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발백중 토마호크 순항미사일, 2t짜리 어뢰 24발 장착
… “한 방에 배 한 척 격침”
미국 신형 핵잠수함 ‘미시시피’ 타보니
길이 100m 넘고 3층 높이 7800t급
북 신포급 잠수함의 4배 … 1척 2조원
미, 최고 전략무기 내부 이례적 공개
“북 SLBM 발사실험이 영향 준 듯”
미국 해군이 신형 핵잠수함의 내부와 탑재무기를 한국 언론에 공개했다. 베일을 걷은 핵잠수함은 미 태평양 함대 소속 ‘미시시피 SSN-782’함이다. 지난 2012년 6월 진수(進水)식을 하고 6개월 전인 지난해 11월 하와이 진주만(Pearl harbor)에 배치된 따끈따끈한 최신형이다. 한 척에 20억 달러(약 2조2100억원)짜리다.
지난 21일 오후 3시 진주만의 태평양 함대기지. 배수량 7800t급의 ‘미시시피 SSN-782’함이 정박해 있었다. 길이 100m가 넘고, 높이는 3층 건물(9.3m)만 했다. 얼마 전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발사실험을 한 북한의 신포급 잠수함(67m, 2000t급)보다 두 배 가까이 길고, 배수량은 네 배다. 미 핵잠수함은 원자로로 가동하는 데다 미사일발사대(VLS) 같은 각종 장비를 싣고 있어 덩치가 클 수밖에 없다. 잠수함이 크면 그만큼 탑재할 수 있는 무기도 많다.
미국이 전략무기 중의 전략무기인 핵잠수함 내부를 공개한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하와이 현지에서 만난 한국 외교관들은 “북한의 SLMB 발사실험 이후 핵잠수함을 공개하는 게 전쟁 억지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판단한 것 같다”고 말했다.
핵으로 추진되는 미 해군의 주력 잠수함인 버지니아급 미시시피함. 한 척을 건조하는 데 드는 비용이 20억 달러로 약 2조2100억원에 이른다. 지난해 11월 하와 이 진주만에 배치된 신형 핵잠수함이다.
◆어뢰와 ‘인디언 도끼’ 장착한 핵잠수함=핵잠수함 내부 견학은 함장 마이클 러케트 중령이 직접 안내했다. 잠수함에 탑승한 취재진은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한국언론진흥재단과 주한미국대사관이 공동 주최한 ‘한·미 안보포럼’ 참석 멤버들이었다.
잠수함 맨 아래층인 3층에 어뢰실이 있었다. 모두 24기의 어뢰를 저장하고 있는 곳이다. 언제라도 튀어나갈 수 있게 발사관에 장착된 초록색과 오렌지색 어뢰 4기가 눈에 들어왔다. 길이 6m, 무게 2t의 중(重)어뢰였다.
① 미시시피함 지휘소 내부. 소나(음향탐지기) 등의 장비가 빼곡히 들어서 있다. 함장인 마이클 러케트 중령이 기기 용도를 설명하고 있다. ② 어뢰실 내부. 어뢰가 양쪽으로 두 기씩 발사관에 장착돼 있다. 총 24기가 탑재돼 있다. ③ 네이비실 요원들이 특수작전을 위해 드나드는 장소. ④ 잠수함 내부로 들어가거나 지하 1~3층을 오르내리려면 사다리를 이용해야 한다. ⑤ 성인 두 명이 지나다니기 어려운 좁은 복도. 출입문 등엔 소음을 경계하는 문구 등이 붙어 있다.
- 어뢰가 발사되면 속도가 얼마나 되나.
“토피도(어뢰)의 속도는 말 못한다. 다만 충분히 빠르다.”
그는 말을 흐렸지만 미 해군 주력 어뢰의 최대 속도는 40노트(선박의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 시속 74.08㎞) 정도라고 한다. 최근엔 50노트(92.6㎞/h) 이상 속도를 낼 수 있도록 개량했다는 말도 있다. 코끼리 정도의 몸체가 수중에서 시속 100㎞에 가까운 속도로 돌진해 부닥치면 어떻게 될까.
- 어뢰의 파괴력은.
“글쎄…. 한 방에 배 한 척(One shot, one ship)!”
조금 뜸을 들인 뒤 빙긋 웃으며 자신만만한 표정으로 말했다.
‘한 방에 배 한 척…. 아, 천안함!’
- 북한이 얼마 전 SLBM 발사실험을 했다. 북한 잠수함 능력에 대해선 어떻게 평가하나.
“내가 미 해군을 대표해서 얘기할 수는 없다.”
