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사령관 글 534

국방의 멍에 - 15. 용두산 사령부 (9) 혈맹(血盟)의 전우(戰友)들

국방의 멍에 - 15. 용두산 사령부 (9) 혈맹(血盟)의 전우(戰友)들 한국전에 참전한 미국 해병대는 같은 해병대란 이유 때문만이 아니고 나로서는 진동리(鎭東里)지구전투 때부터 접촉을 한 적이 있었고, 인친상륙작전과 서울탈환작전을 비롯해서 영덕·안동지구전투와 화천지구전투에 이..

국방의 멍에 - 15. 용두산 사령부 (8) 해안봉쇄(海岸封鎖) 작전회의(作戰會議)

국방의 멍에 - 15. 용두산 사령부 (8) 해안봉쇄(海岸封鎖) 작전회의(作戰會議) 1951년 10월 하순경이었다. 어느날 오후 부산항 외항 오륙도 부근 해상에 정박해 있던 전함 미조리호 함상에서는 해안봉쇄작전과 관련된 한·미 해군 고위 지휘관회의가 개최되었다. 미 극동함대사령관 브리스코..

국방의 멍에 - 15. 용두산 사령부 (7) 김일성 고지(金日成 高地) 탈환작전(奪還作戰)

국방의 멍에 - 15. 용두산 사령부 (7) 김일성 고지(金日成 高地) 탈환작전(奪還作戰) 한편 7월 17일 홍천 북방의 철정리로 이동하여 휴식과 재정비를 하고 있던 해병제1연대는 8월 27일 다시금 전선으로 출동하여 8월 31일부터 펀치볼(玄安盆地) 동북벽(東北劈) 월산령(月山嶺) 북방으로 뻗어 ..

국방의 멍에 - 15. 용두산 사령부 (6) 3개의 무공훈장(武功勳章)

국방의 멍에 - 15. 용두산 사령부 (6) 3개의 무공훈장(武功勳章) 그 해 여름철 나는 세 개의 훈장을 받았다. 그 중의 두 개(은성무공훈장과 리젼 오브 메리트)는 미국 정부의 것이었고, 하나는 대한민국의 최고무공훈장인 태극무공훈장이었다. 화천전투 때 연대본부를 방문했던 미 해병사단 ..

국방의 멍에 - 15. 용두산 사령부 (5) 도솔산(兜率山) 탈환작전(奪還作戰)

국방의 멍에 - 15. 용두산 사령부 (5) 도솔산(兜率山) 탈환작전(奪還作戰) 사령부가 용두산으로 이전한 지 10여일이 지난 후 그동안 홍천강 강변에서 전방지대에 대한 수색전을 벌이고 있던 해병제1연대는 5월 말경 소양강을 건너 6월 3일에는 양구군(楊口郡) 남면에 있는 광치리(廣崎里)로이..

국방의 멍에 - 15. 용두산 사령부 (4) 海兵隊 심볼마크

국방의 멍에 - 15. 용두산 사령부 (4) 海兵隊 심볼마크 1951년 5월 하순경이었다. 참모장으로 부임한 직후 초도순시차 진해 해병학교를 방문했던 나는 해병학교(진해여고) 정문밖에 세워져 있는 커다란 입간판에 그려져 있는 독수리와 별과 닻으로 된 인상같은 마크를 보고 마음이 확 끌렸다..

국방의 멍에 - 15. 용두산 사령부 (3) 전투사(戰鬪史) 발간(發刊)

국방의 멍에 - 15. 용두산 사령부 (3) 전투사(戰鬪史) 발간(發刊) 참모장으로 부임한 후 나는 작전국에 지시하여 그때까지 이루어졌던 해병대의 모든 전투기록을 사령부 차원에서 정리하는 작업을 추진하도록 했다. 그때까지 각 부대(대대단위급) 작전부서에서는 각 부대에서 치른 전투에 ..

국방의 멍에 - 15. 용두산 사령부 (2) 용두산(龍頭山) 사령부(司令部)

국방의 멍에 - 15. 용두산 사령부 (2) 용두산(龍頭山) 사령부(司令部) 1950년 12월 하순경 진해에서 해병제1연대가 편성될 당시 진해 도천(道泉) 국민학교에 위치하고 있던 해병대사령부가 부산 시내에 있는 용두산꼭대기로 이전했던 것은 1951년 5월 20일, 그러니까 내가 참모장으로 부임할 바..

국방의 멍에 - 15. 용두산 사령부 (1) 찬사(讚辭)와 긍지(矜持)

국방의 멍에 - 15. 용두산 사령부 (1) 찬사(讚辭)와 긍지(矜持) 한편 일선지구로부터 후방으로 내려왔던 나는 임시수도인 부산과 진해지구의 군기관과 일반사회에서 만나보게 된 수많은 사람들을 통해 해병대에 대한 극진한 찬사를 들었고, 또 그들의 입과 마음을 통해 해병대에 대한 국민..

국방의 멍에 - 14. 중공군(中共軍)의 대공세(大攻勢) (4) 생사(必死)의 탈주(脫走)

국방의 멍에 - 14. 중공군(中共軍)의 대공세(大攻勢) (4) 생사(必死)의 탈주(脫走) 후방으로 내려가게 된 나는 강릉 근처에 있는 처가에 소식이 궁금하여 가는 길에 처가에 들려 본 다음 2월 중순경 해병 연대가 상륙을 했던 묵호와 삼척, 울친 등 영월지구로 이동할 때 거쳐갔던 그 동해안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