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사령관 글/6대사령관 공정식 86

바다의 사나이 영원한 해병 (25) - 미 해병대 장진호전투

바다의 사나이 영원한 해병 (25) - 미 해병대 장진호전투 원산상륙작전은 인천에 비하면 아무 저항이 없는 무혈상륙이었다. 육로로 동해안을 따라 진격한 국군3사단이 이미 원산을 점령해 버려 싱거운 작전이 됐다. 해군·해병대에서는 이런 작전을 ‘행정상륙작전’이라고 부른다. 저항..

바다의 사나이 영원한 해병 (24) - 맥아더의 항복 권고

바다의 사나이 영원한 해병 (24) - 맥아더의 항복 권고 서울 탈환 직후 맥아더 장군은 인민군 최고사령관 김일성에게 두 차례 항복을 권고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이 독일과 일본에게 요구했던 ‘무조건 항복’에 의한 전쟁 종결 방식을 염두에 둔 조치였다. 10월 1일 항복 권고 방송..

바다의 사나이 영원한 해병 (23) - 서울탈환작전

바다의 사나이 영원한 해병 (23) - 서울탈환작전 인민군은 우리에게 인천을 쉽게 내준 대신 서울에서는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서울을 빼앗기면 전쟁이 결정적으로 불리해진다는 것을 의식한 듯 끈질기게 버텼다. 인천에 상륙한 지 2주일 만인 1950년 9월 29일에야 환도식을 거행하게 된 사정..

바다의 사나이 영원한 해병 (22) - 인천상륙작전

바다의 사나이 영원한 해병 (22) - 인천상륙작전 수렁 속으로 빠져 들어가던 나라의 운명을 건져낸 이 작전을 생각할 때마다 나는 군인이 된 것을 보람 있게 여긴다. 특히 내가 해군·해병대 요원으로 이 작전에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을 큰 행운으로 생각한다. 그때 내 나이 스물여섯이었다...

바다의 사나이 영원한 해병 (21) - ‘귀신잡는 해병’

바다의 사나이 영원한 해병 (21) - ‘귀신잡는 해병’ 진동리 전투에서 ‘귀신 잡는 해병’이란 애칭이 생겨난 사실은 그리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대부분 해병들은 진동리전투를 이은 통영 상륙작전을 계기로 『뉴욕 헤럴드 트리뷴(New York Herald-Tribune)』지의 종군기자 마거리트 히긴스(Margu..

바다의 사나이 영원한 해병 (20) - 미 해병대와의 만남

바다의 사나이 영원한 해병 (20) - 미 해병대와의 만남 한국 해병대는 8월 7일부터 10일까지 나흘 동안 치른 진동리전투에서 미 해병대와 첫 만남을 갖게 되었다. 미 해병제1임시여단장 크레이그(Edward A. Craig) 준장 예하 5연대 3대대장 태플리트(R. Taplett) 중령을 알게 된 것은 하늘이 우리 해..

바다의 사나이 영원한 해병 (19) - 통영상륙작전과 나

바다의 사나이 영원한 해병 (19) - 통영상륙작전과 나 진동리 지구 전투에서 해병대의 진면목을 보여준 김성은 부대는 잠시 숨을 돌릴 겨를도 없이 통영상륙작전에 투입됐다. 진해와 부산을 지키기 위한 다급한 작전이었다. 두 번째로 미국에 가서 1950년 7월 25일 PC 704를 인수해 막 돌아온 ..

바다의 사나이 영원한 해병 (18) - 진동리 지구 전투

바다의 사나이 영원한 해병 (18) - 진동리 지구 전투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해병대는 그동안 갈고 닦은 체력과 정신력을 유감없이 발휘하게 된다. 연일 패주하는 육군과 유엔군과는 달리, 나가는 전투마다 대승을 거뒀다. 전쟁 초기부터 ‘귀신 잡는 해병’의 신화를 만들어 ..

바다의 사나이 영원한 해병 (17) - 제주 여자 해병대(의용군)

바다의 사나이 영원한 해병 (17) - 제주 여자 해병대(의용군) 우리나라 여자 군인 역사는 1948년 8월 간호장교 후보생 교육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일반 여자 군인으로 범위를 좁혀 보면 6·25전쟁 발발 후 해군·해병대에 지원 입대한 여자 의용군이 그 출발이었다. 1950년 8월 31일 제주시 ..

바다의 사나이 영원한 해병 (16) - 군가 <나가자 해병대>

바다의 사나이 영원한 해병 (16) - 군가 &lt;나가자 해병대&gt; 초창기 해병대는 해군 군가를 불렀다. 태생이 해군에서 갈라져 나온 사촌간이라고는 하지만 해군 군가를 부를 때마다 “이건 아닌데…”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2중대 2소대장 강복구 중사도 그런 사람이었다. 훗날 장교가 돼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