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용어·지식/한글군사용어

한글 군사용어 해설 (ㄷ)

머린코341(mc341) 2014. 3. 17. 12:52

 

한글 군사용어 해설 (ㄷ)

 

다국적(多國籍, Multinational)

2개 이상 국가로 구성된 군이나 기구와의 관계.
 
다국적군(多國籍軍, Multinational Force)
특정 목적을 위하여 동맹(Alliance)이나 연합(Coalition) 형태로 구성된 군으로, 2개 국가 이상의 군으로 결성된 군을 표현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예)걸프전시 다국적군, 한·미 연합군사령부, 이라크전시 미·영 연합군 등.
 
다국적작전(多國籍作戰, Multinational Operations)
2개 국가 이상의 군에 의해 수행되는 군사행동들의 총제적인 용어로서, 통상 연합작전 용어는 다국적작전의 의미와 같이 사용됨.
 
다련장로켓(多連裝~, Multiple Rocket Launcher)
다수의 로켓탄 발사통을 상자형 또는 원통형으로 배열한 발사기로서 통상 차량에 탑재하여 자주화되어 있음. 이 발사기는 동시에 대량의 화력을 집중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전술로켓 무기로서 광역지역의 동시제압, 대포병사격, 살포지뢰의 투하 등에 적합함.
 
다목적 상륙주정(多目的上陸舟艇, Landing Craft Utility; LCU)
부대 및 장비의 수송, 접안, 하역 및 철수 등을 위해 특별히 건조된 상륙작전용 주정으로서 군수, 화물 재보급 작전에도 사용됨.
 
다목적 소형헬기(多目的小型~, Light Airborne Multipurpose System; LAMPS)
함정에 탑재하여 대잠전(ASW), 대함유도탄방어(ASMD)를 주임무로 하며, 기타 임무를 부가적으로 수행하는 다목적 소형헬기로서 미 해군에서는 통상 SH-2 대잠헬기를 지칭함.
 
다중채널 무선통신(多重~無線通信, Multichannel Radio Communication)
초단파(VHF) 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전기와 반송장비 등을 사용하여 다중통신회로를 구성하는 방식으로서 부대간에 신속하게 많은 회선을 제공할 수가 있으며, 중계통신소를 설치 운용하여 통신거리를 연장할 수 있음. 그러나 다중채널 무선통신은 지형의 장애를 받고 적에 의한 도청과 전자방해를 받기 쉽기 때문에 무선통신에 준하여 보안에 유의하여야 함.
 
다중통신(多重通信, Multiplex Communication)
한 통신로의 회선을 사용하여 수많은 통신을 구성하는 유·무선통신의 총칭.
 
다차원 작전(多次元作戰, Multi Dimension Operation)
정면, 종심, 고도에 의해 한정되어 오던 전통적 전장개념에 추가하여 디지털화된 미래전장 통제능력에 의해 전장이 전자기적, 인간적, 시간적 차원을 포함하는 확대된 전투공간에서 다양한 차원으로 수행되는 작전.
①전자기적 차원이란 디지털 통신에 의해 종래의 물리적 전장개념을 초월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며, ②인간적 차원은 정보기술의 발달에 의해 미래전투장면이 실시간대에 전 세계에 방영되고 이를 시청하게 되는 시민들이 여론을 조성하여 전쟁지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각개 병사의 행동 하나하나가 전략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초래함.
③시간적 차원은 작전 Tempo에 관련된 차원으로, 재래전의 경우처럼 작전 Tempo를 적보다 빠르게 유지함으로써 승리할 수 있었으나, 미래에는 아군의 의도대로 작전 Tempo를 조절하여 주도권을 확보,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
 
다탄두 각개유도핵미사일(多彈頭各個誘導核~, Multiple Independent Targetable Reentry Vehicle; MIRV)
1.여러 개의 탄두를 가진 핵미사일의 일종. 모탄두가 대기권에 재진입하기 전에 자탄두를 순차로 발사하여 각각 소정의 표적에 명중시킴. 이 경우 모탄두는 자신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어 각 자탄두를 표적으로 발사하며 자탄두는 자연 낙하함.
2.다탄두 개별목표 재돌입장치로서, 운반체에 여러 개의 탄두가 적재되어 목표상공에서 투하될 때에 각 탄두가 각각의 목표를 향하여 투발되는 유도탄.

 

 

다탄두 유도탄(多彈頭誘導彈, Multiple Individually Targetable Reentry Vehicle)
1기에 다수의 탄두를 장치하여 탄두 하나하나가 유도장치를 갖고 동시에 여러 개의 목표를 공격할 수 있는 전략무기.
 
다탄두각개유도탄(多彈頭各個誘導彈, Multiple Independentry Targetable Reentry)
미사일에 복수의 탄두를 장치하여 이를 비행중 축차적으로 분리해서 예정된 목표에 각각 별도로 유도하는 탄두. 개별유도 복수탄도라고도 함.
 
다함공격(多艦攻擊, Multiship Attack)
동일표적에 대해 2척 또는 그 이상의 함정이 협공하여 공격하는 것.
 
단거리 대공무기(短距離對空武器, Short Range Air Defense; SHORAD)
통상 적의 근접지원 항공기나 회전익 항공기의 공격으로부터 주로 전방기동부대 및 시설을 방호하기 위하여 운용되는 대공무기로서 대공포와 휴대용 대공유도탄 등을 말하며, 군/군단 후방의 주요시설 및 기지방호를 위해 운용될 수 있음.
 
단거리 수송기(短距離輸送機, Short Range Transport Aircraft)
정상의 순항조건으로 1,200NM(2,224㎞, 1,382miles)을 초과하지 않는 행동반경을 갖는 수송기.
 
단거리 수직이착륙기(短距離垂直離着陸機, Short Takeoff and Vertical Landing)
단거리 활주 이륙과 수직착륙의 약자로서 수직 이착륙(Vertical takeoff landing), 단거리 이착륙(Short takeoff landing)을 합친 용어. 수직 이착륙(VTOL)기라도 짧은 거리를 활주함으로써 날개의 양력이 증가되어 유효탑재량을 30% 이상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륙에 요하는 연료도 적게 들며 착륙은 탄약·연료를 소모했으므로 가벼워져 수직으로 할 수 있음.
 
단거리 이착륙(短距離離着陸, Short Takeoff and Landing)
이륙을 개시하여 1,500피트 이내에서 50피트 장애물을 통과한 후 1,500피트 이내에서 정지할 수 있는 항공기 능력.
 
단거리 탄도탄(短距離彈導彈, Short Range Ballistic Missile; SRBM)
600해리(약 1,000㎞)까지 사거리를 가진 탄도미사일.
 
단계화(段階化, Phasing)
작전의 성격, 특징 및 작전형태의 변경이 예상됨에 따라 계획된 작전을 재구분하거나 더 명확히 하기 위하여 설정하는 것.
 
단기 병력손실판단(短期兵力損失判斷, Short Periodic Personnel Loss Estimate)
작전 계속일수가 5일 이내일 때에 부대의 통상 보직병력을 기준으로 실시하는 손실판단.

