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용어·지식/한글군사용어

한글 군사용어 해설 (ㅁ)

머린코341(mc341) 2014. 3. 17. 12:53

 

한글 군사용어 해설 (ㅁ)

 

마비(痲痺, Paralysis)

대치하고 있는 적대국 중 어느 일방의 전략적 행위로 인하여 사고 또는 행동의 자유가 상실된 상태.

 

마이다스(Missile Defense Alarm System; MIDAS)

미 공군의 조기경보 위성계획으로 일련의 위성을 극 궤도에 올려서 적외선으로 적의 대륙간탄도탄(ICBM)의 발사를 탐지하는 경보체제.

 

마이크로파(~波, Micro Wave)

주파수대 300~3,000㎒(UHF) 및 3~30㎓(SHF)에 상당하는 전파를 말하며 극초단파라고도 함.

 

마하(Mach)

섭씨 15도 때의 음속을 1로 표시한 속도의 단위로서 비행기, 로켓, 미사일 등 고속으로 비행하는 물체의 속도를 나타냄. 초음속의 단위, 마하수 1은 음속과 같음.

 

마하효과(~效果, Mach Effect)

원자탄이 공중폭발시에 충격파와 반사파가 융합되는 현상으로서 폭발고도와 폭발에너지에 따라 효과가 달라짐.

 

만국표준시간(萬國標準時間, Universal Standard Time)

학술상 또는 항해상에 쓰이는 세계 공통의 표준시간으로서 영국의 그리니치 자오선에서 측정한 평균태양시를 말함.

 

망막화상(網膜火傷, Retinal Burn)

핵폭발시 화구와 눈의 망막초점이 마주쳤을 때 입게 되는 화상으로서 영원히 실명하게 됨. 20KT 핵무기는 폭발지점에서 15㎞ 떨어져 있는 거리에까지 망막화상을 입게 됨.

 

매가진형 탄약고(~型彈藥庫, Powder Magazine)

탄약 및 폭발물을 저장하기 위하여 지상 또는 지하에 구축한 저장용 구조물(일반적으로 조립하여 만든 건축물은 제외).

 

매복(埋伏, Ambush)

이동중이거나 일시적으로 정지한 적에게 은폐된 진지에서 기습공격을 하려고 잠복 대기하고 있는 행동.

 

맹목방송(盲目放送, Blind Broadcasting)

특전지휘소로부터 전개된 작전제대에 일방적으로 송신하는 통신방법으로서 작전제대가 응답전파를 송신치 않기 때문에 보안성이 증가되며 가장 안전한 통신기술의 하나임. 민간방송국의 방송시설을 이용할 수도 있고 군부대 자체의 통신시설을 이용할 수도 있음.

 

맹목투하(盲目投下, Blind Air Drop)

공중침투 작전시 투하지역 표지가 없는 곳에 최초로 공중침투시킬 때 항공기의 탑재항법장치를 최대한 활용하여 투하하는 방법으로 정확한 지점투하(Point Drop)는 곤란하며, 지역 투하(Area Drop) 개념에 의해 투하하는 것.

 

맹목폭격지대(盲目爆擊地帶, Blind Bombing Zone)

우군의 작전 또는 우군공격에 제한을 받지 않고 항공작전을 수행할 목적으로 설정된 제한구역.

 

메가톤 에너지(Megaton Energy)

TNT 100만톤 혹은 1,000킬로톤이 폭발시 발생하는 것과 동등한 핵폭발 에너지.

 

메트요소(~要素, METTTC)

부대운용에 영향을 미치는 전술적 운용요소인 임무, 적상황, 지형 및 기상, 가용부대 및 가용시간, 주민을 뜻하며 구성요소는 아래와 같음.
M:임무(Mission)
E:적에 관한 첩보(Enemy information)
T:지형 및 기상(Terrain and weather)
T:가용부대(Troops available)
T:가용시간(Time available)
C:주민(Civilian)

 

면허생산(免許生産, Licence Production)

기술도입생산의 한 형태로서 외국과 기술협력에 의하여 생산권한을 양도 또는 대여받아 특정품목을 생산하는 것.

