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사령관 글 534

국방의 멍에 - 19. 海兵隊 司令官 時節 (6) 張 中將과 朴 少將의 對話

국방의 멍에 - 19. 海兵隊 司令官 時節 (6) 張 中將과 朴 少將의 對話 그날 아침 7시 30분 군사혁명위원회에서는 라디오방송을 통해 다음과 같은 4개 항의 포고령을 방송했다. 1. 5월 16일 아침 7시를 기해 장면 정부로부터 일체의 정무를 인수한다. 2. 참의원·민의원 및 지방의회를 5월 16일 오..

국방의 멍에 - 19. 海兵隊 司令官 時節 (5) 설마 했던 일

국방의 멍에 - 19. 海兵隊 司令官 時節 (5) 설마 했던 일 방송을 통해서 사실을 확인하게 된 나는 설마하고 생각했던 엄청난 불상사가 마침내 일어나고 말았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바로 그 무렵 쿠데타가 일어날 것이라는 소문은 항간에서도 들리고 신문지상을 통해서도 비친 적이 있었다. ..

국방의 멍에 - 19. 海兵隊 司令官 時節 (4) 5·16 軍事政變

국방의 멍에 - 19. 海兵隊 司令官 時節 (4) 5·16 軍事政變 군사정변이 일어났던 그날 새벽녘 나는 전날 밤 식중독으로 않게 된 복통과 탈수증 때문에 제대로 기운을 차리지 못하고 있었다. 내가 식중독에 걸리게 되었던 것은 그 전전날 내가 묵호 해군기지를 시찰하고 돌아오는 길에 모처럼 ..

국방의 멍에 - 19. 海兵隊 司令官 時節 (3) 不運했던 李熙晶 提督

국방의 멍에 - 19. 海兵隊 司令官 時節 (3) 不運했던 李熙晶 提督 민주당 정권이 출범한 뒤의 일이었다. 3·15 부정선거와 4·19혁명으로 자유당 정부가 무너지자 각 군 총장과 해병대사령관 등도 도의적인 책임을 지고 일괄사표를 제출한 국무위원들의 뒤를 이어 자진 사의를 표명하여 예편..

국방의 멍에 - 19. 海兵隊 司令官 時節 (2) 民主黨政府의 減軍努力

국방의 멍에 - 19. 海兵隊 司令官 時節 (2) 民主黨政府의 減軍努力 한편 그 해 9월 하순경 해병대에서는 제주도에서 '물소작전'으로 명명된 사단 수색중대의 상륙해안 정찰훈련을 실시했고, 9월 28일에는 김포반도에서 '횃불작전'으로 명명된 야외기동훈련을, 그리고 10월 8일에는 영일만에서..

국방의 멍에 - 19. 海兵隊 司令官 時節 (1) 憲法守護 宣誓式

국방의 멍에 - 19. 海兵隊 司令官 時節 (1) 憲法守護 宣誓式 내가 제4대 해병대사령관으로 취임한 날짜는 6월 29일이었다. 그날 사령부 광장에서 거행될 예정이었던 제3대 해병대사령관과 제4대 해병대사령관의 이취임식은 우천관계로 사령부 장교식당에서 거행이 되고 그 식장에는 이종찬 ..

국방의 멍에 - 18. 사단장 시절(師國長 時節) (9) 海鷹作戰과 許政首班

국방의 멍에 - 18. 사단장 시절(師國長 時節) (9) 海鷹作戰과 許政首班 내가 부사령관으로 있을 때인 1960년 6월 15일 영일만에서는 해응작전(海鷹作戰)으로 명명된 한·미 해병 합동상륙전훈련이 실시된 바 있었다. 그 전날 오후 2시경 나는 사령관(김대식 중장)을 대신해서 여의도 K-16 비행장..

국방의 멍에 - 18. 사단장 시절(師國長 時節) (8) 金東河 將軍의 辭任事件

국방의 멍에 - 18. 사단장 시절(師國長 時節) (8) 金東河 將軍의 辭任事件 김동하 장군이 사임을 한 시기는 내가 국방대학원에 입교한 뒤의 일이었다. 김 장군이 그러한 일을 당하게 된 그 이면에는 다음과 같은 연유가 있었다. 즉 1959년 9월에 중임을 한 김대식 사령관이 1960년 4·19 혁명으로..

국방의 멍에 - 18. 사단장 시절(師國長 時節) (7) 국방대학원(國防大學院)과 정전위원회(停戰委員會)

국방의 멍에 - 18. 사단장 시절(師國長 時節) (7) 국방대학원(國防大學院)과 정전위원회(停戰委員會) 내가 사단장 근무를 미·치고 국방대학원에 입교한 날짜는 1958년 9월 1일이었고, 수료한 날은 그 이듬해 6월 15일이었다. 그 국방대학원에서 나는 많은 것을 배웠고, 또 매우 소중한 지식을 ..

국방의 멍에 - 18. 사단장 시절(師國長 時節) (6) 봄·겨울의 귀빈(貴賓)들

국방의 멍에 - 18. 사단장 시절(師國長 時節) (6) 봄·겨울의 귀빈(貴賓)들 해병사단이 주둔하고 있던 파주지구의 임진강변에는 일제 때 일본인들이 뚝을 쌓아 조성해 놓은 약 20~30만 평에 달하는 삼정농장(三井農場)이 있었다. 물론 해방 후엔 우리의 농지로 귀속이 되고 우리 농민들에게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