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대도 뚫리는데 철책까지 없애는 군 [양낙규의 Defense Club]부대도 뚫리는데 철책까지 없애는 군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제주해군기지에 이어 수도방위사령부, 진해 해군기지의 경계망이 민간인에게 연이어 뚫린 것으로 나타나 빈축을 사고 있다. 이린 가운데 군은 전국 해ㆍ강안 경계철책을 철거할 .. ★군사소식칼럼/군사·안보 분석 2020.03.21
2020년 군인사 잡설 2020년 군인사 잡설 1. 2020년에는 대장급 인사의 대규모 교체가 있을 것이다. 2019년 4월 인사로 남영신 지작사령관(학군 23기), 서욱 육참총장(육사 41기), 최병혁 연합사부사령관(육사 41기)이 임명되었지만, 2018년 10월 임명된 박한기 합참의장(학군 21기)과 황인권 2작사령관(3사 20기)의 교체.. ★군사소식칼럼/군사·안보 분석 2020.03.20
김정은의 남다른 포병 사랑…‘전략적 맞대응’이냐, ‘코로나 피신’이냐 [박성진의 군 이야기]김정은의 남다른 포병 사랑…‘전략적 맞대응’이냐, ‘코로나 피신’이냐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12일 조선인민군 제7군단과 제9군단 예하 포병부대들의 포사격대항경기를 참관하는 모습을 조선중앙TV가 13일 공개했다. 연합뉴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군사소식칼럼/북한군사 소식 2020.03.19
주변국에 크게 뒤지는 한국의 잠수함 전력 보완 시급 [김경민의 퍼스펙티브] 주변국에 크게 뒤지는 한국의 잠수함 전력 보완 시급 한반도 해역 누비는 미·중·일·러 잠수함 삼면이 바다인 한국, 잠수함의 공포는 항상 위협적 일본은 첨단 잠수함으로 ‘비핵잠수함 세계 최고’ 평가 중국은 해저 기지 건설해 서태평양 제해권 장악 나서 잠.. ★군사소식칼럼/군사·안보 분석 2020.03.19
3천500t급 신형 호위함 2024년 해군 인도…4천억원 규모 계약 울산급 Batch-Ⅲ 선도함 체계개발 시작 방사청, 현대중공업과 계약 탐지·표적처리 능력 강화 2024년 해군에 인도 예정 미래 우리 해역을 책임질 주역으로 꼽히는 차기호위함(FFG) 사업의 3단계인 3000톤급 울산급 Batch-Ⅲ의 체계개발(상세설계, 선도함 건조, 시험평가, 인도에 이르는 과정)이 .. ★군사소식칼럼/군사·국방 소식 2020.03.18
왜 항공모함 도입 결정까지 ‘23년’이 흘렀나 [밀리터리 인사이드]왜 항공모함 도입 결정까지 ‘23년’이 흘렀나 90년대부터 논쟁만 반복…올해 첫 예산 반영 1996년 김영삼 前대통령 재가 받아놓고도 “주변국에 갈등 야기” 軍 스스로 항모 반대 “한반도는 불침항모” 황당 논리까지 등장 ‘대양해군’ 내세우며 23년 만에 도입 결.. ★군사소식칼럼/군사·안보 분석 2020.03.18
제주해군기지, 반대 시위자에 뚫렸을 때 신형경보기 먹통이었다 제주해군기지, 반대 시위자에 뚫렸을 때 신형경보기 먹통이었다 합참, 제주해군기지 시위자 무단침입 사건 검열 결과 발표 과학화 감시체계는 수개월 간 고장수리중··· 경보음 먹통 카메라 70여개 모니터하는 상황실에는 '중사 1명, 병사 2명' 근무 5분 대기조 늑장출동, 상황조치·보.. ★군사소식칼럼/외교·안보 소식 2020.03.17
제주해군기지 철조망 절단 때 경보음 먹통…5분대기조 늑장출동 제주해군기지 철조망 절단 때 경보음 먹통…5분대기조 늑장출동(종합) 작년 12월 '능동형 감시카메라' 성능저하…상황조치·보고체계도 엉망 2시간 후 상부보고…전대장 보직해임·3함대사령관 등 관련자 문책 제주 해군기지 전경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지.. ★군사소식칼럼/외교·안보 소식 2020.03.17
공군병 복무 1개월 추가 단축, 학군단 규모도 축소 [김관용의 軍界一學]공군병 복무 1개월 추가 단축, 학군단 규모도 축소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공군 병사의 복무기간을 22개월에서 21개월로 1개월 단축하는 병역법 개정안이 지난 6일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문재인 정부의 병 복무기간 단축 정책에 따라 3개월을 감축한 육군과의 복무기간.. ★군사소식칼럼/군사·국방 소식 2020.03.15
북한은 왜 초대형방사포를 낮게 쐈을까 [박수찬의 軍]북한은 왜 초대형방사포를 낮게 쐈을까 일반적으로 매년 3월이면 군 당국은 북한 지역 동향을 관찰하는데 더 많은 신경을 쓴다. 한미연합훈련이 실시되는 시점인 3월을 전후로 북한군이 대규모 화력훈련이나 미사일 발사 등을 감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올해도 마찬.. ★군사소식칼럼/북한군사 소식 2020.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