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용어·지식/한글군사용어

한글 군사용어 해설 (ㄱ)

머린코341(mc341) 2014. 3. 17. 12:32

 

한글 군사용어 해설 (ㄱ)

 

가공정보(架空情報, Notional Intelligence)
적을 기만하기 위하여 조작된 정보자료 또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허위정보자료.
 
가교(架橋, Bridging)
작전행동의 방해를 제거하고 병참선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천, 강, 계곡 등을 횡단 연결시키기 위한 교량을 가설한 것.
 
가능잠수함(可能潛水艦, Possible Submarine)
잠수함의 존재를 나타내는 몇 가지의 정보가 있으나 높은 식별 등급을 부여하기에는 불충분한 수중 접촉물.
 
가동률(稼動率, Available Rate)
1. 생산능력에 대한 실제 생산량의 비율.
2. 설비(設備) 총량에 대하여 실제로 가동되고 있는 설비의 비율.
3.해당 장비의 총 운용시간에 대해서 불가동시간을 제외한 가동시간을 판단하여 백분율로 표시함.
가동률 = 가동시간 × 100(%) / 총 운용시간
 
가동탄약보급소(可動彈藥補給所, Mobile Ammunition Supply Point; MASP)
사단급 부대의 급속한 전진, 이동 또는 탄약보급소(ASP)의 이동으로 보급거리가 신장될 때 피지원부대에 근접하여 신속하고 지속적인 탄약 재보급이 가능하도록 작전지역 군단장 승인 하에 탄약을 차량에 적재한 상태에서 이동식으로 운용하는 탄약보급소.
 
가료(加療, Medical Treatment)
전투 또는 작전임무 수행중 입은 상이(전상)나 임무수행 또는 교육훈련중 입은 상이(공상)에 대하여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부담으로 치료해 주는 것.
 
가매장(假埋葬, Emergency Burial)
통상 전투지역에서 실시되는 매장방법의 하나로서 시체 후송이 허용되지 않는 상황에서 임시로 매장하는 것.
 
가변 시한신관(可變時限信管, Variable Time Fuze)
접근신관의 일종으로 표적에 접근하면 전파의 반사에 의하여 통상 20m 상공에서 자동적으로 발화하는 장치를 가진 신관.
 
가변익항공기(可變翼航空機, Variable Wing Airplane)
날개넓이, 후퇴각, 붙임각 중 어느 것이든지 비행중에 변동시킬 수 있는 비행기.
 
가상돌파구(假想突破口, Assumed Penetration)
상황을 통제할 능력을 보유한 상태에서 방어의 지속성을 유지하면서 적에게 돌파를 허용할 수 있는 최대의 허용범위를 가상한 폭과 종심.

 

가상적(假想敵, Hypothetical Enemy)
전술훈련에 있어서 실전감을 주기 위해서 특수한 편성과 요령으로 적의 행동을 하는 부대.
 
가상적국(假想敵國, Hypothetical Enemy State)
어떠한 국가가 작전계획을 수립할 때 그 계획의 전제가 되고 기준이 되는 적국을 말하며 이러한 가상적국의 상정은 지리적, 역사적 조건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이루어지며 현실적으로 전쟁이 행하여지는 경우가 많음.
 
가상좌표선(假想座標線, Assumed Grid)
실제 지리적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위치를 지시하는 데 사용할 목적으로 지도, 도표 혹은 사진 위에 임의의 눈금을 그려 만든 격자.
 
가설(架設, Wire Construction)
유선선로를 시설하는 것. 시설하는 선로에 의해서 분류하면 경가설과 중가설로 분류되고, 가설방법에 의해 분류하면 가공가설, 지상가설, 수중가설, 매설로 분류됨.
 
가스(Gas)
기체를 총칭하는 말로서 통상 중독 또는 자극 효과를 발생시키는 화학작용제를 지칭함.
 
가스여과기(~濾過器, Filter Unit Gas Parti culate)
오염된 공기로부터 화학작용제 및 방사능 물질을 제거하여 정화된 공기를 대피호에 공급하는 장비로서 가솔린엔진 및 전기모터식 둘 다 가용함.
 
가시거리(可視距離, Visibility Range)
지(수)평선 위로 크고 작은 목표물을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정도의 수평거리.
 
가시선침투(可視線浸透, Terrain Clearance)
비행경로선상의 고지와 고지를 연결하는 선보다 높은 고도로 비행하는 방법으로 통상 해면 고도 이상의 일정 고도로 비행함. 이 침투기술은 통상 목표에 이르는 비행시간을 단축하거나 지형을 횡으로 통과할 때 사용되는 기술로 레이더에 의해 용이하게 탐지되는 단점이 있음.
 
가시수평선(可視水平線, Apparant Horizon)
육지나 바다와 하늘 사이를 눈으로 볼 수 있는 분계선.
 
가용보급률(可用補給率, Available Supply Rate; ASR)
작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일정한 기간 중에 허용된 보급한계량으로서 탄약의 소모율을 말함. 이는 소요량이 충분히 확보되어 통제보급률(CSR)을 적용하지 않을 시 사용되며, 적용기준은 무기에 의해 사격되는 탄약의 소모율은 화기당 1일 발사탄수로 표시됨.

 

가용부대(可用部隊, Troops Available)
작전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지휘관이 운용 가능한 편제 및 비편제상(배속 및 지원)의 전투, 전투지원, 전투근무지원 부대.
 
가용성(可用性, Availability)
1.임무를 수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인원, 장비, 시설의 양.
2.항공기가 임무 가능한 시간비율을 가리키며, 기간에 대한 소수점 혹은 일별시간, 월별일수 등으로 표현됨.
 
가용자원(可用資源, Available Resources)
지역내에 있는 동원자원 중 충원소집 후위동원대상자, 국외 체류자, 수감자, 행방불명자 등을 제외한 실제 충원소집 가능자원.
 
가장(假裝, Disguise)
어떤 시설, 대상 또는 활동의 정체를 바꾸지 않고 다른 것으로 오인시키기 위한 대책으로서 군사적으로 중요한 것을 중요하지 않게 하거나 비군사적으로 보이도록 기만하는 것.
 
가정(假定, Assumption)
지휘관이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그의 상황판단을 완성하고 방책을 결정하는 데 필요한 현행상황에 의한 추측 또는 장차 예기되는 사건에 대한 예상으로서 확실한 증거 없이 사실로 간주하는 것.
 
가조약(假條約, Provisional Treaty)
정식조약이 확정되기 전에 국회 비준과 대통령의 재가를 득하지 않은 임시적인 조약.
 
가좌표(假座標, Arbitrary Grid)
사실상의 지리학적 위치에 관계없이 어느 지점을 표시하기 위하여 지도, 도표 또는 사진과 함께 사용하는 좌표.
 
가청주파수(可聽周波數, Audible Frequency)
사람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진동주파수로 보통 16㎐ 이상 20,000㎐ 이하 주파수를 말함.
 
각개격파(各個擊破, defeat in detail)
1.전투시 적을 전체적으로 파괴하는 것으로서 적이 재차 반격해 올 수 있는 적의 의지와 수단을 격멸하는 것.
2.이미 분단되었거나 이격하여 위치한 적이 상호지원하기 전에 각각의 적을 격파하는 전술행동.
 
각서(覺書, Memorandum)
1.이 문서는 합동부대급 이상의 지휘관이 일상적인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시행일정 및 예정사항 같은 것을 자신의 참모 개개인에게 보내는 비공식 문서로서 통상 한 페이지 정도로 작성됨.
2.일반적인 지시, 일반명령, 문서회람 또는 규정이 부적합할 때 사용하며, 그 종류는 지휘각서, 교육각서, 참모각서로 구분되며, 나아가서 상대국에 대하여 자기 나라의 희망이나 의견 따위를 적은 양식의 외교문서임.
 
