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건축용어 설명
ㄱ
가구 건물의 뼈대, 골조. 크게 보, 도리, 대공이 있다.
가다와꾸 거푸집
가로보조목 (furring. strapping) 샛기둥 또는 장선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목재띠로서 벽 또는 천정 마감재료를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가새 (Brace) 벽이나 바닥에 적용하는 경사진 골조 부재로 구조물에 강성을 부여한다. 흔히 골조가 완성되기 전까지 벽에 임시로 사용한다.
가설공사 건축공사 중에서 규준틀, 비계, 가설울타리나 현장 사무소, 양생 등 건물이 완공되었을 때에는 불필요하게 되는 부분에 관계한 여러 가지 공사의 총칭
개구부옆부재 (Trimmer) 개구부골조의 구조용 측면 부재.
개축 기존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 내력벽ㆍ기둥ㆍ보ㆍ지붕틀중 3가지 이상이 포함되는 경우를 철거하고 그 대지 안에 종전의 규모와 같거나 작게 건축물을 다시 짓는 것을 말한다. 개축 시에는 반드시 기존건축물에 비해 건축면적ㆍ연면적ㆍ높이ㆍ층수 등의 규모가 같거나 작아야 한다.
거푸집 (form) 콘크리트가 굳을 때까지 형태를 잡아주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금속 되는 목재 형틀
건식벽(Drywall) 큰 시트나 패널에 설치하는 실내 커버재료. 이 용어는 석고보드와 동의어이다
건축선 건축선은 건축할 수 있는 선, 즉 도로 경계선을 일컫는 말로 그 부분까지 건축이 가능하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도로너비가 부족한 경우에는 그 도로 중심선에서 필요한 도로 너비의 1/2을 띄운 선이 건축선이 된다. 예를 들어 통과되는 도로의 너비가 2m인 골목길이라면 골목길 중심에서 4m의 1/2인 2m를 띄워야 한다. 양쪽으로 2m씩 떨어진다면 나중엔 4m의 도로가 확보되는 셈이 된다. 결과적으로 건축할 대지에서 1m를 후퇴하여 건축해야 하는데 후퇴한 1m부분은 대지면적에서 제하고 나머지만으로 건폐율이란 용적율 등을 산정하게 된다.
건축한계선 건축물의 지상 부분이 수직면을 넘지 못하도록 한 선을 말한다.
건축지정선 건축물의 1~3층까지 벽면의 위치를 적어도 1/2이상이 접하도록 지정한 선을 말한다.
건축면적 건축 면적은 대부분의 경우 1층의 바닥 면적을 이른다. 대지에 지어진 건물을 살짝 들어냈을 때 바닥을 가린 면적이다. 예를 들어 총 6백평의 건축물이라 해도 1층 면적이 120평이면 그 건축면적은 120평인 것이다. 물론 이 면적이 대지 면적을 상회할 수는 없다.
건폐율 건축면적이 대지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이다. 건축면적을 대지면적으로 나눈 후 1백을 곱하여 구한다. 건폐율은 지역에 따라 건축법규로 미리 정해져 있다. 따라서 자신의 건축을 지으려는 이는 먼저 이 건폐율을 반드시 먼저 확인해봐야 한다. 건폐율은 건축의 신축시 전체 면적을 결정 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세월의 흐름이나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바뀌는 경우도 있음으로 건물의 매입, 수선시에도 반드시 고려해야 되는 사항이다.
걸침턱 (bird’s mouth) 벽체의 위깔도리에 걸치는 서까래의 파임
결합부 (Joint) 두부재가 만나는 부위.
경계벽 (Party wall) 다세대주택에서 거주세대 사이의 벽체.
경사지붕 (Shed roof) 한 방향으로만 경사진 지붕
계단코(Nosing) 계단디딤판에서 튀어나온 둥근 모서리.
고정볼트(Anchor bolt) 목재 토대를 콘크리트나 벽돌의 바닥, 기초벽에 고정하는 볼트. 목재부재를 콘크리트나 벽돌에 결합시키는 철물
골 (Valley) 지붕에서 두개의 아래 경사면이 만나는 들어간 부위로서 귀의 반대.
