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출전<1편> - 5인의 해병 충혼탑 해외 출전<1편> - 5인의 해병 충혼탑 청룡부대 장병들이 월남으로 출정(出征)한 그 해(1961년) 12월 중순경 해병 제1상륙사단에서는 영일군 청하 해안에서 '해룡작전‘으로 명명된 BLT훈련을 실시했는데, 그 훈련 벽두에 5명의 특수수색대요원들이 순직을 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특히 그 훈.. ★해병대 역사/해병대 전통·비화 2016.11.23
해외 출전<1편> - 프레스 대위와 김연상 준장 해외 출전<1편> - 프레스 대위와 김연상 준장 1966년 12월 20일 여단장으로 취임했던 김연상 준장은 취임한 지 1주일도 채 못되어 여단장의 전용헬기 조종사인 프레스 대위(미 해병3상륙군 36헬기단 소속)를 갈아 치우는 조치를 취했다가 다시 그를 맞아 드리는 헤프닝을 연출했는데 그 이.. ★해병대 역사/해병대 전통·비화 2016.11.23
해외 출전<1편> - 태로이 매복작전 해외 출전<1편> - 태로이 매복작전 꽝나이 북방 약 10키로 지점에 위치하는 1번 도로변의 ‘테로이’4부락은 월맹이나 중공으로부터 해상으로 수송되어 바탄칸반도에 양육(揚陸)된 공산군의 군수물자나 병력을 서부 산악지대로 이송하는 통로상의 길목이었다. 그런데 아군이 이 부락.. ★해병대 역사/해병대 전통·비화 2016.11.23
해외 출전<1편> - 용머리1호 작전 해외 출전<1편> - 용머리1호 작전 1967년 7월 15일 청룡부대는 남지나해로부터 바탄칸반도의 데사키강 강구로 침투중인 적 보급선이 있다는 우군부대의 제보에 따라 미 해군부대와 협조하여 그 보급선을 나포하기 위한 용머리 2호작전을 전개하여 미 해군 봉쇄함정의 공격을 받아 격침.. ★해병대 역사/해병대 전통·비화 2016.11.23
해외 출전<1편> - M16소총이 공급된 날 해외 출전<1편> - M16소총이 공급된 날 1967년 4월 24일은 청룡부대 장병들에게 그야말로 충격적인 기쁨을 안겨 준 날이었다. 까닭인즉슨 해병들이 그토록 갈망하고 있던 M16 신형소총이 공급(전량은 아니었지만)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동안 해병들은 한국인의 체격과 체구에는 지나치게 .. ★해병대 역사/해병대 전통·비화 2016.11.23
5.16혁명과 해병2여단 5.16혁명과 해병2여단 5.16군사쿠데타(예전 5.16혁명)는 당시 김포에 주둔중이던 해병2여단에 의해 거사가 이루어지고 또 성공했다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해병대의 역활이 지대했습니다 당시 상황을 정리한 수기중 일부입니다 5.16에 대한 역사적 평가나 정당성 여부와는 관련이 없는 글이므.. ★해병대 역사/해병대와 5·16혁명 2016.11.08
5.16혁명과 해병대 5.16혁명과 해병대 6관구 사령부에 모여 있던 혁명파 장교들은 박정희 소장의 일거수일 투족을 주시하고 있었다. 인간이란 위기에 빠지면 본능적으로 지도자를 쳐다보고 그 지도자의 반응에 따라 자신의 거취를 결정하려고 한다. 이 석제 중령도 박정희를 관찰하고 있었다. 박정희 시대에 .. ★해병대 역사/해병대와 5·16혁명 2016.11.08
`영원한 친구` 포항시와 해병대(14) 산화한 `5인의 해병` 조국 위해 몸바친 영웅 `5인의 해병` `영원한 친구` 포항시와 해병대(14) 산화한 `5인의 해병` 1965년 해병1사단 병사 5명 적진 침투훈련 임무 중 순직 해병대 12m높이 충혼탑 건립과 송라면 방석리에 추념비도 세워 방문객 위한 환경정비 신경써야 ▲ 포항 해병대1사단 내에 세워진 `5인의 해병`.. ★해병대 역사/해병대와 포항시 2016.11.06
5.16 혁명군 해병대 5.16 혁명군 해병대 <이 글은, 지금으로부터 40년 전에 발간된 박학래 님의 5.16 비사, ‘신의와 배신’ 이란 책 속에서 오로지 백척간두에 선 조국을 건져내기 위하여 구국의 일념 하나로 주사위를 던진 우리 해병대가 직접 관계되는 줄거리만을 발췌하여 요약·정리한 내용입니다.> 4.19.. ★해병대 역사/해병대와 5·16혁명 2016.11.06
5.16 도왔지만 끝내 토사구팽 - 실록 박정희 5.16 도왔지만 끝내 토사구팽 - 실록 박정희 여순 (麗順) 사건 발생 직전인 1948년 여름 서울 안국동의 요릿집 아향 (雅香) .30대 전후 청년장교들이 모여 단합대회를 갖고 있었다. 방 가운데 길게 놓인 술상을 마주보고 앉은 이들은 모두 만주군 장교 출신들이었다. 술잔이 오가면서 분위기가 .. ★해병대 역사/해병대와 5·16혁명 2016.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