간격(間隔, Gap, Interval)
1. 장벽이 설치되지 않은 장벽의 공간지대(gap).
2.공격지대 및 방어지역에 있어서 배치부대간의 공간(gap).
3.인접해 있는 단대(함정)간의 횡적으로 떨어진 공간(거리)으로서 단위는 야드, 마일로 표시함.
 
간균(桿菌, Bacillus)
일명 막대균이라고도 하며, 모양이 막대형 혹은 원통형의 세균. 대장균, 탄저균 등이 여기에 속함.
 
간선(幹線, Trunk Line)
1.교환대와 교환대 간에 연결되어 교환대에 가입된 가입자를 상호 연결(통화)시키는 통신 회선.
2.철도, 도로 따위의 중요한 선, 본선(本線)을 말함.
 
간섭(干涉, Interference)
전자장비에 필요 없는 반응을 유발시키는 전기적 또는 전자기적인 혼란으로 2개 또는 3개의 파동이 서로 영향을 미칠 때 변화하는 현상. 레이더 운용시 부근의 다른 레이더에서 방사된 고주파 신호가 수신되어 방해를 줄 때 이를 간섭이라고 함.
 
간이낙진예측(簡易落塵豫測, Simplified Fal lout Prediction)
핵폭발 제원과 고공 기상제원(풍향, 풍속)을 고려하여 방사능 예상오염지역을 예측하는 것으로서 M5-A1 방사능 간이 낙진 예측척을 사용하여 계산함.
 
간이비행장(簡易飛行場, Rough Surface Airfield)
시설이나 규격에 관계없이 전술적 목적으로 이착륙만 가능하도록 만든 넓은 공지를 이용한 비행장.
 
간이활주로(簡易滑走路, Basic Runway)
보조장비, 때로는 활주로 식별표시도 되어 있지 않으나 중앙표시선, 화살표, 방향 등 시계 비행(VFR)만을 위한 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활주로.
 
간접사격(間接射擊, Indirect Fire)
1. 표적을 직접 조준하지 않고 실시하는 사격.
2.포진지 또는 포반에서 볼 수 없는 목표에 대하여 실시하는 사격.
 
간접전략(間接戰略, Indirect Strategy)
국가전략의 한 형태로서 핵 억제력 또는 정치적 억제력에 의해서 무력행사가 제한되어 있는 경우에 군사력은 제2차적으로 사용하고 주로 정치, 외교, 경제, 심리 등의 비군사적 방법을 사용하여 소기의 정치목표를 달성하려는 국가전략.
 
간접침략(間接侵略, Insurgency)
무력침략이 아니고 침투, 파괴행동 등 간접적인 방법으로 침략하는 것으로서 다른 나라의 내부변혁 또는 침략자를 이롭게 하는 행위로서 내란을 유발하도록 하는 선전, 내란발생 지원, 제오열의 파견, 특정한 정당에 대하여 물적 또는 재산적인 원조, 파괴행위의 장려, 평화적인 분쟁 해결을 거부하는 것.

 

간첩(間諜, Spy Espionage)
적대국가 또는 정치적 집단의 이익을 위하여 비밀 혹은 허위의 구실 하에 정보를 탐지, 수집하는 그 구성원 또는 지령을 받은 자.
 
간첩선(間諜船, Spy Boat)
해상을 통하여 간첩 또는 무장공비를 은밀하게 침투 및 복귀시킬 목적으로 전용되는 선박.
 
감독(監督, Supervision)
예하부대에 의해서 지휘관의 계획 및 명령이 적절한 방법으로 이행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행위.
 
감마선(Gamma Ray)
방사능 붕괴 혹은 핵반응에 의하여 원자핵에서 방출되는 파장이 극히 짧은 전자파. α선, β선에 비하여 투과력이 매우 크나 전리작 용, 사진작용, 형광작용은 이보다 약함.
 
감소인수(減少因數, Attenuation Factor)
보호물질을 통하여 전도되는 방사선량과 또는 입사 방사선량과 흡수량에 대한 비율. 이것은 전도인수에 반비례함.
 
감소편성(減少編成, Reduced Organization)
장기간의 비전투기간 또는 제한된 전투기간 중 완전편성보다 적은 인원과 장비를 활용하여 주어진 기본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계획된 편성이며 완전편성으로부터 적절한 직위 또는 부처, 장비의 감소로 이루어짐.
 
감시 및 정찰작전(監視및偵察作戰, Se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Operation; SRO)
지·해상 감시장치 및 유·무인 항공기와 우주비행체를 이용하여 적의 의도와 능력을 파악하고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는 작전.
 
감시(監視, Surveillance)
1.정보목적상 시각, 청각, 전자, 사진, 기타 다른 수단에 의해 공중, 지표면, 수상, 수중 해역, 인원 또는 물체에 대한 조직적인 관측.
2.행동의 우위를 확보하고 적의 동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취하는 관찰행동.
 
감시구역(監視區域, Surveillance Sector)
위협을 탐지할 수 있는 구역으로서 작전구역의 최외권이며 탐색, 탐지 및 추적이 실시되고 시각탐지도 이용되며, 감시구역의 크기는 탐지장비의 성능 및 작동상태, 조기경보항공기 및 초계함정 사용, 기상 및 전파통제에 따라 변함.
 
감시주파수(監視周波數, Guarded Frequencies)
적으로부터 우군이 도출해 내는 주요한 신호 정보 및 전자전지원 주파수. 감시주파수는 적사용 주파수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것보다는 방해를 하는 것이 작전에 더욱 이득이 크다고 판단된 후에야 방해될 수 있음.

 

감식(監識, Filtering)
대체적인 진짜 항적을 결정하든지 적용이 되면 고도 또는 수심을 결정하기 위하여 항공기, 함선 및 잠수함의 이동에 관하여 보고된 첩보를 해석하는 과정.
 
감응기뢰(感應機雷, Influence Mine)
물리적인 접촉에 의하지 않고 목표물에 의한 감응작용에 의하여 발화장치가 작동되도록 설계된 기뢰로서 감응방법에 따라 자기기뢰, 음향기뢰, 압력기뢰 및 복합기뢰로 분류함.
 
감응방사선(感應放射線, Induced Radiation)
중성자가 어떤 원소(망간, 나트륨, 알루미늄 등)에 결합하게 되면 이 원소는 불안전한 원소로 되어 방사선(α, β)을 방출하게 되며, 이를 감응방사선이라 함. 핵무기가 저공 또는 고공 폭발시에 형성되는 감응방사선은 군사적으로 중요시되며, 표면 또는 표면하 폭발시에 형성되는 감응방사선은 무시됨.
 
감응소해(感應掃海, Influence Sweep)
물리적 접촉에 의하지 않고 적절한 감응계를 형성하여 기뢰의 발화장치를 작동시켜 폭발케 하는 기뢰제거방법으로서 감응수단에 따라 자기소해, 음향소해, 압력소해 및 복합소해로 분류함.
 
감제(瞰制, Domination)
보다 높은 지점으로부터 관측 혹은 사계에 의해서 적의 활동을 통제하는 것.
 
감청(監聽, Monitering)
통신유통 상황에 대한 정상상태의 유지와 통신 개선 또는 참고목적으로 적 및 아군(자체 및 인접부대)의 통신상황을 청취, 검토 및 혹은 기록하는 행위.
 
감퇴-방사선(減退 放射線, Decay Radioactive)
방사능 물질이 시간에 따라 방사능 강도가 약해지는 것.
 
갑종사태(甲種事態, Class Kab Situation)
대규모의 적의 침투·도발로 인한 비상사태로서 통합방위본부장 또는 지역군 사령관의 지휘·통제 하에 통합방위작전을 수행하여야 할 사태를 말함.
 