그는 즉답을 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의 눈은 ‘북한 잠수함? 그게 우리랑 비교가 되겠어’라고 말하고 있었다. 예상대로 그는 웃음을 멈추며 “우리가 지지는 않을 것 같다”는 답을 내놓았다. 그의 자신감엔 이유가 있었다. 물속 어디서 날아올지 모르는 잠수함 어뢰도 가공할 만한 무기이지만 미시시피함이 탑재한 주력무기는 ‘토마호크’다. 토마호크는 아메리칸 인디언의 전투용 도끼에서 따온 말이다. 이젠 미군의 힘을 상징하는 단어가 됐다. 2011년 리비아 공습 때 124기의 토마호크를 퍼붓고 전쟁 시작을 알린 것처럼 미국은 잠수함 등에서 적의 주요 타깃을 토마호크로 먼저 때린 뒤 개전한다.
◆SLBM 대 SLCM=토마호크는 크루즈(순항)미사일이다. 인공위성으로 표적까지의 지형을 촬영해 미사일의 전자계산기에 기억시켜 두면, 미사일이 비행하면서 입력된 지형과 실제 지형을 대조하면서 궤도를 수정해 나아가 목표물을 명중한다. 이런 ‘지형대응유도 방식’으로 크루즈미사일은 백발백중을 자랑한다. 지상 수m 높이로 저공비행할 수도 있고, 표적을 우회해서 공격할 수도 있어 방공레이더로 포착하기 어렵다.
크루즈미사일은 공중에서 발사할 수도 있고, 잠수함에서 쏠 수도 있다. 잠수함에서 발사하는 토마호크 크루즈미사일을 SLCM(Submarine-Launched Cruise Missile, 잠수함발사순항미사일)이라고 한다. SLBM과 SLCM의 차이는 ‘탄도미사일’(Ballistic Missile)과 ‘크루즈미사일’(CM)의 차이다. 탄도미사일은 인공위성 발사 때처럼 대형 로켓이 대기권 밖으로 나갔다가 다시 들어와서 목표 지점에 낙하하는 방식의 미사일이다. 대기권 밖에서 고속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요격이 극히 힘들고, 초장거리 타격이 가능하다. 둘을 평면비교하긴 어렵지만 파괴력은 탄도미사일이, 정확도는 크루즈미사일이 낫다.
한반도 유사시 SLCM은 북한의 주요 전략 목표물을 때리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군 관계자들은 말한다. SLCM이 SLBM을 얼마나 억지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지만 현 상황에선 핵심 전략무기인 것만큼은 분명하다. 미시시피함 정도의 핵잠수함엔 보통 수십기가 실린다고 한다. 그 SLCM이 미시시피함에 실려 있었지만 직접 눈으로 볼 순 없었다.
◆“펭귄부터 북극곰까지 다 관할한다”=미시시피함이 배속된 태평양 함대는 미 태평양 사령부 예하다. 태평양 사령부는 지구 표면의 약 52%가 작전지역이다. 남중국해에서의 중국과 베트남 간 영토 분쟁, 동중국해에서 일본과 중국 간 센카쿠(尖閣, 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열도 영토 갈등, 인도-파키스탄 분쟁, 태국과 필리핀의 반정부 폭력 사태에서부터 태평양 연안 국가들의 홍수·태풍·지진 사태까지 관할한다. 사령부에서 만난 영관급 장교는 “우리는 펭귄에서부터 북극곰까지 다 관할한다”고 자랑스레 말했다.
이를 위한 핵잠수함의 작전 범위가 미국 해군 홈페이지에 정리돼 있다.
‘▶미사일 수직발사대와 어뢰 발사관을 통한 은밀한 공격 ▶어뢰 등을 활용한 대잠수함 작전(적 잠수함 침몰, 진행 방해) ▶전자감지장치와 통신설비를 통한 첩보 수집·감시 및 정찰 ▶기뢰 부설 ▶수색과 구조, 정찰, 사보타주, 견제공격(diversionary attacks) 등의 특수작전’ 등이다.
특수작전 가운데 ‘사보타주’는 적의 사용을 막기 위해 장비나 운송시설 등을 고의로 파괴하는 방해작전이다. 견제공격은 아군의 공격 방향을 파악하지 못하도록 다른 목표 지점을 공격해 적의 방어 중점을 전환시키는 작전이다. 미시시피함에서 이런 특수작전을 수행하는 공간으로 이동했다. 어뢰실을 나와 좁은 복도로 이동하는 동안 ‘Silence is victory(침묵이 승리다)’라는 문구가 곳곳에 보였다. 잠수함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정숙함’이다. ‘소음=발각=패배’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록 아웃(Lock out) 트렁크’라는 푯말이 붙어 있는 곳에 도착했다. 둥근 철문이 열려 있었다. 네이비실(미 해군특수부대) 요원들이 특수작전 수행을 위해 들고나는 장소였다. 네이비실 요원이 트렁크 안으로 들어가면 문을 닫고 내부에 물을 채워 바깥으로 내보낸다. 2011년 5월 1일 오사마 빈 라덴 사살작전에 성공한 뒤 “제로니모(미군이 붙인 빈 라덴의 암호명), 적 사망(Enemy Killed In Action)!”이라고 타전했던 네이비실 요원들도 저런 곳을 드나들었을 것이다.