골서까래 (Valley raft) 지붕꼴을형사하는경사서까래.
골조개구부 (Rough opening) 문 또는 창문을 달 수 있도록 골조부재에 설치된 개구부.
공구리 콘크리트
공칭치수 (Nominal size) 구조용목재의 치수를 반올림하여 단순화한 치수명.
구조재 (Timber) 제재소에서 구조용으로사용가능한 형태로 제재된 목재.
귀(퉁이) (Hip) 인접한 두개의 경사기둥이 비스듬히 만나는 솟아오른 가. 골의 반대.
귀서까래(Hip rafter) 귀를 구성하는 경사 서까래.
기둥 (column) 수직구조부재
기소 기초
기소공구리 기초콘크리트
기초 (foundation) 1층 바닥 아래쪽으로 건물을 지지하는 구조. 기초는 지정위에 건축되며 건물의 무게를 지면에 전달한다.
깔도리 (Plate) 평평하게 설치되는 수평 골부재.
끝막이보 (Header) 바닥, 벽체 또는 지붕에서 개구부로 인하여 길이가 짧아진 구조부재의 끝을 가로 질러 설치함으로써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부재.
ㄴ
나라시 길들이기, 고르기
난간동자 계단과 발코니, 현관의 측면에 사용되는 난간의 수직부재
내력벽 (bearing wall vertical slab) 철근 콘크리트 구조, 블록 구조 등 건축물에서 지진력, 연직 하중을 견디기 위해 만든 벽체
내부결로 천장, 벽, 바닥 등 구조체 내부에서 생기는 결로로 표면 결로에 상대되는 말
내진벽 (Nonbearing) 내력벽의 하나로 특히 지진력에 대해 유효하게 작용할 목적으로 설계되어진 벽체. 라멘구조에서는 내진벽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기둥, 보의 수평력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내화벽돌 굴뚝이나 난로 등 불에 닿는 부분 등에 사용되고 특히 내화성이 우수한 벽돌, 알루미나 등의 세라믹을 원료로 하고 보통 1,580˚C 이상의 내화성이 있다. 특수벽돌 중의 하나.
네다 장선
눈썹지붕 벽 또는 지붕끝에 달아낸 폭이 좁은 지붕
ㄷ
단면도 건물이나 가구의 절단면을 표시하는 도면의 총칭. 건물의 경우 천장높이, 계단 높이 등 높이 방향의 형상과 치수의 표시, 건축 기준법의 높이제한 검토 등을 하기 위하여 작성한다. 가구의 경우는 보이지 않은 부분의 구조를 나타내는 그림으로 표현한다.
대지면적 대지는 건축할 수 있는 땅을 말한다. 대지는 토지 안에 포함 된 개념으로 보지만 토지가 반드시 대지인 것은 아니다. 대지면적은 건축물 대장에 표시된 면적만을 가리키며 따라서 이는 토지면적과 같거나 작을 수도 있다. 건축허가 시 적용되는 건폐율이나 용적률은 대지면적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것이다.
데마 품
덴꼬 지렛대
도리 (cross beam) 기둥의 두부를 연결하는 것과 함께, 상량이나 지붕보를 받는 수평재(가로재), 도리에는 처마도리, 중도리, 뒷도리가 있다.
도머 천장 작은 방의 채광을 위하여 지붕의 경사면에 돌출된 모양으로 만드는 지붕창
돌림띠 (string course) 벽, 천장, 처마 등의 가장자리에 가로로 길게 돌려 댄 띠, 처마밑 벽면에 댄 것을 처마돌리띠라 하고, 장식을 겸한 차양 또는 물끊기의 역할을 한다.
돌출부 (Overhang) 지지벽보다 앞으로 튀어나온 지붕의 일부분.
등급, 지반면, 경사도 (Grade) 목재 및 합판의 품질구분. 지표면 또는 건축지의 지면경사.
디딤면 계단의 밟는 바닥부분을 말한다. 건축기준법에서는 디딤면, 계단폭 등의 치수가 규정되어 있다.
