원자로의 가동에 필요한 물을 무한정 공급할 수 있다. 동력원인 원자로는 1회의 핵연료 충진으로 10년 동안 계속 사용할 수 있으며,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는 보조 전원공급 장치로 일반 발전기도 1대 장비하고 있다.

제원은 길이 110.3m, 너비 10m이며, 배수량은 수상에서 6,080t, 수중에서 6,927t이다. 최대 수중속도는 30kn(55.56㎞/h) 이상을 낼 수 있다.

 

 

 

 

 

 

 

 

제원

수상배수량  6,080톤
수중배수량 6,920톤

전       장    110.3 m
선       폭    10.1 m
엔       진    1 S6G Nuclear Reactor . 2 Turbine, 1 Shaft
엔진 출력    30,000 HP

수중 속도    33노트 이상

잠항 심도    290m

승 무 원     140 명(장교 12명)
항속거리    13 년

 

무장
S L C M    21 inch 어뢰 발사관 4문, UGM-109 Tomahawk 26발 (SSN-688 ~ 718)
           VLS 12문, UGM-109 Tomahawk 24발 (SSN-719 ~ 725, SSN-750 ~ 773)
대응 장비  Emerson Electric MK 2 어뢰 디코이 발사기 8문
어     뢰  21 inch 전방 어뢰 발사관 4문, MK 48 어뢰, MK 40/67 기뢰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 목록