 

 

 

단대(單隊, Unit, Section)
1.해군에 있어서 기동전대(Task Group) 예하의 구성단위대(unit).
2.해군함정 또는 항공기에 적용되는 전술적 재분할단위(section).
 
단대호(單隊號, Unit Identification)
숫자상 부호, 병과 그리고 지휘제대를 나타내는 어떤 군사부대의 완전한 명칭.
 
단말(端末, Terminal)
통신로를 통하여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장치로서 시스템 또는 통신망 가운데 한 기점에서 데이터가 그 시스템 또는 통신망에 들어가거나 그것으로부터 나오는 장소를 말함.
 
단위부대(單位部隊, Unit)
법령에 의하여 창설된 부대로서 각군본부, 군(단)사령부, 작전사, 함대, 사단, 비행단 등에 예속되어 있으나 건제부대가 아닌 부대.
 
단위부대적재(單位部隊積載, Unit Load)
상륙군 돌격제대(연대상륙단 규모의 경우 돌격대대 상륙단)의 전투부대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필수 전투장비 및 보급품과 같이 완전히 단일 함정에 적재하는 방법으로서 하선후 곧 전술행동에 들어갈 수 있고 전술계획의 변동에도 적응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융통성이 있는 적재방법임.
 
단위장비(單位裝備, Unit of Equipment)
특수한 목적을 위하여 불출하도록 할당표에 인가되어 있는 용기와 그 내용품, 즉 세트를 말함. 예를 들면 전투화 수리기구 세트, 내과 및 외과기재 세트 등이 이에 해당됨.
 
단일사격(單一射擊, Single Fire)
단일표적에 대하여 자함의 포를 발사하는 것.
 
단일채널 무선통신(單一~無線通信, Single Channel Radio Communication)
전투부대에서 단일채널 무선통신은 일반적으로 소형 경량화의휴대용 무선장비와 차량용 무선장비로 운용되며, 고도의 기동성으로 신속한 통신망 구성과 이동중에도 지속적인 통신지원을 제공함.
 
단정(短艇, Boat)
1. 보통 함상에 올려 실을 수 있는 경량의 작은 주정.
2.단정(Barge) 얕은 수역에서 인원, 장비 혹은 보급품을 수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크고 평평한 배.
 
단편명령(斷片命令, Fragmentary Order)
1.부대의 임무에 대한 변경과 전술상황의 변경을 알리는 데 사용하는 간략한 작전명령.
2.해당하는 부대에 한하여 부분적으로 하달하는 명령. 단편명령의 각 부분은 단지 단편명령을 접수하는 지휘관 또는 부대를 위한 지시사항만이 포함됨.

 

 

당직함(當直艦, Guardship)
동일함대 내에서 다른 함정보다 더욱 철저한 전비태세를 갖추도록 임무가 특별히 부여된 함정.
 
대 동물작용제(對動物作用劑, Anti-Animal Agents)
질병을 통하여 동물에 부상을 주거나 사망시키기 위하여 운용되는 작용제.
 
대간첩(對間諜, Counter Espionage)
간첩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개인, 단체 또는 기관에 대한 식별, 침투, 조작, 기만 및 압박을 통해 간첩활동을 탐지, 격멸, 무력화, 이용 또는 예방하는 방첩의 일부.
 
대감시(對監視, Counter Surveillance)
역수색, 전자 역방책 및 기타 모든 적의 감시를 거부하여 적군이 아군 부대나 지역을 관측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방책.
 
대갱도 작전(對坑道作戰, Counter Mine Chamber Operation)
북괴의 남침용 땅굴을 이용한 도발을 조기에 감지하고 효과적인 대책을 강구하기 위하여 취해지는 제반 군사활동.
 
대공 목표지시기(對空目標指示器, Anti-Aircraft Director)
거리측정기구와 함께 사용되며 공중목표의 현 위치와 이에 대한 사격제원을 계속 산출하는 기계 또는 전자기계장치. 추적 및 계산장비를 포함함.
 
대공 육안감시소(對空肉眼監視所, Air Observation Post; AOP)
방공관제 레이더의 지리적 장애를 받는 지역에 전개하여 육안으로 항공기를 발견, 통신망을 이용하여 방공관제기구에 보고하는 대공 감시기구.
 
대공 작전본부(對空作戰本部, Counter Air Operation Center)
상륙작전에 있어서 방공의 통제 및 지휘를 위하여 구성된 해병 항공통제계통의 예하 작전구성부대. 배치에 따라서 전구항공통제본부나 지시본부의 작전통제 하에서 운용됨.
 
대공감시(對空監視, Counter Surveillance)
적·아 항공기 및 대형유도탄의 발견, 확인, 판단을 목적으로 전자, 시각 및 기타 수단에 의하여 체계적으로 행하는 관측, 공중감시라 고도 함.
 
대공경계도판(對空警戒圖板, Filter Board)
공중경계근무부대의 탐지소 요원이 적 항공기의 이동상황을 기입하기 위해 적 활동 탐지지역 및 그 인접지역 지도상에 그려 놓은 도판.

 

 

대공경계지역(對空警戒地域, Filter Area)
적 공중활동에 관한 첩보의 수집평가 및 분포를 위하여 전투비행단에 의하여 구분된 항공기 경보근무부대별 소방공구. 이 지역은 공습경보지구로 세분됨.
 
대공경계진(對空警戒陣, Anti-Aircraft Screen)
함정이 공중공격을 방어하기 위하여 함정세력이나 선단의 주력체 주위에서 실시하는 경계진.
 
대공매복조(對空埋伏組, Counter-Air Ambush Element)
적의 공중침투에 대비하기 위하여 예상낙하지역, 공중침투로상의 구릉지대 등에 매복진지를 편성하여 필요시 점령하여 임무를 수행하는 작전팀.
 
대공무기(對空武器, Air Defence Weapon)
방공임무를 수행하는 모든 무기로서 적의 항공기나 비행체를 파괴, 무력화, 공격효과 감소를 위하여 운용되며 지대공, 공대공, 함대공 무기가 포함됨.
 
대공방어(對空防禦, Anti-Aircraft Defense; AAD)
적의 공중공격에 대한 일체의 방어행동.
 
대공수(對空輸, Anti-Airborne)
적의 공정작전, 공중기동작전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모든 활동. 여기에는 적의 항공기를 격추하기 위한 것부터 지뢰지대를 설치하는 소극적 활동이 모두 포함됨.
 
대공전(對空戰, Anti-Air Warfare)
1.적의 공중 및 미사일 위협을 파괴하거나 허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데 필요한 작전행동. 요격기, 고사포, 지대공 및 공대공 미사일 그리고 전자방해 조처의 활용과 위협체가 발사되기 전후에 파괴하는 모든 조치를 포함하며 다른 조치로써는 엄호, 은폐, 소산, 기만(전자 포함) 그리고 기동에 의하여 적 공중작전의 효과를 최소한으로 하는 것 등을 포함함.
2.방어제공작전(방공작전)과 동일한 의미의 해군작전 용어임.
 
대공정 지뢰지대(對空挺地雷地帶, Anti-Airborne Minefield)
주로 대공정방어를 위하여 부설된 지뢰지대.
 
