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한국전자통신硏, '스마트 해군' 구축 업무협약
"각종 정보통신기술 '해군 플랫폼'에 활용방안 검토"
VR 체험하는 해군사관생도
[해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준삼 기자 =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스마트 해군'(SMART Navy) 건설을 추진 중인 해군이 정보통신기술(ICT)과 정보화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24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해군본부에서 열리는 이번 업무협약 체결식은 심승섭 해군참모총장과 김명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장이 주관하며, 김 원장의 혁신아카데미 강연도 이어진다.
두 기관은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을 함께 연구하고 이를 해군 플랫폼에 적극적으로 적용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해군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지난해 8월 위성 주파수 사용효율을 2배 향상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활용하면 해상작전위성통신체계의 통신채널을 기존 대비 2배 확보·운영이 가능하다"며 올해 후반기 이 기술을 시범 적용한 후 도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올해부터 개발 중인 인공지능 기반의 선박 영상식별기술, 초실감 가상훈련장비 등의 기술도 '스마트 해군' 구축에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해군은 전했다.
이준삼 기자 jslee@yna.co.kr
********************
스마트 해군 플랫폼에 인공지능 등의 기술 도입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해군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손잡고 해군의 정보통신기술(ICT)과 정보화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양 기관은 24일 해군본부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미래 해군의 청사진인 ‘스마트 해군’(SMART Navy)을 구현하기 위해 새로운 ICT를 함께 연구하고 이를 해군 플랫폼(Platform)에 적용해 나가기로 했다.
우선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해군에 인공지능(AI)·빅데이터와 초연결·모바일·사물인터넷(IoT)·클라우드컴퓨팅·초실감 과학화훈련시스템 등의 기술동향과 개발과제 현황 정보를 제공한다.
해군은 군사과학기술 개발 현황과 미래전 수행 개념 등 관련 연구과제를 식별해 양 기관이 함께 추진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지난 해 10월 제주기지에서 열린 2018 대한민국 해군 국제관함식에서 해군 함정들이 해상사열을 하고 있다. [사진=해군]
해군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그간 연구개발 성과를 해군에 적용시켜 나가기 위해 노력해왔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지난해 8월 위성 주파수 사용효율을 2배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활용하면 해상작전위성통신체계(MOSCOS)의 통신채널을 기존 대비 2배 확보·운영이 가능하다. 해군은 올해 하반기 이 기술을 시범 적용한 후 전면 도입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올해부터 인공지능 기반의 선박 영상식별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 체계를 활용하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주변국 군함에 대해서도 조기에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이와 함께 해군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초실감 가상훈련장비 적용도 검토하고 있다. 이 장비를 활용하면 러닝머신 위에서 360도 전방향으로 걷고 달리고 기어가는 물리적 훈련과 함께 팀 단위 전술훈련을 할 수 있다.
심승섭 해군참모총장은 “이번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의 업무협약을 밑거름으로 ‘스마트 해군’ 건설을 더욱 내실있게 추진해 국민들에게 신뢰받고 국가정책을 힘으로 뒷받침 할 수 있는 해양강군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군사소식칼럼 > 군사·국방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방부 "日관함식 초청장 안와…안가는 걸로 결정" (0) | 2019.09.24 |
---|---|
敵몰래 침투·타격·귀환 ‘F-35A’ 첫 공개비행… 對北시위 성격도 (0) | 2019.09.24 |
'대한민국 1%, 레인저'…보병학교 전문유격과정 101명 도전 (0) | 2019.09.24 |
또다시 연기…글로벌 호크 도입 이르면 11월 (0) | 2019.09.22 |
병역자원 감소…2개 군단·6개 사단 해체 (0) | 2019.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