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브라 헬기 뜨고 자주포 불 뿜어…적 초토화
● 軍, 서북도서 및 동·서해 일대서 대규모 해상사격훈련
합동전력 대거 투입
해병대원 등 1000 여명 참여
적 도발 가정 조건반사적 대응
기습강점 포착 화력 불 뿜어
해상에선 해병대 고속단정
지상선 KAAV가 입체작전
해군도 영해수호 해상 기동
해군 1·2함대 장병들도 나서
대잠 폭뢰·폭탄 등 투하
대함·대공사격도 ‘쏜살같이’
NLL 사수 필승의지 다져
4일 서북도서 및 동·서해 일대에서 대규모 해상사격훈련이 이뤄진 가운데 백령도 해상 진지 상공에서 코브라 헬기가 2.75인치로켓을 발사하고 있다.
4일 열린 해상사격훈련에서 해병대6여단 K9 자주포가 백령도 진지에서 포탄을 발사하고 있다.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예고로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우리 군이 적 도발에 대비한 해상사격훈련을 강도 높게 전개했다.
합동참모본부(이하 합참) 예하 서북도서방위사령부(이하 서방사)와 해군1·2함대는 4일 서북도서 및 동·서해 상에서 대규모 사격훈련을 했다.
이번 훈련은 우리 군의 합동작전 수행 능력을 제고하고, 서북도서 지역에 감시·타격 능력을 지속적으로 보강해온 북한군이 또다시 도발하면 강력한 화력으로 응징하겠다는 결의를 다지기 위해 추진됐다.
서북도서 해상사격훈련은 백령도와 연평도에서 동시에 진행됐다. 훈련에는 해병대원을 포함한 장병 1000여 명과 K9 자주포, 한국형 상륙돌격장갑차(KAAV), 코브라 공격헬기(AH-1S), 발칸, 해안포 등 합동전력이 대거 투입됐다.
훈련은 적이 서북도서에 화력 도발을 감행하는 것으로 문을 열었다. 우리 군은 현장 지휘관의 지휘에 따라 조건반사적인 대응작전에 돌입했다.
군은 신속히 주민대피령을 발령한 후 부대별 전투진지를 점령했다. 1년에 400회 가까운 전투배치훈련을 한 해병대원들의 움직임은 일사불란했다. 전투진지를 점령한 이들은 K9 자주포로 도발 원점에 대응사격을 했다.
치열한 대화력전이 펼쳐지는 동안 적이 기습강점을 시도하는 게 포착됐다. 이에 따라 우리 군의 전차·해안포·발칸이 불을 뿜었고, 코브라 공격헬기도 이륙해 근해로 접근하는 적을 격멸했다.
해상에서는 해병대 고속단정(RIB)이, 지상에서는 KAAV가 입체작전을 벌이며 남아있던 적을 완전히 소탕했다. 훈련은 우리 군의 합동전력이 적의 도발 원점과 지원·지휘세력을 초토화하는 것으로 막을 내렸다.
해병대6여단 포병중대장 김휘성 대위는 “우리 대원들은 언제, 어떤 상황이 발생해도 즉시 방아쇠를 당길 수 있는 응전태세를 갖추고 있다”며 “숨 죽여 먹이를 기다리는 맹수처럼 적이 도발하면 모든 것을 쏟아부어 숨통을 끊어버릴 것”이라고 다짐했다.
해군도 이날 영해 수호를 위한 해상기동훈련을 벌였다. 훈련에는 3200톤급 구축함을 비롯한 수상함 20여 척과 잠수함, 해상초계기(P-3)·해상작전헬기(Lynx)·공군 KF-16 전투기 등 항공기 10여 대, 해군특수전전단(UDT/SEAL) 장병 등이 참가했다.
1·2함대 장병들은 대잠 폭뢰·폭탄 투하를 포함한 적 잠수함 탐색·격멸훈련, 적 수상함과 항공기의 북방한계선(NLL) 침범에 따른 대함·대공 사격훈련을 숨 돌릴 틈 없이 전개했다. 이를 통해 적에게 단 한 치의 영해 침범도 용납하지 않고, 싸우면 반드시 이긴다는 필승의 의지를 다졌다.
2함대 해상기동훈련을 진두지휘한 강석봉(대령) 전투전대장은 “이번 훈련을 통해 NLL 사수 의지를 고양하고, 적의 도발을 신속·정확·충분하게 응징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확인했다”며 “최고도의 전력을 갖춘 만큼 적과 지금 당장 싸워도 승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령도에서 글=윤병노/사진=이경원 기자
[국방일보] 2016.02.04.
