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룩스, '전작권 전환 후 美 방위 주도' 주장에 "동의안해"
유엔사 통해 美가 지휘 관측에 "유엔사, 한미연합사와 역할 달라"
"한국군 명령·통제 능력 갖춰…조건 부합하면 文대통령 임기 내 전환 가능"
인사말 하는 빈센트 브룩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정성조 기자 = 빈센트 브룩스 전 주한미군사령관은 미국이 유엔군사령부(유엔사) 역할을 확대해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 후에도 한반도 연합 방위를 주도할 것이라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브룩스 전 사령관은 6일 미국 주재 특파원 출신 모임 한미클럽이 발간하는 외교안보 전문 계간지 '한미저널'과 서면 인터뷰에서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그는 "유엔사와 한미연합사령부의 역할이 동일하다(parallel)는 것이 그런 주장의 전제인데, 그것은 틀렸다"며 "유엔사는 더는 전투사령부가 아니며 (향후) 다국적군을 지휘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양국 군에 대한 지휘권을 가진 연합사와는 역할이 다르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브룩스 전 사령관은 다만 "유엔사는 정전협정 관리, 북한과 평화 협상 촉진, 국제 사회의 약속 조정 등 현존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본부 확대가 필요하다"며 유엔사의 '권한 확대'에는 찬성한다고 밝혔다.
전작권 전환을 앞두고 최근 유엔사는 지휘부와 참모 조직에 미국 외 유엔사 회원국의 장교 임명을 계획하는 등 주한미군사령부와 분리된 다국적 군사기구로의 역할을 모색하고 있다.
다만 논의 과정에서 미국 측은 전작권 전환 이후에도 현재 주한미군사령관이 겸직하고 있는 유엔군사령관이 전시에 한국 합동참모본부에 대한 '지시권한'이 있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는 등 한미 양국의 입장차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브룩스 전 사령관은 한국군을 사령관으로, 미군을 부사령관으로 하는 미래 한미연합사가 순조롭게 기능할 것인지에 대해 "실제 작동을 훈련한다면, 그렇다"며 "그래서 연합훈련이 존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군은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광범위한 작전을 명령·통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문재인 대통령 임기 내 전작권 전환이 완료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지휘통제능력, 연합 의사결정체계 틀 안에서 지도자들의 대비태세, 한국군의 군사적 역량이 조건에 부합한다면"이라는 전제를 달고 "그렇다"고 답했다. 다만 "전작권 전환을 위한 조건은 정치적 시간표가 아닌 군사적 평가에 의해 진행돼야 한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브룩스 전 사령관은 "억제·격퇴가 가능한 연합군의 군사력은 전작권이 전환된 뒤에도 바뀌지 않을 것"이라며 "공백을 발견하고 해결하기 위해 한미연합훈련은 전작권 전환 뒤에도 더 늘어나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브룩스 전 사령관은 2013년부터 미 태평양사령부 육군사령관으로서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군사적으로 뒷받침했으며, 2016년부터 지난해 11월까지는 주한미군사령관 겸 유엔군사령관·한미연합사령관을 지냈다.
정성조 기자 xing@yna.co.kr
[연합뉴스] 2019.10.06
'★군사소식칼럼 > 외교·안보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벨 前사령관 "北, 핵 역량 갖춰…美軍만 전시작전 수행 가능" (0) | 2019.10.12 |
---|---|
"한일 지소미아 종료, 대잠전에서 한미일에 심각한 손상" (0) | 2019.10.10 |
‘민간용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규제 해제되나…‘文의 큰 그림’ (0) | 2019.10.05 |
‘안보 핵심’ 국방과학 연구실험동 절반, 지진에 무방비 (0) | 2019.10.05 |
鄭국방, 미국의 과한 ‘방위비 욕심’ 언급 “달라는 데는 많이 달라 한다” (0) | 2019.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