 

명령(命令, Order)

서식, 구두 또는 신호에 의하여 상급자로부터 부하에게 지시를 전달하는 통신.
광의로는 명령과 지휘는 유사한 의의를 가지고 있으나 엄밀하게 말한다면 명령은 실시의 세부적인 면에 자유재량을 포함하고 있으나 지휘는 그렇지 않음.

 

명멸(明滅, Blinking)

레이더 방위각 분해능력 이내의 상호근거리에 위치한 두 대의 항공기가 추적레이더에 하나의 목표물로 보이게끔 하는 전자공격.

 

명중유도(命中誘導, Homing Guidance)

1.표적으로부터 발사되는 전파와 추적레이더로부터 발사되는 전파를 유도탄 자체가 장비하고 있는 유도장치가 수신하여 유도제원을 산출해서 표적에 명중하도록 유도해 나가는 방법.
2.표적에서 반사되거나 방출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유도기술로서 유도탄 자신이 외부의 도움 없이 목표를 포착할 수 있음.
3.탐지 에너지의 발사형태에 따라 능동, 반능동, 수동방식으로 분류함.

 

모듈화(Module化)

1.증·창설 부대에 대한 군수지원이나 우발상황시 긴급군수지원소요에 대하여 적시적 지원태세를 유지 및 지원함으로써 전투지속 능력을 보장하기 위해 작전 및 전투부대의 인력, 장비, 물자, 시설, 근무지원 소요를 제대별로 모두 충족시킬 수 있도록 편성하지 않고 상급부대에서 표준지원부대를 편성하여 관리하다가 특정임무를 받은 예하 전술부대에 필요한 기능별 표준지원부대를 임무에 소요되는 만큼 편조하여 줌으로써, 제한된 인력과 장비를 경제적, 효율적으로 운영하자는 것임. 이때 표준지원부대를 편성할 때 장비의 한 구성품(Module)처럼 어떤 부대에 편조되더라도 부여된 지원임무를 수행 가능토록 편성하는 것을 Module화 편성이라 함.
2.임무수행을 위한 장비의 구성품을 세트화시킴으로써 전투현장에서 즉각 정비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

 

모방기만(模倣欺瞞, Imitative Deception)

적의 통신내용을 모방하여 적 통신체제에 투입시키는 기만행위.

 

모방전자기만(模倣電子欺瞞, Imitative Electronic Deception)

적을 기만하고 혼란시킬 목적으로 적의 전파를 모방하여 적의 통신 및 비통신망에 개입하는 것으로 모방통신기만과 모방 비통신기만이 있음.

 

모사전송(模寫電送, Facsimile; FAX)

사진, 지도, 투명도 및 서류 등을 전기적 수단에 의하여 전송하는 통신방법으로 사진의 전송을 주로 하는 사진전송과 글자나 도면의 전송을 주로 하는 모사전송으로 구분됨.

 

모의(模擬, Simulations)

적을 기만하여 그들의 주의를 진정한 목표물로부터 하위의 목표물로 끌어내기 위한 수단으로 허식의 한 형태임.

 

모의기뢰(模擬機雷, Dummy Mine)

소해대항장치의 일종으로 적을 기만하기 위하여 폭발장약 대신에 다른 것을 넣고 소해를 방어하기 위하여 가는 줄을 많이 달아 소해색을 엉키게 하는 기뢰.

 

모의시설(模擬施設, Dummy Installation)

적을 기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위조건물 및 표지물. 이는 아군의 진정한 사격목표로부터 적 화력을 다른 곳으로 유인 내지 분산시킴으로써 적의 화력을 약화, 지연 또는 혼란하게 하기 위하여 만들어짐.

 

모의연습(模擬演習, Dry Run/Simulation)

각종 연습시 모의로 실시하는 실습.

