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륙 용어 정리
상륙개시전 전재(上陸開始前 轉載, Pre H Hour Transper)
통제 및 전술군수부대를 모함에서 지정된 통제함으로 전재하는 것과 함안이동을 위한 준비로써 필요한 부대와 그들의 장비를 수송함선에서 상륙함정 또는 다른 수송함선으로 전재하는 것.
상륙건설대대(上陸建設大隊, Amphibious Construction Battalion)
본부소대, 장비소대, 주교소대로 편성되며 상륙작전시 주교설치 및 운용 제한된 건설작업, 급유장치 운용, 함안이동간 인원 및 보급품에 대한 수송협조를 전담하는 편성체.
상륙계획(上陸計劃, Plan For Landing, Landing Plan)
함안이동의 실시에 대한 모든 지시를 상세하게 제시하기 위하여 개별적으로 작성한 모든 해군 및 상륙군의 서류에 대하여 사용하는 집약적 용어.
상륙공격(上陸攻擊, Landing Attack)
함선, 항공기, 주정 또는 상륙장갑차로 상륙한 부대가 방어하는 적을 공격하는 것.
상륙군(上陸軍, Landing Force : LF)
상륙돌격을 위하여 배당된 항공부대 및 지상부대의 기동편성으로 상륙작전에 있어 상륙부대의 최상급 제대임.
상륙군 기본전술편성(上陸軍 基本戰術編成, Basic Tactical of Landing Force Organization)
상륙군이 육상에서의 전투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보병, 전차 및 지원화기를 포함하여 편성하는 상륙군 부대의 기동편성으로서 통상 기동부대, 전투지원 및 전투근무지원부대로 구성함.
상륙군 대기지역(上陸軍 待機地域, Troop Stagging Area)
상륙군이 탑재를 위하여 집결하는 지역으로서 비교적 넓고 각 부대의 휴양설비가 있음.
상륙군 목표(上陸軍 目標, Landing Force Objective)
상륙기동부대 목표를 방호하기 위하여 해안두보에 충분한 종심을 제공하는 중요한 지형으로 이 목표는 해안두보 내로의 적의 접근 및 증원을 차단할 수 있는 지형(주로 주요도로망을 통제할 수 있는 고지군)이 되며 도식시에는 문자로 표기함(상륙기동부대 목표 참조).
상륙군 보급품(上陸軍 補給品, Landing Force Supplies)
최초 전투보급품과 해상담프가 양륙한 후에 돌격함정에 남은 보급품으로 육상상황이 일반양륙의 개시를 허용할 때까지 상륙군의 소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양륙됨.
상륙군사령관(上陸軍司令官, Commander Landing Force : CLF)
상륙작전을 위한 최초지시서에 상륙군을 지휘하도록 임명된 상륙군의 최고선임지휘관.
상륙군 예비보급품(上陸軍 豫備補給品, Landing Force Reserve Supplies)
상륙군 전체를 지원하게 될 규정보급수준을 달성하기 위해 목표구역으로 이동하게될 각종 보급품.
상륙군 하선장교(上陸軍 下船將校, Troop Debarkation Officer)
함교에서 수송함의 하선장교와 협조하는 상륙부대의 장교.
상륙기동부대(上陸機動部隊, Amphibious Task Force : ATF)
상륙작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직된 기동부대 편성으로 항상 예하 항공대를 포함한 해군과 상륙군으로 구성되며 필요시에는 공군도 포함됨.
상륙기동부대목표(上陸機動部隊目標, Amphibious Task Force Objective)
상륙기동부대 임무완수에 결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고 차후 작전을 위해 계속적으로 전투지원시설로 사용이 용이한 비행장, 항만, 교통중심지(시가지) 등이 되며 도식시에는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함.
상륙기동부대 사령관(上陸機動部隊 司令官, Commander, Amphibious Task Force : CATF)
상륙기동부대의 지휘관으로 최초 지시에 명시된 해군장교.
상륙기동전대(上陸機動戰隊, Amphibious Task Group)
상륙기동부대 내에서 편성할 수 있는 상륙기동 예하부대로서 이 전대는 해군공격전대와 상륙부대로 구성됨.