대공정작전(對空挺作戰, Anti-Airborne Operation)
적의 공중침투부대 및 공정부대가 아군의 후방지역에 낙하 또는 착륙하여 주요지역을 점령하거나 주요시설을 타격하며, 후방지역을 교란하고자 기도하는 적을 거부 또는 격멸하는 작전.
 
대공제압(對空制壓, Suppression of Enemy Air Defence; SEAD)
적의 지대공 방공무기 및 지휘통제체제를 기능저하, 무력화 또는 파괴시키는 작전으로서 살상 및 파괴무기를 사용하거나 전자전 임무를 통하여 수행하는 공세 제공작전의 임무형태임.

 

 

대공초소(對空哨所, Air Guard Post)
적 항공기의 접근을 조기경보하기 위하여 대공관측이 용이한 곳에 위치한 초소.
 
대공포(對空砲, Anti-Aircraft Artillery; AAA)
공중표적을 사격하기 위한 방공포병무기의 일종으로서 포좌 또는 포가상에 포신을 장치한 탄환의 투발무기.
 
대공포판(對空布板, Signal Panel)
지상부대 또는 함정과 비행중인 우군항공기간에 신호용으로 사용되는 포판. 대공포판 부호(對空布板符號, panel code)는 대공포판을 시각신호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전에 설정한 기호.
 
대권항로(大圈航路, Great Circle Route)
대권(大圈)에 있는 두 지점간에 가장 짧은 거리를 따르는 항로.
 
대기구역(待機區域, Rendezvous Areas)
상륙작전에 있어서 상륙주정이나 상륙장갑차가 상륙군을 탑재한 후 상봉하여 파를 형성하는 지역으로서 이 지역에서 공격개시선을 향하여 출발함.
 
대기동작전(對機動作戰, Counter-Mobility Operation)
적을 지연, 분쇄 및 격멸하기 위하여 장애물을 구축하고 지형을 보강하는 작전으로서 이 작전의 주목적은 적의 전진을 지연시키거나 방향을 전환하게 하고 표적획득 시간을 증가시키며 무기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임.
 
대기뢰대항장치(對機雷對抗裝置, Anti-Countermine Device)
적이 기뢰를 인양하여 분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뢰를 움직이면 자동폭발되도록 고안된 기뢰의 내부장치.
 
대기속도(大氣速度, Airspeed, Air Speed)
1.주변 공기와의 상대적 속도.
2.항공기의 비행속도이기는 하나 대지(對地) 속도와는 달리 지상의 비행거리에 관계없이 풍압으로 측정되는 속도.
 
대기파(待機波, on-Call Wave)
작전초기에 육상에서의 소요가 예상되나 상륙시간과 장소를 정확히 알 수 없는 상륙군의 병력, 장비 및 보급품을 싣고 있는 상륙함정, 주정, 상륙장갑차 또는 헬기로 구성된 대형(파).
 
대기품목(待機品目, Stand by Item)
수요빈도 미달로 인하여 원칙적으로 인가저장 품목(ASL)으로는 선정할 수 없는 품목으로 전염병이 만연될 것을 대비한 보건상의 필요나 기계장비의 파손방지, 홍수, 천재지변 또는 전쟁과 같은 비상사태에 대비하여 시설운용상 대기시켜 놓은 품목.

 

 

대내심리전(對內心理戰, Internal Psychological Warfare)
국내에서 국민정신 통합을 위해 실시되는 제반활동, 즉 홍보, 정훈활동 등 적 심리전으로부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심리전.
 
대대군(大隊群, Battalion Group)
한 특정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배속관계를 유지하는 1개 대대 이상의 포병부대.
 
대대상륙단(大隊上陸團, Battalion Landing Team; BLT)
상륙작전시 통상 필요한 전투지원 및 전투근무지원부대로 증강되는 보병대대로서 돌격상륙을 계획하기 위한 기본단위.
 
대량 근접항공지원(大量近接航空支援, Mass Close Air Support)
단시간내 특정목표지역에 대하여 가용화력을 집중시키는 근접항공지원.
 
대량 무장장착(大量武裝裝着, Mass Loading)
작전계획에 명시된 규정시간 내에 요구되는 작전항공기의 완전무결한 전투무장을 갖추는 것.
 
대량보복전략(大量報復戰略, Massive Retaliation Strategy)
어떠한 형태의 도발행위에 대해서도 응징수단으로써 강력한 전략 열핵무기로 보복하겠다는 전략. 즉 최소의 도발에 대해서도 최고, 최대 수준의 응징보복을 단행하겠다는 전략.
 
대량살상무기(大量殺傷武器, Mass Casualty Weapons; MCW)
핵, 화학, 생물학무기 등과 같이 대량살상 및 파괴를 유발하는 무기의 총칭.
 
대륙간 탄도탄(大陸間彈道彈,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ICBM)
대양을 횡단하여 대륙간 사격이 가능한 사정거리 5,000마일 이상의 전략탄도미사일.
 
대륙간 폭격기(大陸間爆擊機, Global Bomber)
기지에서 세계 어느 곳이라도 비행하고 중간 기지에 착륙함이 없이 기지에 귀환할 수 있도록 설계된 폭격기.
 
대륙전략(大陸戰略, Continental Strategy)
일반적으로 육지국의 유력한 국략(國略)으로서 근본적으로 육상에서의 전쟁수단으로써 적에게 제압을 가한다는 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는 것.

 

 

대리전쟁(代理戰爭, Proxy War)
한 국가가 직접 전쟁을 하지 않고 그의 우방국 또는 기타의 국가로 하여금 대신하여 타 진영이나 기타의 국가와 싸우게 하는 전쟁.
 
대면심리전(對面心理戰, Face to Face Psychological Warfare)
심리전 매체는 크게 대중 전달매체와 개인 전달매체로 나눌 수 있으며 대면심리전은 개인 전달매체인 대면 전달을 통한 심리전 활동을 말함.
 
대민 군사지원(對民軍事支援, Military Aid to Civil Authorities)
해당 민간당국의 요청에 응하거나 또는 대통령의 지시에 의해 주민의 질서유지와 복지 보존을 조력하기 위하여 취하여지는 모든 군사활동. 이러한 활동은 통상 재난, 폭동 혹은 기능발휘를 위협하는 상태 등과 같은 국내 위기 하에 실시하게 됨.
 
대반란(對反亂, Counter Insurgency)
현존하는 정부를 전복시킬 목적으로 전복활동 및 무력행사를 정부가 격퇴시키기 위해서 취하는 군사, 준군사, 정치, 경제, 심리 및 대민활동.
 
대방사 유도탄(對放射誘導彈, Anti-Radiation Guidance Missile; ARM)
적의 레이더에서 발사되는 전파신호를 따라 레이더에 접근하여 이를 파괴 무력화시키는 유도탄.
 
대부대(大部隊, Large Unit)
군단급 이상 부대에 대한 총칭.
 
대비정규전(對非正規戰, Counter Unconventional Warfare)
가용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사용하여 책임지역 내에서 군사활동 및 비군사활동을 포함한 적의 비정규전을 예방, 저지, 격멸 및 소탕을 목적으로 수행되는 제반작전으로서 대침투작전 및 대유격작전, 심리전 및 정보활동, 주민 및 지역의 경계와 통제 그리고 대민지원활동 등이 포함됨. 이는 군·관·민의 통합된 노력에 토대를 두고 수행함.
 