미시시피함은 이런 특수작전을 수행하도록 설계됐다. 낮은 수심의 연안에서도 잠항이 가능하다. 작전 나간 요원들을 데려올 새끼잠수함까지 탑재하고 있다.
네이비실 요원들은 평시엔 어뢰실의 발사레일 등을 치운 널찍한 공간에서 숙식과 운동을 하며 지낸다고 한다.
◆핵잠수함에 삼성전자 TV가=잠수함을 움직이는 지하 2층의 지휘소(Commanding Room)도 둘러봤다. ‘잠수함’ 하면 연상되는 ‘잠망경’이 없었다. 일행 중 한 명이 “왜 잠망경이 없느냐”고 묻자 데니스 밀슴 부함장이 “이제 그런 건 없다. 잠망경 대신 디지털카메라를 장착했다”고 설명했다. 모든 게 디지털화했다는 함장의 설명대로 지휘소엔 컴퓨터 모니터와 각종 기계들이 오밀조밀했다.
정면 잠수함 조종 모니터엔 ‘rudder(방향타), stern planns(잠항타), masts(돛대), steering mode(조종장치), diving mode(잠수장치)’ 등의 글자와 상태가 표시돼 있었다. 모니터는 손으로 접촉해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화면이었다. 모니터 아래엔 조이스틱(상하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레버)이 달려 있었다. 스틱을 앞으로 밀면 대형 잠수함이 더 깊숙이 잠수하고, 뒤로 당기면 잠수함이 위로 뜬다고 한다. 100m가 넘는 몸체의 잠수함은 수중에서 25노트(시속 46.3㎞) 속도로 나아갈 수 있다. 통제실 양쪽 벽면은 소나(음향탐지기)와 적 탐지 및 무기 발사 모니터로 빼곡했다.
미시시피함에는 137명의 승조원이 근무하고 있다. 러케트 함장은 “미 해군에서 상위 10%에 드는 인력”이라고 소개했다. 전원 군 경력 6년 이상의 부사관 이상으로, 잠수함 조종사와 부조종사는 경력 8~12년의 숙련병이라고 했다. 함장 자신은 21년 동안 5개의 핵잠수함을 번갈아 탔다고 한다. 유일한 휴식 공간인 식당으로 이동했다. 식사뿐 아니라 미팅도 하고, 영화도 함께 보는 식당 벽면에 걸린 TV가 삼성전자 제품이었다.
- 물과 공기 공급은 어떻게 하나.
“(핵 원자로를 통해) 물도 만들어 먹고, 산소도 만들어낸다. 음식만 있으면 평생 물 위에 떠오르지 않아도 된다.”
한국이나 북한이 소유한 잠수함은 핵 추진 방식이 아니라 디젤기관 추진 방식이라 주기적으로 떠올라 공기를 공급받아야 한다. 하지만 핵잠수함은 먹을 것만 있으면 모든 걸 자체 해결할 수 있어 수면 위로 올라오지 않고 잠항할 수 있다. 핵잠수함의 무서운 점이다.
- 한 번 작전하는 데 얼마씩 잠수함을 타나.
“56일간 계속 잠수함에서 지낸 적이 있다.”
- 그렇게 오래 있다 보면 병은 안 걸리나.
함장이 대답을 머뭇거리자 곁에 섰던 사병 한 명이 “홈 식(home sick)”이라며 대답을 가로챘다. 하긴 향수(鄕愁)야말로 토마호크로 잡을 수 없는 적이다.
[S BOX] 핵잠의 진화 … 세계 최초 노틸러스에서 영화 ‘크림슨 타이드’의 오하이오까지
세계 최초의 핵잠수함은 미국의 노틸러스호(1954년)다. 1870년 프랑스의 작가 쥘 베른이 쓴 『해저 2만리』라는 소설 속 노틸러스호에서 따온 이름이다. 핵잠수함 노틸러스호는 북극의 만년빙을 지나 북극점에 도달하는 등 맹활약을 하다 80년에 퇴역했다. 일반 디젤잠수함이 물 밖으로 자주 얼굴을 내밀고 스노클링을 하면서 숨을 쉬어야 하는 ‘물개’라면 핵잠수함은 장기간 잠수할 수 있는 ‘상어’다. 노틸러스호 이후 미국은 비약적인 핵잠수함 건조능력을 확보했다.
