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전후의 발전기 - 킥복싱을 잠재운 이야기 휴전후의 발전기 - 킥복싱을 잠재운 이야기 나이트메어 훈련기간 중 그 인근에 있는 운천(雲川)에서는 이런 사건이 발생하여 주민들의 입에서 해병들을 이무기 잡아먹는 '담복'에다 비유하는 전설적인 소문이 나돌게 했다. 얘기의 줄거리는 대충 이러했다. 즉 당시 운천에는 유엔군의 일.. ★해병대 역사/해병대 전통·비화 2016.08.14
휴전후의 발전기 - 해병대의 킨바에 스토리 휴전후의 발전기 - 해병대의 킨바에 스토리 일찌기 군에서 유행했던 킨바에(일본어의 금색 파리)란 말의 정의(定義)를 나름대로 규명해 본 바에 따르면 이익을 위해, 또는 자기 것으로 만들기 위해 모여드는 사람들, 말하자면 그렇게 해서 남의 것을 슬쩍 가져 가 버리는 행위를 음식물이 .. ★해병대 역사/해병대 전통·비화 2016.08.14
휴전후의 발전기 - 빨간명찰의 내력 휴전후의 발전기 - 빨간명찰의 내력 국군장병들 중에 진한 동백꽃과 그 동백꽃의 새노란 꽃술의 색상을 연상케 하는 빨간 명찰을 달고 있는 군인들은 해병대 장병들뿐이다. 그러므로 윗저고리 왼쪽 가슴 부위에 눈에 확 띄이는 빨간색 빛깔의 바탕에 노란색 빛깔의 이름자가 새겨져 있는 .. ★해병대 역사/해병대 전통·비화 2016.08.14
휴전후의 발전기 - 병원선에서 만난 H소위와 인민여배우 휴전후의 발전기 - 병원선에서 만난 H소위와 인민여배우 처음으로 지상에 공개되는 이 특별한 화제의 주인공 중의 한 사람인 H소위는 현재 북구라파(스웨덴) 소속 평통자문위원으로 있는 한정우(韓晶遇)씨 바로 그 분이며 인민여배우로 등장이 되는 여주인공은 도솔산 전투에서 부상을 입.. ★해병대 역사/해병대 전통·비화 2016.08.14
휴전후의 발전기 - 용솟음친 긍지와 자부심 휴전후의 발전기 - 용솟음친 긍지와 자부심 휴전과 때를 같이 하여 해병대 장병들의 가슴속에는 뿌듯한 긍지와 자부심이 용솟음치고 있었다. "우리는 해병이다." "누가 서부전선을 이상없게 지켜 냈던가!" "우리는 무적해병, 귀신 잡는 신화를 남겼다." 이심전심 이런 긍지와 자부심이 가슴.. ★해병대 역사/해병대 전통·비화 2016.08.14
휴전후의 발전기 - 상륙전 훈련 휴전후의 발전기 - 상륙전 훈련 휴전 후 해군과 해병대에서 설정한 최대의 정책목표는 해병대의 주임무인 상륙작전을 수행할 능력을 배양하는 일이었다. 그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해병대에서는 1954년 하반기에 BLT(대대상륙단)훈련을 실시할 준비를 갖추는 한편 상륙전의 교리연구에도 박.. ★해병대 역사/해병대 전통·비화 2016.08.14
6.25 전쟁영웅, 김성은 장군의 거대한 생애 6.25 전쟁영웅, 김성은 장군의 거대한 생애 한국 해병대 사상 최초로 단독 상륙작전 지휘 6.25 전쟁영웅 김성은 전 국방장관이 지난 15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3세. 고인은 지난 1946년 해군 소위로 임관해 6.25 전쟁 당시 진동리 전투, 통영상륙작전, 도솔산 전투 등 수 많은 전장에서 혁혁.. ★해병대 역사/역대 해병대사령관 2016.08.13
越南戰 - 청룡부대 초대 정훈참모 박영욱 소령 越南戰 - 청룡부대 초대 정훈참모 박영욱 소령 청룡부대의 초대 정훈참모로서 모군과 국군의 명예와 국위 선양을 위해 눈부신 활약을 했던 박영욱 소령, 그는 해풍작전에서 3대대 정보장교 이인호 대위가 전사했을 때 고인의 죽음이 헛되지 않게 여단장 이봉출 장군의 뜻을 받들어 매스컴.. ★해병대 역사/해병대 명인·기인 2016.08.12
越南戰 - 이인호 대위가 전사한 동굴을 파헤친 권기옥 소대장 越南戰 - 이인호 대위가 전사한 동굴을 파헤친 권기옥 소대장 해풍작전 때 3대대 9중대 1소대장이었던 권기옥 소위(해간 33기), 그는 3대대 정보장교 이인호 대위가 3대대에서 체포한 2명의 여자 베트콩 용의자가 가리켜 준 베트콩 은신처를 직접 수색하다가 전사한 그 동굴을 전과 확인을 .. ★해병대 역사/해병대 명인·기인 2016.08.12
越南戰 - 기적적으로 진지를 사수한 정우식 소대장 越南戰 - 기적적으로 진지를 사수한 정우식 소대장 66년 1월 19일부터 청룡부대는 투이호아 서남부에 있는 휴송평야에서 농민들의 추수 보호를 하기 위한 추수보호작전을 전개했다. 그런데 작전 개시 3일째인 21일은 구정(舊正)이었으므로 쌍방(교전당사자) 간의 합의로 20일 정오부터 23일 .. ★해병대 역사/해병대 명인·기인 2016.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