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소식칼럼/국방·안보 논문(論文)

한국 무기체계 획득단계에서의 램(RAM) 업무 발전방향

머린코341(mc341) 2015. 2. 25. 06:11

[국방논문] 한국 무기체계 획득단계에서의 램(RAM) 업무 발전방향

 

요약

무기체계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운용유지비용을 절감하며 효율적으로 정비하여 전투준비태세를 기준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기체계 램(RAM) 제도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하지만 한국의 무기체계 RAM 제도는 규정과 절차를 정립하는 초기단계이며, 상대적으로 노력과 투자도 미미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무기체계 획득단계에서의 RAM 업무를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정책 및 제도, 업무수행, 기반구축 측면 등으로 구분하여 제안한다.

정책 및 제도 측면에서는 RAM 관련 정책의 추진과 규정 및 매뉴얼의 제•개정, 제도의 보완 등을 우선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그리고 업무수행 측면에서는 RAM 업무절차의 구체화와 기술지원의 강화, 기관별 전담부서 및 전문인력의 활용 등을 시행해야 한다.

 

또한, 기반구축 측면에서는 예산 확보와 기초연구, 기술개발에 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본문

 

무기체계를 획득하는 단계에서는 ‘좋은 품질의 무기체계를 경제적인 비용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제공하는 것’을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관리하고 있다.

좋은 품질의 무기체계는 기대수준 이상의 성능을 갖추어야 하며, 원하는 시간에 보유성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무기체계의 신뢰도도 갖추어야 한다.


왜냐하면 유사시 그 성능을 발휘해야 하는데 고장이 난다면 아군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경제적인 비용이란 무기체계 개발 및 구매에 소요되는 획득비용뿐만 아니라 운영유지비용까지 포함하는 것이다.

 

획득단계에서 정비도 등을 고려하여 무기체계의 고장률을 낮추고 효율적으로 정비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면

운영유지비용은 많이 절감될 것이다.

따라서 좋은 품질의 무기체계를 경제적으로 획득하기 위해서는 신뢰도 및 정비도 등이 상대적으로 높아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무기체계 램(RAM) 업무를 효율적으로 적용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획득단계에서 RAM 업무 적용에 대한 노력과 투자는 다른 요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미미한 수준이며,

관련 자료나 전문인력 등도 부족한 실정이다.

 

비용 측면에서도 획득단계에서 획득에 필요한 예산만을 확보하고 집행하고 있어 운영유지비용 절감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기체계 획득단계에서 RAM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정책 및 제도 측면과 업무수행 측면, 기반구축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RAM의 개념과 미 국방부의 RAM 운영 실태를 살펴보며, 한국 무기체계 획득단계에서의 RAM 업무를 분석한다.


RAM 이해


RAM은 신뢰도(Reliability)와 가용도(Availability), 정비도(Maintainability)의 약어로서, 어떤 체계의 고장빈도, 정비업무량 및 전투준비태세 등을 측정하는 척도로 활용되는 것을 말한다.1)

RAM 업무는 무기체계의 개발을 위한 최초 개념연구부터 그 폐기에 이르기까지 전 수명주기 동안 수행되는 업무로서, 무기체계의 설계와 시험 및 운용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DB화하고, 이를 통해 무기체계의 설계 지원 및 평, 설계 개선, 대책방안 도출 및 군수지원분석(LSA) 등의 업무를 지원한다.2)


신뢰도
신뢰도는 어떤 체계가 주어진 조건하에서 일정기간 동안 의도된 기능을 수행할 확률로서, 고장빈도와 관련된 요소를 말한다.3)

신뢰도와 관련된 고장률은 얼마나 자주 고장이 날 것인가에 대한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신뢰도는 해당 장비의 특성에 따라 일반장비는 수리간평균시간(MTBF), 기동장비는 고장간평균거리(MKBF), 총포류는 고장간평균발수(MRBF) 등으로 표시된다.4)


이러한 신뢰도는 항상 어떤 기능이나 임무와 관련되어서 사용된다.