갑판상 대기태세(甲板上待機態勢, Deck Alert)
출격명령을 받은 특정한 기종별 및 수량의 항공기가 갑판상에서 비행상태에 있기까지 요구되는 시간을 분으로 표시한 항공기 경계태세.
 
강습(强襲, Assault)
특정한 국부적인 목표에 대해 짧고 맹렬하면서 질서 있는 공격을 감행하는 것.

 

강습도하(强襲渡河, River Crossing Assault)
부대가 도섭이 불가능한 하천에서 이용 가능한 수단을 최대한 활용하여 신속하게 도하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수단은 정찰단정, 공격단정, 수륙양용차량, 항공기 급조도하수단, 민간선박, 교량가설단정 등이 있음.
 
강습부대(强襲部隊, Assault Force, Strike Force)
강습에 참가하기 위하여 최초로 적의 거점지역을 탈취할 임무를 부여받은 부대나 또는 습격 또는 돌격 작전을 위하여 적절히 편성된 부대.
 
강제착륙(强制着陸, Forced Landing)
항공기가 기계적 결함이나 전투손상으로 공중에 체공이 불가능하여 지상이나 해상에 착륙하는 것.
 
강조선(强調線, Line of Criticality)
방어작전의 성공을 보장하고 방어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휘관이 강조하는 부대운용의 지침으로서 전방 방어지역에서 적의 돌파를 일련의 지형을 연결한 선으로, 방어편성과 저지진지 구축의 일반적 위치를 협조시키는 수단이며, 확보 및 저지를 위한 통제선이자 역습능력을 고려한 돌파 한계선임.
 
강타(强打, Strike)
1.어떠한 목표에 피해를 가하거나 무력화 또는 확보하기 위하여 집중적으로 가하는 공격.
2. 단일목표에 집중된 공습.
 
강평(講評, Critique)
과오를 지적하며, 성공적인 임무수행과 목적 달성을 위하여 교육, 훈련, 기타 활동에 대하여 그 결과를 평가하고, 군사연습이나 작전을 토의하고 심사하는 것.
 
강하(降下, Jump, Dive)
1.병력이나 화물이 항공기로부터 이탈후 낙하산을 이용하여 지상이나 해상에 내려오는 것.
2.항공기가 고도를 낮추는 것.
 
강하지대(降下地帶, Drop Zone; DZ)
공정부대 장비 및 보급품이 낙하산으로 낙하되거나 장비 및 보급품이 자유낙하로 투하되는 특정지대.
 
강행군(强行軍, Forced March)
시간과 피로가 증가된 행군, 또는 이들 요소가 결합되어 평상시보다 큰 노력이 요구되는 행군.
 
개념(槪念, Concept)
1.개념은 군사전략을 구현하기 위해 비전을 구체화하여 “어떻게 싸울 것인가"에 대해 가장 먼저 의견의 일치를 보는 것으로 미래의 전투발전 소요를 결정하는 데 기준이 됨.
※ 비전과 마찬가지로 개괄적이고 추상적인 성격을 띠고 있음.
2.작전 또는 일련의 임무에 관한 지휘관의 의도 및 가정이 구두 혹은 서술적인 진술로써 표현되는 총괄적인 윤곽.
3.여러 관념 속에서 공통적 요소를 뽑아 종합하여 얻은 하나의 보편적인 관념.

 

개념에 의한 전투발전체계(槪念에 의한 戰鬪發展體系, Concept Based Requirement System; CBRS)
1970년 미 육군교육사(TRADOC)에서 발전시킨 체계로 미래 전장에서 싸우는 개념을 먼저 정립하고 이에 따라 전투발전요소를 발전시키는 체계.
 
개략계획(槪略計劃, Outline, Plan)
최초 세부계획을 수립하기 전에 방책의 특징 또는 원칙적인 사항을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사전계획.
 
개량형 재래식탄약(改良型在來式彈藥, Improved Conventional Munitions; ICM)
2개 이상의 대인, 대물 또는 대기갑 탄약을 포병탄두 또는 탄환에 의해 투발되도록 한 탄약.
 
개별동원(個別動員, Individual Mobilization)
집단동원이나 부대단위동원 개념에 대응하는 것으로 동원지정시 배정지역 내의 소요자원 부족으로 타 지역 자원을 동원지정함으로써 소속 예비군부대와 별도로 동원지정된 소집부대에 개별 입영하는 것.
 
개인공간(個人空間, Man Space)
1명의 인원이 개인장구를 휴대했을 때의 공간 및 중량계수. 통상 인원은 13.5입방피트, 중량은 220~250파운드를 기준으로 함. 이는 차량, 함정 및 수송기의 전투용량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공간 및 중량계수임.
 
개인보호(個人保護, Individual Protection)
화생방 공격으로부터 생존하고 화생방 오염 하에서 전투력 손실을 최대한 줄이면서 작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개인의 보호장비인 방독면, 보호의, 개인제독킷, 치료제 등을 갖추고 그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
 
개인참모(個人參謀, Personal Staff)
지휘관이 직접 조정하고 통제하기를 요망하는 개인적인 업무 또는 특정분야에 관하여 지휘관을 보좌하는 참모로서 통상 감찰참모와 법무참모, 정훈공보참모 등이며, 이러한 참모장교는 부여받은 업무에 관하여 지휘관에게 직접 보고함.
 
개척(開拓, Breach)
적의 방어지뢰지대 또는 요새를 돌파하거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가용한 수단을 사용하는 것.
 
개척소해(開拓掃海, Precursor Sweep)
최소 소해의 선행함정을 보호하기 위하여 헬리콥터로 그 함정의 진로를 개척하는 소해.
 
개편(改編, Reorganization)
어떤 종류의 부대로부터 다른 종류의 부대로 변경하거나 편성 또는 장비표를 새로 발간하거나 개정하여 인원 및 장비를 변경시키는 것.

 

갭필러 레이더(Gap Filler Radar)
주 감시 레이더로 탐색이 어려운 지역을 보완하기 위한 레이더.
 
거부(拒否, Denial)
적에 의한 지역, 인원, 시설과 설비 및 물자의 사용이나 또는 그로부터 얻는 이점을 방지 또는 방해하는 것.
 
거부작전(拒否作戰, Denial Operation)
전술적이거나 전략적인 가치를 갖는 지역 또는 목표를 적이 점령하거나 또는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방해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작전.
 
거부표적(拒否標的, Denial Target)
적의 사용을 거부하거나 파괴시켜야 할 설비, 지역 또는 시설로서 거부표적의 지정은 전략적인 이유로 군단 또는 야전군에서 실시함. 또한 계획의 실행을 위해서 거부표적이 어느 부대 책임지역에 위치하는가를 확실히 해야 함. 거부표적은 발전소, 철로, 유류 저장시설 등이 포함됨.
 
거점(據點, Strong Point)
1.통상 강력히 요새화되어 자동화기로 무장되고 타 진지로부터 보호를 받는 진지 내의 중요지점.
2. 작전의 성공을 위해 점령되는 지형상의 요충지.
 
거점방어(據點防禦, Strong Point Defense)
방어작전의 성공을 위해 지형상 요충지에 통상 대대급제대의 진지를 구축하고 사주방어를 할 수 있도록 편성된 방어.
 
거점지역(據點地域, Lodgement Area)
점령 및 확보함으로써 공중 혹은 해상으로 부대 및 물자의 지속적인 수송을 보장하고 계획된 합동작전에 필요한 기동공간을 제공하는 적 지역 내의 지정된 지역.
 
건설동원(建設動員, Construction Mobilization)
군사작전은 물론, 기타의 전시소요까지도 충족시키기 위하여 건물, 토지, 중기 및 기타 건설장비, 건설업체 등을 사용, 통제, 운영하는 것. 군소요 중기는 사용동원하고, 긴급복구지원에 소요되는 중기는 시·도지사가 통제 운영함.
 