 

모의전자기만(模擬電子欺瞞, Simulative Electronic Deception; SED)

아군의 통신체계 및 전자체계를 허위장소에서 허위부대 및 허위능력으로 위장하거나 또는 실부대 실능력으로 위장함으로써 아군부대의 구성, 배치 및 능력에 대해 적이 오판하도록 하여 적의 신호정보 수집을 혼란 및 오류를 범하게 하는 기만행위.

 

모의전파방해(模擬電波妨害, Duplication Jamming)

모방전파방해(imitative jamming)와 동의어로 원래의 유도신호에 조작된 고의적인 신호를 전송하여 전파방해하는 기술.

 

모포연막(毛布煙幕, Smoke Blanket)

적의 공중 또는 지상관측을 방해하기 위해 운용하며, 고농도 연막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부대 전체를 덮기 때문에 적의 관측은 물론 아군의 관측활동이나 부대기동에 제한을 받게 됨.

 

모함(母艦, Tender Ship)

보급 및 수리정비임무를 수행하는 함정.

 

목적지 적재인도(目的地積載引渡, Throughput)

지정된 목표지까지 계약업자가 수송비를 부담하여 보급품을 인도하는 것.

 

목진지(~陣地, Choke Point)

침투하는 적의 이동을 감시 차단하고 조기에 적을 포착 섬멸하기 위하여 적이 이용할 수 있는 요점(길목)에 병력을 배치하기 위한 일종의 매복진지.

 

목채(木砦, Abatis)

도로의 양옆에 나무를 잘라 넘어뜨려서 만든 대차량 장애물.

 

목표(目標, Objective)

부대의 가용전투력을 운용하여 확보 또는 달성해야 할 대상으로서, 부대는 목표달성에 모든 노력을 경주하여야 함.

 

목표상공도착시간(目標上空到着時間, Time Over Target; TOT)

한 대의 항공기 또는 항공기 편대가 배당된 목표에 대하여 부여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지정된 상공에 도착하는 시간.

 

목표일자(目標日字, Target Date)

한 행동이 완수되거나 또는 실시되기를 요망하는 일자.

 

목표추적레이더(目標追跡~, Target Tracking Radar)

무기체계의 긴요한 부분으로 목표의 추적에 사용되는 정밀한 레이더.

 

묘박(錨泊, Anchoring)

선박이 일정 해역에 닻을 내려 머무르는 것.

 

묘박지(錨泊地, Anchorage)

계류나 접안하지 아니하고 닻을 이용하여 함정이 정박하는 데 적합한 해역.

 

무경고하 기습공격(無警告下奇襲攻擊, No Warning Surprise)

상대가 공격징후를 사전에 포착치 못하게 하거나, 적절한 전투준비태세를 유지할 시간적 여유를 주지 않고 전쟁(전투)으로 돌입하는 상태.

 

무기건의서(武器建議書, Weapons Recommendation Sheet)

공격할 의도를 규정하고 무기의 특성을 건의하고 예상되는 피해, 톤수, 신관, 공간, 요망하는 평균탄착점과 제공격의 간격을 설명하는 서면이나 도면.

 

무기교전지대(武器交戰地帶, Weapons Engagement Zone; WEZ)

특정형태의 방공무기가 교전을 위해 우선적으로 사용되어지는 한정된 공역범위를 의미하며, 주로 피아식별 및 교전권한을 위임하거나 특정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사용되고, 그 종류는 다음과 같이 분류됨.
1. 전투기 교전지대(FEZ)
2. 유도탄 교전지대(MEZ)
3. 단거리 대공무기 교전지대(SHORADEZ)
4. 합동 교전지대(JEZ)

 

무기전투준비상태(武器戰鬪準備狀態, Weapons Combat Readiness Condition)

방공포병부대가 방공경보 및 방어준비태세별 전투태세를 유지하기 위한 방공포병무기의 전투준비 정도로서 부여된 시간 내에 즉각 사격을 실시할 수 있도록 준비태세를 지시하는 것.