함번 함명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퇴역일 상태/기타
Flight I
1 SSN-688 로스엔젤레스 (Los Angeles) 1972.1.8 1974.4.6 1976.11.13 2011.2.4 퇴역
2 SSN-689 배턴루지 (Baton Rouge) 1972.11.18 1975.4.26 1977.6.25 1995.1.13 퇴역
3 SSN-690 필라델피아 (Philadelphia) 1972.8.12 1974.10.19 1977.6.25 2010.6.25 퇴역
4 SSN-691 멤피스 (Memphis) 1973.6.23 1976.4.3 1977.12.17 2011.4.1 퇴역
5 SSN-692 오마하 (Omaha) 1973.1.27 1976.2.21 1978.3.11 1995.10.5 퇴역
6 SSN-693 신시내티 (Cincinnati) 1974.4.6 1977.2.19 1978.3.11 1996.7.29 퇴역
7 SSN-694 그로턴 (Groton)[7] 1973.8.3 1976.10.9 1978.7.8 1997.11.7 퇴역
8 SSN-695 버밍햄 (Birmingham) 1975.4.26 1977.10.29 1978.12.16 1997.12.22 퇴역
9 SSN-696 뉴욕 시티 (New York City) 1973.12.15 1977.6.18 1979.3.3 1997.4.30 퇴역
10 SSN-697 인디애나폴리스 (Indianapolis) 1974.10.19 1977.7.30 1980.1.5 1998.12.22 퇴역
11 SSN-698 브레머턴 (Bremerton) 1976.5.8 1978.7.22 1981.3.28 - 현역
12 SSN-699 잭슨빌 (Jacksonville) 1976.2.21 1978.11.18 1981.5.16 - 현역
13 SSN-700 댈러스 (Dallas)[8] 1976.10.9 1979.4.28 1981.7.18 - 현역 (2017년 퇴역예정)
14 SSN-701 라 호야 (La Jolla) 1976.10.16 1979.8.11 1981.10.24 - 현역
15 SSN-702 피닉스 (Phoenix) 1977.7.30 1979.12.8 1981.12.19 1998.7.29 퇴역
16 SSN-703 보스턴 (Boston) 1978.8.11 1980.4.19 1982.1.30 1999.11.19 퇴역
17 SSN-704 볼티모어 (Baltimore) 1979.5.21 1980.12.13 1982.7.24 1998.7.10 퇴역
18 SSN-705 코퍼스 크리스티 (City of Corpus Christi) 1979.9.4 1981.4.25 1983.1.8 - 현역
19 SSN-706 앨버커키 (Albuquerque) 1979.12.27 1982.3.13 1983.5.21 - 현역
20 SSN-707 포츠머스 (Portsmouth) 1980.5.8 1982.9.18 1983.10.1 2004.9.10 퇴역
21 SSN-708 미니애폴리스-세인트 폴 (Minneapolis-Saint Paul) 1981.1.20 1983.3.19 1984.3.10 2008.8.28 퇴역
22 SSN-709 하이먼 리코버 (Hyman G. Rickover)[9] 1981.7.24 1983.8.27 1984.7.21 2006.12.14 퇴역
23 SSN-710 오거스타 (Augusta) 1982.4.1 1984.1.21 1985.1.19 2008.2.7 퇴역
24 SSN-711 샌프란시스코 (San Francisco) 1977.5.26 1979.10.27 1981.4.24 - 현역
25 SSN-712 애틀랜타 (Atlanta) 1978.8.17 1980.8.16 1982.3.6 1999.12.16 퇴역
26 SSN-713 휴스턴 (Houston) 1979.1.29 1981.3.21 1982.9.25 - 현역
27 SSN-714 노퍽 (Norfolk) 1979.8.1 1981.10.31 1983.5.21 2014.12.11 퇴역
28 SSN-715 버팔로 (Buffalo) 1980.1.25 1982.5.8 1983.11.5 - 현역 (2017년 퇴역예정)
29 SSN-716 솔트레이크 시티 (Salt Lake City) 1980.8.26 1982.10.16 1984.5.12 2006.1.15 퇴역
30 SSN-717 올림피아 (Olympia) 1981.3.31 1983.4.30 1984.11.17 - 현역
31 SSN-718 호놀룰루 (Honolulu) 1981.11.10 1983.9.24 1985.7.6 2007.11.2 퇴역
Flight II[10]
32 SSN-719 프로비던스 (Providence) 1982.10.14 1984.8.4 1985.7.27 - 현역
33 SSN-720 피츠버그 (Pittsburgh) 1983.4.15 1984.12.8 1985.11.23 - 현역
34 SSN-721 시카고 (Chicago) 1983.1.5 1984.10.13 1986.9.27 - 현역
35 SSN-722 키웨스트 (Key West) 1983.7.6 1985.7.20 1987.9.12 - 현역
36 SSN-723 오클라호마 시티 (Oklahoma City) 1984.1.4 1985.11.2 1988.7.9 - 현역
37 SSN-724 루이스빌 (Louisville) 1984.9.24 1985.12.14 1986.11.8 - 현역
38 SSN-725 헬레나 (Helena) 1985.3.28 1986.6.28 1987.7.11 - 현역
39 SSN-750 뉴포트 뉴스 (Newport News) 1984.3.3 1986.3.15 1989.6.3 - 현역
Flight III[11]
40 SSN-751 산후안 (San Juan) 1985.8.9 1986.12.6 1988.8.6 - 현역
41 SSN-752 페서디나 (Pasadena) 1985.12.20 1987.9.12 1989.2.11 - 현역
42 SSN-753 얼배니 (Albany) 1985.4.22 1987.6.13 1990.4.7 - 현역
43 SSN-754 토피카 (Topeka) 1986.5.13 1988.1.23 1989.10.21 - 현역
44 SSN-755 마이애미 (Miami) 1986.10.24 1988.11.12 1988.3.19 2014.3.28 퇴역
45 SSN-756 스크랜튼 (Scranton) 1986.8.29 1989.7.3 1991.1.26 - 현역
46 SSN-757 알렉산드리아 (Alexandria) 1987.6.19 1990.6.23 1991.6.29 - 현역
47 SSN-758 애쉬빌 (Asheville) 1987.1.9 1990.2.24 1991.9.28 - 현역
48 SSN-759 제퍼슨 시티 (Jefferson City) 1987.9.21 1990.8.17 1992.2.29 - 현역
49 SSN-760 애너폴리스 (Annapolis) 1988.6.15 1991.5.18 1992.4.11 - 현역
50 SSN-761 스프링필드 (Springfield)[12] 1990.1.29 1992.1.4 1993.1.9 - 현역
51 SSN-762 콜럼버스 (Columbus) 1991.1.9 1992.8.1 1993.7.24 - 현역
52 SSN-763 싼타페 (Santa Fe) 1991.7.9 1992.12.12 1994.1.8 - 현역
53 SSN-764 보이시 (Boise) 1988.8.25 1991.3.23 1992.11.7 - 현역
54 SSN-765 몬필리어 (Montpelier) 1989.5.19 1991.8.23 1993.3.13 - 현역
55 SSN-766 샬럿 (Charlotte)[13] 1990.8.17 1992.10.3 1994.9.16 - 현역
56 SSN-767 햄턴 (Hampton) 1990.3.2 1992.4.3 1993.11.6 - 현역
57 SSN-768 하트포드 (Hartford) 1992.2.22 1993.12.4 1994.12.10 - 현역
58 SSN-769 톨리도 (Toledo) 1991.5.6 1993.8.28 1995.2.24 - 현역
59 SSN-770 투싼 (Tucson) 1991.8.15 1994.3.20 1995.8.18 - 현역
60 SSN-771 컬럼비아 (Columbia) 1993.4.21 1994.9.24 1995.10.9 - 현역
61 SSN-772 그린빌 (Greeneville) 1992.2.28 1994.9.17 1996.2.16 - 현역
62 SSN-773 샤이엔 (Cheyenne)[14] 1992.7.6 1995.4.16 1996.9.13 - 현역

 

********************

 

○ Seas wolf Class)

 

시울프급은 1976년부터 취역한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과는 완전히 다른 개념으로 설계되어 세계 최강의 성능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이걸 절대 만들고 싶어서 만든건 아니고(...) 1980년대 중반 시에라급과 아쿨라급의 등장으로 로스앤젤레스급이 압도적인 우위는 고사하고 교전시 1:1 물물교환이나 할 수 있을런지 장담하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아쿨라 I의 경우 LA급 초기형, 아쿨라 II는 LA급 후기형의 정숙성에 필적했고, SOSUS[4] 망에도 걸리지 않고 미국의 영해를 안방 드나들듯 하는가 하면, 아쿨라급을 추적하다 놓쳐버리는 망신도 자주 당하게 된다.

