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당 100의 해병대 정신을 배우자’ ‘1당 100의 해병대 정신을 배우자’ 해병대는 1949년 4월 15일 경남 진해덕산 비행장에서 380명의 인원으로 창설된 이후 올해로 66주년이 됐다. 해병대 창설의 결정적인 계기는 1948년 10월 여수와 순천반란사건이었다. 즉 이 사건은 여수와 순천 지구에 주둔하고 있던 육군 제14연대 내에서 남.. ★군사소식칼럼/해병대 분석 2015.05.01
서북도서 포병전력 증강 시급하다 서북도서 포병전력 증강 시급하다 (코나스넷, 2015.03.24) 북한, 1980년대 이후 서북도서 공격용 포병전력(해안포 등) 100문에서 1천문으로 증강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가 최근 ‘구룡’ 다연장로켓포(MLRS)보다 사거리가 길고 파괴력이 큰 포병전력을 백령도 등 서북도서에 배치해 줄 것.. ★군사소식칼럼/해병대 분석 2015.03.28
해병대의 어제와 오늘 해병대의 어제와 오늘 (이코노믹리뷰, 2015.02.25) 흔히 우리 국군에서 “귀신 잡는 해병대”로 알려진 “해병(海兵)”은 생각보다 긴 역사와 유래를 가진 군대다. 통상적으로 해군 예하에 설치되어 해군 혹은 육군의 상륙작전 등을 지원하는 해병은 각 군 중에서 시대의 변화에 따라 그 역.. ★군사소식칼럼/해병대 분석 2015.02.26
국가안보의 중요성과 해병대의 역할 국가안보의 중요성과 해병대의 역할 (이정윤 소장) 1.서론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우리의 헌법 제 1조 제1항이다. 한국의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하는 안보의 중요성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두말할 여지가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우리 사회는 국민.. ★군사소식칼럼/해병대 분석 2015.02.05
포항시와 해병대는 영원한 동반자 포항시와 해병대는 영원한 동반자 (대경일보, 2014.12.16) 해병대하면 팔각모와 붉은 명찰, 귀신 잡는 해병을 연상한다. 무적해병대라는 명칭은 가장 강한 군대가 곧 해병대라는 인식으로 포항사람의 뇌리에는 단단히 각인되어 있다. 포항시와 해병대의 최초 인연은 1952년 우리나라에 머물.. ★군사소식칼럼/해병대 분석 2015.01.02
병사를 감동시킨 장군의 권총 병사를 감동시킨 장군의 권총 (서울경제, 2014.12.11) 해병대 사령관 장군용 대신 K-5 휴대 작전 지도 병사·네티즌 ‘해병대는 뭐가 달라도 다르다’ 찬사 “한국군 장군단의 실전전 사고 배양 계기 되기를” 이영주 해병대 사령관이 지난 5일 연평 해병부대를 작전지도차 방문해 병사들을 .. ★군사소식칼럼/해병대 분석 2015.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