상륙기습(上陸奇襲, Amphibious Raid)
제한된 상륙작전의 한 형태로서 해상 또는 육상 발진기지로부터 적 해안에 상륙하여 목표지역의 신속한 습격 또는 일시 점령후 해상 또는 지상으로 계획된 철수를 실시하는 작전.
상륙단(上陸團, Landing Team)
상륙돌격에 적합한 전투 및 근무부대로 증강된 부대편성으로 대대상륙단(Battalion landing team), 연대상륙단(regiment landing term), 여단상륙단(brigade landing team) 등 이 있음.
상륙도표(上陸圖表, Landing Diagram)
대대 상륙단이나 이와 유사한 전투부대의 함안이동계획을 설명한 표로서 대대상륙단 지휘관이 작성함.
상륙돌격(上陸突擊, Amphibious Assault)
함정이나 주정, 항공기에 탑승한 상륙군과 해군이 해상으로부터 적 해안에 실시하는 공격. 상륙기동부대가 상륙지역에 도착함으로써 실시되는 상륙작전의 국면으로 상륙군이 적 해안에 해안두보를 설치함으로써 끝남.
상륙돌격부대(上陸突擊部隊, Amphibious Striking Forces)
적의 저항을 받으면서 해상 또는 육상 발진기지로부터 적지에 군사력을 투입할 수 있는 부대로서, 작전을 개시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실시됨.
상륙돌격함정(上陸突擊艦艇, Amphibious Assault Ship : LHA)
병력, 장비 및 보급품을 탑재하여 헬리콥터에 의해서 상륙시키도록 설계된 함정. 그 중에는 공격항공모함(CVA), 지원항공모함(CVS)이 포함됨.
상륙목표지역(上陸目標地域, Amphibious Objective Area : AOA)
상륙작전시 최초지시에 명시된 상륙기동부대가 확보해야 할 지역으로 해상, 지상 및 공중을 포함한 지역으로 크기는 작전의 여건에 따라 설정되지만 상륙기동부대 임무완수를 보장할 수 있도록 충분한 구역.
상륙선거함(上陸船渠艦, Landing Ship Dock : LSD)
인원 및 장비를 적재한 채로 상륙용 주정과 상륙장갑차를 수송하여 진수시키기 위하여 설계된 함정. 소형선박과 주정에 대한 제한된 선거와 수리근무 제공.
상륙순위표(上陸順位表, Landing Sequence Table)
상륙군 비예정부대의 함안이동을 위한 세부적인 계획이 통합된 서류.
상륙양동(上陸陽動, Amphibious Demonstration)
적으로 하여금 불리한 방책을 취하도록 유인하기 위한 무력 시위로서 적을 기만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상륙작전의 한 형태임.
상륙예정표(上陸豫定表, Landing Schedule)
상륙작전에 있어서 돌격부대가 상륙하는 해안, 상륙시간 및 상륙 우선순위를 표시하고 상륙기동계획을 수행하기 위하여 수송함정으로부터 해안까지 상륙주정의 이동을 조정하는 계획표.
상륙우선순위표(上陸優先順位表, Landing Priority Table)
해안에 상륙군의 병력축적을 규정하는 서류로서 이 서류는 우선순위대로 상륙될 모든 주요부대를 기재하여 계획된 상륙시간, 지정된 해안 및 알려져 있는 경우에는 착륙지대를 표시함.
상륙인원수송함(上陸人員輸送艦, Amphibious Transport;LPA)
합동작전을 위한 인원, 장비, 보급품 수송 등을 주된 임무로 하는 함정으로 함정의 헬기, 상륙주정을 이용하여 적 해안에 상륙을 실시하며, 보통 1개 대대상륙단(BLT) 규모의 상륙군이 탑승함.
상륙일시(上陸日時, D Day H Hour)
1.상륙일(D일);상륙작전시 최초지시의 목표일자에 명시되어 있는 대략적인 상륙개시 일자. 특정한 상륙일(D일)은 상륙기동부대 사령관이 상륙군 사령관과 협의하여 선정하며 잠정상륙일은 상륙기동부대 사령관이 통상 계획수립단계 초기에 발표함.
2.상륙시(H시);해상함안 이동에서 최초 돌격파가 해안에 상륙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특정시간으로서 계획수립단계에서의 H시는 최초 돌격파가 상륙하는 계획된 시간이나, 실시단계에서의 H시는 실제로 상륙하는 시간을 의미함. 헬기 수직돌격 및 보조작전 등의 경우에는 L시와 같은 다른 문자를 사용함.