 

무기체계(武器體系, Weapons System; WS)

무기와 이에 관련되는 물적요소와 인적요소의 종합적인 체계.

 

무기태세(武器態勢, Weapons Readiness Posture)

방공경보 및 방어준비태세 단계별로 무기전투 준비시간을 지시하는 방공포병부대 통제방법.

 

무기통제(武器統制, Weapon Control)

선정된 표적에 효율적으로 화력을 사용하는 기술. 이는 탐색표적 표시-표적지시-추적-예측-무기배치-무기발사-탄착수정 순서를 거쳐 수행됨.

 

무기통제상태(武器統制狀態, Weapons Control Status; WCS)

지역 방공지휘관이 공중상황을 판단하여 지역내 모든 방공부대의 무기를 적절히 통제하는 상태로서 무기별 규정에 의거 적용함.
1.무기자유(Weapons Free):아군기로 명확하게 식별되지 않는 모든 항공기와 교전.
2.무기제한(Weapons Tight):적기로 명확하게 식별된 항공기만 교전.
3.무기보류(Weapons Hold):자체 방호를 제외한 어떠한 표적에도 교전 불가.
4.제한된 무기자유(Limited Weapons Free):특정지역 내에서 일정한 제기준에 일치해야 교전 인가.

 

무기효과지수(武器效果指數, Weapon Effectiveness Indices)

무기체계 자체의 객관적 가치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각종 무기체계가 갖고 있는 고유의 특성, 즉 기동성, 화력, 생존성, 기타 특성별로 상대적 가중치를 부여하여 일반적인 상태에서 본 무기체계의 효과를 지수화한 값.

 

무능화 작용제(無能化作用劑, Incapacitating Agent)

개인이 부여된 임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통합적인 노력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일시적인 심리적 또는 정신적 영향을 주는 작용제.

 

무력도발(武力挑發, Armed Provocation)

적이 특정임무 수행을 위해 병력이나 장비를 출동시켜 대한민국(상대국)의 국민과 재산 또는 영역에 가하는 일체의 위해행위.

 

무력시위(武力示威, Show of Force)

국가의 이익이나 목표에 해로운 특별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하여 군사력을 전개시켜 무력에 의한 과시나 위협을 함으로써 상대방에게 심리적인 위압감을 일으키케 하는 행위.

 

무력화(無力化, Neutralize)

군사적인 상태가 비효과적이거나 사용(운용) 불가능하도록 하는 것.

 

무반향구역(無反響區域, Blind Zone)

반향음을 수신할 수 없는 레이더 또는 전자대항장비의 구역으로서 보통 함상의 상부구조물 때문에 발생함.

 

무선거리측정(無線距離測定, Radio Range Finding)

자체 무선발신, 무선반사파 혹은 파장이 동일 또는 상이한 주파수로 재송신하는 방법으로 목표물의 거리를 결정하는 무선에 의한 위치 결정법.

 

무선기만(無線欺瞞, Radio Deception)

적을 기만하기 위하여 무선장치를 이용하는 것. 허위전보의 타전, 기만적인 표제의 사용, 적의 호출부호의 사용 등이 포함됨.

 

무선방해(無線妨害, Radio Jamming)

동일한 주파수를 강력하게 발사하여 상대방의 통신을 혼란시키는 것.

 

무선위치결정, 무선위치표시(無線位置決定, 無線位置表示, Radio Fix)

1.둘 이상의 청취소로부터 무선송신기의 방향을 탐지함으로써 결정하는 피아 무선송신기의 위치확인.
2.소재지가 파악되고 있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송신소로부터 보내오는 무선신호의 방향을 확인함으로써 함정이나 항공기가 해상 또는 공중에 있어서 자기위치를 결정하는 것.

 

무선접근 보조장치(無線接近補助裝置, Radio Approach Aids)

항공기가 비행장이나 항공모함의 근처로부터 착륙개시 위치에 이르기까지 항공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무선장치.

 

무선중계통신망(無線中繼通信網, Radio Relay Communication)

통화거리를 연장하기 위하여 두 무선통신소간에 중계장치를 설치하여 운용하는 통신망.