 

어쨌든 이 골치아픈 소련의 시에라급과 아쿨라급, 그리고 훗날 개발될 지도 모를 미지의 먼치킨 역시 때려잡기 위해 진정 차원이 다른 성능을 목표로 개발을 시작했으나, 시울프급 전용 원자로의 개발과 펌프제트 추진방식[5]을 적용시키는 등 개발기간이 증가하면서[6] 도입이 지연되는 바람에, 조달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여 척당 30억 달러를 상회하게 된다. 애초 29척을 예정했었지만 소련의 붕괴로 결국 GG치고 시울프, 코네티컷, 지미 카터의 꼴랑 3척만이 건조되고, 이보다 저렴한 버지니아급이 개발된다. 어찌 보면 같은 나라 공군의 F-22와 처지가 비슷하고, 훗날 같은 해군의 줌왈트급과는 평행 이론으로 느껴질 정도로 닮았다.


시울프급은 처음부터 적의 해역에 침입하여 전략 원자력 잠수함을 공격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전략 원자력 잠수함을 호위하는 공격원잠 및 수상함정도 제압할 수 있는 고성능을 가지고 있다. 660mm 어뢰발사관 8기를 탑재하며 무장은 Mk.48 ADCAP 어뢰와 하푼, 토마호크 미사일을 탑재하는데, 기존의 LA급 대비 무장 적재용량도 상당히 증가했다. 원자로는 한번 설치하면 30년 동안 핵연료 교체가 필요없으며, 정숙성은 로스앤젤레스급을 크게 앞선다고 한다. 25노트로 항주시 내는 소음이 항구에 정박한 로스앤젤레스급이 내는 소음과 동등한 수준으로,[7] 그야말로 가공할 정숙성을 가지고 있고, 최대속도는 대략 35노트 이상으로 판단하고 있다.


최신함인 지미 카터[8]의 경우 늘어난 길이 덕분에 특수부대나 토마호크 미사일 등 각종 지상타격능력이 대폭 향상되었으나 대신 자매함들에 비해 소음이 약간 늘어난 단점이 있다. 원래 SSN-21/22처럼 평범하게 건조해서 2002년 무렵에 취역시킬 예정이었지만, 다중임무 플랫폼 (MMP : Multi Mission Platform) 용도로 사용할 대상이 필요해지는 바람에 건조도중 8억 8700만 달러를 더 박아넣고 선체의 길이를 30m 연장하는 개조작업을 했다. 그 내부에는 해상침투용 관제실, 화물칸 등을 마련해놓고 해상침투 임무나 정보수집의 용도로 사용중이다.

 

 

 

 

 

 

 

 


제원  

수상배수량   8,600톤
수중배수량 9,138톤
(SSN-23 : 12,139톤)

전        장    107.6m (SSN-23 : 138m) t.

전       폭 12.9m
흘  수  선   10.6m

속        도    30노트 이상(잠항시)  무소음 운행시 (20 노트)
잠수  깊이    240m 이상
엔 진 S6W    원자로 1 기
터빈 2 기     (마력 :52,000 shp)
보조 터빈    Westinghouse 잠항 모터
사용  기간   15년

승  무  원    장교:15, 사병:101

 

무장
660mm 어뢰발사관 x 8

Mk. 48 ADCAP/CBASS 어뢰
UGM-84 하푼
UGM-109 토마호크

 

Seawolf급 잠수함 목록  

함번 함명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퇴역일 상태/기타
1 SSN-21 시울프 (Seawolf) 1989.10.25 1995.6.24 1997.7.19 - 현역
2 SSN-22 코네티컷 (Connecticut) 1992.6.14 1997.9.1 1998.12.11 - 현역
3 SSN-23 지미 카터 (Jimmy Carter) 1998.12.5 2004.5.13 2005.2.19 - 현역

 

무장 및 센서


개선된 로스엔젤레스급과 마찬가지로, 씨울프는 어떤 외부 무장도 갖지않는다. 이 잠수함은 Raytheon사의 토마호크순항미사일(TLAM-N)-, 토마호크 지대지 대함미사일(TASM), 하푼미사일, 660mm 발사관에서 발사되는 Mk-48 ADCAP 어뢰를 장착하고 있다. 이 경우 하푼 미사일은 어뢰 발사관을 통해, 토마호크 미사일은 TLAM발사관을 통해 발사된다. 어뢰 발사관은 8개로 여기서 하푼 미사일 ,Mk-48 ADCAP,ㅡ 혹은 토마호크도 발사할 수 있다.