신뢰도는 체계의 성능을 측정하는 척도로서, 소요군의 체계 요구성능과 계약 요구조건, 능 평가결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산출되며, 산출된 값은 임무 달성의 평가를 위해 활용된다.5)


가용도
원하는 시간에 요구되는 무기체계가 정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는 것은 무기체계 운용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중의 하나가 가용도이다.


가용도는 어떤 체계가 고장수리를 거쳐 임의의 시점에서 가동상태에 있을 확률로서, 어떤 장비가 불시에 임무를 받았을 때 가용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6)

리고 가용도는 운용환경에 따라 고유가용도와 성취가용도, 운용가용도로 분류할 수 있다.7)

 

고유가용도는 예방정비를 고려하지 않은 이상적인 지원환경에서, 성취가용도는 예방조치에 대한 고려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체계가 임의의 시점에서 만족스럽게 작동할 확률을 말한다.

운용가용도는 행정과 군수지연시간 및 정비대기시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체계가 임의의 시점에서 만족스럽게 작동할 확률을 말한다.


가용도는 고장간평균시간(MTBF)과 평균수리시간(MTTR),8) 운용형태요약 및 임무유형(OMS/MP)에 제시되는 운용시간 등을 매개변수로 하여 산출한다.9)


여기서 OMS/MP는 체계가 향후 배치되었을 때 전•평시에 어떻게 사용될 것인지를 설명한 문서를 말한다.

 

따라서 가용도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신뢰도와 정비도가 분석되어야 하고, 운영개념과 운용부대의 행정•군수지원계획 특성 등에서 산출한 자료들이 필요하다.


정비도
정비도는 규정된 절차에 따라 정비를 실시할 경우 지정된 기간 내 어떤 체계가 요구된 상태로 복구될 수 있는

확률로서, 정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10)

 

따라서 고장 발생 시에는 이를 얼마나 빨리 규정된 상태로 장비를 복구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정비도를 나타내는 지표로는 평균수리시간(MTTR), 정비율, 평균정비활동시간, 평균예방정비시간 등 다양한 요소들이 사용된다.

이러한 정비도는 설계단계에서 고장 진단과 검출의 용이성, 고장난 부품의 교환 편의성 및 교환 후의 성능•기능 확인의 용이성 등을 어떻게 고려했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RAM 운영 실태 분석


미국의 사례
미 육군시험평가사령부에서 운용시험평가 결과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11) <그림 1>과 같이 1985-1990년 기간 동안 신뢰도 충족도는 41%이었으나, 1996-2000년 기간 동안은 신뢰도 충족도가 20%로 신뢰도 요구조건을 충족하는 비율이 낮아졌다.


이러한 현상을 여러 기관에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 육군은 불분명하거나 비현실적으로 높은 RAM 요구조건을 제시하거나 RAM 업무에 대한 낮은 우선순위 부여, 개발 초기 신뢰도를 고려한 설계 실패, 구성품 또는 하위구성품 수준에서 불충분하고 낮은 수준의 시험 실시, 공학적인 설계 분석이 누락된 예측, RAM 업무계획 미흡 등으로 문제를 제기하였다.

미 국립과학학술원(National Academy of Science)은 RAM 데이터 수집과 분석 절차에 많은 관심을 권고하였다.12)


이에 따라 미 국방부는 2005년에 RAM 업무지침서를 발간하였고, RAM 목표 달성을 위한 업무수행 단계를 네 단계로 구분하여 적용하고 있다.

<그림 1> 운용시험평가 결과 신뢰도 충족도

1단계는 RAM 목표 달성을 위하여 사용자 요구와 제약조건을 이해하고 문서화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사용자 요구수준을 정의하고 문서화하며 평가하여야 하고, 요구조건 충족을 위한 목표 설정근거를 설명하여야 하며, 충족방안을 검토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기술 검토와 체계대안 검토, 체계요구사항 검토, 통합기준선 검토 등이 수행된다.13)


2단계는 RAM 설계와 재설계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설계 시 예상되는 잠재 고장원을 식별하여 제거하고, 정비가 가능하고 효율적인 정비가 가능하도록 설계하며, 군수지원 용이성 및 높은 신뢰도와 정비도 등을 통하여 가용도를 확보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체계기능 검토와 기본설계 검토, 상세설계 검토, 시험준비상태 검토 등이 수행된다.14)