ㄹ
래프터 지붕의 기울어진 골조를 형성하는 부재 또는 트러스의 상부에 설치된 코드를 래프터라 한다. 위치와 용도에 따라 히프(hip), 잭(jack) 또는 밸리(valley)라고도 명명된다.
렝가 벽돌
루베 입방미터(㎥)
룰루핑 (Rolled roofing) 섬유나 포화아스팔트로 구성된 루핑재료로 싱글 등의 지붕커버의 덮개 위에 쓰인다.
리징 대각선 연결이라 불리우며, 연결체를 조이스트 사이에 연결시키고 스크류 또는 용접을 고정한다.
ㅁ
마구리 목재의 섬유방향과 직각인 횡단부의 끝면
마도 창
마룻대 (Ridge board) 지붕의 용마루에 설치하는 판재로 서까래의 위쪽 끝 면이 부착되는 수평널판. 지붕의 장점, 즉 용마루에 있는 중심틀 부재. 지붕 서까래가 양옆에서부터 그 틀에 끼워진다.
막힌줄눈 돌이나 타일 붙임 등에서 보여지는 부재를 반정도씩 비키어 놓으면서 붙이는 방식
맞배지붕 박공지붕과 비슷한 형태의 지붕이지만 지붕마루의 한쪽이 2개의 지붕면으로 구성되며 이중 낮은 지붕면이 높은 면보다 더 경사가 급하다.
메지 줄눈, 사춤
메지보 줄눈대
멘나라시 면고르기
멘사드지붕 (Mansard roof) 지붕의 4면이 2가지 경사로 구성되고 아래경사면이 위경사면 보다 더 급한 각을 가지고 똑같은 처마높이에서 끝난다.
모임지붕 (Hip roof) 4개 이상의 고정경사면으로 구성되는 지붕으로써 모든 지붕면이 동일한 처마높이에서 지붕마루까지 연결됨.
목수 (framer) 못의 치수 테리나우스, 페니 (d)
목재장선 (Sleeper) 바닥에서 콘크리트속에 박히거나 위에 직접 놓이는 부재로 바탕바닥이나 플로링을 지지하고 접합하는데 사용한다.
못총 (Nail gun)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못을 박는 반자동 공구.
무결점재 (Clear wood) 옹이를 가지지 않는 목재
무광페인트 고농도의 염료를 포함하고 편편하거나 무광택 마감으로 건조되는 내장페인트
문선 (Trim) 건물의 마감재료로서 개구부 주위에 작용하는 몰딩(창문의 문선)이나 방바닥과 천장에 설치하는 몰딩
문와꾸 문틀
문지방 (Threshold) 아래쪽 문틀.
몰딩 (Moldong) 조형, 그 요철에 따라 장식하는 것. 건물의 기둥각과 테두리, 가구의 각부 등에 연속적으로 새겨 넣어진 장식적인 가공
물매경사 (Slope) 수평거리 300mm당 수직높이로 표현되는 지붕경사.
밑깔도리 (Bottom plate) 충실골조에서 밑바닥위에 설치되는 벽채의 가장 아래쪽 깔도리로서 샛기둥의 아래 면이 못질 결합된다.
밑바닥덮개 (Subfloor sheating) 바닥장선을 가로질러서 마감바닥 밑에 사용되는 바닥덮개로서 합판이 널리 사용된다.
ㅂ
바닥밑 공간 (crawl space) 지하실이 없는 주택에서 기초벽, 바닥장선 및 지면으로 둘러싸인 공간
바닥밑판 카펫이나 비닐타일, 리놀륨 등의 유연성 바닥재료 아래 설치하는 재료로서 이러한 재료를 깔 수 있도록 매끈한 베이스를 제공한다.