건제부대(建制部隊, Organic Unit)
법령에 의하여 창설된 부대의 기본제대로 편제상 단일지휘관 하에 고정 편성된 부대를 말하며, 건제부대에 대한 지휘, 통제는 교리 또는 규정이 정하는 바에 의함.
 
건조혼합물(乾燥混合物, Dry Mix)
제독제(STB)에 모래나 흙을 2:3의 비율로 혼합하여 지역, 시설 제독시 사용하는 제독제.

 

검색소해(檢索掃海, Check Sweeping)
특정한 소해구역에 대해 소해를 실시한 후 완전소해를 확인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실시하는 소해.
 
게릴라(Guerrilla)
일정한 제복을 착용하지 않고 또한 정규군에 속한다는 것을 명시하지 않고 대적 전투행위를 하는 사람 또는 그 단체, 유격전(Guerrilla Warfare)을 수행하는 주체.
 
게릴라전(~戰, Guerrilla Warfare)
적지역 또는 적이 점령한 지역 내에서 현지 주민들에 의해 생성 발전된 유격작전부대가 적의 전투력과 산업시설 능력 및 적의 사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공개적으로 수행하는 군사적 또는 준군사적 전투작전.
 
격리지역 활동(隔離地域活動, Isolated Area Activities)
비정규 작전지역으로 전개되는 부대가 작전을 준비하기 위하여 격리되어 지역의 활동으로 작전보안을 위해 허가된 인원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통제됨.
 
격리지역(隔離地域, Isolation Area)
허가된 인원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보안이 유지된 지역으로서 특전부대 작전제대는 침투 및 작전에 필요한 준비를 격리지역에서 실시하며 보안목적상 각급 작전제대는 상호 격리함.
 
격멸(擊滅, Destruction)
적의 인원 및 장비를 사살, 파괴 또는 포획하여 적의 전투력을 무력화시키는 공격행동.
 
격자좌표(格子座標, Grid Coordinate)
지도에서 위치를 읽을 수 있도록 표시된 숫자.
 
격자형 통신망(格子型通信網, Mode Communication System)
차기 전술통신체제의 운용방식으로서 작전책임 지역 내에 수개의 지역통신소(노드)를 설치하여 격자형으로 연결하고 지역단위로통신 지원을 제공하는 통신망을 말함. 이는 현 나뭇가지형 지휘제대 통신망의 취약점인 생존성을 보장하고 통신의 융통성을 향상시킨 개선된 통신망임.
 
격퇴(擊退, Repulse)
배치된 적 또는 공세행동중인 적에게 화력이나 공세행동을 가하여 그들의 임무를 포기하고 퇴각하게 하는 공격행동.
 
격파(擊破, Rupture, Defeat)
적의 인원, 장비 및 시설 등에 피해를 주어 적 전투력의 기능을 감소 내지 상실하도록 하여 그의 전투력을 발휘하지 못하도록 하는 공격행동.

 

견부진지(肩部陣地, Shoulder Critical Point)
1.전방 및 측후방을 통제할 수 있고 적의 진출에 있어서 필히 확보되지 않으면 안 되는 요충지.
2.살상지역을 형성할 수 있고 차후작전을 유리하게 하도록 하는 진지.
 
견제(牽制, Contain)
적 부대를 정지, 억제 혹은 포위하거나 적의 행동을 일정한 지역에 집중하도록 하여 타 방향으로 진출하려는 것을 방지시키는 전술적 행동, 즉 적의 이동이나 재배치를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한 압력을 가하는 전술적 행동.
 
견제공격(牽制攻擊, Holding Attack)
적을 현 진지에 고착시키거나 주공을 기만하여, 주공지역에 적의 증원을 방해하고 적의 예비대를 조기에 결정적이 아닌 곳에 투입케 하도록 하기 위하여 조공이 실시하는 공격.
 
견제부대(牽制部隊, Holding Forces)
1. 어떤 장소나 진지를 확보하도록 임무를 부여받은 부대.
2. 견제공격을 실시하는 부대.
 
견착식 화기(肩着式火器, Shoulder Weapon)
어깨에 대고 발사하도록 설계된 화기.
 
결심(決心, Decision)
1.지휘관이 상황을 판단하여 그의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최선의 방책으로서 의도하는 바를 6하 원칙에 의거 명확하고 간결하게 진술하는 것.
2.예비방책을 포함한 모든 문제에 관련된 요소를 고려한 후 얻은 결론.
 
결심지점(決心地點, Decision Point; DP)
지휘관 또는 참모가 특정 아 방책을 수행시에 결심하고자 예상되는 시간과 공간상의 점으로 적을 가장 효과적으로 무력화시키기 위하여 결심을 실시하여야 할 장소. 결심지점(DP)은 통상적 부대활동이나 전장환경과 연관되므로 1개 또는 그 이상의 중요 관심지역(NAI)과 관련됨.
 
결전전쟁(決戰戰爭, Decisive War)
주로 무력으로 승패를 결정하여 적의 저항력과 전쟁의지를 분쇄, 굴복시킴으로써 전쟁목적을 달성하려는 전쟁.
 
결정적 목표(決定的目標, Decisive Objective)
단일목표로서 이를 점령, 통제 또는 확보함으로써 임무완수에 가장 효과적으로 공헌하는 목표.
 
결정적 작전(決定的作戰, Decisive Operations)
부대의 주력을 투입하여 승패를 결정짓는 작전으로, 통상 정보우위가 달성되고 유리한 작전여건이 조성된 상태에서 실시하며, 결정적 작전 시에는 발견되거나 조성된 적의 약점에 전투력을 집중하여 신속·대담하게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경계(警戒, Security)
한 부대가 전투력을 보존하고 부대의 안전 및 행동의 자유를 도모하기 위하여 적의 공격, 기습, 관측 및 기타 위협으로부터 아군 부대를 보호하기 위하여 취하는 모든 수단.
 
경계경보(警戒警報, Security Alert)
적의 지상공격 및 침투가 예상되거나 적의 항공기나 유도탄에 의한 공격이 예상될 때 발령되는 경보.
 
경계공역(警戒空域, Alert Area)
비행장애요소가 많거나 비행활동이 복잡한 지역으로서 이와 같은 공역 내의 비행시에 특별히 경계가 요구되는 공역.
 
경계부대(警戒部隊, Guard Force)
경계를 주임무로 하는 부대로서 본대의 전방, 측방, 후방에서 작전하는 부대.
 
경계분견대(警戒分遣隊, Security Detachment)
적의 기습 및 지상관측으로부터 본대를 방호하거나 이를 엄호하는 부대.
 
경계전대(警戒戰隊, Screening Group)
기동함대가 목표지역으로부터 이동하는 도중 및 목표지역에서 작전하는 도중 방호를 제공하는 함정의 기동편성.
 
경계지뢰지대(警戒地雷地帶, Security Mine Field)
단위부대 혹은 분견초소 등 부대들의 근접방호나 주요시설의 주둔지 경계를 위하여 매설, 운용하는 지뢰지대로서 통상 대대장 이상의 지휘관에게 운용권한이 있음.
 
경계진(警戒陣, Screen)
잠수함, 항공기 또는 수상함의 공격으로부터 주력체 또는 선단을 보호하기 위해 주변에 배치되는 수상함 혹은 항공기의 특정한 배열.
 
경고(警告, Warning)
일상적인 방어수단으로부터 군비의 실질적인 증가, 테러활동 또는 정치적, 군사적 위협 등 잠재하는 적 활동의 넓은 범위에 걸쳐 내재하는 위험의 통지.
 
경고노출(警告露出, Warned Exposed)
핵무기 효과에 대한 아군부대의 안전상태를 말하며, 이 상태는 열 복사선에 대한 보호를 최소한 2겹으로 된 하복을 착용하여 피부를 노출되지 않도록 엎드려 있는 것.