*****************************************
軍, 백령도·연평도서 北도발 격퇴 훈련…"실전 방불" (종합)
北 장거리미사일 발사·추가 도발 위협에 경고 메시지
K-9자주포·코브라헬기·KAAV 등 입체작전으로 적 초토화
백령도 훈련 언론에 공개…기습 강점 시도하는 적 소탕
서북도서 해상사격훈련
(서울=연합뉴스) 군은 북한이 국제사회의 우려에도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 준비에 착수한 데 대해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고자 4일 동·서해상에서 동시다발로 대규모 해상사격훈련을 실시했다. 합참 예하 서북도서방위사령부는 이날 서해 최북단 백령도와 연평도에서 북한의 포격 도발과 서북도서 기습 강점 시도를 가정한 해상사격훈련을 했다. << 합참 제공 >>
(서울=연합뉴스) 이영재 기자 = 우리 군은 북한이 국제사회의 우려에도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 준비에 착수한 데 대해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고자 4일 동·서해상에서 동시다발로 대규모 해상사격훈련을 실시했다.
특히 합참 예하 서북도서방위사령부는 이날 서해 최북단 백령도와 연평도에서 북한의 포격 도발과 서북도서 기습 강점 시도를 가정한 해상사격훈련을 했다.
훈련에는 병력 1천여명과 K-9 자주포 40여문, 전차, 상륙돌격장갑차(KAAV), 코브라 공격헬기, 벌컨포, 해안포 등 장비 200여 대가 투입됐다.
훈련은 북한군이 화력 도발을 하고 서북도서의 기습 강점을 시도하는 상황을 가정해 우리 군이 반격에 나서 북한군을 궤멸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서북도서방위사령부가 이날 언론에 공개한 백령도 K-9 자주포 진지에서는 K-9 6문이 모두 24발의 포탄을 가상의 적진을 향해 발사했다.
K-9 자주포가 천지를 뒤흔드는 굉음과 함께 불을 뿜자 포탄들은 공기를 가르며 날아가 가상의 북한군 도발 원점에 명중했다.
서북도서 해상사격훈련
(서울=연합뉴스) 군은 북한이 국제사회의 우려에도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 준비에 착수한 데 대해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고자 4일 동·서해상에서 동시다발로 대규모 해상사격훈련을 실시했다. 합참 예하 서북도서방위사령부는 이날 서해 최북단 백령도와 연평도에서 북한의 포격 도발과 서북도서 기습 강점 시도를 가정한 해상사격훈련을 했다. 훈련에는 병력 1천여명과 K-9 자주포 40여문, 전차, 상륙돌격장갑차(KAAV), 코브라 공격헬기, 벌컨포, 해안포 등 장비 200여 대가 투입됐다. 2016.2.4 << 합참 제공 >> photo@yna.co.kr
후방에서 날아온 코브라헬기는 해안 상공에서 정지비행(호버링)을 하며 기관총을 발사해 백령도 기습 강점을 시도하는 적의 접근을 막았다.
M-48 전차 3∼4대도 해안으로 기동하며 90㎜ 포 사격을 퍼부었고 한국형 상륙돌격장갑차(KAAV)는 기관총 사격으로 적을 정밀 사살하며 소탕작전을 마무리했다.
현장은 포격과 총격 소리로 가득 찼고 매운 화약 냄새가 진동했다. 강한 바닷바람이 불어 몹시 추운 날씨 속에서도 장병들은 단 한 번의 실수도 하지 않고 정교하게 훈련을 진행했다.
훈련에 참가한 해병대 6여단 포병중대장 김휘성 대위는 "우리는 어떤 상황이 발생해도 방아쇠를 당길 수 있는 응전태세를 갖추고 있다"며 "적이 도발하면 모든 것을 쏟아부어 단숨에 적의 숨통을 끊어버리겠다"고 다짐했다.
이번 훈련은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예고한 북한이 서해 최전방 지역에서도 심상치 않은 움직임을 보이는 데 대한 경고 차원에서 실시됐으며, 실전을 방불케 할 정도로 긴박하게 진행됐다.
북한군은 최근 서해 NLL 해역에서 포 사격훈련과 함정 상황조치훈련을 눈에 띄게 강화하는 등 위협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됐다.
서북도서 해상사격훈련
(서울=연합뉴스) 군은 북한이 국제사회의 우려에도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 준비에 착수한 데 대해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고자 4일 동·서해상에서 동시다발로 대규모 해상사격훈련을 실시했다. 합참 예하 서북도서방위사령부는 이날 서해 최북단 백령도와 연평도에서 북한의 포격 도발과 서북도서 기습 강점 시도를 가정한 해상사격훈련을 했다. 훈련에는 병력 1천여명과 K-9 자주포 40여문, 전차, 상륙돌격장갑차(KAAV), 코브라 공격헬기, 벌컨포, 해안포 등 장비 200여 대가 투입됐다. << 합참 제공 >>
해군 1함대와 2함대도 이날 각각 동해와 서해상에서 북한군 잠수함 탐색, 대잠 폭뢰 투하, P-3 해상초계기 대잠 폭탄 투하 등 잠수함 격멸훈련을 실시했다.