상륙작전(上陸作戰, Amphibious Operation)
함정, 주정 또는 항공기에 탑승한 해군과 상륙군이 해양을 통하여 적 해안에 군사력을 투사하는 공격작전임. 상륙작전의 목적은 적 종심지역의 주요목표 공격 및 교란, 차후 전투작전수행, 해군 전진기지 또는 항공기지의 획득, 지역 또는 시설의 적 사용 거부 등이 있음.
상륙장갑차(上陸裝甲車, Amphibious Assault Vehicle : AAV)
상륙작전과 지상작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수륙양용상륙차량이며 사용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함.
1.상륙장갑인원수송차
인원수송능력은 25명으로 속도 12노트까지 가능함.
2.상륙장갑지휘차
상륙돌격시 지휘용 차량으로 인원 수송능력은 약 9명이며, 11개의 UHF, VHF 통신설비를 갖추고 있어 22개망의 구성이 가능함.
3.상륙장갑구조차
정비 및 수리가 주된 임무로 야전정비능력 수행이 가능하고 UHF 통신기 2개망이 구성되어 있음.
상륙장갑차운용계획표(上陸裝甲車運用計劃表, Amphibious Vehicle Employment Plan)
해안으로의 최초이동을 완료한 후의 사용을 포함한 상륙작전에서의 상륙장갑차의 운용계획을 명시한 계획표.
상륙장갑차 이용가능표(上陸裝甲車 利用可能表, Amphibious Vehicle Availability Table)
상륙작전에 있어서 주로 상륙돌격 및 기타 작전의 지원을 위해 사용 가능한 상륙장갑차의 형 및 수를 표시한 도표.
상륙장갑차 진수구역(上陸裝甲車 進水區域, Amphibious Vehicle Launching Area)
상륙돌격을 위하여 상륙장갑차를 상륙함정으로부터 진수시키는 구역으로 공격개시선 부근의 해상구역.
상륙장소(上陸場所, Landing Site)
해상수단으로 병력, 장비 및 보급품을 상륙시킬 수 있는 해안선의 계속적인 부분으로서, 상륙장소의 길이는 최소한 1개 이상의 RLT 상륙해안을 포함하며 최대거리에는 제한이 없이 사용 가능하며 상륙에 지장이 없는 해안선의 유무에서만 제한을 받게 되며 상륙군 목표 및 해안두보 선정의 기초가 됨.
상륙전 계획수립(上陸戰 計劃樹立, Amphibious Planning)
상륙전 참가부대가 동시, 병행, 세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륙작전을 위한 계획수립 과정.
상륙전교리(上陸戰敎理, Amphibious Doctrine)
해군, 해병대의 모든 합동, 연합 또는 기타 상륙작전의 계획수립과 실시에 대한 교리로서 상륙작전의 개념, 지휘, 편성 등 계획수립 및 실시에 관련된 제반 사항이 포함됨.
상륙전기함(上陸戰旗艦, Amphibious Command Ship : LCC)
상륙작전에 있어서 지휘관이 탑승하여 작전통제를 하는 함선. 이 함선은 주로 상륙군의 상륙 및 지원임무를 담당하는 해상, 수중 및 공중부대를 통제하기 위한 통신소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항공, 기상 사진 및 지도복제, 장비, 계획수립 등 지원시설을 제공함.
상륙전대(上陸戰隊, Amphibious Squadron)
상륙작전을 위하여 인원과 장비품을 수송하는 상륙돌격 함선으로 구성된 전술 또는 행정 편성.
상륙전부대(上陸戰部隊, Amphibious Force)
상륙작전을 실시하기 위하여 훈련, 편성 및 장비된 해군부대, 상륙군부대 및 지원부대를 포함함.
상륙전 작전(上陸前 作戰, Pre Landing Operation)
돌격단계의 초기작전으로 선견부대에 의한 상륙지역 준비의 계속과 함안이동을 위한 최종준비를 포함함.
상륙정찰(上陸偵察, Amphibious Reconnaissance)
첩보를 획득할 목적으로 무력보다는 비밀리에 소규모 부대가 해상으로부터 적 해안에 상륙하여 실시하는 정찰이며, 계획된 철수가 뒤따름.