대상륙작전(對上陸作戰, Counter Amphibious Operation)
육·해·공군에 의하여 합동으로 가용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사용하여 적의 상륙을 저지, 격멸하는 작전.
 
대식물 작용제(對植物作用劑, Antiplant Agent)
식물에 병이나 피해를 주는 미생물 또는 화학약품으로서 화학약품 중에는 낙엽제, 살초제, 식물성장 조정제 등이 있음.
 
대양선단(大洋船團, Ocean Convoy)
대체로 연안수역을 벗어나 항해하는 수송선단.

 

 

대양수송(大洋輸送, Ocean Going Transportation)
공해상의 대양을 통항하여 타국과 이루어지는 수송으로 평시에는 민간선박에 의하여 수행되며, 전시에는 해군함정, 동원선박(한국국적 선박 포함)에 의하여 수행됨.
 
대양해군(大洋海軍, Ocean Going Navy/Blue Water Navy)
대양에서 국가이익 수호와 국가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해상, 해중 및 항공 등 입체전력을 구비하고 적정수준의 해양통제, 해상교통로 보호 및 전력투사능력을 갖추어 대양에서 상당기간 독립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해군. 세력규모는 구축함급 이상의 중·대형함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상당규모의 독립된 항공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중·소형 항모와 중형 잠수함 또는 소수의 핵 잠수함, 대형 상륙함과 대형 지원함 등으로 편성됨.
 
대역 전파방해(帶域電波妨害, Barrage Jamming)
방해주파수의 대역폭이 광대역으로 발사되는 방해전파. 어떠한 특정 주파수만을 방해할 목적으로 발사하는 것이 아니고 수개 또는 수십 개의 불특정한 주파수를 동시에 방해할 목적으로 발사함.
 
대외군사판매(對外軍事販賣, Foreign Military Sale; FMS)
미정부가 무기수출통제법에 의거 우방국·동맹국 또는 국제기구를 대상으로 정부간의 계약에 의하여 대외지급수단 및 차관자금으로 군사상 필요한 물자, 방위, 용역 등을 미 국방부 군수체계를 통하여 판매하는 군사판매 형태임.
 
대외심리전(對外心理戰, External Psychological Warfare)
우방이나 중립국 또는 적대관계에 있는 국가나 집단에 대하여 수행되는 심리전으로 우방국에 대해서는 협력관계를 더욱 강화하고 중립국에 대해서는 우호를 증진시키며 적대국 또는 적대집단에 대해서는 관계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심리전 활동임.
 
대용목표(代用目標, Alternative Objective)
여러 개의 목표 중에서 공자가 선택의 자유를 갖는 동등목표군으로서 예비목표, 택일목표라고도 함.
 
대위성작전(對衛星作戰, Anti-Satellite Operations)
적 위성이나 핵심통제를 제압, 분쇄하거나 위협하기 위해 계획된 방어적인 공세작전.
 
대유격작전(對遊擊作戰, Counter Guerrilla Operation)
침투에 성공한 후 근거지를 확보하거나 잔류하여 유격전을 수행하는 적을 소탕 및 격멸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작전으로 대유격작전은 적의 근거지를 거부하고, 적을 소탕 및 격멸하기 위한 타격작전과 군·관·민 통합으로 지역안정을 회복하기 위한 평정작전으로 구분함.
 
대음향대항책(對音響對抗策, Acoustic Counter-Counter Measure; ACCM)
적의 대항책에도 불구하고 아방의 음향방사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취해지는 행동.
 
대인작용제(對人作用劑, Anti-Personnel Agent)
적 인원에게 병을 발생시키거나 화학적 피해를 주어 무능화 또는 살상을 야기시키는 생물학 및 화학작용제를 의미함.

 

 

대인장애물(對人障碍物, Anti-Personnel Obstacle)
도보부대 전진을 방해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장애물로서 대인지뢰, 철조망, 부비츄랩, 크레모아, 화염폭발장치, 건물폭파장치 등으로 적의 접근을 방해하거나 살상하기 위하여 운용하는 장애물.
 
대인지뢰지대(對人地雷地帶, Anti-Personnel Minefield)
주로 보병공격에 대한 방어를 위하여 부설된 지뢰지대.
 
대작물작용제(對作物作用劑, Anticrop Agent)
경작물에 대하여 병들게 하거나 피해를 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유기체나 화학제.
 
대작물작전(對作物作戰, Anticrop Operation)
적의 특정 식량자원이나 산업생산물을 파괴하려고 군사작전에 대작물작용제를 사용하는 작전.
 
대잠 강습작전(對潛强襲作戰, Anti-Submarine Strike Operation)
기지에 전개해 있는 잠수함뿐 아니라 조선소, 수리시설, 훈련기지, 작전기지 등을 격파 또는 무력화시켜 잠수함작전 근원을 제거하는 대잠작전으로서 항공기나 함포에 의한 강습작전이 효과적임.
 
대잠 경계구역(對潛警戒區域, Anti-Submarine Screen Area)
상륙돌격을 지원하는 상륙 수송선 및 화력지원부대를 보호하기 위하여 항공 및 해상부대에 의하여 대잠 경계작전이 실시되는 해역.
 
대잠 기뢰작전(對潛機雷作戰, Anti-Submarine Mining Operation)
적 잠수함의 기지, 항로 또는 우군 항만 등에 기뢰를 부설하여 적 잠수함의 효과적인 행동을 저지하는 작전.
 
대잠 로켓(對潛~, Anti-Submarine Rocket; ASROC)
잠수함을 파괴하기 위하여 해상함정으로부터 발사되는 로켓추진 어뢰. 통칭 ASROC이라고 부름.
 
대잠 무기체계(對潛武器體系, Anti-Submarine Weapons System)
대잠수함전(Anti-Submarine Warfare; ASW)을 위한 일련의 무기체계. 잠항중인 잠수함을 격파하기 위해서는 목표의 수색, 탐지, 식별, 공격이라는 각 단계를 거치는데 이 활동은 수상함정, 항공기 및 지상시설에 배치된 각종 무기와의 연계 아래서 실시되지만 그 밖의 잠수함은 독자적으로 실시함.
 
대잠 방어작전(對潛防禦作戰, Anti-Submarine Protective Operation)
적 잠수함의 공격으로부터 부대 또는 한 지역을 수호하는 것으로서 대잠호송작전, 대잠경계진작전, 대잠지원작전, 해군관제, 항만 방어작전 등이 있음.

 

 

대잠 항공공격작전(對潛航空攻擊作戰, Anti-Submarine Air Offensive Operation)
함재기나 육상에 기지를 둔 항공기가 단독으로 또는 항공기, 함정 혹은 이 양자와 협동하여 실시하는 공세작전.
 
대잠 헬리콥터(對潛~, Anti-Submarine Helicopter)
잠수함을 탐색, 탐지 및 공격하는 것을 주임무로 하는 헬리콥터.
 
