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용어·지식/한글군사용어

한글 군사용어 해설 (ㄴ)

머린코341(mc341) 2014. 3. 17. 12:50

 

한글 군사용어 해설 (ㄴ)

 

나선균(螺旋菌, Spirilla)
균체가 구부러진 나사모양의 세균. 나선의 수, 길이, 폭은 일정치 않음. 아포를 형성하지 않고 편모로 운동하며, 콜레라, 매독균 등이 여기에 속함.
 
나포(拿捕, Arresting)
위법행위를 한 적성국, 제3국 또는 자국의 모든 해상 및 공중운반체에 대해 아측의 완전통제 하에 두는 행위.
 
낙엽제(落葉劑, Defoliant)
식물의 잎을 제거하는 데 사용하는 화학 대식물작용제.
 
낙오자선(落伍者線, Straggler Line)
낙오자, 전선이탈자 및 침투자를 체포하기 위하여 지휘관에 의하여 설치되는 통제선.
 
낙오자수집소(落伍者收集所, Straggler Collecting Point)
낙오자 초소 또는 낙오자선에서 수집된 낙오자를 원대복귀 또는 기타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 위하여 집결시키는 장소로서 헌병에 의하여 운용됨.
 
낙오자초소(落伍者哨所, Straggler Post)
낙오자의 수집, 후송, 정리를 위하여 낙오자 선상에 설정된 헌병초소.
 
낙진(落塵, Fallout)
핵폭발시 지상폭파구의 물질이 공중에 올라가 원자운으로 형성될때 방사능 물질로 변하여 풍향에 의해 아랫바람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일정시간 경과후 떨어지는 물질로서 방사능오염의 주요원인 물질임.
 
낙진예측(落塵豫測, Fallout Prediction)
낙진입자가 지구 표면에 떨어지기 이전에 그 범위와 방향을 예측하는 것. 낙진예측 방법에는 정밀낙진예측과 간이낙진예측이 있음.
 
낙진종료시간(落塵終了時間, Time of Completion of Fallout)
핵폭발시 지상원점으로부터 어떤 지역에 방사능 낙진이 종료되는 시간을 말함.
종료시간 = 1.25 × T도달시간 + 원자운 직경(㎞) T / 유효풍속(㎞/hr)
 
낙진지역(落塵地域, Fallout Area)
방사선 물질이 확산된 지대 또는 기상상태로 보아 방사선 물질이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낙진풍벡타표시(落塵風~標示, Fallout Wind Vector Plot)
지표면으로부터 최고고도까지의 낙진형태에 영향을 주는 바람의 구조에 기초를 둔 바람의 벡타 도표.
 
낙진형태(落塵形態, Fallout Pattern)
낙진강도의 등고선으로 묘사되는 낙진의 분포 형태.
 
낙탄보고(落彈報告, Shelling Report)
포, 구경, 방향, 시간, 밀도 및 포격지역에 관한 첩보가 포함된 적 포격에 관한 보고.
 
난수표(亂數表, Additive Table)
0에서 9까지의 숫자를 각각의 숫자가 나오는 율이 같도록 불규칙하게 늘어놓은 표. 통계조사에서 표본을 무작위로 가려낼 때, 암호통신 등에 이용함.
 
난외주기(欄外註記, Marginal Data)
지도, 도표, 사진 등의 여백에 내용을 이해하는 데 참고가 될 만한 자료를 표시해 놓은 기호나 문자.
 
내란(內亂, Internal Disturbances)
국가의 정치적 기본제도 및 조직을 불법적으로 파괴, 변혁할 목적으로 대규모의 폭동을 일으키는 상태.
 
내부방어(內部防禦, Internal Defense)
전복, 불법 및 반란행위로부터 사회를 보호하기 위하여 정부에 의해서 취해지는 모든 대책.
 
내부선량(內部線量, Internal Dose)
실제 인체에 미치는 방사선량.
 
내부장벽(內部障壁, Intermediate Barrier)
전방 및 후방 장벽 사이에 설치하는 장벽으로서 사단급 이하부대 사이에 설치됨. 이는 방어지역에 대한 적의 침투를 제한하고 선정된 표적지역으로 적을 유인하고 방어지역에 있는 적의 후방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획됨.
 
내선작전(內線作戰, Operation on Interior Lines)
신속한 기동, 집중 및 분산의 이점을 획득하고 양호한 통신, 짧은 병참선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포위태세로 전진해 오는 적과 대적하고자 하는 작전.