WLY-1은 어뢰 유도체로서 역시 어뢰 발사관에서 발사된다. WLQ-4(V)1은 어뢰 요격역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투 데이터 시스템은 모토롤라사의 68030프로세서로 Network를 구성한 Lockheed Martin BSY-2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무기관재는 FCS 자체에 의해서 이뤄진다. 음향탐지 시스템 일체는 선두에 있는 TB-16과 TB-29에 있다. 수표면에서의 감시는 BPS 15A로  항법용레이더로도 이용된다.

 

********************

 

버지니아급 (Virginia Class)

 

1990년대 초 소련의 붕괴로 인해 씨울프급의 대량생산의 불가능으로 인한 공백을 매우기 위함과 동시에, 노후화 되는 LA 급의 후속함으로 사용 되기 위해서 개발이 되었다. 구소련의 붕괴로 대규모 공격 원잠을 상대로한 수중전의 양상은 거의 제로에 가깝게 되었고 결국 연안에서 토마호크를 쏘는 등의 지상타격 임무에 초점이 맞춰져 잠수함이 변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미 해군은 여기 새로 만들어지는 버지니아급에게 VLS 와 어뢰 발사관을 사용하는 다수의 토마호크로 육상타격 임무, 유도 어뢰로 대잠수함, 수상함 공격임무, SEAL 팀의 작전을 위한 모함역할, 고성능 소나를 이용한 수상함과 항모를 보호 따위의 임무를 부여하게 된다.


버지니아급은 고가의 씨울프급의 영향으로 코스트 억제에 따라 속력과 잠항심도에서 기존의 LA 급과 거의 차이는 없다.


원자로는 버지니아급을 위하여 GE 사가 개발한 S9G 차세대 가압수형으로 기존 원자로에 비하여 소형이지만 핵폭탄에 가까운 90% 농축 우라늄을 사용하여 퇴역할 때 까지 교체없이 사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씨 울프급과 마찬가지로 펌프제트 추진기를 사용하여 디젤 잠수함 뺨치는 정숙성을 자랑한다고 한다.


버지니아급은 기본적으로 LA 급과 같은 무장을 한다. 함수 소나돔 직후에 533mm 어뢰발사관 4문과, Mk-36 토마호크 발사용 VLS 12기, 그 외에 하푼, 기뢰 등 LA 급에서 운용하던 무장은 거의 그대로 라고 보면 된다.
이 잠수함의 전투지휘시스템은 광섬유를 사용하는 콘솔로 함내를 LAN 으로 연결하고 Q-70 범용 칼러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콜솔로 통합이 되어있다. 전투시스템은 씨울프의 BSY-2 보다는 염가형으로 탑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버지니아급의 소나 시스템은 크게 함수의 구형소나, 선체 측면의 프랭크 어레이 소나, 견인 소나로 구성이 된다. 함수의 구형 소나는 직경 10m 대형 소나돔 내부에 하이드로폰이 있으며, 180도 이상의 반구형으로 오는 목표를 탐지가 가능하다. 선체 측면에는 경량 하이드로폰을 사용하는 프랭크 어레이 소나가 있다.


버지니아급은 처음부터 SEAL 팀 수송을 위한 임무도 부여 받았으므로 한번에 9명의 씰팀을 발진하거나 회수가 가능하며, ASDS (Advanced SEAL Delivery System) 의 운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버지니아 급은 컴퓨터를 사용하는 자동화 통제 시스템을 도입하여 승무원은 LA 급에 비해서 대략 20명 가까이 감소가 되었다.


현재 버지니아 급은 30척을 건조 목표로 세우고, 1번함이 2004년에 취역했다.

 

 

 

 

 

 

 

 

 

 

 

 