미국의 핵잠수함은 ‘공격형 핵잠수함’(SSN)과 ‘전략형 핵잠수함’(SSBN) 두 종류가 있다. SSN에서 ‘SS’는 ‘빠른 공격형 잠수함’을, ‘N’은 ‘핵 추진’을 의미한다. 미 해군은 홈페이지에 “SSN은 세계에서 가장 고성능에 소음이 적은 핵잠수함”이라고 평가해놓았다.
미국은 SSN의 주력을 구형 LA급(6000t급)에서 신형 버지니아급으로 교체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된 ‘미시시피 SSN-782’함은 버지니아급이다. 버지니아급은 현재 14척이 실전배치됐으며 30여 척을 추가로 건조 중이다. 미시시피함은 9번째 버지니아급 잠수함이다.
SSBN은 핵탄두를 장착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탑재하고 있다. 미국과 영국·프랑스·러시아·중국 5개국에서만 운용하고 있다. 미 해군의 오하이오급 잠수함(1만9000t급)은 전략핵잠수함의 간판이다. 사상 최대의 잠수함인 러시아의 타이푼급 잠수함(2만6000~4만8000여t)이 등장하기 전까진 세계에서 제일 큰 잠수함이었다. 95년 개봉된 진 해크먼 주연의 영화 ‘크림슨 타이드(Crimson Tide)’에 등장하는 앨라배마호가 오하이오급 핵잠수함이다.
[중앙일보] 2015.05.30.
**********************************
Life on nuclear submarine USS Mississippi, partly built at Quonset
USS Mississippi (SSN-782) -- Virginia-Class Attack Submarine
**********************************
미국의 핵추진 잠수함을 타보니…
지난 주 하와이에서 열린 한미 안보포럼에 참석한 한국의 중견 언론인들이 하와이에 정박 중인 미국의 최신예 핵 잠수함 미시시피호에 승선했다. 미 태평양 사령부의 초청이다. 미국이 핵잠수함을 한국 언론에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지만 과거 어느 때보다도 내부가 자세히 공개됐다. 심지어 어뢰실까지.
핵잠수함은 군사기밀로 잘 공개하지 않는다는데 왜 이 시점에서 한국 언론에 공개하는 것일까? 그런 의문을 갖고 잠수함에 올랐다. 물론 바닷속 잠수가 아니라 정박해 있는 잠수함의 내부를 돌아보는 거다. 잠수함에는 휴대전화 반입이 금지됐다. 대신 미군 측에서 우리 일행의 모습을 촬영해 CD에 담아 그날 밤 숙소로 전달해왔다.
● 핵추진 잠수함 미시시피호 (SSN - 782)
우리에게 내부를 공개한 잠수함은 미국의 핵 추진 잠수함 미시시피호. 배수량 7800톤, 길이 115미터의 버지니아급으로 아직 작전에 투입된 적이 없는 최신예 핵 추진 공격형 잠수함이다. 2011년 12월 건조돼, 지난해 11월 하와이 진주만 히컴 합동기지에 배치됐다.
통역을 포함한 일행 15명은 2개 조로 나뉘어 승선했다. 잠수함 내부가 비좁아 많은 인원이 함께 움직이기 어렵기 때문. 1조는 함장(중령), 2조는 부함장(소령)이 안내했는데 필자는 2조였다.
잠수함으로 내려가는 통로는 좁고 가파른 사다리 길이었다. 조심스럽게 내려가니 역시 좁은 복도가 나온다. 잠수함 표면을 지표로 보아 맨 윗층을 지하 1층이라고 부른다. 잠수함 내부는 지하 1, 2, 3층. 이렇게 3개 층으로 이뤄진 구조다.
지하 1층 좁은 복도의 옆에는 선원들의 침실이 있다. 킹사이즈 침대 하나 들어가는 공간에 6명이 잘 수 있도록되어 있다. 3층짜리 침대가 마주 보는 구조다. 잠수함 공간이 좁으니 어쩔 수 없다. 그래서 키가 아주 큰 사람은 잠수함 요원으로 선발하지 않는다고 한다. 미시시피호의 승무원은 모두 137명이다.
● 수중침투 장치(Lock out trunk)
침실을 지나 좀 더 가면 동그란 철제문이 나온다. 바닷속에서 특수요원들이 잠수복을 입고 밖을 오갈 수 있는 공간이다. 여기에 들어가면 문이 차단되고 물이 들어온 뒤에 밖으로 나갈 수 있다. 다시 좁은 계단을 내려가 지하 2층으로 향한다.