1·2함대의 훈련에는 3천200t급 구축함 광개토대왕함을 포함한 수상함 20여척, 잠수함, P-3 해상초계기, 링스 해상작전헬기와 공군 KF-16 전투기 등 항공기 10여대가 투입됐다. 해군 특수전전단(UDF/SEAL) 요원들도 참가했다.
2함대 훈련을 지휘한 22전투전대장 강석봉 대령은 "이번 훈련은 우리 군의 북방한계선(NLL) 사수 의지를 고양하고 적의 도발에 맞서 신속, 정확, 충분하게 화력을 집중해 적을 격멸하고자 실시됐다"고 강조했다.
강 대령은 "서해 전투함들이 최고의 전투력을 갖춘 지금, 북한군과 당장 싸워도 승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2016.02.04.
*****************************************
4일 '가용전력 총동원' 동·서해상 사격훈련‥"北 타격의지 천명"
軍, "언제든 방아쇠 당길것"‥대규모 무력시위 '해상사격훈련'실시
주한미군도 레인저 등 특수부대 한반도 전개사실 공개
▲ 불뿜는 해병대 M-48 전차.ⓒ합참
우리군은 북한이 핵실험 후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예고하는 등 도발을 지속에 대해 응징 결의를 보여주고자 동·서해상에서 무력시위성 대규모 해상사격훈련을 실시했다.
합동참모본부는 4일 이번 훈련에 대해 북한의 어떠한 도발도 즉각 응징할 수 있다’는 우리 군의 합동작전 수행 능력과 北핵 불용의 결연한 의지를 천명하고 도발해 올 경우 강력한 화력으로 응징하겠다는 결의를 다지고자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훈련은 서해 백령도와 연평도에서는 적이 기습 포격 도발한 뒤 기습 강점한 상황을 상정해 실시됐다. 먼저 포격이 시작되자 현장 지휘관 중심으로 조건반사적인 대응작전이 신속하게 전개됐다.
주민대피령이 발령되자 K-9자주포와 전차, 발칸포, 해안포 등이 부대별로 전투진지에 들어가 포에 불을 뿜기 시작했다. 이날 훈련에는 장병 1000여명과 K-9자주포 40여문, 전차, KAAV, 코브라 공격헬기, 발칸포, 해안포 등 200여점의 공격장비가 대거 투입됐다. 해병들은 이곳에서 연 400회 가량의 전투배치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 공중사격하는 AH-1S 코브라.ⓒ합참
숙달된 해병들이 재빨리 전투진지에 들어가 전투태세를 갖추자 K-9자주포가 먼저 대응사격을 시작했다. 훈련에 참가한 해병대 6여단 포병중대장 김휘성 대위는 “어떤 상황에도 방아쉬를 당길 준비가 되어 있다”며 “숨죽여 먹이를 기다리는 맹수처럼 적이 도발하면 단숨에 숨통을 끊어버리겠다”며 강한 결의를 보였다.
양측간 포사격이 진행되는 가운데 적이 백령도와 연평도를 기습 점령하려는 시도가 관측되자, 우리 군의 전차와 해안포, 발칸포 등이 집중 사격을 가했다. 이어 육군의 코브라 공격헬기가 이륙해 근해로 접근하는 적을 격멸했다. 해상에서는 해병대 고속단정이, 지상에서는 한국형 상륙돌격장갑차(KAAV)가 수륙 양면에서 입체적인 작전을 추가로 벌여 남은 적들을 소탕했다. 지상과 공중, 해상에서 육군과 해군 합동 전력이 기습해온 적을 초토화시킨 후에야 상황이 종료됐다.
해군은 동해와 서해상에서 해상기동훈련을 실시했다. 1,2함대는 동서해상에서 각각 적 잠수함 탐색작전을 펼치고 잠수함을 목표로 폭뢰를 투하했다. P-3 해상초계기 역시 대잠폭탄 투하훈련을 하며 잠수함 격멸작전에 참여했다.
▲ 1함대 광개토함이 동해상에서 해상사격을 하고 있다..ⓒ합참
또 적 수상함과 항공기가 NLL을 넘어서는 도발을 하는 경우 격멸하기 위해 대함사격과 대공사격 등 대규모 화력시험을 이어갔다.
이날 해군 1·2함대 해상기동훈련에는 3200톤급 구축함 광개토대왕함을 비롯한 수상함 20여척, 잠수함, P-3 해상초계기, Lynx 해상작전헬기와 공군 KF-16 전투기 등 항공기 10여대, 해군특수전전단 등 대규모 입체전력이 참가했다.