상륙주정(上陸舟艇, Landing Craft)
부대 및 장비의 수송, 접안, 하역 및 철수용으로 특별히 건조된 상륙전용 주정.
상륙주정 및 상륙장갑차 할당표(上陸舟艇 및上陸裝甲車 割當表, Lan\ding Craft and Amphibious Vehicle Assignment Table)
함안이동을 위하여 인원과 물자를 각 상륙주정 및 상륙장갑차에 할당하고 상륙주정과 상륙장갑차를 주파에 할당하는 것을 표시한 도표.
상륙주정 운용계획(上陸舟艇 運用計劃, Landing Craft Employment Plan)
해군과 상륙군의 소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각종 함선으로부터 차출되는 상륙주정의 할당 및 이동에 대한 운용계획.
상륙주정 이용가능표(上陸舟艇 利用可能表, Landing Craft Avail\ability Table)
수송전대의 각 함정으로부터 이용 가능한 상륙주정의 종류와 수를 표기한 도표. 이 표는 함안이동을 위하여 상륙주정을 주정단에 할당하는 근거가 되며 수송전대 지휘관이 작성함.
상륙준비단(上陸準備團, Amphibious Readiness Group : ARG)
상륙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평시의 훈련 및 상륙작전 준비를 위해 편성된 부대조직.
상륙지역(上陸地域, Landing Area)
상륙기동부대의 상륙작전이 실시되는 상륙목표 지역의 일부. 이곳은 상륙을 실시하고 지원하며, 상륙군사령관이 선택한 해안두보를 설치하는 데 필요한 해상, 공중 및 지상지역으로 구성됨.
상륙지원단(上陸支援團, Naval Beach Group)
상륙작전부대 내에 영구적으로 편성되어 있는 해군부대. 그 구성은 지휘관, 참모, 양륙지휘대, 상륙작전 건설대대 및 주정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개 사단(또는 증강된)의 상륙을 지원하기 위하여 공격부대 사령관 및 상륙군부대 사령관에게 소요되는 해군 전술구성부대를 차출할 수 있는 행정전대로서 편성되어 있음.
상륙지원정보체계(上陸支援情報體系, Amphibious Support Information System)
상륙작전, 표적, 군수에 대한 정보의 저장, 수정 및 요구에 대한 자동화된 정보처리 체계.
상륙철수(上陸撤收, Amphibious Withdrawl)
적 해안으로 부터 함정이나 주정, 또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부대를 철수시키는 상륙작전의 한 형태.
상륙통제전대(上陸統制戰隊, Amphibious Control Group)
상륙작전시 해상 함안이동을 통제토록 지정된 인원 및 함정.
상륙편성(上陸編成, Organization for Landing)
함안이동을 위한 임시편성으로서 상륙부대와 그 예하제대가 지정된 상륙해안 및 착륙지대에 상륙하기 위한 특정한 전술편성임.
상륙함정(上陸艦艇, Landing Ship)
장기 항해와 해안에 신속한 양륙을 위하여 설계된 돌격함선의 일종.
상륙함정구역(上陸艦艇區域, Landing Ship Area)
함안이동시 상륙함정이 대기하는 구역.
상륙해안(上陸海岸, Landing Beach)
통상 대대상륙단 혹은 유사한 부대의 상륙돌격에 필요한 가용 해안선의 일부분이며 대대상륙단보다 작은 규모의 부대가 상륙할 만한 해안선의 일부도 상륙해안이라 함.
상륙화물수송함(上陸貨物輸送艦, Attack Cargo Ship)
상륙돌격에 있어서 전투적재 화물을 수송하도록 설계 또는 개조된 해군함정으로 적재량, 함속력, 무장, 선창 및 기중기의 능력에 있어서는 대등한 타 화물선보다 우월함
'★해병대 소개 > 해병대 바로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병대는 특수전부대가 아닌 특수전 훈련부대!! (0) | 2016.08.01 |
---|---|
지옥주(전장생존술)의 유래 (0) | 2016.08.01 |
전직 대통령들의 해병대관련 휘호 (0) | 2016.08.01 |
해병대 조직 및 사령부 기구도 (2016년 5월 현재) (0) | 2016.05.28 |
천하무적 팔각모 사나이, 대한민국 해병대 (0) | 2016.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