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출전<1편> - 태로이 매복작전 해외 출전<1편> - 태로이 매복작전 꽝나이 북방 약 10키로 지점에 위치하는 1번 도로변의 ‘테로이’4부락은 월맹이나 중공으로부터 해상으로 수송되어 바탄칸반도에 양육(揚陸)된 공산군의 군수물자나 병력을 서부 산악지대로 이송하는 통로상의 길목이었다. 그런데 아군이 이 부락.. ★해병대 역사/해병대 전통·비화 2016.11.23
해외 출전<1편> - 용머리1호 작전 해외 출전<1편> - 용머리1호 작전 1967년 7월 15일 청룡부대는 남지나해로부터 바탄칸반도의 데사키강 강구로 침투중인 적 보급선이 있다는 우군부대의 제보에 따라 미 해군부대와 협조하여 그 보급선을 나포하기 위한 용머리 2호작전을 전개하여 미 해군 봉쇄함정의 공격을 받아 격침.. ★해병대 역사/해병대 전통·비화 2016.11.23
해외 출전<1편> - M16소총이 공급된 날 해외 출전<1편> - M16소총이 공급된 날 1967년 4월 24일은 청룡부대 장병들에게 그야말로 충격적인 기쁨을 안겨 준 날이었다. 까닭인즉슨 해병들이 그토록 갈망하고 있던 M16 신형소총이 공급(전량은 아니었지만)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동안 해병들은 한국인의 체격과 체구에는 지나치게 .. ★해병대 역사/해병대 전통·비화 2016.11.23
해외 출전<1편> - 짜빈동 기습방어전 해외 출전<1편> - 짜빈동 기습방어전 1개 중대의 방어병력으로 1개 연대의 적 기습부대를 격퇴시켜 혁혁한 전과를 거둔 짜빈동(꽝나이성 손틴군·추라이지구) 전투는 월남전 사상 가장 빛나는 승전기록으로 평가받고 있는 전투이다. 당시 3대대 11중대가 배치되어 있던 짜빈동 진지는 .. ★해병대 역사/해병대 전통·비화 2016.10.08
해외 출전<1편> - 강구작전과 지덕칠 하사 해외 출전<1편> - 강구작전과 지덕칠 하사 1967년 1월 31일부터 2월 3일까지 청룡부대는 '강구(江口)작전'이란 이름 하에 데사키강 입구에서 수로 측정작업을 하고 있는 미 해군 UDT의 활동을 보호하기 위한 작전을 전개했다. 그런데 2단계로 수행된 그 작전기간 중(2월 1일) 2중대와 3중대가.. ★해병대 역사/해병대 전통·비화 2016.10.08
해외 출전<1편> - 10만발째의 포탄 해외 출전<1편> - 10만발째의 포탄 파월된 지 16개월 째로 접어든 1967년 1월 30일 여단 포병대대 본부에서는 대대장 이갑석 중령의 지휘 하에 포격 10만발째를 기념하는 포격식(砲擊式)을 성대히 거행했다. 이 날 여단장 김연상 준장은 직접 105밀리포의 방아쇠 끈을 잡고 10만발째의 포탄.. ★해병대 역사/해병대 전통·비화 2016.10.08
해외 출전<1편> - 두가지 후일담 해외 출전<1편> - 두가지 후일담 투망을 치려다가 되려 투망에 걸린 꼴이 된 것 같은 투망작전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후일담을 남기고 있다. 즉 첫 번째 이야기는 그 전투에서 전사한 9중대 3소대장 전창우 중위(해사 19기)와 그와 펜팔을 하고 있던 아가씨에 관한 것이고 두번째 이야기.. ★해병대 역사/해병대 전통·비화 2016.10.08
해외 출전<1편> - 투망작전의 비극 해외 출전<1편> - 투망작전의 비극 1967년 1월(S~l4) 청룡부대는 빈손군과 손틴군 일대에서 성탄절과 신정휴전을 이용해서 전력을 정비한 적 부대를 섬멸하기 위한 투망적선을 전개했다. 그런데 이 작전기간 중(1월 10일) 3대대는 9중대 진지로 이동시켜 놓은 대대 전방CP를 부득한 사정으.. ★해병대 역사/해병대 전통·비화 2016.10.08
해외 출전<1편> - 30고지의 투혼 해외 출전<1편> - 30고지의 투혼 1966년 11월 8일부터 청룡부대는 미·월군과 합동으로 투이호아 서남방 일대에 준동하는 적을 소탕하기 위한 작전(용안작전)을 전개했다. 적의 교통 보급로 상의 요지인 짜쿡강을 견제 차단하는 가운데 전개한 이 작전에서 미 해병대는 전술책임지역 서.. ★해병대 역사/해병대 전통·비화 2016.10.08
해외 출전<1편> - 안호아 관측소 해외 출전<1편> - 안호아 관측소 1965년 8월 16일부터 9월 19일에 이르는 기간 중 투이호아지구로부터 추라이지구로 북상 이동했던 청룡부대는 9월 하순경부터 10월 하순경에 이르기까지 월남군과 미 해병대와 협동하여 바탄간반도 일대의 해안선을 차단하는 가운데 지역 내의 촌락에서 .. ★해병대 역사/해병대 전통·비화 2016.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