● 작전실 (Commanding room)
지하 2층에는 잠수함을 조종하는 작전실이 있다. 6년 이상 경력의 정예 요원들이 일하는 장소다. 함장 자리는 작전실 전경을 볼 수 있는 뒤쪽에 있고, 앞쪽에는 여러가지 모니터와 함께 조종석이 있다. 조타수와 부조타수, 두 사람이 잠수함을 조종하는데 조이스틱으로 조종한다는 게 흥미로웠다. 조이스틱을 앞으로 밀면 밑으로 하강, 당기면 상승, 그리고 좌우로 돌리며 방향을 바꾼다.
잠수함의 상징인 잠망경은 없었다. 이제는 디지털 카메라로 밖을 내다보고 모니터에 보여주기 때문에 잠망경은 흘러간 장비가 되었다. 그래서 작전실도 지하 1층에서 2층으로 내려올 수 있었다고 한다.
● 어뢰실 (Torpedo room)
다시 지하 3층으로 내려갔다. 어뢰실이다. 잠수함 내에서 가장 넓은 공간이다. 미시시피호는 24발의 어뢰를 장착하는데 연습용 어뢰(오렌지색)와 실전 어뢰(초록색) 한 발씩을 볼 수 있었다. 어뢰를 움직이는 레일들이 있고 4개의 발사장치가 있어서 짧은 시간에 재장전과 발사가 가능하다고 한다. 특수부대원 같은 외부 인력이 잠수함에 승선할 경우 이 어뢰실에 그들이 머물 공간을 만든다고 한다.
어뢰의 파괴력은? '한 방에 배 한 척'(one shot, one ship)이라고 대답한다. 미시시피호는 토마호크 미사일도 탑재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 만은 공개하지 않았다.
● 잠수함 식당에서의 대화
이렇게 조종실과 어뢰실을 보고 다시 지하 1층으로 올라갔다. 잠수함 내 식당이 나온다. 의자와 테이블 사이가 좁다. 키가 크거나 뚱뚱한 사람은 앉기가 힘들다. 식당 벽면에 삼성전자 TV가 걸려 있다. 주로 DVD를 보는 용도다. 우리 2조를 안내한 부함장과 함께 잠수함 생활에 대해 얘기를 나눴다.
<잠수함에서 식사는 어떻게 하나?>
- 보다시피 공간이 좁아서 돌아가면서 식사를 한다. 잠수함 생활이 어려운 만큼 최대한 좋은 식사를 제공하려고 한다. 잠수함에서 물과 산소는 만들어 내지만 음식은 싣고 간 것들을 소비한다. 야채와 과일 등 신선식품은 10일 이내에 떨어진다. 잠수함 내에선 술이나 담배는 전혀 못한다.
<어떤 사람이 잠수함 선원이 되나?>
- 백 퍼센트 지원병 가운데 선발한다. 우리는 미 해군 중 상위 10%에 드는 요원들이라고 자부한다. 한번 잠수함 병이 되면 군 생활 내내 보직이 바뀌지 않는다. 선발된 병사들은 6개월에서 2년에 걸쳐 군사훈련을 받고 이후에도 6개월 이상 실전 훈련 등을 거쳐 배치된다.
<잠수함을 타면 느낌이 어떤가? 물속에서 흔들리지는 않나?>
- 예전 모델은 밑으로 잠수할 때 많이 흔들렸다. 영화에 나온 것처럼. 하지만 지금은 몸체를 바꿨다. 흔들림 없이 편안하다.
<본인의 근무 경험은?>
- 21년 동안 5개 잠수함을 탔다. 수면 위로 올라오지 않고 56일간 잠수한 게 가장 길었다.
<이런 잠수함 1대의 건조비는 어떻게 되나?>
- 미시시피호의 건조비는 20억 달러다.
● "북한 잠수함 능력? 하하 우리가 지지는 않겠지"
1조를 안내한 함장은 다음과 같은 얘기를 했다고 일행들이 전했다.
<북한의 잠수함 능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 글쎄...내가 평가하는 것은 부적절하지만, 적어도 우리가 지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면서 웃음. "뭐 그런 친구들과 우리를 비교하느냐"는 뉘앙스였다고 한다.)
이렇게 미국의 핵 잠수함 내부를 살펴보았다. 군사전문가라면 더 많은 것을 보았겠지만 아쉽게도 일행 중 그런 전문가는 없었다. 미군 측은 한국의 중견 언론인들에게 핵잠수함 내부를 공개하는 이유를 따로 밝히지 않았다. 이번 포럼 일정에서 만난 미 태평양 사령부의 고위 군인들은 미국의 군사력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피력했는데 잠수함 공개도 그 일환이 아닐까 짐작해본다.