 

무선침묵(無線沈黙, Radio Silence)

전파를 발사할 수 있는 장비의 전부 또는 일부가 통신보안상 이유로 동작을 중지하고 있는 상태.

 

무선탐지(無線探知, Radio Detection)

무선장치를 이용하여 전파를 발사하고 있는 목적물의 존재와 위치를 탐지하는 것.

 

무선표지(無線標識, Beacon)

방향, 진로 또는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명확한 특정신호를 방출하는 빛, 혹은 전자신호이며, 비콘은 특수표적의 식별 및 장소를 레이더 장비에 보내 주는 것으로 그렇게 하지 않으면 임무수행이 매우 곤란할 때 도움을 주는 장비.

 

무선항법(無線航法, Radio Navigation)

항법에서 위치나 방향의 결정 또는 장애물로부터 회피하기 위하여 무선회로 위치를 확인하는 것.

 

무선항법방해(無線航法妨害, Meaconing)

항행혼란을 목적으로 무선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동일 주파수로 재방송하는 체제.

 

무선항법유도(無線航法誘導, Radio Navigation Guidance)

미사일을 목표물에 정확히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제기술로서 통상 1개 또는 2개 이상의 외부 송신소로부터 무선을 사용하여 미사일 항로의 고도 및 거리를 조정하여 유도함.

 

무시위험(無視危險, Negligible Risk)

화생방전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서 현란 또는 일시적인 야간시력 상실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부대(원)가 안전한 위험의 정도.

 

무인기(無人機, Drone)

원격조정 또는 자동적으로 조정되는 항공기, 차량 또는 함정.

 

무인기뢰처리기(無人機雷處理機, Mine Disposal Vehicle; MDV)

수중에 내려져 원격조정으로 기뢰를 탐색, 식별 및 처리할 수 있는 장비로서 자체의 소형 Sonar, TV Camera, 사진기 및 탐조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PLUTO, PENGUIN 등의 종류가 있음.

 

무인항공기(無人航空機, Unmaned Aerial Vehicle; UAV)

조종사를 탑승하지 않고 지정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한 비행체로서 독립된 체계 또는 우주/지상체계들과 연동시켜 운용한다. 활용분야에 따라 다양한 장비(광학, 적외선, 레이더 센서 등)를 탑재하여 감시, 정찰, 정밀공격무기의 유도, 통신/정보중계, EA/EP, Decoy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폭약을 장전시켜 정밀무기 자체로도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어 향후 미래의 주요 군사력 수단으로 주목을 받고 있음.

 

무장(武裝, Arming)

전투를 수행할 목적으로 부대 및 병력이 각종 화기 및 탄약과 장비를 갖추는 것.

 

무장공비(武裝共匪, Arming Communist Guerrilla)

적 또는 반국가단체로부터 지령을 받고 중요 시설 파괴, 양민의 학살, 유격활동 및 거점확보, 첩보수집 등의 목적으로 무기를 소지하고 침투한 자.

 

무장정찰(武裝偵察, Armed Reconnaissance)

1.임무부여된 일반지역 내에 소재하거나 혹은 병참선을 따라 위치해 있는 물자, 인원 및 시설과 같은 표적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공격하는 것을 주요목적으로 하는 임무로서 지정된 특별한 표적을 공격하는 것은 그 목적으로 하지 않음.
2.적의 예비품 및 보급품의 운송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철로 및 도로를 차단하고, 부대 집결지에 대한 공격을 실시하고 도보, 차량, 철도를 통한 물품수송을 방해하는 전투폭격작전.

 

무차별 폭격(無差別爆擊, Indiscriminate Bombing)

군인, 민간인을 구분하지 않고 실시하는 폭격. 이는 국제법상 금지되어 있음.