 

경고명령(警告命令, Alert Order)
1.국방부장관이 자기가 승인한 방책에 대해 시행기획의 착수를 지시(필수적인 기획지침 포함)하는 위기조치 기획지시로 합참의장이 발령.
2.필수적인 기획지침을 제공하는 기획지시로 국가통수기구에 방책을 승인한 후 시행기획의 착수를 지시하는 명령.
 
경고방호(警告防護, Warned Protected)
핵무기 효과에 대한 아군부대의 안전을 위하여 경고를 받은 후 장갑차나 급조한 개인호에 대피하여 열복사선으로부터 방호된 상태를 말함.
 
경보(警報, Alert)
1. 행동 또는 방어를 위한 준비태세 신호.
2. 실제 또는 긴박한 위험에 대하여 대비하도록 알리는 것.
 
경보망(警報網, Warning Net)
적의 행동에 대한 정보를 관계부대에 전달할 목적으로 설치된 통신계통, 특히 무전기에 있어서는 주파수를 동일하게 조정하여 어느 한 부대의 경보하달을 전 부대가 동시에 청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
 
경순양함(輕巡洋艦, Light Cruiser; CL)
포(砲)가 전투함의 주무장이었던 시대에(특히 1, 2차 세계대전 이후 유도탄 탑재 이전까지) 주포의 크기에 의하여 순양함을 분류하였으며 주포가 6인치 이하인 순양함을 지칭함.
 
경전투기(輕戰鬪機, Light Fighter)
통상 근접공중전투를 위해 고안된 소형의 전투기.
 
경제동원(經濟動員, Economic Mobilization)
국가비상시에 자원의 최적 활용을 가능토록 하기 위해 국민경제의 구조와 기능의 변혁을 준비하고 이행하는 절차.
 
경제수명(經濟壽命, Economic Life)
장비의 기능에 대한 군의 요구를 가장 경제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지속기간 및 거리를 말하며, 연간평균 시스템 비용이 최소가 되는 지점을 경제수명으로 결정할 수 있음.
 
경제수역(經濟水域, Economic Zone)
연안국 영해의 외측에 접촉하는 일정범위의 수역으로서 연안국이 그 수역의 해중, 해저 및 지하에서 다음의 권리와 관할권을 갖는 수역을 말함(통상 200해리 적용).
1.해중, 해저, 해저지하의 천연자원(생물, 비생물)의 탐사, 개발, 보존, 관리를 위한 주권적 권리.
2.해수, 해류, 바람으로부터의 에너지 생산 등의 경제적 탐사, 개발활동에 관한 주권적 권리.
3. 다음의 사항에 관한 관할권.
가. 인공섬 설비 및 구축물에 관한 설치 및 이용.
나. 해양의 과학적 조사.
다. 해양환경의 보호 및 보전.
4.UN해양법 조약에 규정된 기타의 권리.
여기서는 동 수역에서의 생물자원의 어획가능량의 결정, 생물자원의 탐사, 개발, 보존, 관리를 위한 법령제정 등이 포함됨.
 
경제적 수리한계(經濟的修理限界, Economic Repair Limits)
어떤 장비에 대한 정비 투자비용과 새로운 장비로써 대치하기 위한 가격을 고려해서 어떤 것이 경제적인가를 판정하는 한계점. 즉, 정비투자가 어떤 액수를 초과하면 비경제적이라고 판정되는 한계점.

 

경제정보전(經濟情報戰, Economic Information Warfare)
경제정보에 대한 실시간의 접촉을 방해하고 대량의 경제정보 교환을 하지 못하도록 정보를 봉쇄하는 것.
 
경찰형 작전(警察型作戰, Police Type Operation)
후방지역작전 지하조직을 색출, 파괴하거나 주민 및 물자통제 등 일반적으로 경찰업무에 해당하는 성질의 작전.
 
경포(輕砲, Light Artillery)
구경 120㎜ 및 그 이하의 곡사포 및 평사포.
 
경항공기(輕航空機, Light Aircraft)
최대 이륙중량이 12,500lb(5,670㎏) 미만인 항공기.
 
경호위함(輕護衛艦, Light Frigate; FFL)
CORVETTE급 함정으로 배수톤수가 900톤 이상 1,500톤 이하이며 호위함보다 항속력이 부족하나 대양에서 작전 가능함.
 
계기비행(計器飛行, Instrument Flight)
비행경로와 고도를 전적으로 계기에 의존하며 조종하는 비행방법. 일반적으로 시계비행과 구분되는 비행방법임.
 
계기비행기상조건(計器飛行氣象條件, Instrument Meteorological Condition; IMC)
시정, 구름간의 거리, 운고가 시계비행을 할 수 없는 기상상태로 계기비행 규칙을 적용하여 비행하여야 하는 기상조건.
 
계기착륙장치(計器着陸裝置, Instrument Landing System; ILS)
활주로 주변에 설치되어 항공기 탑재 무선장비와 상호 교신하여, 최적 착륙지점에 도달하는 방향, 활공각 및 거리를 제공하여 항공기가 계기 착륙할 수 있도록 고안된 통신전자 무선항법장치.
 
계략(計略, Ruse)
기만작전의 한 방법으로 아군의 허위첩보를 고의적으로 적에게 전달하여 적을 기만하는 방법으로 전장에서 단순한 전술적인 속임수에서부터 전략적 제대의 속임수까지 포함될 수 있음.
 
계류(繫留, Mooring)
함선을 부두, 방파제 또는 부표에 매어 정지시키는 것.

 

계류기뢰(繫留機雷, Moored Mine)
부력을 가진 기뢰 몸통을 닻에 부착한 계류색에 의하여 미리 정한 수심에 위치하도록 설계된 기뢰로서 접촉 혹은 감응 발화장치에 의해 폭발하도록 고안된 기뢰.
 
계엄령(戒嚴令, Martial Law)
전시, 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시에 병력으로써 군사상의 필요에 대응하거나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 국가 최고통수권자인 대통령이 헌법을 근거로 제정된 계엄법에 따라 발동하는 국가 긴급명령의 일종.
 
계절변동(季節變動, Seasonal Variation)
전자파 전파에 대한 공간조건이 각 계절에 따라 달라짐으로써 수신상태가 변화하는 것을 말함. 예를 들면 동일주파수의 전파에 있어서 겨울밤은 가장 먼 거리에 이를 수 있고 여름 낮은 가장 짧은 거리 내에 이르지 못한다거나 또는 도약거리가 겨울은 여름보다 크다는 것 등의 현상은 모두 계절변동임.
 
계측 및 기호정보(計測및記號情報, Measure And Signature Intelligence; MASINT)
레이더, 레이저, 전자광학, 방사파탐지기, 진동 및 음향감지 등 여러 가지 감지기를 사용하여 목표를 계측하고 목표에서 발생되는 고유의 신호형태(기호)를 식별하여 적을 감지하는 정보로서 지상감시레이더(RASIT)와 열상장비(TOD)를 복합 운용하여 수집된 정보.
 
계획(計劃, Plan)
1.부여받았거나 예상된 임무(과업)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또는 복안.
2.확정된 목표를 완수하기 위해 가용한 인적 및 물적 자원을 단계적으로 배분한 세부명세서.
 
계획, 결심, 시행주기(計劃, 決心, 施行週期, Planning, Decision and Execution Cycle)
상하급 부대간 계획, 결심, 시행 주기의 연계성을 유지 및 예하 부대 계획수립 시간을 보장하여 현행 및 장차 작전을 연계한 전투력 통합이 가능한 절차.
 
계획각서(計劃覺書, Planning Memorandum)
정식계획에 앞서 예하 지휘관들이 자신의 계획에 영향을 미칠 모든 이용 가능한 세부사항을 공유하기 위하여 지휘관이 하달하는 단편적인 첩보 및 지시를 포함하는 문서.
 
