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해병대는 세계 최고의 부대? 해병대의 한계
해병대의 역사와 다른 나라의 해병대, 우리나라의 해병대의 부족한 점에 대해서 현실적인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범선시대의 군함에는 육박해오는 적함에 사벨로 돌격하는 백병전 부대가 있었습니다.
배의 승조원 중에 육전대를 임시편제한 것, 해군소속의 군인이 식민지 항구의 경비를 할 경우 해병이라고 불렸습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것보다 해병대의 역사는 굉장히 오래 되었는데, 1537년에 스페인의 카를로스가 편제한 해군보병은 함에서 독립된 항구부대였습니다.
부여된 임무도 강습양륙이라고 하는 현재의 해병대와 동일한 내용으로 이것이 근대적인 해병대의 뿌리입니다.
그래서 스페인 해병대는 가장 오래된 역사를 지닌 해병대라고 불리웁니다. 해병대는 상륙작전을 주목적으로 하는 수륙양용부대입니다.
현장에 대한 작업은 육전이지만 육군측의 스킬이나 장비로 커버가능한 임무는 아니고 아군함정과의 연계도 불가결하기 때문에 해군주도로 편성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상륙작전 외에 긴급전개, 해군시설이나 대사관의 경호, 임검 같은 임무를 수행하는데 상시 최전선에 배치되어 임무내용도 엄격하기 때문에 해병대는 최정예로 강력한 특수부대와 동격으로 다루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우리나라 해병대가 실적이 뛰어나느냐라고 물어본다면 긍정적인 대답을 할 수 있으나 최정예로 강력한 특수부대와 동격인 전천후적인 엘리트냐라고 한다면 확실히 예라고 대답하기에는 애매합니다.
물론 해병대 인원 중 2%를 차지하고 있는 해병대 수색대는 특수부대와 견줄만한 최고의 부대라고 생각합니다.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미해병대로 병력도 실적도 굉장히 뛰어납니다. 육해공에 이은 제4군으로 취급되지만 조직상으로는 해군성에 소속되어 있고 예산도 해군의 일부로 계산됩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커다란 전과를 올려 긴급전개군으로서 미국의 전략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미 해병대에서는 상륙 시의 항공지원을 원활하게 행하기 위해 독자적인 항공병력을 보유하여 수송기나 수송헬기는 물론 전투헬기나 수직이착륙기, 혹은 전투 공격기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단 병기는 언제나 최신예를 갖추고 있는 특수부대와는 다르게 오히려 구식장비를 사용하는 등 신뢰성을 중시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우리나라와 비슷하네?라고 생각하실 수 있으나 사실 미국은 신뢰성을 중시하는 장비를 우선시하는 것이고 대한민국 해병대 장비는 어쩔 수 없이 사용하는... 장비 자체가 열악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정설입니다.
해병대 제1사단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2세대 구형 전차를 현역으로 운용하고 있으며 해병대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상륙돌격형 장갑차도 굉장한 구형입니다.
해병대 자체 전투력은 굉장히 특출나다고는 할 수 없으나 떨어지지는 않는 편인데, 중장비 전력은 커버를 칠 수 없을정도로 굉장한 구형입니다. 대한민국의 해병대의 주 장비 중 기동헬기와 유도탄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20년이 지난 장비들입니다.
더불어 해병대에서 가장 중요한 작전이라고 할 수 있는 상륙작전에 약 천 여명 밖에 투입하지 못하는 것도 가장 큰 문제점입니다.
해병대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독도함을 투입한다고 해도 미국의 도움 없이는 상륙작전 자체가 불가능 하거나, 소규모로 투입해야 하는 현실입니다.
반면 미해병대는 미해군의 기본전략인 바다에서 육지로의 전력투입에 의해 항모와 함께 하는 것을 요구받습니다.
항모기동부대와 해병대를 태운 강습상륙함의 조합에 의해 미국은 상륙에 적합한 해안이 있다면 세계 어디라도 상륙이 가능합니다.
항공부대만으로는 불가능한 점령이 실현될 수 있는 것은 전쟁 이외의 외교전략에 있어서도 큰 의미가 있습니다. 미국이 마음만 먹는다면 미국 해병대 전체 인원을 상륙 시킬 수 있을 정도로 미국의 상륙 규모는 거대합니다.
이 밖에 러시아 해병대는 해군에 소속되어 정식으로는 해군보병이라고 합니다. 1960년대에 현재의 편제가 되어 정예부대로서 통상의 육전에도 종종 참가합니다. 현재는 미국이나 한국 같은 대규모는 아니고 약 12,000명 정예로 운용하고 있습니다.
영국 해병대는 한때 각국이 규범으로 삼았을 정도로 역사와 실적이 있는 부대로 3개의 여단을 중심으로 하는 상륙작전용 경보병 부대입니다.
대한민국은 아시다시피 3면이 바다인 만큼 상륙작전은 난이도가 높지만 굉장히 중요한 작전입니다. 하지만 대한민국 해병대는 개인의 전투력 등은 타 부대에 뒤지지 않지만 현재 장비와 편제 등 다방면에서 개선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색적인 블로그] 2019.02.17
'★군사소식칼럼 > 해병대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병대 첫 공격헬기, 국산을 쓸까 미국산을 살까 (0) | 2020.11.01 |
---|---|
해병대의 독립 (1) | 2019.10.08 |
전투현장에 답이 있다 (0) | 2019.09.29 |
해병대 창끝부대 소대장의 다짐 (0) | 2017.10.22 |
대한민국 최고 정예부대 '해병대'가 비난받는 이유 (0) | 2017.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