버지니아급 잠수함 목록

함번 함명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퇴역일 상태/기타
Block I
1 SSN-774 버지니아 (Virginia) 1999.9.2 2003.8.16 2004.10.23 - 현역
2 SSN-775 텍사스 (Texas) 2002.7.12 2005.4.9 2006.9.6 - 현역
3 SSN-776 하와이 (Hawaii) 2004.8.27 2006.6.17 2007.5.5 - 현역
4 SSN-777 노스 캐롤라이나 (North Carolina) 2004.5.22 2007.5.5 2008.5.3 - 현역
Block II[7]
5 SSN-778 뉴햄프셔 (New Hampshire) 2007.4.30 2008.2.21 2008.10.25 - 현역
6 SSN-779 뉴멕시코 (New Mexico) 2008.4.12 2009.1.18 2010.3.27 - 현역
7 SSN-780 미주리 (Missouri) 2008.9.27 2009.11.20 2010.7.31 - 현역
8 SSN-781 캘리포니아 (California) 2009.5.1 2010.11.14 2011.10.29 - 현역
9 SSN-782 미시시피 (Mississippi) 2010.6.9 2011.12.3 2012.6.2 - 현역
10 SSN-783 미네소타 (Minnesota) 2011.5.20 2012.10.27 2013.9.7 - 현역
Block III[8]
11 SSN-784 노스 다코타 (North Dakota) 2012.5.11 2013.9.15 2014.10.25 - 현역
12 SSN-785 존 워너 (John Warner)[9] 2013.3.16 2014.9.6 2015.8 예정 - 건조중
13 SSN-786 일리노이 (Illinois) 2014.6.2 - - - 건조중
14 SSN-787 워싱턴 (Washington) - - - - 건조예정
15 SSN-788 콜로라도 (Colorado) - - - - 건조예정
16 SSN-789 인디애나 (Indiana) - - - - 건조예정
17 SSN-790 사우스 다코타 (South Dakota) - - - - 건조예정
18 SSN-791 델라웨어 (Delaware) - - - - 건조예정
Block IV[10]
19 SSN-792 버몬트 (Vermont) - - - - 건조예정
20 SSN-793 오리건 (Oregon) - - - - 건조예정
21 SSN-794 미정 - - - - 건조예정
22 SSN-795 하이먼 리코버 (Hyman G. Rickover)[11] - - - - 건조예정
23 SSN-796 미정 - - - - -
24 SSN-797 미정 - - - - -
25 SSN-798 미정 - - - - -
26 SSN-799 미정 - - - - -
27 SSN-800 미정 - - - - -
28 SSN-801 미정 - - - - -
Block V[12]
29 SSN-802 미정 - - - - -
30 SSN-803 미정 - - - - -
31 SSN-804 미정 - - - - -
32 SSN-805 미정 - - - - -
33 SSN-806 미정 - - - - -
34 SSN-807 미정 - - - - -
35 SSN-808 미정 - - - - -
36 SSN-809 미정 - - - - -
37 SSN-810 미정 - - - - -
38 SSN-811 미정 - - - - -
Block VI
39 SSN-812 미정 - - - - -
40 SSN-813 미정 - - - - -
41 SSN-814 미정 - - - - -
42 SSN-815 미정 - - - - -
43 SSN-816 미정 - - - - -
Block VII
44 SSN-817 미정 - - - - -
45 SSN-818 미정 - - - - -
46 SSN-819 미정 - - - - -
47 SSN-820 미정 - - - - -
48 SSN-821 미정 - - - - -

 

제원
수상배수량  6,950톤 
수중배수량  7,800톤 
전         장  114.9m 
전         폭  10.4m 
흘   수   선  9.3m 
동   력   원  제너럴 일렉트릭 S9G 가압수형 원자로 x 1 
기 관 출 력  40,000마력 
수 중 속 도  35노트 이상 
잠 항 심 도  240m 
승   무   원  135명 

 

무장
533mm 어뢰발사관 x 4 : Mk.48 ADCAP/CBASS 어뢰, UGM-84 하푼 
Mk.45 VLS x 12셀 : UGM-109 토마호크

 

********************


 ○ 오하이오급 (Ohio Class)

 

러시아의 타이푼급에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잠수함이다. 그리고 타이푼급의 퇴역이 예정된 2015년 이후에는 아마 세계에서 제일 큰 현역 잠수함이 될 것이다.[1] 냉전시기 공산진영을 대표하는 타이푼급과 자웅을 겨뤘던 자유진영 잠수함 세력의 대표주자이기도 하다. 이쪽도 크기로만 따진다면 타이푼급 못지않은 덩치이나 타이푼급의 포스가 워낙 강했던 탓에 언론과 밀덕으로부터는 타이푼급이 주로 주목받고 오하이오급은 대부분 묻혔다(…) 콩라인의 서러움


다만 주목만 많이 못받았다 뿐이지, 건조된 함정 숫자도 훨씬 많고 성능은 타이푼급보다 여러모로 월등하다. 타이푼급이 SS-N-20 SLBM을 20기 탑재하는 반면 오하이오급은 UGM-133 트라이던트 II SLBM을 24기 탑재해 가장 중요했을 공격력에서 우위에 있었다. 사실 양쪽 SLBM은 다 MIRV라서 핵탄두 숫자 자체는 똑같았지만..[2] 이런 화력을 가진 만큼 가격은 척당 20억 달러에 연간 관리비가 5,000만 달러라고 한다.