계획사격(計劃射擊, Scheduled Fire)
특정시간 또는 특정표적에 대하여 사격제원, 방법 등이 사전에 준비된 사격.
 
계획수립(計劃樹立, Planning)
부여되었거나 또는 예상된 장차 임무를 완수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계속적인 준비과정으로서 계획작성과 동의어임.
 
계획요약(計劃要約, Plan Summary)
임무에 대한 간략한 묘사로서 일반적 상황, 작전개념, 소요되는 주요부대들, 부대배치, 지휘관의 군수능력평가 등을 묘사하는 작전계획의 필수적인 부분임.

 

계획지시(計劃指示, Planning directive)
승인된 방책과 추가적인 계획지침을 하달하기 위한 지시로서 계획수립 과정에서 협조해야 할 사항, 절차, 중요사항 등을 제시하며, 과업 부여자가 하달함
 
계획지침(計劃指針, Planning Guidance)
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참모들의 노력을 통합시키고 시간을 절약하는 등 계획발전 방향을 효과적으로 정립하는 데 필요한 지휘관 지침.
 
계획체계(計劃體系, Plan System)
기획체계에서 설정된 국방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수립된 중장기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소요재원 및 획득 가능한 재원을 예측판단하고 연도별, 사업별로 추진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해 가는 과정.
 
계획통신침투(計劃通信浸透, Planned Message Intrusion)
전자전 요원이 적 통신망에 개입해서 적을 기만하기 위해 제작된 첩보를 포함한 평이한 통신문을 보내는 모방통신기만(ICD)방법. 적 통신문을 분석하여 얻은 첩보는 적 통신망에 개입하여 기만통신을 보내는 데 필요한 모방적인 운용 및 통신지시를 고안하는 데 사용함.
 
계획표적(計劃標的, Planned Target)
사전에 표적에 사격을 실시하려고 계획한 표적으로 계획표적을 계획하는 목적은 부대 임무수행에 방해를 줄 표적에 정확하고 적시적인 사격을 실시하는 데 있음. 이는 예정표적과 요청표적으로 구분됨.
 
고가치 표적(High Value Target)
적 지휘관이 성공적인 임무수행을 위해 필요로 하는 자산(부대, 시설, 장비 등)
 
고공강하(高空降下, High Altitude Low Opening; HALO)
낙하산에 의한 공중침투의 한 방법으로서 2, 500피트 이상의 고도에서 자유낙하하여 강하자 자신이 낙하산을 개방하거나 기계적 장비에 의하여 낙하산을 개방하는 특수기술로서 요망지역 침투를 목표로 함.
 
고공폭격(高空爆擊, High Altitude Bombing)
15,000피트 이상의 고도를 유지하면서 실시하는 폭격.
 
고공폭발(高空爆發, High Air Burst)
화구의 최대반경(150m 이상) 이상의 고도로 지면 혹은 수면 상공에서 이루어지는 폭발로서 비교적 높은 공중에서 폭발하는 형태, 목조건물과 같은 견고치 않은 지상표적에 최대의 피해를 주기 위한 특수한 경우와 지상원점 부근의 감응방사선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데 사용됨.
 
고립방어(孤立防禦, Isolated Defense)
적에 의하여 고립된 부대가 아군부대와의 연결이 불가능할 때 연결될 때까지 또는 중요지형을 계속 확보하여 차후작전에 유리한 발판을 제공하기 위하여 특정지역에서 전면방어 개념 하에 취해지는 방어작전.

 

고밀도공역통제구역(高密度空域統制區域, High Density Airspace Control Zone)
공역통제권자가 지정한 공역으로 다양한 다수의 무기가 밀집되어 운용되는 공역.
 
고속접근로(高速接近路, High Speed Approach)
고도의 기동성을 보유한 부대(기갑, 기계화, 차량화 등)가 목표(목적지)에 이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동공간과 양호한 도로망이 있는 접근로.
 
고속정(高速艇, Patrol Killer Medium; PKM)
주로 연안 경비임무를 수행하는 함정으로 배수톤수가 400톤 이하이며 속력이 24KTS 이상임.
 
고속침투(高速浸透, High Speed Infiltration)
북괴의 비정규전 부대가 아 방어선을 은밀 또는 강습 침투하여 아군의 기동장비를 탈취, 신속하게 중요지역으로 진입후 교란 및 파괴행위를 자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침투형태.
 
고속투하(高速投下, High Velocity Drop)
항공기에서 낙하산을 이용하여 낙하속도가 매초당 저속투하(30 feet/sec 이하 속도)보다 빠르고 자유투하(낙하산 없이 하는 투하)보다 느리게 투하하는 과정.
 
고수방어(固守防禦, Defense in Place)
강력한 방어 편성과 결전의 의지를 기초로 방어지역의 상실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적의 공격을 저지 격멸하기 위한 방어작전의 개념.
 
고엽작전(枯葉作戰, Defoliation Operation)
수목이 우거진 지역에서 적의 은신처를 제거하기 위하여 고엽제를 사용하여 수목을 고사시키는 작전으로 낙엽작전이라고도 함.
 
고정사격(固定射擊, Fixed Fire)
적의 주요 접근로에 사격방향을 고정시키고 집중사격하는 것.
 
고정식 탄약(固定式彈藥, Fixed Ammunition)
1.탄환, 탄피, 장약이 완전히 결합되어 있는 탄약.
2.포탄형 탄약에 속하며 사출탄, 뇌관, 장약이 한 약식에 들어 있는 탄약.
 
고정익 항공기(固定翼航空機, Fixed Wing Aircraft)
1.동체에 날개가 고정되어 있는 항공기, 회전익 항공기를 제외한 전 항공기.
2.모든 비행상태에서 고정된 익면을 갖고 그 익면에서 발생하는 양력으로 비행하는 항공기.

 

고정포(固定砲, Fixed Artillery)
중요지역의 방호를 위하여 고정된 위치에서 사격할 수 있도록 준비된 포병화기.
 
고정표적(固定標的, Fixed Target)
움직이지 않는 표적, 즉 교량이나 기타 시설 등.
 
고조(高潮, High Water(Tide))
한 태음일(太陰日) 중 두 번 있으며, 수면이 상승조수에 의해서 최고도에 달할 때의 조석 또는 만조라고도 함.
 
고착(固着, Fix Lock on)
1.적이 한 지역에서 부대의 어느 부분을 타 지역에 사용할 목적으로 전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
2.표적추적장치가 표적을 거리, 방위 및 고도상으로 계속 또는 자동적으로 추적하는 것.
 
고착견제(固着牽制, Fixed Holding)
적의 이동이나 전환배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부대를 정지, 억제 혹은 포위하거나 적의 행동을 일정한 지역에 집중하도록 하는 전술적 행동.
 
고착부대(固着部隊, Fixing Force)
기동방어시 조기경고, 방어, 지연, 적 기만 및 와해, 그리고 지연진지를 점령함으로써 적의 병력을 집결시켜 적으로 하여금 아군 역습에 취약하게 하기 위하여 전방 방어지역에서 운용되는 비교적 경장비화된 부대.
 
곡사포(曲射砲, Howitzer)
평사포와 박격포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대포이며, 저사계 및 고사계 사격을 할 수 있음.
 
공·지 합동작전(空地合同作戰, Air Ground Joint Operations)
합동작전에 참가하는 군에 따라 분류되는 작전의 한 형태로서 지상군과 공군이 합동으로 적을 격멸하는 작전을 말하며, 통상 근접 항공지원, 감시 및 정찰, 공수, 전자전, 합동공중공격반 운용 등으로 이루어짐.
 
공·지·해 합동작전(空地海合同作戰, Air-Ground-Sea Joint Operations)
합동작전에 참가하는 군에 따라 분류되는 작전의 한 형태로서, 지상군, 해군, 공군이 합동으로 가용한 수단과 방법을 사용하여 적을 저지, 격멸하는 작전을 말하며, 통상 합동상륙작전, 합동방공작전 등에서 이루어짐.
 