3단계는 신뢰성 있고 정비성 있는 체계를 생산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생산기간 동안 설계된 고유 RAM 수준을 유지하며, 생산단계에서의 프로세스 관리 및 품질보증의 활동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생산준비상태 검토와 기능적 형상확인 및 체계검증 검토, 운용시험 및 준비상태 검토, 물리적 형상확인 등이 수행된다.15)


4단계는 야전성능 관찰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체계 운용 수명주기 동안 RAM 성능을 유지하고, 문제점 초기 발견 시 형상개선을 위한 RAM 결함을 확인하며, 향후 체계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를 위해서 운용 중 검토 등이 수행된다.16)


한국의 무기체계 RAM 업무 분석
한국은 K-1 전차사업의 개발단계에서 국방과학연구소가 RAM 업무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기초연구를 시작하였다.17)

2007년에 「방위사업관리규정」이 제정되면서 RAM 분석 활동이 제293조(램 분석 및 군수지원분석)에 반영됨으로써 무기체계 분야에 RAM 업무수행에 대한 근거가 마련되었지만, RAM 업무를 구체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나 절차가 부재하였다.


2013년 9월에 「무기체계 RAM 업무지침」이 제정됨에 따라 RAM 업무수행을 위한 절차가 명시되면서 2014년부터 개발단계 RAM 업무가 본격적으로 수행되기 시작하였다.


한국의 무기체계 RAM 업무는 사업 및 무기체계 특성에 따라 절차를 추가하거나 조정하여 적용할 수 있으나,

「무기체계 RAM 업무지침」 제7조에 의하면 효과적인 업무수행을 위하여 업무수행 절차를 다섯 단계로 구분하였다.

1단계는 RAM 목표값 정량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소요기획단계에서 제시된 부대편성 및 운영개념, 정비환경 및 정비개념, 목표운용가용도 또는

RAM 잠정목표값 및 운용형태요약 및 임무유형(OMS/MP) 정량화 기초자료, 유사 장비 야전운용제원 등을

사업 추진 전에 분석하여 탐색개발단계 이전에 RAM 목표값을 설정한다.


2단계는 RAM 분석기준 설정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RAM 분석업무 범위, 분석기준, 분석계획 및 할당 등에 대한 기준을 설정한다.


3단계는 RAM 분석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RAM에 대한 분석계획서를 작성하여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작성한다.


4단계는 RAM 시험 및 평가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RAM 시험평가대상을 선정하고 시험평가계획을 작성하며 RAM 시험평가를 수행한다.


마지막 5단계는 RAM DB 구축 및 분석 단계이다.

단계에서는 개발과정에서 생산된 RAM 관련 목표값, 예측값, 시험평가값 등에 대하여 무기체계 운용 중에 지속적인 자료 수집이 요구되는 항목을 선정하며, 야전에서 운용할 수 있는 제원을 수집하여 자료를 DB화하고 환류한다.


한국의 RAM 제도는 규정과 절차 등을 정립하고 있으며, 아직 시작단계로 초보적인 수준이다.

따라서 무기체계 개발에 RAM 제도를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RAM 업무를 기술적으로 지원할 전담부서가 필요한 상황으로, 일부 인원이 한시적으로 기술을 지원하고 있는 측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정보화시스템 측면에서 살펴보면 획득단계에서 산출되는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관리하는 시스템은

제한된다.

야전운용제원을 분석하는 시스템이 2010년에 개발되어 운영 중이나 성능개량이 필요한 실정으로, 시스템 기반의 업무수행체계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RAM 업무 발전방향


정책 및 제도 측면
무기체계 획득단계에서 한국의 RAM 정책과 제도는 시작단계이며, 아직도 많은 보완이 필요하다.

 

특히, 의사결정자들의 강력한 RAM 정책 추진, RAM 관련규정과 지침의 제•개정, RAM 활용성 강화를 위한

도 보완 등이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관리자를 포함한 의사결정자들은 RAM업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강력하게 RAM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획득단계에서 RAM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좋은 품질의 무기체계를 획득하고 경제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RAM 활동을 제대로 수행해야만 전투준비태세를 기대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거나 무기체계 성능을

적시에 발휘할 수 있는 신뢰도를 보장받을 수 있다.