1970년대 들어서 타이푼급은 아예 구경도 못해봤고 건조된 델타급 SSBN과 사정거리 9,000km의 SLBM SS-N-18이 기어나오자 미 의회도 좀 똥줄이 탔는지 잠깐 제껴놨던 신형 SSBN 건조계획을 부활시켜서 오하이오급이 나오게 됐다. 애초 미 해군은 벤자민 프랭클린급과 조지 워싱턴급 등 당시 취역중이던 35척의 SSBN을 대체하기 위해 그나마 양보해서 24척을 계획하고 있었지만, 돈 없고 냉전이 끝나는 등의 별별 사유로 인해 절반이나 다름없는 18척으로 시원하게 칼질을 당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사실 SSBN이 탄도탄 없으면 그냥 밥통이나 다름없어서 일단 트라이던트 I을 잠깐 쓰다가, 80년대 초반으로 계획한 트라이던트 II 개발이 완료되면 바로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려 했지만, 이것도 별별 문제가 다 터지는 바람에 오하이오급 총 18척중 이미 10척이 취역한 이후인 1990년이 되어서야 실전배치가 간신히 이루어진다.


트라이던트 외에 어뢰도 탑재하고 있지만, 잠수함 때려잡는게 목적이 아니라 몰래 숨어서 명령 떨어지면 SLBM 날리는게 임무이다 보니 은밀성을 위해 액티브 소나는 탑재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푼이나 (2006년 이전까지는) 토마호크도 탑재하지 않았다. 대략 90일 정도를 해저에서 놀고 먹으며 지구 절단낼 발사대기 상태로 머무를 수 있으며, 총 18척 가운데 절반 가량이 실제 임무에 투입된다고 하는데, 총 승무원의 2배 인원을 Blue와 Gold 그룹으로 편성해서 블루가 작전에 투입되면 골드가 지상에서 망고때리며 휴가와 훈련을 실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본래 목적은 러시아의 SSBN처럼 SLBM 플랫폼이었으나 냉전 이후 소련이 붕괴함에 따라 퇴역될 위기에 놓이게 된다. 하지만 미해군에서 1~4번 함을 SLBM 플랫폼이 아닌 유도미사일인 토마호크 탑재 플랫폼으로 용도를 변경하면서 열심히 운용중이다. 한편, 트라이던트 II SLBM을 탑재한 9~18번함은 대략 2030년 이후부터 슬슬 퇴역할 예정이며, 5~8번함은 애초 SSGN으로 개조하려 했지만, 수명과 개조비용의 효용성 때문에 그냥 신규로 건조하는 버지니아급의 몸뚱아리를 쫙 잡아 늘려서 SSGN 노릇을 시키려는 계획을 지니고 있다.


1~4번함이 개조되면서 SSBN (탄도미사일 탑재 원자력 잠수함)이 아닌 SSGN (유도미사일 탑재 원자력 잠수함)으로 제식명칭이 바뀌었다. 기존의 트라이던트 탄도탄 발사관에 MAC (Multiple All-Up-Round Canister)라는 리볼버 탄창처럼 생긴 물건이 하나 들어가고, 그 MAC에 토마호크를 담은 VLS가 총 7개씩 탑재되는 형태다. 총 24개의 탄도탄 발사관에서 22개를 이렇게 토마호크의 수납공간으로 변신시켰고, 나머지 2개는 네이비씰 등 66명의 특수부대원을 태우고 이동하여 몰래 때리고 오는 특수임무를 할 수 있도록 개조했다. 그러나 2015년 현재 이런 특수부대를 적진까지 무사히 이동시킬 뾰족한 수단이 없는게 미국의 골치를 썩이고 있다. 한편, 록히드 마틴에서 연구중이었던 UCAV 코모란트가 이 잠수함의 미사일 발사관에서 발사된다.


2008년 2월 20일 한미연합 전시증원훈련 때문에 네임쉽 오하이오가 부산항에 입항했었다. 2014년 이후 러시아, 중국, 북한 등을 견제하기 위해 정찰 횟수 및 정찰 기간도 냉전 해체 이후인 1990~2000년대에 비해 모두 강화되었다. 연평균 정찰 횟수는 연간 3.5회에서 2.5회로 감소했지만, 평균 정찰기간은 최대 100일 이상으로 늘어났는데, 특히 앞서 거론한 3국을 견제하기 위해 태평양에 배치된 오하이오급 SSBN은 총 14척 중 8~9척인 상태다. 기사


기본적으로 미국의 각 주의 이름을 따서 함명이 정해졌는데 5번함의 경우 유일하게 주의 이름이 아닌 특정인물의 이름이 붙었다. 원래는 로드 아일랜드로 정해졌었으나 1983년 헨리 M. 잭슨 워싱턴 주 상원의원이 사망하자 그를 기려 진수 직전이던 SSBN-730 로드 아일랜드의 이름이 헨리 M. 잭슨으로 새치기 변경되었다. 로드 아일랜드의 이름은 이후 15번째 함정인 SSBN-740에 지정되었다.