 

무해통항권(無害通航權, Right of Innocent Passage)

내수에 들어가지 아니하고 영해를 횡단할 목적으로 또는 내수로부터 공해로 향할 목적으로 영해를 통과하는 권리. 통항과 관련하여 연안국의 평화, 공공질서 또는 안전보장을 침해하지 아니하는 한 해를 받지 않음.

 

무형전력(無形戰力, Intangible Combat Power)

전기숙달 등의 기술전력과 전략 등의 운용전력 그리고 장병들의 의지력을 본질로 하는 정신전력으로 구성되는 전력.

 

문교(門橋, Raft)

인원 및 장비를 도하시킬 수 있도록 부유물 상판을 설치하고, 동력장치를 설비한 수상운반체.

 

물량전(物量戰, Material War)

신병기와 방대한 군수물자의 힘으로 승패가 결정되는 전쟁 또는 이를 바탕으로 한 전쟁양상.

 

물자동원(物資動員, Material Mobilization)

전시에 소요되는 필요한 물자, 장비, 시설, 업체 등의 자원을 국가안전보장 목표달성을 위하여 효율적으로 통제, 관리하는 국가권력 작용을 말하며, 물자동원의 목표는 전시 또는 국가비상사태시 소요되는 물자를 적기적소에 동원하여 군사작전 소요를 충족시켜지원함으로써 전쟁지속능력을 극대화하는 데 있음.

 

물자보유목표(物資保有目標, Objective Quantity of Reserve Material)

현행 작전의 지원을 유지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최대량의 물자.

 

물자보충지속량(物資補充持續量, Material Pipe Line)

보급체계에 있어서 물자를 대치하는 데 있어 재보급의 유통이 중지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데 소요되는 목표량.

 

물자준비태세(物資準備態勢, Material Readiness)

전시활동 또는 우발사태, 재난구호(홍수, 지진 등) 기타 긴급사태를 지원함에 있어서 군사조직이 필요로 하는 물자의 가용성.

 

물자취급장비(物資取扱裝備, Material Handling Equipment; MHE)

물품취급장비라고도 하며 저장 및 물품취급용 장비로서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보급품을 취급하는 데 사용되는 기계장치를 말함.
예를 들면 지게차, 크레인, 롤러식 운반기, 화물용 차량 등이 있음.

 

미 해상수송사령부(美海上輸送司令部, Military Sea-Lift Command; MSC)

전 세계적인 미군 해상수송기구로서 해군 현역부대의 하나이며 지휘관은 해군참모총장에게 직접 책임을 짐. MSC의 임무는 승인된 우발계획이나 전면 전쟁계획 또는 기타 비상사태를 지원하는 데 즉각적인 해상 수송능력을 제공하는 것임.

 

미기상(微氣象, Micro Meteorological)

제한된 지역 즉 언덕, 숲, 강변 및 어떤 도시와 같은 대단히 좁은 지역상의 기상상태. 화학무기 및 생물학무기 운용시에는 2m 고도 이하의 공기층에서 일어나는 기상현상이 특히 중요시됨.

 

미사일 기술통제체제(~技術統制體制, Missile Technology Control Regime; MTCR)

미사일 관련기술의 국제적인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1987년 선진 7개국(미국, 영국, 캐나다, 프랑스, 일본, 독일, 이탈리아)에 의해 성립된 체제. 핵심내용은 500㎏ 이상의 탄두와 300㎞ 이상의 사정거리를 갖는 미사일 기술의 확산을 통제하는 것임.

 

미사일(Missile; MSL)

자체 추진력을 가진 비행체로서 탄두를 운반하는 군사목적의 로켓 등을 말하며 탄도탄과 유도탄이 포함되며 전략핵을 탄두로 하는 전략미사일과 전장에서 사용되는 중·소형의 전술미사일로 대별됨.

 

미사일경유 추적법(~經由追跡法, Track-Via-Missile; TVM)

반능동레이더 유도방식의 특수한 것으로 미사일이 수집한 표적정보를 지상레이더에 보내는 데 특징이 있음. 미사일이 표적으로부터 레이더 반사파를 수신하여, 그 전파가 온 방향을 부호화하여 지상의 다기능 레이더에 송신하고, 다기능 레이더는 이를 수신한 후 미사일과 표적의 위치를 계산하여, 최적 유도지령을 미사일에 보냄.

