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무기·장비/수중무기·장비

2025년 전력화 3천t급 잠수함에 탄도미사일 최소 10발 장착

머린코341(mc341) 2016. 5. 1. 20:21

2025년 전력화 3천t급 잠수함에 탄도미사일 최소 10발 장착
 
'장보고-Ⅲ 배치2급' 3척에 각각 수직발사관 10개 설치


3천t급 중형 잠수함 장보고-Ⅲ

3천t급 중형 잠수함 장보고Ⅲ 강재 절단 (거제=연합뉴스) 김재홍 기자 = 27일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3천t급 중형 장수함 장보고Ⅲ 건조 시작을 알리는 강재 절단 작업이 진행 중이다. 장보고Ⅲ는 2018년 진수하고 2년 전력화 과정을 거쳐 2020년 실전에 배치될 예정이다. 2014.11.27 pitbull@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우리 군이 오는 2025년부터 전력화할 3척의 3천t급 잠수함에 1척당 탄도미사일 발사용 수직발사관 10개를 설치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25일 "방위사업청이 이번 주 국내 방산업체를 대상으로 '장보고-Ⅲ 배치2급'(3천t급) 잠수함에 설치할 수직발사관 장비와 관련한 입찰 제안서 평가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장보고-Ⅲ 배치2급' 잠수함 1척에는 탄도미사일 발사용 수직발사관 10개가 설치될 것"이라고 밝혔다.


3천t급 잠수함 1척에 수직발사관 10개가 장착되면 최소 10발의 탄도미사일을 탑재해 운용할 수 있고, 유사시 북한의 전략시설을 공격할 수 있는 탄도미사일을 동시에 여러 발을 발사할 수 있다.


이에 앞서 오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3척이 건조되는 3천t급 '장보고-Ⅲ 배치1급' 잠수함에는 척당 수직발사관이 6대씩 설치된다.


3천t급 잠수함에 수직발사관이 설치되면 이 장비를 통해 사거리 500㎞ 이상의 '현무 2-B' 탄도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 현무-2B는 지난해 6월 3일 시험발사에 성공했다.


군 관계자는 "3천t급 잠수함은 이미 개발된 탄도미사일을 운용하게 될 것"이라며 "별도의 SLBM은 개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운용 중인 214급(1천800t급) 잠수함에는 사거리 1천㎞의 '해성-3' 잠대지 순항미사일에 탑재되어 있다.


한편 국방부는 여권 일각에서 핵잠수함 건조론이 제기되는 것과 관련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고 밝혔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SLBM 개발에 대응해 핵 추진 잠수함 건조가 대안이 될 수 있겠느냐'는 질문에 "그것(핵 추진 잠수함 건조)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 정책적으로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문 대변인은 다만, "(여권 일각에서 제기되는 핵잠수함 건조론에 대해서는) 경청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2016.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