미군측 인사들은 한국의 군사력도 강하며 한미 동맹은 미국에게 매우 중요하다는 말도 잊지 않았다.
중국의 영향력 확대에 대응하는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Rebalance) 정책 속에서 한미일 동맹에 한국을 단단히 붙잡아 놓으려는 미국의 이해관계와 속내를 짐작할 수 있었다.
[SBS뉴스] 2015.05.29.
**********************************
美 태평양함대 최신예 핵잠수함 미시시피호를 타다
美 해군 상위 10%만 승선… 어뢰 한 발이면 적함 격침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사출시험 성공에 이어 중국이 최근 해군력 강화 방침을 골자로 한 국방백서를 발표하면서 태평양 지역에서의 잠수함 전력 경쟁이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보유 함정의 60%를 아·태 지역에 배치한다는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과 일본의 전후 체제 탈피 시도에 맞선 중국의 대응으로 긴장감이 감도는 상황에서 미 태평양통합사령부(PACOM)가 지난 21일 미 태평양함대 보유 최신예 핵잠수함인 미시시피호(SSN 782)를 한국 언론에 전격 공개했다. 사거리 1000㎞가 훨씬 넘는 토마호크미사일과 어뢰로 중무장한 미 해군의 주력인 버지니아급(7800t) 공격형 핵잠수함 미시시피호의 내부가 한국 언론에 공개된 것은 처음이다.
따가운 햇살이 내리쬐는 하와이 진주만히컴합동기지에서 위용을 드러낸 미시시피호는 2012년 6월 취역한 9번째 버지니아급 핵잠수함으로, 지난해 11월 태평양함대사령부에 배치됐다. 올 하반기나 내년 상반기 첫 작전 투입을 앞두고 시험 운행과 정비가 한창이었다.
▲ 미시시피호
▲ 미국 태평양통합사령부가 지난 21일 하와이 진주만히컴합동기지에 정박 중인 태평양함대 소속 최신예 버지니아급 공격형 핵잠수함 미시시피호 내부를 한국 언론에 전격 공개했다. 어뢰실까지 공개한 것은 이례적이다. 마이클 러킷(왼쪽) 미시시피호 함장이 지하 2층에 위치한 지휘통제실에서 최첨단 군사장비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미 태평양함대사령부 제공
▲ 지하 3층에 있는 어뢰실. 왼쪽 오렌지색은 연습용 어뢰이고, 오른쪽 초록색은 실전용 어뢰다. 안쪽에 어뢰발사장치가 보인다. 미 태평양함대사령부 제공
▲ 지하 1층에 있는 특수부대원들의 수중 침투용 캡슐인 록아웃트렁크 모습. 미 태평양함대사령부 제공
●토마호크 미사일 12기 동시 발사 ‘수직발사대’ 설치
미시시피호 선상에서 한국 기자들을 맞은 21년 경력의 함장 마이클 러킷 중령은 잠수함 앞머리를 가리키며 “토마호크 미사일 12기를 동시에 발사할 수 있는 수직발사대가 설치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시시피호는 적의 잠수함과 함정을 탐지, 격퇴하고 특히 연안 근해에서 특수부대원의 상륙 및 철수 작전을 지원한다”고 임무를 설명했다. 이어 지휘통제실과 핵심 시설인 어뢰실, 특수부대원 수중 침투용 시설인 록아웃트렁크(Lock Out Trunk) 등으로 안내했다.
좁은 통로를 사다리를 타고 내려가니 복도 양옆으로 승조원들의 숙소가 나왔다. 양쪽으로 3층 침대가 비좁게 놓여 있다. 6명이 한 방을 쓴다. 생각보다는 여유가 있는 복도를 지나 한쪽 끝에 위치한 록아웃트렁크를 둘러봤다. 성인 가슴팍 정도 높이에 위치해 있어 작전에 투입되는 특수부대원 9명이 동시에 원통형 출구를 통해 근해에서 잠수함 밖으로 나갔다 들어올 수 있는 설비다. 같은 층에는 승조원과 장교들을 위한 식당이 있다. 공간이 한정돼 있어 승조원들이 조를 짜 번갈아 가며 식사를 한다. 벽면에 걸린 삼성TV가 눈에 띄었다. 산소와 물, 전기는 모두 자체 생산해 쓰고 있다. 문제는 식량이다. 과일과 채소 등 신선식품은 7~10일밖에 버티지 못해 이후부터는 통조림과 건조식품을 주로 먹지만 “맛은 괜찮다”며 웃었다.
