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의 멍에 - 12. 재출동(再出動) (11) 설산(雪山)의 고전(苦戰) 국방의 멍에 - 12. 재출동(再出動) (11) 설산(雪山)의 고전(苦戰) 여량리로부터 발왕산(△1458)과 봉산리 및 용산리와 횡계리를 거쳐 차항리로 진격해 가는 동안 해병들은 뼈저리는 고생들을 했다. 즉, 영월지구에서는 건너야 할 하천과 강이 많아 죽을 고생들을 했지만 고산준령으로 이어져 .. ★해병대 사령관 글/4대사령관 김성은 2014.08.10
국방의 멍에 - 12. 재출동(再出動) (10) 최석 장군(崔錫 將軍)과 3C 국방의 멍에 - 12. 재출동(再出動) (10) 최석 장군(崔錫 將軍)과 3C 3사단 본부에서 개최된 작전회의에 참석했던 나는 회의를 마친 자리에서 사단장 최석(崔錫) 준장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말을 들었다. 즉 강한 함경도 엑센트로 전쟁에서 이기려면 '3C'가 잘 이루어져야 한다고 했는데, 그 '3C'.. ★해병대 사령관 글/4대사령관 김성은 2014.08.10
국방의 멍에 - 12. 재출동(再出動) (9) 고비덕산의 적 국방의 멍에 - 12. 재출동(再出動) (9) 고비덕산의 적 1대대가 고비덕산을 공격하기 직전 나는 이러한 광경을 목격했다. 즉 그날 오후 석양이 뉘엿 뉘엿 타오를 때 여량리의 연대본부를 경비하고 있는 1대대 3중대장 강용(姜勇) 중위와 사주방어를 하고 있는 3중대의 방어진지를 둘러보고 있.. ★해병대 사령관 글/4대사령관 김성은 2014.08.07
국방의 멍에 - 12. 재출동(再出動) (8) 정선지구 전투(旌善地區 戰鬪) 국방의 멍에 - 12. 재출동(再出動) (8) 정선지구 전투(旌善地區 戰鬪) 해병대가 정선에 집결완료한 시각은 3월 3일 오후 3시경이었다. 그 무렵 아군의 반격으로 후퇴를 거듭했던 북괴군 2사단과 15사단의 주력은 또다시 아군 전선을 돌파하기 위해 하진부리 일대에 집결하고 있었다. 따라서 .. ★해병대 사령관 글/4대사령관 김성은 2014.08.07
국방의 멍에 - 12. 재출동(再出動) (7) 독주(毒酒)와 육군장교(陸軍將校) 국방의 멍에 - 12. 재출동(再出動) (7) 독주(毒酒)와 육군장교(陸軍將校) 해병1연대는 2월 26일부터 3월 1일까지 창리 북방 산악지대에 대한 위력수색전을 벌이고 있었는데, 1대대와 2대대가 투입이 된 창리지구 수색전에서는 이렇다할 적과의 교전은 없었고, 다만 3월 1일 노론리(老論里)에서.. ★해병대 사령관 글/4대사령관 김성은 2014.08.07
국방의 멍에 - 12. 재출동(再出動) (6) 유재흥 장군(劉載興 將軍)의 증언(證言) 국방의 멍에 - 12. 재출동(再出動) (6) 유재흥 장군(劉載興 將軍)의 증언(證言) 2월 21일에 감행된 1대대의 길운리전투와 2대대의 녹전리전투는 그 당시 3군단이 처해 있던 영월지구의 위기를 극복하는데 있어 결정적인 기여를 한 작전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한 평가를 뒷받침 해주고 있는 .. ★해병대 사령관 글/4대사령관 김성은 2014.08.07
국방의 멍에 - 12. 재출동(再出動) (5) 길운리(吉雲里)와 녹전리전투(碌田里戰鬪) 국방의 멍에 - 12. 재출동(再出動) (5) 길운리(吉雲里)와 녹전리전투(碌田里戰鬪) 군단본부에서 중임을 부여받게 된 1대대장은 그 길로 마차(磨瑳)에 있는 7사단 본부로 가서 사단장 김형일(金炯一) 준장으로부터 직접 명령을 수령하고 그날 저녁 영월 북방 3 지점에 있는 「속골」로 진.. ★해병대 사령관 글/4대사령관 김성은 2014.08.07
국방의 멍에 - 12. 재출동(再出動) (4) 영월지구(寧越地區)의 위기(危機) 국방의 멍에 - 12. 재출동(再出動) (4) 영월지구(寧越地區)의 위기(危機) 배속이 군단 직할로 변경이 되었던 것은 영월지구의 정세가 급변한 때문이었다. 바로 그 시기에 평창(平昌)·정선(旌善)지구에 배치되어 있던 3군단 예하의 7사단과 9사단의 전투지경선 사이를 뚫고 침투한 적의 대부.. ★해병대 사령관 글/4대사령관 김성은 2014.08.07
국방의 멍에 - 12. 재출동(再出動) (3) 1연대(聯隊)의 묵호상륙(墨湖上陸) 국방의 멍에 - 12. 재출동(再出動) (3) 1연대(聯隊)의 묵호상륙(墨湖上陸) 해병 제1연대가 묵호에 상륙했던 날짜는 2월 IS일 오후 3시경이었다. 상륙과 동시 연대는 묵호에 주둔하고 있는 육군 3군단 예하의 수도(首都)사단에 작전배속이 되었다. 수도사단은 1군단에 소속된 사단이었으나 1월 13.. ★해병대 사령관 글/4대사령관 김성은 2014.08.07
국방의 멍에 - 12. 재출동(再出動) (2) 영덕(盜德)·안동지구(安東地區) 전투(戰鬪) 국방의 멍에 - 12. 재출동(再出動) (2) 영덕(盜德)·안동지구(安東地區) 전투(戰鬪) 해병대가 안동·영덕지구로 출동을 했던 날짜는 1951년 1월 24일과 25, 26 3일간이었다. 당시 진해여고에 집결해 있던 독립 5대대는 1월 24일 아침 미 해병대에서 지원한 수십대의 트럭에 분승하여 안동으로 출동.. ★해병대 사령관 글/4대사령관 김성은 2014.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