공·해 합동작전(空·海合同作戰, Air Sea Joint Operation)
합동작전에 참가하는 군에 따라 분류되는 작전의 한 형태로서, 공군과 해군이 합동으로 적을 격멸하는 작전을 말하며, 통상 해상에서 근접항공지원, 감시 및 정찰, 공수 지원 등으로 이루어짐.

 

공간파(空間波, Sky Wave)
우주공간을 향해 나아가는 전파로서 전리층에서 반사에 의해 지상으로 되돌아오기도 하고 전리층을 통과하기도 함.
 
공개작전(公開作戰, Over Action)
작전을 은폐하지 않고 공개적으로 수행하는 작전.
 
공격 기뢰부설(攻擊機雷敷設, Offensive Mining)
적이 장악하고 있는 해역에 대하여 실시하는 기뢰부설.
 
공격(攻擊, Attack)
정지하고 있거나, 아군측으로 이동해 오는 적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주도권을 행사하여 진격하는 공세행동.
 
공격개시선(攻擊開始線, Line of Departure)
1.돌격주정 제1파가 예정시간에 지정된 해안에 상륙할 수 있도록 해상에 적절히 표시한 조정선으로 대략 상륙해안과 평행되게 해상에 지정되는 선이며 이 선을 연해 계속되는 주파가 해안으로 최종적인 이동을 위해 전개하는 곳임.
2.공격 또는 정찰부대가 공격방향과 시간을 협조하고, 공격임무를 수행할 위치를 지정한 선.
 
공격개시시간(攻擊開始時間, H-Hour, Time of Attack)
1.공격이 개시되는 시간으로서 만일 공격개시선이 지정되었다면 공격부대의 선두가 공격 개시선을 통과하는 시간.
2.어떤 작전이 개시되기 전 그 실시시간을 표시하기 위하여 H 시를 사용함.
 
공격개시일(攻擊開始日, D-Day)
특정작전을 개시하는 일자 또는 예정일자.
 
공격기뢰 대항책(攻擊機雷對抗策, Offensive Mine Countermeasures)
우군이 도착하기 전에 또는 진형의 선두에 소해경계진을 편성하여 적이 저항 또는 제압하고 있는 해역에서 수행하는 기뢰대항전.
 
공격기뢰원(攻擊機雷源, Offensive Minefield)
적이 장악하고 있는 해역의 일부 또는 전 해역에 부설한 기뢰원.
 
공격기세(攻擊氣勢, Momentum of Attack)
공격을 하고 있는 부대의 여세와 화력이 촉진된 상태.

 

공격단정(攻擊短艇, Assault Boat)
넓은 하천을 도하시 인원수송을 위하여 고안된 가볍고 빠른 소단정.
 
공격대기지점(攻擊待機地點, Attack Position)
1.공격제대가 공격개시선을 통과하기 전에 점령하는 최종위치로 공격개시선 직후방의 은폐, 엄폐된 지역에 위치함.
2.도하작전시 공격단정을 운반하는 공병이 보병과 만나는 지점.
 
공격대형(攻擊隊形, Attack Formation)
공격을 취하기 위한 부대의 전개대형.
 
공격방향 화살표(攻擊方向~, Direction of Attack)
주공 또는 주력부대가 따라야 할 특정방향 또는 통로로서 통상 대대 및 그 이하제대에서 사용함. 공격방향은 전진축보다도 더 제한을 하는 통제방책으로서 부대는 부여된 통로를 이탈할 수 없음.
 
공격작전 형태(攻擊作戰形態, Types of Offensive Operations)
상황에 따라 공격작전이 실시되는 양상으로서 신속한 수행을 위하여 모든 수단을 충분히 활용해야 함. 이러한 형태에는 접적전진, 협조된 공격, 전과확대, 추격으로 구분되며, 이는 단계별로 전개될 수도 부분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음.
 
공격작전(攻擊作戰, Offensive Operations)
적의 전투의지를 파괴하기 위하여 가용한 수단과 방법을 사용하여 전투를 적 방향으로 이끌어 나가는 작전을 말하며 궁극적인 목적은 적의 전투의지를 파괴하는 데 있음. 부가적으로 중요지형의 확보, 유리한 상황조성, 적 고착 및 교란, 적 자원의 탈취 및 파괴, 적 기만 및 주의전환, 첩보획득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됨.
 
공격전대(攻擊戰隊, Attack Group)
상륙기동부대가 1개 이상의 상륙지역에서 작전시 구성되는 기동편성체로서 상륙전대의 수송, 보조상륙 및 초기지원을 위하여 돌격수송함정과 해군지원부대로 구성됨.
 
공격준비사격(攻擊準備射擊, Preparation Fire)
공격제대의 공격을 지원하기 위하여 적의 진지, 물자, 화력지원수단, 통신 및 지휘소, 관측소를 파괴, 요란 및 제압하기 위하여 실시되는 사격으로서 지상화기, 공중폭격 또는 함포에 의한 맹렬한 사격으로 시간계획에 의거 사격이 실시되는 강력한 예정사격임.
 
공격준비파괴사격(攻擊準備破壞射擊, Counter Preparation Fire)
적의 공격이 임박했음이 발견되었을 때 실시하는 강력한 예정사격으로서 이는 적의 공격대형을 파괴하고, 지휘, 통제, 통신 및 관측체제를 와해시키며 적의 공격준비사격의 효과를 감소시키고 적의 공격의지를 저하시키기 위하여 실시하는 사격임.
 
공격지대(攻擊地帶, Zone of Attack)
공격작전시 전술부대에 지역책임을 부여하기 위하여 전투지경선에 의해서 전술적으로 재분할된 지역.

 

공격축선(攻擊軸線, Axis of Attack)
1. 공격작전의 주력이 지향되는 일련의 선.
2.공격부대가 사용해야 할 공간을 한정하고 방향을 명시하는 통제방법.
 
공격항모강습부대(攻擊航母强襲部隊, Attack Carrier Striking Forces)
함재기를 주공격 무기로 하는 해군부대. 일차적으로 적 잠수함 및
공중위협에 대비하며 이차적으로 적 해상공격에 대비하여 항공모함을 지원하며 경계진을 구성함.
 
공격헬기(攻擊~機, Attack Helicopter)
공중으로부터의 화력사용을 주임무로 수행하는 헬기로 500MD TOW, AH 1J/S, AH 64 등이 포함됨.
 
공군기지 작전성(空軍基地作戰性, Airbase Operability)
1.적의 공격을 방어하고 생존하며 피해를 복구하여 공군력의 효과적인 전시운용을 지원할 수 있는 시설(장치)들의 종합적 능력. 공군기지 작전성은 전쟁을 수행하는 지속적 작전능력을 제공함.
2.적의 공격으로부터 생존하고 전투출격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
3.계속적인 공격을 방어하고 공군기지를 복구시키는 능력. 기지유지를 위한 기본적 소요에는 폭발무장의 배치, 손실대응, 재난대비, 소방활동, 활주로 수리 등이 포함.
 
공군력(空軍力, Air Force Power)
공군이 지상·해상, 공중 및 우주공간에서 군사작전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군사력으로서 인력, 무기체계, 기지로 구성되며, 이에는 유·무형의 모든 요소가 포함됨.
 
공군비행로(空軍飛行路, Air Force Route)
고정익 항공기가 전투지대 상공을 통과시 항공기의 안전을 위하여 협조고도 이상에 설치되는 비행로이며 진입회랑과 귀환회랑으로 구분함.
 
