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수작전 난항… 대형헬기사업 축소·연기
12월 창설할 특수작전항공단 시누크헬기 성능개량 지연되고 육군 보유 대수도 42→28대로
정부 내 ‘참수’용어 싸고 혼선
‘김정은(북한 노동당 위원장) 참수 작전’을 위해 창설하기로 한 특수작전항공단의 대형 헬기 성능 개량 사업이 문재인 정부 들어 규모가 축소되거나 연기되는 등 난항을 겪고 있다.
22일 군 당국과 방위산업계에 따르면 오는 12월 조기 창설하기로 한 특수작전항공단의 김정은 참수 작전을 실행하는 데 필수적인 CH-47 시누크 헬기(사진)의 특수 침투 작전용 성능 개량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형 헬기 부품·성능 개량 사업 대상도 육군이 보유한 전체 시누크 헬기 42대에서 28대로 축소된 상태다.
당초 군 당국은 박근혜 정부 시절이던 지난해 북한의 5차 핵실험(9월 9일)을 계기로 김정은 참수 작전을 겨냥한 특수작전항공단 창설 시기와 관련 사업 계획을 앞당기기로 했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가 참수 작전이라는 용어 사용뿐 아니라 참수 작전 추진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면서 사업 규모와 추진 일정 등이 조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급기야 참수 작전 추진을 놓고 외교·안보라인 고위 인사들이 공개적으로 충돌하는 사태에까지 이르렀다.
송영무 국방부 장관이 지난 4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참수 작전과 관련해) 개념을 정립 중인데, 오는 12월 1일부로 부대를 창설해 전력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데 대해 문정인 청와대 통일외교안보특보가 비판하고, 송 장관이 다시 이에 대응하면서 감정싸움을 벌였다.
군 당국과 관련 업계는 외교·안보라인 갈등이 시누크 헬기 성능 개량 사업 지연과 축소로 이어지는 것은 아닌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군 당국은 최근 출범한 제13공수여단 1개 대대 태스크포스(TF)를 모태로 특수작전항공단을 연말 출범시킨 뒤, 특수 침투 작전용 신규 시누크 헬기 직도입 방안 등을 다각도로 검토한다는 복안이다.
[문화일보] 2017.09.22
'★군사소식칼럼 > 군사·국방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사청, TA-50급 전술입문용 훈련기 추가 확보 (0) | 2017.10.02 |
---|---|
美 '죽음의 백조' B-1B랜서 北동해 공역비행…'무력시위' 전개 (0) | 2017.10.02 |
한미 합의 최첨단 군사자산은…北 정찰·감시자산? 핵잠수함? (0) | 2017.09.29 |
한미 정상, 최첨단 군사자산 획득·개발 합의 (0) | 2017.09.29 |
미본토주둔 제18포병여단 한반도전개…서해서 정밀탄 실사격훈련 (0) | 2017.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