 

미식별선박(未識別船舶, Unidentified Ship)

육안 및 레이더에 포착된 선박 중 의아점이 있거나 또는 의아점 유무를 판단할 수 없는 식별되지 않는 선박.

 

미지(MIJI)

원인 모를 외부의 세력에 의해 무선장비나 레이더가 전자방해를 받는 것을 말하며, 항법방해, 전자침투, 재밍(전파방해), 전자간섭의 4가지 형태로 구분.

 

민간인 수집소(民間人收集所, Civilian Collecting Point)

실향민, 피난민 또는 소개민을 집결지역 또는 피난민 수용소로 후송하거나 또는 그들의 현지의 각 지역에 재정착시키기 전에 소수의 실향민, 피난민 및 소개민을 집결시키고자 지정한 잠정적인 지역으로서 통상 사단 후방지역 전방에서 작전에 방해되지 않는 지역에 선정함.

 

민간인 출입통제선(民間人出入統制線, Civilian Access Control Line; CACL)

군사작전상 민간인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하여 설정(휴전선 남방 5~20㎞ 범위)한 선으로서 이 선의 북방 출입 또는 활동은 책임지역 군 부대장의 통제가 요구됨.

 

민방위(民防衛, Civil Defense)

적의 침공이나 전국 또는 일부 지방의 안녕질서를 위태롭게 한 재난(민방위사태)으로부터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정부의 지도 하에 주민이 수행하여야 할 방공, 응급적인 방재, 구조, 복구 및 군사작전상 필요한 노력지원 등 일체의 방위적 활동.

 

민사(民事, Civil Affairs)

군 부대가 점령 또는 주둔한 지역에서 그 지역의 민간당국 및 주민 간의 관계에 필요한 군사 활동사항.

 

민사작전(民事作戰, Civil Affairs Operations)

전·평시를 망라하여 군과 민간인과의 상호관계는 제반활동을 의미하나 이를 군사작전과 연관시켜 말할 때 민사작전이라고 함.

 

민사작전부대(民事作戰部隊, Civil Affair Unit)

수복지역에서 민간이나 정부기관 및 산업기관과 군대와의 상호관계 및 약정에 관계되는 민사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편성된 군부대.

 

민사협정(民事協定, Civil Affairs Agreement)

우방국가 내에 주둔하고 있는 연합군, 그 국가의 민간당국 및 국민간의 상호관계를 명시하는 협정. 즉 어느 국가의 군대가 타국에 주둔하고 있을 동안 그들에 대한 특정한 권리 및 권한을 부여하도록 양국간에 결정한 동의문이나 협정서.

 

민수(民需, Civil Requirement)

군·관수를 제외한 민간소요를 말하며 동원업체가 동원업무수행에 필요한 자원(인력, 물자)과 국민생활에 필요한 물자의 소요를 말함.

 

민수품목(民需品目, Civilian Type Item)

일반상품과 동일하거나 민간시장에서 판매하는 비군수품.

 

밀도(密度, Density)

빽빽이 들어선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로서, 지뢰전(Land Mine Warfare)에서 사용될 때에는 지뢰지대 정면의 특정된 측정단위당 지뢰의 평균수를 의미함.

 

밀도-지뢰전(密度-地雷戰, Density-Land Mine Warfare)

지뢰지대 정면의 특정된 측정단위당 지뢰의 평균수.

 

밀리미터파(~波, Millimeter Wave; MMW)

30~500㎓의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로서 파장이 0.6~10㎜에 해당됨.

 

밀축구량(密縮口糧, Ration Dense)

식량의 영양가나 맛은 별로 손실되지 않은 채 작고 간소한 용기안에 들어갈 수 있도록 수량(水量)을 감소시킨 식료품으로 용적에 비하여 영양가가 높은 식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