 

내수(內水, Internal Waters)
영해의 기선(기준선) 이내에 있는 모든 수역을 말하며, 호수, 하천(하구 포함), 운하, 항구 및 만을 포함함. 국가는 그 육지 영토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배타적 법적 통제를 내수에서 행사함.
 
내전(內戰, Civil War)
국내의 대립된 세력이 무력에 의해 서로 싸우는 상태로서, 내란이 전투형태와 같이 된 상태.
 
내해경비(內海警備, Inshore Patrol)
일반적으로 방어해안구역 내에서 작전하는 해군의 방어체계이며 항만방어부대, 해안감시계통, 초계정, 지원기지, 항공기 및 해안경비대 기지 등으로 구성됨.
 
낸시(Nancy)
육안으로는 볼 수 없고 특수한 필터를 사용해야만 볼 수 있는 야간의 시각통신법.
 
냉전(冷戰, Cold War)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소에 의해 각기 영도된 서방 자유제국과 공산국가들 간의 이념, 정치, 경제대립으로 인한 전체전(全體戰) 이전의 분쟁상태를 말함.
 
네트워크(Network)
1.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컴퓨터 포함)를 접속하기 위해 쓰여지는 기기(예를 들면 전송기기, 교환기) 및 선로 등으로 구성되는 전송매체.
2.계획분석검토기법(PERT)을 사용하는 경우 어떤 시스템을 도표화한 것.
3. 회로망
 
노무부대(勞務部隊, Labor Service Unit)
통상 외국인 포로나 민간인의 집단으로서 운영, 행정 및 이동의 편의상 반군사적 성질의 부대로 편성되고, 편성 및 장비표로써 표준화됨. 이러한 부대는 신편 또는 창설되는 것이 아니고 어떠한 부대기준에 의한 구성이라고 간주할 수 있음.
 
노상간격(路上間隔, Road Interval)
행군부대간의 거리로서 앞 종대의 후미로부터 다음 종대의 선두까지의 거리. 행군부대간의 노상간격은 종대가 정지하고 있을 때보다 이동하고 있을 때 더 중요함. 그래서 노상간격은 거리보다 오히려 시간요소로서 일반적으로 기술되는데 이것을 시간간격이라고 함.
 
노상장경(路上長徑, Road Space)
어떤 행군종대가 도로상을 실제로 점령하고 있거나 또는 점령될 노상의 길이로서 행군종대의 선두로부터 후미까지의 거리를 ㎞로 표시함.
 
노출량(露出量, Dosage)
인체에 감염된 방사선의 총량. 측정단위는 레드(Red).

 

노출통제(露出統制, Exposure Control)
방사능의 흡수량을 시간적으로 관리하는 활동.
 
노트(Knot)
해상, 수중 및 공중에서 사용하는 속도단위로서 매시간 1해리(1,852미터)에 해당하는 속도단위.
 
노획(鹵獲, Booty)
전투행위 결과로 적의 물자를 획득하는 것.
 
농도(濃度, Concentration)
단위용적의 공기중에 존재하는 화학작용제의 양, 단위는 ㎎/㎥로 표시함.
 
농축우라늄(濃縮~, Enriched Uranium)
천연우라늄을 가공하여 우라늄 235의 함유율을 10% 높인 것으로 열효율이 높음.
 
누적선량(累積線量, Accumulate Dose)
동일한 지역 혹은 인체 전신을 방사선에 수차 노출시킴으로써 형성된 총선량.
 
누적전략(累積戰略, Cumulative Strategy)
사소한 활동들이 모르는 사이에 누적되어 마침내 누적된 활동들의 총계가 중대한 가치를 발휘하게 되는 전략개념. 이는 개별적이며 자의적인 활동의 결합으로 이루어짐.
 
능동전자공격(能動電子攻擊, Active Electronic Attack)
적의 전자적 탐지, 통제는 물론 통신장비나 통신체계를 고의적인 방해나 기만을 통하여 약화 또는 무력화시키는 행위.
 
능동전파방해(能動電波妨害, Active Jamming)
전자스펙트럼의 특정한 부분의 사용을 방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는 고의적인 전자파의 방사 또는 재방사임.
 
능동추적유도(能動追跡誘導, Active Homing Guidance)
목표물을 조사(照射)하는 송신부와 수신된 신호의 발사파를 탐지하는 수신부를 미사일 내에 포함하고 있는 유도체계(송·수신부를 자체 내에 포함하고 있는 유도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