대잠경계진(對潛警戒陣, Anti-Submarine Screen)
잠수함의 공격으로부터 주력체(Main Body)를 방어하기 위한 함정이나 항공기의 배열.
 
대잠공격(對潛攻擊, Anti-Submarine Attack)
1.정밀공격(精密攻擊, deliberate)
전술적 상황이 정확한 공격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허용할 때 최대의 정확성을 갖고서 적 잠수함을 격파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공격방법.
2.긴급공격(緊急攻擊, urgent)
곧 공격할 수 있는 위험한 곳에 위치하고 있는 적 잠수함에 대하여 접촉 즉시 실시하는 공격으로서, 정확성보다는 신속성이 우선함. 공격을 가할 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을 때 잠수함을 교란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공격방법.
 
대잠방책(對潛防柵, Anti-Submarine Barrier)
적 잠수함의 탐지, 통행의 거부 및 파괴를 목적으로 구성되는 일련의 고정장치 또는 기동단위대로 구성되는 선.
 
대잠수색(對潛搜索, Anti-Submarine Search)
해역내 이미 알려진 또는 예상되는 잠수함 위치 식별을 위하여 특정해역에 대해 체계적으로 실시하는 수중수색으로서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전술적인 수색방법이 동원됨.
 
대잠어뢰(對潛魚雷, Anti-Submarine Torpedo; ASTOR)
잠수함을 공격하기 위하여 발사되는 고속도, 유선유도 및 심해를 잠항하는 무항적(無航跡) 어뢰로서 함정이나 잠수함에서 사용됨.
 
대잠억제(對潛抑制, Anti-Submarine Hold Down)
적 잠수함이 부상하지 못하도록 노력하는 작전으로서 적 잠수함이 정보수집을 못하게 하고 통신 및 공격위치 선정을 불가능하게 하여 축전지를 다 소비하도록 강요할 수 있는 일련의 적 잠수함활동 견제방법.
 
대잠억제전술(對潛抑制戰術, Hold Down Tactics)
적 잠수함의 활동을 견제하고 부상하지 못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작전으로 잠수함이 정보수집을 못하게 하고, 통신 및 공격위치 선정을 불가능하게 하며, 축전지를 전량 소비 하도록 강요함.
 
대잠작전(對潛作戰, Anti-Submarine Operation)
대잠전을 수행하는 모든 작전을 말하며 크게 대잠공격작전, 대잠수색작전, 대잠방어작전으로 구분함.

 

 

대잠전 환경예보지원(對潛戰環境豫報支援, ASW Environmental Prediction Service; ASW EPS)
잠수함, 수상함 또는 항공기로부터 수행되는 대잠작전을 지원하기 위하여 대잠환경 변수를 예보하는 것.
 
대잠전(對潛戰, Anti-Submarine Warfare)
적 잠수함의 효과적인 운용을 거부하기 위해 수행되는 작전.
 
대잠전부대(對潛戰部隊, Anti-Submarine Warfare Forces)
대잠전투를 주목적으로 편성된 부대. 수상함, 항공기, 잠수함 또는 이 3자의 각종 혼합과 지원체계로써 구성될 수 있음.
 
대잠전초(對潛前哨, Anti-Submarine Picket)
잠수함의 위협으로부터 세력이나 선단을 보호하기 위하여 경계진 밖으로 배치된 대잠함정.
 
대잠전투(對潛戰鬪, Anti-Submarine Action)
특정한 적의 잠수함(정)에 대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잠전 세력이 전개하는 작전. 이 작전은 가용한 탐지수단에 의하여 적 잠수함이 포착되었을 때에 시작됨.
 
대잠지원작전(對潛支援作戰, Anti-Submarine Support Operations)
해상부대나 선단이 통과하는 해역 또는 지리적 해역의 방위(防衛)를 위하여 대잠부대가 실시하는 작전으로서 지원작전은 부대 또는 선단과 완전한 협동작전일 경우와 혹은 단지 작전정보나 첩보자료의 제공 정도로 협동하는 단독작전일 수도 있음.
 
대잠초계(對潛哨戒, Anti-Submarine Patrol)
잠수함에 대한 탐지 또는 공격을 위하여 한 구역이나 선에 따라 계획적이며 계속적으로 실시하는 탐색.
 
대잠회피(對潛回避, Anti-Submarine Evasion)
잠수함의 공격을 회피하기 위해서 세력, 선단 또는 전술지휘관의 지시에 의해 각 함정이 예정된 항로 또는 속도를 변경하는 것. 목적지를 변경하지는 않음.
 
대적심리전(對敵心理戰, Counter Enemy Psychological Operation)
상대 적국 또는 집단에 대해 실시하는 심리전으로서 적측의 정신과 의지를 굴복시킴으로써 승리를 가져오도록 하는 것.
 
대전략(大戰略, Grand Strategy)
국가목표의 달성, 특히 전쟁의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국가의 전 자원 또는 국가군의 전 자원을 조정하고 통제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대전복(對顚覆, Counter Subversion)
전복활동을 실시하고 있거나 또는 실시할 가능성이 있는 개인, 집단 또는 조직들을 식별, 이용, 침투, 조종, 기만 및 진압하여 전복 활동들을 탐지, 격멸, 무력화 또는 저지하기 위해 계획된 대정보 활동의 한 가지 방법.
 
대전자공격(對電子攻擊, Anti-EA)
우군의 통신망과 무기체계에 대한 적의 전자방해, 기만 등 적대행위의 효과를 감소 또는 무력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대책이며, 기능적으로 전자보호(EP)의 범주에 속함.
 
대전자지원(對電子支援, Anti-ES)
적의 전자지원책(ESM) 능력을 감소 또는 무력화시키기 위한 우군의 대응책으로서 무선침묵, 전자파 발사통제(EMCOM) 등의 소극적 대책과 전파방해, 기만 등의 적극적 대응책이 포함됨.
 
대전차 무기체계(對戰車武器體系, Anti-Tank Weapon System)
전장에서 적의 전차군에 대한 공격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개발된 일련의 무기그룹으로서 보병의 대전차 무기를 비롯한 각종의 화기, 유도탄, 항공기, 차량 등이 포함됨.
 
대전차 장애물(對戰車障碍物, Anti-Tank Obstacles)
전차 혹은 기타 장갑차의 기동을 저지 또는 방향전환을 못하게 하거나 기동을 지연시키기 위한 자연 또는 인공장애물이나 방벽.
 
대전차공격(對戰車攻擊, Anti-Tank Attack)
적의 전차를 무력화하기 위한 작전으로서 가용한 모든 대전차 화기의 사용과 대전차 특공조의 운용 등으로 실시함.
 
대전차방어(對戰車防禦, Anti-Tank Defense)
대전차 장벽(자연 및 인공장애물) 및 대전차 특공대(화기) 운용 등으로 방어의 전 종심에 걸쳐 편성된 적 전차 운용에 대한 방어작전.
 
대전파방해(對電波妨害, Anti-Jamming)
전자전을 수행하려는 적의 전자이용능력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려는 전자보호(EP)의 일부임. 일반적으로 주파수 도약 및 광대역 스펙트럼 송신방법 등이 있음.
 