●자동항법장치·터치스크린… 모든 장치 디지털화
한 층을 더 내려가니 잠수함의 중심부인 지휘통제실이 나왔다. 정면에 조타수와 부조타수가 앉아 잠수함을 조종할 수 있는 대형 모니터들이 있고 왼쪽에 수중음파탐지기(소나), 오른쪽에 토마호크와 어뢰 등 무기 발사 시스템이 자리했다. 소나는 5개 목표물을 동시에 추적할 수 있다고 한다. 잠수함은 모든 장치가 디지털화돼 있었고, 터치스크린과 조이스틱으로 조종하도록 돼 있었다. 러킷 함장은 “기존의 잠수함들은 잠망경 때문에 지휘통제실이 지하 1층에 있었는데 버지니아급은 잠망경 대신 디지털카메라가 장착된 무잠망경 시스템으로 설계됐다”며 “덕분에 통제실이 지하 2층으로 내려와 공간에 훨씬 여유가 생겼다”고 말했다. 러킷 함장은 잠수함의 특성상 최정예 병사들을 선발한다고 했다. “해군 수병들 중에서 철저한 검증을 거쳐 선발된 병사들은 6개월에서 1년의 훈련 과정을 마친 뒤 승선하며, 작전에 투입되기 전에 1년 이상 실무 훈련을 또 받는다”면서 “지휘통제실에는 최소 6년 이상 된 부사관들이 근무하며 조타수와 부조타수는 8~12년 경력의 베테랑”이라고 밝혔다. 데니스 밀솜 부함장(소령)은 상위 10%가 선발된다고 덧붙였다.
러킷 함장은 미시시피호가 5번째 잠수함이며 최장 56일간 잠수 작전을 폈던 기록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일부 작전은 90일까지 진행되기도 한다고 전했다. 이 때문에 잠수함 승조원은 강인한 체력 못지않게 정신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승조원들에게 제공되는 과일파이. 미 태평양함대사령부 제공
▲ 승조원들의 숙소. 벽 양쪽으로 3층 침대가 놓여 있어 6명이 한 방을 사용한다. 미 태평양함대사령부 제공
●최장 90일 잠행작전… 승조원 체력·정신력 필수
지하 3층에는 외부에 잘 공개하지 않는 핵심 시설인 어뢰실이 위치한다. 24문의 어뢰를 이동시키기 쉽게 레일이 설치돼 있었다. 방문 당시 2문의 어뢰가 장전돼 있었다. 오렌지색은 연습용이고 초록색은 실제 어뢰였다. 좌우에 2문씩 어뢰발사장치 4문이 보였다. 러킷 함장은 어뢰의 파괴력을 묻는 질문에 “어뢰 한 발에 배 한 척이죠”라고 답했다. 여기에 적의 소나에 걸리지 않는 스텔스 기능까지 갖췄다. 북한의 잠수함 능력을 묻는 질문에는 웃음으로 대신했다. 그는 “어뢰실은 필요에 따라 레일을 걷어 내고 장비를 더 싣거나 특수부대원들이 머무는 공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한번 작전에 나가면 한 달에서 길게는 석 달간 바다에 머무는데, 체력 관리가 궁금했다. 승조원들은 “조금이라도 공간이 나면 (접이식) 자전거를 놓고 수시로 운동한다”고 밝혔다. 물론 잠수함 내에서 술·담배는 금물이다.
미 해군은 현재 총 73척의 핵잠수함을 보유하고 있다. 오하이오급(1만 8000t급) 전략핵잠수함(SSBN, SSGN) 18척, 버지니아급 핵잠수함 11척, 시울프급 3척, 로스앤젤레스급 41척 등이다. 이 가운데 태평양 지역에 전략핵잠수함 8척과 공격형 핵잠수함 55척 가운데 27척이 배치돼 있다.
●美 태평양통합사령부(PACOM)는
하와이 진주만에 위치한 미 태평양통합사령부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인 1947년 1월 1일 태평양 지역의 평화 유지와 안보 강화를 위해 설립된 가장 오래된 미국 통합군사령부 가운데 하나다.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사령부를 통합해 지휘하고 있다. 지난 27일 태평양통합사령관에 취임한 신임 해리 해리스 해군 대장은 상원 청문회와 취임식을 빌려 북한의 위협을 매우 중시한다는 입장을 밝혀 향후 행보가 주목된다.
전 지구 면적의 52%를 관할한다. 관할 지역 안에 36개국과 16개의 시간대가 있다.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이 지역에 집중돼 있다. 미국이 상호군사조약을 체결한 7개국 중 5개국이 위치해 있을 정도로 군사·안보 전략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서울신문] 2015.05.30.