2함대 해상기동훈련을 현장에서 지휘한 22전투전대장 강석봉 대령은 “이번 훈련은 장병들의 NLL 사수 의지를 고양하고, 적의 도발에 맞서 신속, 정확, 충분하게 화력을 집중, 격멸해 우리 영해를 수호하기 위한 훈련”이라며, “서해 전투함들이 현재 최고도의 전투력을 갖춘 만큼 지금 당장 싸워도 승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주한미군도 75레인저 연대와 1공수특전단의 한반도 전개 사실을 알렸다.
주한 미군사령부는 미군 특수부대의 한반도 순환배치는 한미연합 특수부대의 고강도 준비태세를 점검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미군이 이례적으로 미 특수부대의 국내 도착을 공개한 이유로 장거리 로켓 발사를 예고한 북한에 엄중한 경고 메시지로 보인다.
[뉴데일리] 2016.02.04.
*****************************************
軍 동·서해서 동시다발 사격훈련…강력한 대북 경고메시지
北 대형도발 맞서 전투의지 고양…"신속·정확·충분 응징"
가상의 북한군 도발원점·지원 및 지휘세력 초토화 작전
서북도서 해상사격훈련
(서울=연합뉴스) 군은 북한이 국제사회의 우려에도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 준비에 착수한 데 대해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고자 4일 동·서해상에서 동시다발로 대규모 해상사격훈련을 실시했다. 합참 예하 서북도서방위사령부는 이날 서해 최북단 백령도와 연평도에서 북한의 포격 도발과 서북도서 기습 강점 시도를 가정한 해상사격훈련을 했다. << 합참 제공 >>
(서울=연합뉴스) 이영재 기자 = 우리 군은 북한이 국제사회의 우려에도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 준비에 착수한 데 대해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고자 4일 동·서해상에서 동시다발로 대규모 해상사격훈련을 실시했다.
합참 예하 서북도서방위사령부는 이날 서해 최북단 백령도와 연평도에서 북한의 포격 도발과 서북도서 기습 강점 시도를 가정한 해상사격훈련을 했다.
훈련에는 병력 1천여명과 K-9 자주포 40여문, 전차, 상륙돌격장갑차(KAAV), 코브라 공격헬기, 벌컨포, 해안포 등 장비 200여 대가 투입됐다.
우리 군은 북한군이 화력 도발을 걸어온 상황을 가정해 신속히 K-9 자주포, 벌컨포, 해안포 전투진지를 점령하고 목표 지점을 향해 포탄을 발사했다.
이어 북한군이 서북도서 기습 강점을 시도하는 상황을 가정하고 전차, 벌컨포, 해안포를 발사했고 코브라 공격헬기를 출격시켜 적을 격멸했다. 해병대 고속단정(RIB)과 KAAV도 적 소탕작전을 수행했다.
훈련은 우리 군의 육·해·공 합동전력이 가상의 북한군 도발 원점과 지원·지휘세력까지 초토화한 다음 끝났다.
해군 1함대와 2함대도 이날 각각 동해와 서해상에서 북한군 잠수함 탐색, 대잠 폭뢰 투하, P-3 해상초계기 대잠 폭탄 투하 등 잠수함 격멸훈련을 실시했다.
1·2함대의 훈련에는 3천200t급 구축함 광개토대왕함을 포함한 수상함 20여척, 잠수함, P-3 해상초계기, 링스 해상작전헬기와 공군 KF-16 전투기 등 항공기 10여대가 투입됐다. 해군 특수전전단(UDF/SEAL) 요원들도 참가했다.
2함대 훈련을 지휘한 22전투전대장 강석봉 대령은 "이번 훈련은 우리 군의 북방한계선(NLL) 사수 의지를 고양하고 적의 도발에 맞서 신속, 정확, 충분하게 화력을 집중해 적을 격멸하고자 실시됐다"고 강조했다.
강 대령은 "서해 전투함들이 최고의 전투력을 갖춘 지금, 북한군과 당장 싸워도 승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2016.02.04.
'★해병대 실무부대 >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때 그 사건] 2010년 11월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해병대 병력 증강 (0) | 2016.07.27 |
---|---|
창설 5주년 맞은 서북도서방위사령부 (0) | 2016.06.26 |
이상훈 해병사령관 서북도서 순시…"적 도발시 숨통 끊어라" (0) | 2015.12.31 |
北 방사포 위협 심각한데… 불안한 서북도서 (0) | 2015.11.24 |
軍, 백령도·연평도서 해상사격훈련…K-9 자주포 투입 (0) | 2015.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