 

 

 

 

 

 

 

 

 

 

 


오하이오급 SSBN 대체 계획

 

대략 2030년 즈음이면 오하이오급 잠수함중 그나마 가장 짧은 연식의 함정은 32년, 최고령은 무려 50년의 선령에 육박하게 된다. 이 시기에 오하이오급 함정의 첫번째 퇴역이 있을 예정이고, 이런 흐름에 맞춰 원활한[3] SSBN의 머릿수를 유지하는 것이 이 계획의 목표인데, 2012년 미 해군이 생각한 오하이오급 대체 계획의 알맹이는 다음과 같다.

 


총 12척 건조 & 선체 수명은 오버홀과 핵연료의 교환없이 약 42년을 기대. (이제 신형 함정의 건조에 별놈의 오만가지 애로사항들이 다 생기니까, 일단 하나 만들어놓으면 무조건 뽕을 뽑을 수 있도록 하자.)
추후 이것저것 갖다놓고 개량하면 공간이 모자랄테니까 배수량은 넉넉하게 20,000톤 정도로 해놓고, 탄도탄 발사관은 16개 & 발사관 뚜껑 지름은 오하이오급과 동일한 2.21m (87인치)로 하자. (그래야 미사일이 멀쩡하게 나가지..)


212급처럼 X자 형태의 함미 종횡타 채용, 수평타는 함교에 위치
펌프제트 & Electric Drive 추진
COTs (Commercial off-the-shelf : 상용제품)를 사용


영국도 뱅가드급 대체해야 할테니까 걔들도 꼬셔서 끌어들여서 우리만 망하면 배아프니까 같이 작업해보세..

건조비용으로 척당 최소 49억 달러를 생각하고 있으며(...) 이런 미친.. 어떻게 니미츠급 항공모함보다 비쌀 수가 있냐? 일단 비용은 둘째치고 개념연구와 설계, 트라이던트 탄도탄의 수명연장/업그레이드까지 병행해야 하는 레알 초울트라 미친 난이도의 프로젝트이기에 아직 뭐 하나 딱 부러지게 나온 것은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어떻게든 건조비를 줄여보고자 버지니아급의 설계와 오하이오급의 선체를 적절히 개량/조합하는 방향을 제안하는 등 열심히 노력은 하고 있는 중이다.


2013년 국방예산 절감대책에 의해 오하이오급 대체계획이 2년 연기됐는데, 미 국방부는 그 정도는 감수할만 하다고 일단 말은 해놨지만, 차후에도 이래저래 풍파를 겪을 것이 너무나 뻔하기에 그저 눈물만 콸콸 앞날은 불투명할 따름이다. 그러나 SLBM을 통한 핵투사 능력은 대체할 수 있는 수단도 없고, 미국이 포기할 리도 전혀 없기 때문에, 죽이되든 밥이되든 이 계획은 성과가 나올 것이라고 보는 의견이 많다.

 

제 원 

 

수상배수량  16,600톤 
수중배수량  18,750톤 
전         장  170.7m 
전         폭  12.8m 
흘   수   선  10.8m 
동   력   원  제너럴 일렉트릭 S8G 가압수형 원자로 x 1 
기 관 출 력  60,000마력 
수 중 속 도  25노트 이상 
잠 항 심 도  240m 
승   무   원  155명  
 

추진,성능

 

원자로       : GE사의 가압경수형원자로 1개 S8G 형 (자연 순환 원자로)
터빈         : 2 (하나는 저속주행용, 하나는 고속 주행용)
이동거리     : 재충전 없이 9년간 이동가능
샤프트       : 1

 

무장 
533mm 어뢰발사관 x 4 (공통) :  Mk.48 ADCAP/CBASS 어뢰 
SSBN :  UGM-133 트라이던트 II x 24 
SSGN :  UGM-109 토마호크 x 154 

 

오하이오급 잠수함 목록

함번 함명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퇴역일 상태/기타
1 SSGN-726 오하이오 (Ohio) 1976.4.10 1979.4.7 1981.11.11 -

현역/2003~2006년

 SSGN으로 개수[8]