하지만 RAM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투자와 노력이 필요하다.

 

개발초기 RAM 사항을 설계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분석된 자료들이 필요하며, 부품 단위 신뢰성 평가를 하기 위한 추가적인 비용과 시간들이 요구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RAM 업무수행이 사업관리자나 개발자들 입장에서 본다면 추가적이거나 부수적인 업무로 인식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한국에서 RAM 제도가 조기에 정착되고 효율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의사결정자들을 중심으로 획득단계에서부터 RAM 업무를 적용하기 위한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해야 하며, 과감한 투자와 관심으로 각종 제한점을 극복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RAM 관련 각종 규정 및 지침의 제•개정이 필요하다.

「 국방전력발전업무훈령」과「 방위사업관리규정」,「 무기체계 RAM 업무지침」 등 관련 제도에 대한 보완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특히, 획득단계별 RAM업무수행 부서별 업무내용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구분해야 하며, RAM 목표값이나 잠정목표값 설정 및 달성 방안, RAM 자료 수집 관리 및 분석, 개발단계 RAM 기술지원 등에 대한 내용들도 구체화하여 규정이나 지침에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획득단계 RAM이 야전운용단계에서까지 지속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며, 실제 운용자료가 수집되어 다시 획득단계로 환류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무기체계 획득 및 방산수출 등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RAM 제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RAM 자료는 유사 무기체계 획득에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방산수출 시 상대 국가에서 요구하는 필수자료 중에 하나이다.

따라서 획득단계에서 과학적 사업관리 절차와 연계하여 RAM 관련 산출물을 관리해야 하며,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준 업무수행 매뉴얼 등을 작성해야 할 것이다.


업무수행 측면
획득단계에서 RAM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RAM 업무를 구체화하고 기술지원을 강화해야 하며, 기관별 전담부서 및 전문인력을 통한 업무수행과 시스템 기반의 업무수행체계를 구비해야 할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기체계 획득단계와 연계하여 RAM 업무를 구체화하여 수행해야 한다.

획득단계별로 RAM 관련 산출물을 정의하고 구체적으로 업무절차를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RAM 관련 산출물은 별도로 작성할 수 있지만 각 획득단계에서 생산되는 산출물에 포함하여 작성할 수도 있다.

<표 1>처럼 획득단계별 RAM분야를 포함하는 요구문서를 사전에 정의하고 구체적인 내용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획득단계별 RAM 업무에 대한 기술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소요기획단계에는 RAM 기초자료와 잠정목표값 및 목표운용가용도 등에 대한 기술적 검토가 필요하다.

<표 1> 획득단계별 RAM 분야 포함 문서(안)

획득단계에서는 목표값을 설정하고 설계에 반영하며, RAM 분석 및 할당을 실시하고 RAM 목표값 달성을 확인하며, 신뢰도 성장관리와 RAM 분석을 통한 군수지원분석(LSA) 등에 대한 기술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양산단계에서는 RAM 목표값 달성을 재확인하며, ILS 요소를 확보하여 배치하고, RAM DB를 구축하여 환류하기 위한 기술지원 업무를 강화해야 한다.


셋째, 기관별 전담부서와 전문인력 등을 활용하여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RAM 업무가 효과적으로 정착하고, 기대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담조직에서 업무에 전념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한국의 무기체계 RAM 제도는 초기단계로 업무수행을 위한 전담부서 및 전문인력이 제한된 실정이다.

따라서 획득단계에서 RAM 업무에 대한 산출물을 검토하고 분석하여 사업관리자를 지원하는 조직과 인력이 필요하다.


넷째, 시스템 기반으로 RAM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
제한된 인력으로 RAM 업무를 효율적이고 전문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RAM 목표값 설정 및 검증, 획득단계별 목표값 관리, RAM 예측 모델링 및 분석 도구 등을 시스템으로 구축하여 업무에 활용해야 한다.