대정보(對情報, Counter Intelligence)
우군의 병력과 장비, 활동 등을 대상으로 적의 조직이나 개인이 수행하는 정보수집, 태업, 전복, 군사테러 및 암살 등을 사전에 탐지하여 이를 무력화시키거나 거부하는 모든 활동(인간, 영상, 신호정보 수집수단에 대한 방어방책).
 
대조(對照, Correlation)
항적의 자료와 레이더 자료, 내부항적과 외부항적 간의 자료를 비교 검토하는 일련의 과정으로서 항적추적을 위하여 작전수행 프로그램에서 수행됨.

 

 

대지공격(對地攻擊, Air Strike)
공격임무를 부여받은 전투기, 폭격기 또는 공격기에 의하여 특정 지상목표를 공격하는 것.
 
대지속도(對地速度, Ground Speed)
지표면에 대한 항공기, 함정 등의 속도.
 
대축척지도(大縮尺地圖, Large-Scale Map)
1:75,000 또는 그 이상의 축척에 의한 지도.
 
대충장비(代充裝備, Maintenance Float)
사용 불가능한 장비를 정비지원 시설에서 적기에 정비(수리)가 불가할 때 고장난 장비의 대치용으로 불출하기 위하여 정비지원 시설에 저장하도록 인가된 완성장비를 말하며 운영대충장비, 정비대충장비, 주기대충장비 등이 있음.
 
대치품목(代置品目, Substitutes Item)
표준품목 대신에 흡사한 성질의 것을 대용으로 불출하도록 인가된 품목.
 
대침투작전(對浸透作戰, Counter Infiltration Operation)
평시 지상·해양·공중을 통하여 침투하는 적의 특수부대 및 요원을 포착, 격멸하거나 소탕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제반활동.
 
대태업(對怠業, Counter Sabotage)
어떤 국가의 방위력 또는 전쟁 잠재력을 방해하거나 좌절시키기위하여 여러 가지 수단과 방법으로 그 국가의 정상적인 모든 기능을 고의적, 계획적으로 파괴하거나 분열시키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대정보 활동.
 
대테러(對~, Counter Terrorism)
테러사건이 발생되기 이전에 예방·저지활동을 하거나 테러사건 발생이후 취해지는 대응활동의 체계적인 수단 및 방법을 말한다.
대테러는 주로 정부기관 주도로 이루어지는 특성 때문에 일반적으로 ‘대테러활동’이라 하며, 군사적으로는 ‘대테러작전’이라 한다. 또한Combatting Terrorism에는 방어적 의미인 Anti Terrorism과 공세적 의미인 Counter Terrorism이 포함됨.
 
대포병 사격(對砲兵射擊, Counterbattery Fire)
적 포병에 관련된 장비, 시설 등 운용체계를 파괴 및 무력화시키기 위하여 실시되는 사격.
 
대함전(對艦戰, Anti-Surface Warfare;ASUW)
적 수상세력 및 상선의 위협을 거부하기 위하여 이를 파괴시키거나 무력화시키는 작전을 말함. 이는 해양통제권을 확보 또는 유지하고, 적의 해양사용을 거부하기 위하여 아측의 다양한 전력에 의하여 수행됨.

 

 

대항군(對抗軍, Aggressor Force)
적군의 군사행동을 취하는 가상적인 군부대. 이는 연습의 실전감을 주기 위하여 구성됨.
 
대항기뢰(對抗機雷, Counter Mine)
부설된 기뢰 근처에서 다른 기뢰나 폭약을 폭발시켜 부설된 기뢰를 폭발 또는 작동하지 못하게 하는 수단.
 
대항기뢰원(對抗機雷原, Countered Minefield)
적이 아군의 기뢰부설에 대하여 탐색이나 소해 등의 대항책을 실시하리라고 예상되는 기뢰원.
 
대화기사격(對火器射擊, Counterfire)
적의 무기를 파괴하거나 제압하기 위한 사격. 대포병사격, 대함포사격, 대박격포사격이 포함됨.
 
대화력전(對火力戰, Counterfire Operation)
적의 간접화력체계, 즉 적의 박격포, 대포, 로켓체계 및 그것들에 관련된 지휘통제, 통신 및 지원체계를 공격하기 위한 모든 활동.
 
댄 부이(Dan Buoy)
소해작전시 소해경로, 소해구역, 위험구역 및 참조점을 표시하기 위하여 임의로 표지에 사용하는 부표.
 
데이텀(Datum)
최종적으로 알려진 잠수함의 실제 위치를 말하며 실제 위치를 알지 못하지만 첩보상 잠수함의 존재가 분명할 때에는 추정위치를 설정하며 잠수함 접촉을 상실하였을 때는 반드시 추정위치를 설정하여야 함.
 
도로견부위주 종심방어(道路肩部爲主縱深防禦, Defense in Depth Orienting Road Shoulder)
적의 고속기동전에 대응하기 위해 적 주력의 기동로인 도로견부 위주로 종심 깊게 전투력을 배비하여 적 고속기동부대의 공격속도를 축차적으로 흡수, 지연, 차단 및 격멸함으로써 적의 작전의도를 분쇄하는 전술방식으로서 공세이전의 여건조성을 위한 긴요한 전법을 말함.
 
도로대화구(道路大火口, Road Crater)
용이하게 우회할 수 없는 도로상의 한 지점에서 주로 적 차량이나 적 전차의 도로사용을 거부하기 위하여 포탄, 지뢰, 폭약 등의 폭발물을 장치하여 필요시 폭파함으로써 도로상에 깊은 폭파구를 형성하도록 한 장애물의 일종.
 
도발(挑發, Provocation)
적이 특정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우리의 국민과 재산 또는 영역에 가하는 일체의 위해행위.

 

 

도발응징(挑發膺懲, Provocation Punishment)
평시 예상되지 않은 적의 각종 형태의 국지적 도발행위나 적대행위 발생시, 이에 상응한 응징을 신속하게 실시하여 도발사태의 확산을 저지하고 새로운 도발행위를 억제하기 위한 계획된 보복작전.
 
도북(圖北, Grid North)
지도상의 수직좌표선에 의해 정해진 북쪽, 즉 지도 좌표선의 0도 방향.
 
도북방위각(圖北方位角, Grid Bearing)
도북으로부터 측정된 방위각.
 
도북편차(圖北偏差, Grid Convergence)
도북에서 진북에 이르는 우회 수평각.
 
도상기동연습(圖上機動演習, Map Movement Exercise)
지도 또는 투명지를 사용하여 전술상황을 부여하고 지휘관 및 참모는 판단, 결심, 계획 및 명령 등을 준비하는 전술연습의 한 형태.
 
도선장(渡船場, Ferry)
하천, 호수, 해협 등에서 폭이 좁거나 얕아서 건너기 쉬운 곳으로 대안과 연락할 수 있는 나루터. 폭이 좁거나 수심이 얕은 하천 등 건너기 쉬운 교통상의 요점.
 
도섭(渡涉, Ford)
수심이 얕은 하천을 교량이나 단정 또는 뗏목 등을 이용하지 않고 걸어서 건너가는 것.
 
도섭능력(渡涉能力, Fordability)
물의 깊이가 사람의 키를 넘지 않는 하천을 건너갈 수 있는 능력.
 