2 SSGN-727 미시건 (Michigan) 1977.4.4 1980.4.26 1982.9.11 -

현역/2004~2007년

SSGN으로 개수

3 SSGN-728 플로리다 (Florida) 1976.7.4 1981.11.4 1983.6.18 -

현역/2003~2006년

SSGN으로 개수

4 SSGN-729 조지아 (Georgia) 1979.4.7 1982.11.6 1984.2.11 -

현역/2004~2008년

SSGN으로 개수

5 SSBN-730 헨리 M. 잭슨 (Henry M. Jackson)[9] 1981.11.19 1983.10.15 1984.10.16 - 현역
6 SSBN-731 앨라배마 (Alabama) 1981.8.27 1984.5.19 1985.5.25 - 현역
7 SSBN-732 알래스카 (Alaska) 1983.3.9 1985.1.12 1986.1.25 - 현역
8 SSBN-733 네바다 (Nevada) 1983.8.8 1985.9.14 1986.8.16 - 현역
9 SSBN-734 테네시 (Tennessee) 1985.6.9 1986.12.13 1988.12.17 - 현역
10 SSBN-735 펜실베니아 (Pennsylvania) 1987.3.2 1988.4.23 1989.9.9 - 현역
11 SSBN-736 웨스트 버지니아 (West Virginia) 1987.12.18 1989.10.14 1990.10.20 - 현역
12 SSBN-737 켄터키 (Kentucky) 1987.12.18 1990.8.11 1991.7.13 - 현역
13 SSBN-738 메릴랜드 (Maryland) 1986.4.22 1991.4.10 1992.6.13 - 현역
14 SSBN-739 네브래스카 (Nebraska) 1987.7.6 1992.8.15 1993.7.10 - 현역
15 SSBN-740 로드 아일랜드 (Rhode Island) 1988.9.15 1993.7.17 1994.7.9 - 현역
16 SSBN-741 메인 (Maine) 1990.7.3 1994.7.16 1995.7.29 - 현역
17 SSBN-742 와이오밍 (Wyoming) 1991.8.8 1995.7.15 1996.7.13 - 현역
18 SSBN-743 루이지애나 (Louisiana) 1992.10.23 1996.7.27 1997.9.6 - 현역

 

미사일 및 무장

 

18척의 오하이오급중 10척은 대서양함대 소속(Georgia주  King's Bay를 모항 : 734부터 743 까지)로, 최신형의 D-5 트라이던트Ⅱ 미사일을 장착하고 임무수행중에 있으며, 태평양함대 소속( Washington주 Bangor를 모항으로 한다.)의 나머지 8척(SSBN 726 ∼733 호 까지) C-4 트라이던트Ⅰ미사일을 장착하고 있었으나 1996년 미해군은 이들잠수함에 (C-4 트라이던트Ⅰ미사일을 적재한 잠수함) 대한 D-5 트라이던트Ⅱ 미사일 장전 작업을 시작했다.


미 국무성은 두 종류의 SLBN 미사일 체제를 유지한다는 것은 쓸모 없는 낭비라는 이유를 들어 신형인 D-5 체제 미사일로 바꿀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만일 D-5 트라이던트Ⅱ생산을 줄일 경우 California아의 산업기초를 보호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주장 하였다 (사실은 D-5 생산라인을 유지하려는 욕심에서 나온 주장이다.) 만일 미정부가 D-5체제로의 변화를 거절하지 않았다면 잠수함내 남아있는 C-4미사일에 대한 회수와 네 대의 잠수함에 대한 D-5의 교체로 인해 40억달러의 돈을 낭비해야 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값비싼 현대화 전략에도 불구하고 C -4는 현재 아무런 이상없이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전 SSBN-726 오하이오급 잠수함은 총 24발의 MIRV탄두가 장착된 SLBM을 장착하고 있어 단지 발사체의 갯수만으로도 이전의 폴라리스급 SSBN과 포세이돈급 SSBN에 비해 50%증가된 적재량을 가진다.


오하이오급 잠수함은 열 두개가 한줄로  구성된 두줄의 탄도 미사일 발사관을 갖고 있다. 오하이오급 잠수함에 장치된 Mark 98 미사일 콘트롤 시스템이 24기의 핵미사일을 콘트롤 한다. 이 콘트롤 시스템은 Sperry Univac로부터의 디지탈 컴퓨터 에 의존한다.


오하이오급 잠수함이 전략적 위치가 중요하듯이 적에게 있어 오하이오급 잠수함은 공격 1호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적 잠수함 및 적함에 대한 능력은 무엇 보다 중효하게  여겨진다. 오하이오급 잠수함은 21" MK 68 어뢰 발사관 4개를 갖추고 있으며 여기서 방출되는 어뢰는 Gould사의 Mk48어뢰다.이 어뢰는 Mark 118 디지탈 어뢰 발사 관제 시스템에 의해 조정된다.

 

마크 48어뢰는 빠르고, 깊이 잠수하는 핵잠수함과 고성능의 수상함에 대해 활용하기에 적합한 어뢰다. 이 어뢰는 유도방식에 의해 혹은 유도 방식없이 사용 가능하며 유도시스템은 자동 혹은 수동 음향 회규에 의해 운영된다. 이뢰의 사거리는 40 노트의 속도로 50km 이상 혹은, 55노트의 속도시 40km의 사정거리를 가진다. 어뢰는 290kg의 탄두를 3000피트 깊이까지 운송할수 있다.이 어뢰의 다중 재공격 모드는 어뢰가 목표를 놓지거나 상실했을때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