또한, 모의분석(M&S)체계와 연계한 RAM 시험평가 등을 통하여 기간과 비용을 단축하는 노력을 병행해야 하고, 데이터 축척 시스템을 구축하여 산출물을 관리하고 향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표 2> RAM 특화연구실 주요 연구내용(안)


기반구축 측면
RAM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획득단계에서 소요되는 비용이 적절하게 예산에 반영되어야 하며, 기초연구와 기술개발에 대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RAM 업무수행을 위한 적절한 예산이 반영되어야 한다.

사업예산을 검토하거나 비용분석단계에서 부품 단위까지 RAM 업무수행과 시험을 할 수 있는 예산이 반영되어야 한다.


둘째, RAM에 대한 기초연구 및 기술개발 등을 수행할 수 있는 RAM 특화연구실 운영이 필요하다.

 

<표 2>와 같이 RAM 특화연구실을 통한 연구활동을 통하여 획득단계에서 무기체계 RAM 업무수행 및 설계기법을 연구하고 RAM 시험평가 기술 등을 확보하여, 업무에 적용함으로써 무기체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무기체계의 신뢰성과 RAM 업무를 지원할 수 있는 국방신뢰성센터(가칭) 등의 상시조직이 필요하다.

 

이러한 조직을 통하여 인프라를 구축하고, 각종 필요한 시험시설 등을 마련하여 체계적으로 시험을 실시하며,

RAM 업무를 통합적으로 관리해 나가야 한다.

♣ 결론


획득단계에서 RAM 업무를 적용하는 것은 무기체계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경제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수적인 요소이나, 한국은 초기단계로 효율적으로 적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획득단계에서 RAM업무를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RAM 업무를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사업관리자를 포함한 의사결정자들이 RAM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RAM 업무 적용을 강력하게 추진해야 하며, RAM 관련 규정과 매뉴얼 등을 제•개정해야 하고 RAM 활용성 강화를 위하여 관련 제도를 보완 발전시켜야 한다.

그리고 RAM 업무를 세분화하고 구체화해야 하며, RAM 업무가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기술지원을 강화하고,

기관별 전담부서 및 전문인력을 통한 업무수행과 시스템 기반의 업무수행체제를 구비해야 한다.

또한, RAM 업무에 소요되는 비용을 적절하게 예산에 반영해야 하고, RAM 관련 기초연구와 기술개발 등을 수행할 특화연구실 운영이 필요하다.


이제 획득단계의 RAM 업무수행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인 사항이다.

 

따라서 RAM 업무수행에 대한 현실적인 어려움을 크게 생각하기보다는 현재 주어진 상황에서 RAM 업무를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 혹은 RAM 제도 정착을 위하여 요구되는 것들은 어떻게 준비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1) 램(RAM)의 정의는 「방위사업관리규정」(방위사업청훈령 제294호(2014. 7. 22.))과 「국방전력발전업무훈령」(2014. 11.10.)의 용어 정의를 인용하였다.
2) RAM 업무의 정의는 「무기체계 RAM 업무지침」(방위사업청 예규 제261호(2014. 12. 8.))의 용어 정의를 사용하였다. LSA는 Logistic Support Analysis의 약어이다.
3) 신뢰도(Reliabiliity)의 정의는 「방위사업관리규정」과 「무기체계 RAM 업무지침」의 용어 정의를 인용하였다.
4) 고장간평균시간(MTBF)의 용어는 「국방군수•전력용어사전」(국방부, 2013. 8.)의 용어를 따랐으며, 고장간평균거리(MKBF)와 고장간평균발수(MRBF)는 고장간평균시간에 근거하여 사용하였다.

MTBF (Mean Time Between Failure)의 산식은 ‘총 운용시간 ÷ 해당 기간의 총 고장횟수’이다.
MKBF (Mean Kilometers Between Failure)의 산식은 ‘총운용거리 ÷ 해당 기간의 총 고장횟수’이다.