바라시 해체, 뜯어냄
박공 (gablecf. bargeboard) 박공지붕에서 양측면 처마와 지붕마루 사이에 형성되는 끝면 벽체의 삼각부분
박공널 (bargeboard) 박공벽판이 연결된 박공서깨래에 부착된 널판 (박공 : 합각머리나맞배지붕의 양쪽 끝머리에 ‘∧’ 모양으로 붙인 두꺼운 널 또는 벽. 박풍)
박공지붕 (gable roof) 2개의 고정 경사지붕이 지붕꼭대기의 마루부분에서 만나는 지붕형태. 지붕모서리에 추녀가 없고 측면벽이 용마루까지 산형으로 된 지붕, 맞배 지붕이라고도 한다. 배향성 스트랜드 보드(Oriented strand board : 일명 OSB)층으로 구성된 구조용 플레이크 보드의 일종으로, 각 층은 한쪽방향으로 배열된 압축된 스트랜스형 목재 파티클로 구성되며, 각 층은 서로 직각 으로 배열한다. 각 층은 페놀수지로 접착한다.
반샛기둥 (cripple) 벽체개구부에서 수평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설치되는 짧은 샛기둥
반서까래 (cripple jack rafter) 모서리 및 골서까래 사이에 설치되는 서까래
반서까래 (Jack rafter) 깔도리와귀서까래 사이 또는 지붕마루와골서까래 사이에 걸쳐지는 짧은 서까래.
반장선 (Tail joist) 끝막이 장선과 만나는 짧은 장선.
버팀대 (bridging, cross-bridging) 바닥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활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지간의 중앙에서 바닥장선 사이에 x형으로 설치되는 작은 목재 또는 금속부재의 버팀막대
벽덮개 (Wall sheathing) 벽체의 외부를 덮어 구조성능을 부여하는 판재료로서 합판이 주로 사용된다.
벽면선 건축물의 1층 또는 특정층 벽면의 위치가 넘어서는 안되는 선을 말한다.
벽받침 (Backer) 칸막이벽이 부착되는 위치에 U자나형으로 못질결합된 3개의 샛기둥
보(빔) (beam) 부재의 횡방향으로 적용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부재. 목재 또는 철로 된 치수가 큰 수평구조 부재
보강판 (Gusset) 구조부재들을 서로 결합시켜주고 결합력을 강화시켜 주기 위하여 부재의 양면에 덧대어 주는 합판 또는 금속조각
보색대비 서로 보색관계가 되는 색을 배열하여 상대 색상을 강조하는 현상. 푸른빛을 띤 녹색 잎사귀와 그를 배경으로 한 등색의 감귤이 서로 그 인상을 강하게 하는 현상
보통못 (common nail) 직경이 못대의 2배 정도 되는 평못머리를 갖고 있으며 골조시공에 사용되는 못
ㅅ
사이딩 (Siding) 지붕이나 외벽의 표면에 설치되는 구조용 부재
사하중 (dead road) 설치된 모든 구조부분의 무게
샛기둥 (Stud) 벽체의 주된 수직 골조부재로서 마감재료나 덮개가 부착된다.
서까래 (Rafter) 지붕을 구성하는 주된 구조부재돌 중의 하나.
쇄기 (Shim) 구조체의 수평을 잡거나 결합부에서 표면의 높낮이 조정을 위하여 구조부재 사이에 삽입되는 얇은 경사 부재 토막.
수직높이 (Rise) 지붕에서 이중깔도리의 측면을 통과하여 지붕경사에 평행하게 그은 선과 마룻대의 중심선과의 교차점과 이중깔도리의 윗면사이의 수직거리. 아래층바닥에서 윗층 바닥까지 전체 계단의 수직높이.
수평거리 (Run) 마루가 있는 지붕에서 서까래 깔도리(건물선)의 측면과 마룻대 중심선 사이의 수평거리, 계단에서 상단 및 하단 철판 사이의 수평거리와 디딤판 하나의 폭의 합
스데공구리 버림콘크리트
시마이 끝냄
ㅇ
야리가다 규준틀
야마내기 톱니내기
앵커볼트(Anchor bolt) 목재부재를 콘크리트나 벽돌에 결합시키는 철물
옆기둥 (Jack stud) 문 또는 창문의 윗막이보를 지지하는 짧은 샛기둥으로써 TRIMMER또는 Jamb stud라고도함.