도수운반지점(徒手運搬地點, Off Carrier Position)
경박격포 및 기관총과 같은 화기 그리고 이에 요하는 탄약 부속품 등을 운반차로부터 내려서 각 진지까지 손으로 운반하게 되는 지점.
 
도수운반품(渡手運搬品, Man Transportable)
통상적으로 차량, 궤도차 또는 항공기로서 수송되는 품목이나 제한된 거리(100~500미터)에서 한 사람 또는 몇 사람에 의해서 운반할 수 있도록 필요한 고유장치가 되어 있는 품목.
상한중량은 개인당 약 65파운드임.

 

 

도시지역 작전(都市地域作戰, Urban Operation)
도시지역을 교란 또는 주요시설을 타격할 목적으로 침투하는 적을 저지격멸하고, 도시아파트 및 건물지역에 대한 적의 은거를 거부하여 주민을 보호하며, 치안을 유지하여 도시가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전임.
 
도표축척(圖表縮尺, Graphic Scale)
지도나 해도상에서 실지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눈금이 매겨진 선.
 
도플러 레이더(Doppler Radar)
표적 또는 관측자의 동작에 따라 반사파의 명백한 변화를 탐지함으로써 고정 및 이동표적을 구별하는 레이더 장치.
 
도피 및 탈출(逃避및脫出, Evasion and Escape)
아군의 군사요원이나 기타 선정된 요원이 적의 점령지 또는 적성지역으로부터 아군의 통제 하에 있는 지역으로 생환하는 작전 및 절차.
 
도하작전(渡河作戰, River Crossing Operation)
공격부대가 신속하게 하천 장애물을 극복, 공격기세를 유지하여 적을 격멸하기 위해 실시하는 작전으로서 공격작전시 한 과정으로 수행됨.
 
독도법(讀圖法, Map Reading)
지도에 표시되어 있는 내용을 해독하는 기술로서, 그 지역에 자연현상, 어떤 지점의 위치, 부대의 위치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지도상에 표시되어 있는 세부사항을 연구하는 것.
 
독립작전(獨立作戰, Separate Operation)
자체계획에 의거 작전을 수행하며, 계획의 승인 및 전투근무지원은 상급부대로부터 받아 실시하는 작전.
 
독립주정(獨立舟艇, Free Boat)
상륙돌격시 계획된 주파가 아닌 독립적으로 상륙하는 주정으로서 대대급 이상의 지휘관이나 그의 참모 또는 부지휘관들이 탑승하고 있는 주정.
 
독립포대(獨立砲隊, Separate Battery)
대대의 일부 포대가 대대로부터 원거리 이격되어 임무를 수행하는 포대.
 
독성 화학작용제(毒性化學作用劑, Toxic Chemical Agent)
야전용도로 사용될 때 심한 상해나 사망을 일으킬 수 있는 작용제로서 살상 화학작용제라고도 하며, 질식작용제, 신경작용제, 혈액작용제, 수포작용제가 있음.

 

 

돌격(突擊, Assault)
1.공격전투의 최후단계로서 백병전이 수반되는 근접전투이며, 공격전투의 승패를 결정하는 행동.
2.상륙작전에 있어서 제1예정파의 공격개시선 통과로부터 최초 목표를 탈취할 때까지의 시간(상륙돌격 참조).
3.포진지, 보루 또는 기관총 진지와 같은 국지목표에 대하여 짧고 맹렬하면서도 질서 있는 공격을 감행하는 것.
4.공정작전에 있어서 전투준비를 완료한 공정부대가 돌격목표를 공격하여 최초공두보를 보강하는 단계.
 
돌격구역(突擊區域, Assault Area)
해안구역, 주정로, 공격개시선, 상륙함선구역, 수송함선구역 및 주정로 근처의 화력지원구역을 포함하는 구역.
 
돌격구역도표(突擊區域圖表, Assault Area Diagram)
상륙작전을 위하여 지정된 해안표지, 주정로, 공격개시선의 편성, 예정파, 상륙함정구역, 수송함정구역 및 주정로에 근접한 화력지원구역 등을 도표로 표시한 것.
 
돌격단계(突擊段階, Assault Phase)
상륙기동부대의 주요돌격부대가 목표지역에 도착해서부터 상륙기동부대의 임무를 완수할 때까지의 기간.
 
돌격예정표(突擊豫定表, Assault Schedule)
해안에 상륙하는 주파의 진형, 구성 및 시간 등을 명시한 상륙계획서류.
 
돌격작전(突擊作戰, Assault Operation)
상륙작전에 있어서 상륙군의 함안이동 및 최초 예정파의 상륙과 함께 시작되고 상륙군의 최종 지상목표를 확보함으로써 종료되는 작전. 기타 부대는 상륙군의 돌격작전중 군수지원과 화력지원 제공을 계속하고, 상륙기동부대의 전반적인 방호를 계속함.
 
돌격전 작전(突擊前作戰, Pre-Assault Operations)
상륙기동부대 예하인 선견부대가 상륙목표지역 내에서 주상륙이 실시되기 전에 목표지역의 준비 및 고립과 적에 대한 첩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작전이며 주로 정찰, 소해, 함포사격, 수중장애물 제거 및 해안장애물의 파괴작전 등이 포함됨.
 
돌격제대(突擊梯隊, Assault Echelon)
목표지역의 최초돌격을 위하여 편성된 예하 단위대.
 
돌격주정대(突擊舟艇隊, Assault Craft Unit)
상륙작전시 요구되는 추가적인 선박소요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상륙주정과 승조원으로 구성되는 해군작전사(상륙지원대) 예하의 편성체.
 
돌격함선(突擊艦船, Assault Ship)
상륙기동부대에 할당되어 돌격부대의 차량, 장비 및 보급품을 목표지역으로 수송하는 함선.

 

 

돌격항공기(突擊航空機, Assault Aircraft)
상륙작전시 상륙목표지역으로 돌격부대와 화물을 이송하며, 재보급지원을 수행하는 헬리콥터를 포함한 고정익 항공기.
 
돌격후속제대-상륙(Assault Follow-On Echelon-Amphibious)
돌격 초기에는 필요치 않으나 그 돌격을 지원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돌격부대. 차량, 항공기 장비 및 보급품을 포함하는 작전제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상 상륙작전 개시후 5일 이내에 목표지역에서 이 후속제대가 요구됨.
 
돌파(突破, Penetration)
적 방어진지상에 약한 측익이 없거나 지형상 포위가 제한될 때 공격부대가 적의 주방어진지를 통과하여 포위기동을 위한 약한 측익을 조성하거나 적부대의 방어 지속성을 파괴하는 기동형태임. 돌파에 유리한 조건은 적 배치가 과도히 신장되어 있을 때, 적 진지에 약점이 있을 때, 지형이 효과적인 제병협동작전에 유리할 때, 강력한 화력 가용시 등이 있음.
 
돌파소해(突破掃海, Break Through)
소해를 할 시간여유가 없을 때 수로상 통행에 위협을 주는 기뢰의 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소해.
 