MRBF (Mean Rounds Between Failure)의 산식은 ‘총 발사횟수 ÷ 해당기간의 총 고장횟수’이다.
5) 「무기체계 RAM 업무지침」과 「무기체계 RAM 업무편람」(p.75.)를 참조하였다.
6) 가용도(Availabiliity)의 정의는 「방위사업관리규정」과 「무기체계 RAM 업무지침」의 용어 정의를 인용하였다.
7) 고유가용도(Inherent Availability)와 성취가용도(Achieved Availability), 운용가용도(Operational Availability)의 정의는 「국방군수•전력용어사전」과 「국방전력발전업무훈령」의 용어 정의를 따랐다.
8) MTTR (Mean Time To Repair)은 고장 시 이를 보수하는 데 걸리는 평균 시간, 즉 수리업무에 들어가는 총시간을 정비활동의 총행위수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9) OMS/MP (Operational Mode Summary/Mission Profile)는 「방위사업관리규정」과 「국방전력발전업무훈령」의 용어 정의를 따랐으며, 운용요구서(Operational Requirements Document)의 부록 문서이다.
10) 정비도(Maintainability)의 정의는 「방위사업관리규정」과 「무기체계 RAM 업무지침」의 용어 정의를 인용하였다.
11) AEC R&M Directorate. (2001. 9. 2.).“Reliability Performance Today.”presented at ATEC/PEO C3T Day.
12) DOD. (2005).“DOD Guide for Achieving Reliability, Availability, and Maintainability.”(Aug. 3.). p. 1-5.
13) 기술 검토는 사업의 기술적 기준선이 비용 추정을 위하여 명확한가를 확인하는 검토로서, 이때 RAM 수준을 식별하고 RAM 요구값의 적절성 및 목표값 정량화를 위한 계획의 적절성을 검토한 후 신뢰도 관리계획을 작성한다.

체계대안 검토는 탐색개발단계로 진입을 보증하는 검토로서, 이때 RAM 요구사항 실행 가능성 및 목표값 정량화 등을

검토한다.

그리고 체계요구사항 검토에서는 RAM 개발 목표값 설정 적절성을 평가하고 고장 정의 및 판단기준을 설정하며 RAM 업무를 구체화한다.
14) 체계기능 검토는 체계 기본설계단계로의 진입 여부를 검토하는 것으로서, 이때 RAM 목표값 최종 결정 사항, 할당 타당성, 요구 반영 등을 검토한다.

기본설계 검토는 상세설계 단계로의 진입 여부를 검토하는 것으로서, 이때 기본적인 RAM 설계가 사용자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를 평가한다.
상세설계 검토는 품목의 상세설계 검증과 반영사항을 검토하는 것으로서, 이때 최종 RAM 설계가 사용자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 평가한다.

그리고 시험준비상태 검토는 RAM요구사항 확인을 위한 시험계획의 적절성 등에 대한 시험능력을 검토하는 것으로서,

이때 개발 완성도, 비용, 일정 및 위험에 대하여 평가하고, 시험에 요구되는 지원이 적절하게 확인되고 조정되었는지를 평가한다.
15) 생산준비상태 검토는 생산체계 또는 생산준비를 확인하는 검토로서, 이때 RAM 수준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계획을 수립하였는지를 검토한다.

기능적 형상확인 및 체계검증 검토는 초도생산 및 양산단계로의 진입 가능성을 결정하는 검토로서, 이때 RAM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하는 검토이다.

운용시험 및 준비상태 검토는 시제품 형상의 초기운용시험 및 평가 능력을 검토하는 것으로서, 이때 RAM 관리 및 평가 계획을 수립한다.

그리고 물리적 형상확인에서는 생산공정에서 RAM 저하 방지를 보증하고 통제한다.
16) 운용 중 검토에서는 야전 배치된 체계의 기술적 상태와 운용 상태를 확인하고 RAM 수준을 평가하며 관련 자료들을 관리한다.
17) 한상철. (2003). “장비 운용품질 신뢰성 분석 및 적용사례.” 『국방품질』, 25호. p. 42.

 

본지에 실린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의견이며, 본 연구원의 공식적 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출처] 한국국방연구원. 주간국방논단. 제1553호(15-6) 2015년 2월 9일

[저자] 한장근. 방위사업청 획득기반과

[정리] 아침안개. 2015.2.23.

                        http://citrain64.blog.me/2202812518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