옆막이장선 (Rim joist) 바닥골조에서 외곽을 구성하는 장선부재.
유니온 이음새
와꾸 테, 틀, 울거미
외팔보, 들보 (cantilever) 지점에서 돌출된 구조부분
위깔도리 (Top plate) 샛기둥의 윗면을 가로질러서 이중 깔도리의 바로 아래에 설치되는 골조부재.
이중깔도리 (Double plate) 윗면에 2개의 깔도리가 있는 벽채의 가장 위쪽 부재로서 주두 또는 서까래깔도리로도 부른다.
ㅈ
자바라 주름테, 주름줄
장선 (Joist) 바닥 또는 천정을 지지하기 위하여 평행하게 사용되는 수평구조 부재. 벽체, 보 또는 큰 보에 의해 지지됨.
장선걸이 (Joist hanger) 장선을 제 위치에 고정시켜 주는 금속철물.
중심간격 (On center O.C) 한 골조부재의 중심에서 인접부재의 중심까지의 거리.
지간거리 (Span) 지점 사이에 수평으로 측정된 거리
지붕창 (dormer) 경사지붕에서 튀어나와 있으면서 자체의 별도 지붕이 있는 창문
지정 (footings) 주로 콘크리트 타설로 만들어지며 그 위에 기초벽이 세워지는 받침구조. 지정과 기초벽은 일반적으로 단일 단위 구조체로서 거푸집이 제작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ㅊ
처마 지붕에서 지지벽체 밖으로 돌출된 부분 (eave)
처마끝 서까래 (Tail) 벽체의 이중깔도리를 초과하여 뻗은 서까래 부분.
처마돌림 (fascia) 서까래 아래쪽 끝면에서 수직으로 못박기되어 배내기(cornice)의 일부를 구성하는 널판
층계 (Stair) 단일계단
층식구조 (Platform framing) 벽체골조가 완성된 상자형토대위에 건축되는 건축형태로서 연속외벽 또는 버팀구조에서와 같이 장선과 샛기둥이 직접 결합되지는 않는다.
치마밑면 (Soffit) 처마와 같은 돌출부의 밑면
ㅋ
칸막이 (Partition) 건물의 실내공간을 방 또는 작은 면적으로 나누는 실내벽.
큰보 (Girder) 강철 또는 목재로 만들어 지는 주된 수평보.
ㅌ
토대 (Mudsill) 기초 또는 콘크리트 바닥위에 설치되는 벽채의 가장 아래 깔도리.
토대 (Sill plate) 기초의 윗면에 부착되어 바닥을 지지하는 구조보재로서 sill 또는 mudsill로도 불리운다.
토대, 문턱, 창문턱 (Sill) 문 또는 창문을 위한 개구부 하단의 구조부재. 또한 문 또는 창문틀의 아래부재.
트러서 (Truss) 지붕건축에 가장 널리 사용되며 긴 지간거리에 걸쳐지는 구조체.
ㅍ
페니 (Penny) 못의 치수를 의미하며 기호 “d”를 사용.
ㅎ
하리 보
하바 폭, 너비
하바끼 걸레받이
하시라 기둥
하이낑 배근
화염막이 (fire block) 장선 또는 서까래 사이에 수평으로 못박기되어 부분적으로 공기의 흐름을 막음으로서 불이 번지는 속도를 늦춰주는 역할을 하는 짧은 구조부재
활하중 (Live load) 구조에 작용하는 모든 가변하중. 사람, 가구 및 장비의 무게가 포함됨.
헤베 평방미터(㎡)
호리가다 터파기, 줄파기
후끼 뿜칠
후로링 플로어링
후앙 환풍기
히로시 눈금표시하기
히사시 차양
'Construction Engineering > 건축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열재 종류 사용법까지 간단히 정리했어요 (0) | 2020.03.19 |
---|---|
토량환산계수에서 L값과 C값 (0) | 2020.03.17 |
건축외장재종류 꼭 알아야할 10가지는? (0) | 2020.03.12 |
타일종류 자기질 도기질 차이는? (0) | 2020.03.12 |
LED(light emitting diode) (0) | 2020.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