동류전용(同類轉用, Cannibalization)
사용불가 장비로부터 사용 가능한 부속이나 부분품(구성품 및 완제품)을 제거하거나 취득하여 동일 종류의 장비를 수리하는 것. 정비의 원칙에서는 이와 같은 행위를 금지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허용되고 있음.
1.단시간 내에 보급지원을 받을 수 없는 접적지역에서의 비상사태.
2. 군수참모부장이 설정한 특정장비의 특정부속품.
3. 폐처리가 인가되었을 때.
 
동맹(同盟, Alliance)
국가들의 공동 이익을 촉진시킬 목적으로 장기적 성격의 목표들을 위해 2개 이상의 국가들이 체결한 공식 협정의 결과로서, 일반적으로 동맹작전은 연합작전(Combined Operations)을 의미함.
예) 나토
 
동맹국전쟁예비물자(同盟國戰爭豫備物資, War Reserve Stocks for Allies; WRSA)
미국 소유 전투예비물자를 지칭하는 일반용어로서 미국의 우방국 전투를 위한 미국 소유 우방국 소요물자이다. 그 물자 중 일부 탄약은 우방국의 지리적, 정치적 영역 내에 사전 저장될 수 있는 탄약의 양을 말함. 한국 내에 저장된 WRSA 탄약에는 한국군 전투예비량이 주종임.
 
동반동원(同伴動員, Concurrent Mobilization)
동원장비·시설 및 업체와 이에 종사하는 인력을 동시에 동원하는 것으로서 자동차, 건설기계, 항공기 등은 조작요원과 동시에 동원하며 병원, 운송, 건설, 하역, 정비업체, 전기통신공사업체, 항공, 선박 및 어선을 동원할 때는 이에 속해 있는 인원, 장비, 시설들을 동원하는 것.
 
동시교전(同時交戰, Simultaneous Engagement)
1.한 목표기에 대하여 요격기와 방공포가 동시에 배정된 교전상황.
2. 한 무기로써 동일시간에 여러 표적과 교전하는 것.
 
동시사격(同時射擊, Salvo Fire)
2개 사격반 이상이 지정된 발사속도로 동시에 사격을 실시하여단시간에 최대의 화력을 집중하는 사격방법.
 
동시통합(同時統合性, Synchronization)
결정적인 시간과 장소에서 상대적으로 최대의 전투력이 창출될 수 있도록 시간과 공간 그리고 목적 면에서 군사활동들을 배열하는 것.
 
동압력(動壓力, Dynamic Pressure)
폭풍파와 충격파를 뒤따르는 회오리바람의 압력. 핵폭발시 폭풍피해의 전도현상은 동압력에 의해서 대부분 발생됨.
 
동원(動員, Mobilization)
1.전시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 비상사태 하에서 국가안전보장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국가의 인력, 물자, 재화 및 용역 등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통제하는 국가권력작용(국가 총동원).
2.군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전쟁 혹은 기타의 비상사태에 대비할 수 있는 태세로 전환시키는 과정(군사동원).
3.동원은 형태에 따라 정상동원과 긴급동원으로 나누어지며, 동원범위에 따라서는 총동원과 부분동원이 있으며, 대상자원에 따라서는 인원동원, 물자동원 및 기타동원으로 구분됨.
 
동원계획(動員計劃, Mobilization Plan)
한 국가의 인력과 물자, 자원을 소집하여 전쟁준비태세를 배치하기 위한 계획.
 
동원단계(動員段階, Mobilization Phases)
전략 및 작전개념에 부응한 전쟁수행단계에 따라 1년을 12단계로 나눈 것으로서 병력은 긴급단계(1~3단계)와 정상단계(4~12단계), 물자는 초기단계(1~4단계)와 정상단계(5~12단계)로 구분하여 동원을 시행함.
 
동원령(動員令, Issuance of Mobilization Order)
국가동원을 시행하기 위한 일종의 국가 긴급명령이며 동원령은 국민의 재산권을 제한 또는 침해하는 조치이기 때문에 이를 선포하려면 정당한 법적 절차를 밟아야 하고 발령할 수 있는 요건이 충족되어야 함.
 
동원소요(動員所要, Mobilization Requirement)
전시 인가된 편제병력의 충원 또는 작전수요를 전시에 보충하여야 할 인적, 물적 자원의 소요를 말함.
 
동원지정(動員指定, Appointment for Mobilization)
전시동원소요에 대하여 평시에 인적, 물적 동원자원을 미리 지정하는 것으로 병력동원의 경우 전시를 대비하여 계급, 병과 및 군사특기 등 입영부대의 보충소요에 맞도록 병력동원 소집대상자를 부대단위, 집단 또는 개인별로 전시에 소집될 부대 및 직책을 평시에 지정하여 두는 것을 말하며 이는 동원지역의 배정, 소집부대의 결정, 동원보직 부여, 동원소집명부 작성 및 신상이동자의 대체지정 등 전 과정을 총망라하는 병력소집대상자의 지정과 동의어로 사용됨.
 
동원지정업체(動員指定業體, Appointed Companies for Mobilization)
평시에는 당해업체 고유업종의 영업활동을 하나 전시 또는 비상시에는 국가동원령에 의하여 동원되어 군수물자 또는 전시 민수물자의 생산이나 용역에 전용되는 업체.
 
동원편성(動員編成, Mobilization Organization)
전시편제에 따라 전시 증편·창설 또는 손실 보충을 위하여 예비군자원으로 동원지정을 하고 이들에게 보직을 부여하는 등 전시 증·창설부대를 대상으로 편성, 관리하는 것.

 

 

동위원소(同位元素, Isotope)
원자번호는 같으나 원자량이 다른 원소. 이들 원자는 화학적 성질이 같아서 주기율표에서는 같은 위치에 있으므로 같은 위치라는 뜻으로 동위원소라고 함. 예컨대 우라늄에는 234, 235, 238의 동위원소가 있음.
 
등시점(等時點, Equi-Time Point)
항공기가 출발한 기지로 돌아오거나 목적지로 가는 데 같은 시간이 걸리는 항공기 항로상의 지점.
 
등화관제(燈火管制, Blackout)
적 특히 적의 항공기로부터 관측을 방해하기 위하여 모든 불빛을 차폐하거나 전등을 소등하여 적의 목표발견을 방해하기 위한 활동.
 
등화관제선(燈火管制線, Blackout Line)
적의 행동 또는 관측에 대한 경계수단으로 등화사용이 금지되는 선으로서 이 선을 넘어 전방으로 진행하는 차량은 등화관제를 하고 이 선을 넘어 후방으로 나오는 차량은 전등을 켜고 운행할 수 있는 선.
 
디에스투(Decontaminating Agent, DS2)
표준 화학제독제의 일종으로서 70%의 디에체엔 트리아민과 28%의 에틸렌 그리클 도노메틸, 에테르와 2%의 가성소다로 구성되었으며, 제독제로서 효과가 가장 빠름. 모든 독성 화학작용제를 제독하고 수포작용제와 질식작용제는 5분 내에 제독 가능함.
 
디지털화 전장(~化戰場, Digital)
디지털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정보를 실시간에 수직·수평적으로 유통시킴으로써 전 전투원이 전장상황을 공통 인식하여 신속히 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미래의 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