**********************************
“1발에 1척”… 美핵잠수함 어뢰실 내부 첫공개
최신예 미시시피호 탑승 르포
길이 10m 어뢰 미국의 핵추진잠수함 미시시피호(7800t급)의 어뢰실 모습. 왼쪽 어뢰는 연습용, 오른쪽은 실제 어뢰다. 승조원은 총 137명이며 건조비용은 2조2170억 원이 넘는다. 미국 태평양함대사령부 제공
검색대를 통과하자마자 거대한 검은색 고래의 모습을 한 잠수함이 나타났다. 고래의 등과 같은 잠수함 위로 발을 옮겨 사다리를 타고 내려간 내부는 첨단 시설을 갖춘 작전사령부의 실내에 들어온 인상을 준다. 좁고 낮은 천장. 키가 170cm인 기자가 답답할 정도다. 그래도 7800t급이다. 한국 기술로 만든 214급 유관순함은 1800t,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쐈다는 북한 잠수함은 2000t급이다. 미국 하와이 진주만에 있는 태평양함대사령부가 21일 한국 언론에 공개한 버지니아급 핵추진잠수함 미시시피호(SSN-782)의 위용은 압도적이었다. 승조원만 137명에 이른다.
마이클 러킷 함장은 한국 기자단을 곧장 지하 3층 어뢰실로 안내했다. 미군이 한국 민간인에게 처음으로 핵추진잠수함의 어뢰를 공개한 순간이었다. 전날 태평양함대사령부를 방문했던 한국 국회 국방위원들은 이미 몇 번 공개됐던 이지스함에 승선했을 뿐이다.
물속에 있어서일까, 아니면 10m에 가까운 어뢰의 차가운 기운 때문이었을까. 냉기가 느껴졌다. 바깥의 후텁지근한 하와이 날씨와는 전혀 다른 기류였다. 주황색은 연습용, 초록색은 실제 어뢰였다. 러킷 함장은 어뢰의 파괴력에 대해 “한 발에 배 한 척(One Shot, one Ship)”이라고 했다. 미시시피호는 어뢰 24기와 토마호크 미사일 12기를 장착할 수 있는 공격형 잠수함이다. 속도는 수중에서 25노트(시속 약 46km). 건조비용만 20억 달러(약 2조2170억 원)에 이른다.
함장에게 북한 SLBM에 대해 물었다. 그러자 “해군을 대표해 얘기할 순 없지만 우리(미국)가 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신감이 묻어났다.
핵추진잠수함의 강점은 잠항 능력. 미시시피호는 한번에 90일까지 물속에서 작전을 수행한다.
작전실은 지하 2층에 있다. 과거 영화를 통해 접한 잠수함의 상징적인 장비는 잠망경이었다. 하지만 미시시피호엔 잠망경이 없다. 모든 장비를 디지털화했기 때문이란다. 터치스크린으로 좌표를 설정하고 조이스틱으로 조종한다.
지하 1층의 승조원 숙소. 커튼을 젖혀 보니 3층 침대가 2개다. 6명이 자는 숙소. 덩치가 큰 미국인들이 이런 좁은 침대에 들어갈 수나 있을까. 눈치 빠른 한 관계자는 “키가 큰 사람은 잠수함 근무자로 뽑지 않는다”고 귀띔한다.
미국이 한국 언론에 진주만에 배치된 지 6개월밖에 안 되는 최신예 잠수함을 공개한 이유는 뭘까. 최근에 SLBM 수중사출시험을 한 북한에 대한 경고의 뜻도 담겨 있는 듯했다. 하와이 한국 총영사관 관계자는 “핵잠수함은 그 자체를 외부에 잘 공개하지 않는 전략무기”라며 “어뢰실은 더더욱 공개된 적이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하와이에서 만난 미 군사외교 전문가 대부분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태평양으로 나서려는 중국을 경계했다. “함께 갑시다”라는 모토로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강조하기 위한 뜻으로 보였다. 2011년 12월에 진수된 미시시피호는 정비를 마치는 올 하반기에 실전 배치된다.
[동아닷컴] 2015.05.30.
'★군사무기·장비 > 수중무기·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웨덴 스텔스 잠수함...그 놀라운 성능 (0) | 2015.07.04 |
---|---|
“北 SLBM 잠수함 발사관은 1개뿐… 일격필살의 전술” (0) | 2015.06.11 |
The Largest Submarine in the US Navy (0) | 2015.05.24 |
미해군 원자력 잠수함(SSN, SSBN, SSGN) 현황 (0) | 2015.05.24 |
해군 최초 잠수함 209급 '장보고함' (0) | 201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