공군연락장교(空軍連絡將校, Air Liaison Officer; ALO)
전술항공통제반의 선임공군장교로서 공수, 항공정찰, 근접항공지원 등 공군의 운용에 관하여 지상군 지휘관에게 조언하며, 공지합동작전에서 공군의 협조에 중점을 두고 지상군의 항공지원계획수립을 보좌하며, 전술항공통제반 요원의 활동을 감독하고 예하 전술항공통제반에 대한 책임을 짐.
 
공기부양 상륙정(空氣浮揚上陸艇, Landing Craft Air Cushion; LCAC)
상륙작전간 함안이동단계에서 상륙군의 병력, 장비 및 보급품을 고속으로 원해에서 기습적으로 수송하는 상륙정. 조류, 수심, 수중장애물, 해안 경사도에 관계없이 작전 가능함.
 
공대공 유도탄(空對空誘導彈, Air To Air Missile; AAM)
비행중인 항공기에서 공중표적에 대하여 사격하는 유도탄.
 
공대공 전투대형(空對空戰鬪隊形, Fighting Wing Formation)
최대성능 기동상황에서 요격기에 대해 최적의 엄호를 제공하고 기동력을 유지토록 하는 전투대형.

 

공대지 유도탄(空對地誘導彈, Air To Surface Missile; ASM)
비행중인 항공기에서 지상표적에 대하여 사격하는 유도탄.
 
공동생산(共同生産, Coproduction)
기술도입생산의 한 형태로서 외국과의 기술도입 생산계약에 의거 양국이 해당 품목을 일정 비율로 나누어 생산후 이를 결합, 완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말함.
 
공두보(空頭堡, Airhead)
적의 영토 또는 적의 위협하의 영토 내에 선정된 지역으로 이를 탈취 및 확보함으로써 부대와 물자의 계속적인 공중수송(투하 또는 착륙)을 보장하고 작전에 필요한 기동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통상 공중강습단계나 공중기동작전에 의해 확보되는 지역임.
 
공명폭발(共鳴爆發, Syspathetic Detonation)
어떤 폭발물이 터지면 다른 폭발물이 폭발진동에 따라서 터지는 폭발현상.
 
공비(共匪, Communist Guerrilla)
유격전을 목적으로 공산당의 지령을 받아 조직된 무장폭도.
 
공산오차(公算誤差, Probable Error)
탄착 중심으로부터 형성되는 사탄산포지역의 측정값으로서 포탄이 100% 떨어질 수 있는 최소거리. 거리상의 산포범위를 사거리공산오차라고 하며, 방향상의 산포범위를 편각공산오차라고 함.
 
공세(攻勢, Offensive)
1.주도권을 행사해서 적을 격파하는 적극적인 대규모 공격행동의 통칭.
2. 부대가 공격을 하고 있는 상태.
 
공세보장선(攻勢保障線, Offensive Guarantee Line)
전략적 수세로부터 공세로 전환하기 위하여 필히 확보해야 할 일련의 방어선으로서 전략적 완충공간 내에 설정되며, 공세이전에 유리한 여건을 제공해 주는 중요지역을 연결한 선.
 
공세이전(攻勢移轉, Counter Offensive)
적의 공격을 무력화시키고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하여 방어로부터적극적이고 대규모적인 공세행동으로 전환하는 것으로서 반격과 동의어임.
 
공세작전(攻勢作戰, Offensive Operations)
접적 초기단계에 필승의 신념과 적극적인 전투의지로 방어와 동시에 즉각적인 공세행동으로 적의 공격기세를 박탈하여 전장 주도권을 장악하는 작전.

 

공세적 근접항공지원(攻勢的近接航空支援, PUSH CAS)
지상군을 최대로 지원하기 위해 배당된 근접항공지원 자산을 재출격률에 의거 신속히 출동후 공중대기시키면서 지상군이 요구하는 시간/지점에 투입하고 잔여자산은 예비표적 또는 킬박스(kill box)로 임무전환시키는 등의 적극적이고 공세적인 근접항공지원 형태.
 
공세적 방어(攻勢的防禦, Offensive Defense)
먼저 적의 공격을 받아들여 방어의 이점을 최대로 이용하면서 적의 약점과 호기를 포착하여 적극적인 공세행동으로 적을 약화 또는 격멸하여 주도권을 장악하고 공세전환의 여건을 조성하는 데 목적을 둔 적극적인 방어작전. 이는 다음의 공격을 위하여 공격과 방어의 이점을 조화시킨 적극적인 정신의 방어개념임.
 
공세적 방위전략(攻勢的防衛戰略, Offensive Defense Strategy)
공세적 작전으로 전략목표를 추구함을 기초로 하되 상대방의 선제공격을 전제로 전략적 수세를 취하다가 즉시 공세로 이전하는 수세, 공세전략.
 
공세적 후방지역작전(攻勢的後方地域作戰, Offensive Rear Area Operations)
적 특수작전부대의 세포분열식 연속타격에 대비하여 군, 관, 민 제 작전요소를 통합하고, 적을 먼저 찾아 아 중심에 접근하기 이전에 적극적으로 공세 격멸함으로써 아군의 전쟁지속능력을 보장하고, 후방지역의 안전을 확보하는 작전을 말함.
 
공세제공작전(攻勢制空作戰, Offensive Counter Air Operation; OCAO)
공중우세를 확보하기 위하여 적 지역에 대해 항공력을 운용하여 작전을 수행하는 것으로 지대지 유도무기, 특수전 부대 등을 포함한 종심타격력과 결합하여 운용함으로써 타격효과를 높일 수 있음. 공세제공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적의 조기경보 및 지휘통제체제, 공군력 등을 공격하여 적의 공중공간 통제 및 사용능력을 무력화하여야 함.
 
공세항공지원(攻勢航空支援, Offensive Air Support)
적 지상군 표적에 대하여 직접적인 공격을 가하는 것으로 근접항공지원, 항공차단작전 등이 있음.
 
공수(空輸, Airlift)
공중수단을 이용하여 병력, 장비 및 물자를 이동하는 것.
 
공수배정위원회(空輸配定委員會, Air Transport Allocations Board)
전구 내에서 공수우선순위의 설정과 그 지역에 할당된 이용 가능한 공수역량 배정 등을 책임지는 합동기구.
 
공수작전(空輸作戰, Airlift Operation)
공중수단을 통하여 필요한 시간과 장소에 군사력을 이동시키고 분쟁지역으로부터 안전지역으로 철수시키는 작전으로 병참공수, 공정, 항공의무후송, 특수항공전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것.
 
공수지원작전(空輸支援作戰, Airlift Support Operations)
공중수송 수단을 이용하여 필요한 시간과 장소에 인원, 장비, 물자를 이동시키는 작전.

 

공수착륙(空輸着陸, Air Land)
병력과 물자를 공중으로 이동하여 항공기가 목적지에 착륙한 후 또는 회전익 항공기가 정지비행을 하는 동안 병력 및 물자를 내려놓는 것.
 
공수취급소(空輸取扱所, Air Terminal)
수송기 및 헬기로 공수하는 인원, 화물 및 우편물을 탑재, 하역, 보관하며 공수에 따르는 공수통제문서처리, 연락업무를 담당하는 부서.
 
공수통제본부(空輸統制本部, Airlift Control Center; ALCC)
전구항공통제본부 내의 공수관계 전담부서이며 공수통제기구의 핵심부로서 모든 공수작전에 관한 임무를 접수하고 계획, 지시 및 통제하는 중추적 기구.
 
공습경보(空襲警報, Air Raid Warning; ARW)
적의 항공기, 유도탄, 지상전력에 의한 공격이 절박하거나 진행중일 때 발령되는 경보. 사전에 방어비상이 선포되지 않았거나 DEFCON-Ⅰ 상태에서 공습경보가 발령되지 않았을 시에는 방어비상의 선포가 요구됨.
 
공역(空域, Airspace)
육상 또는 해면을 포함하는 지표상에 구역과 고도로 표시되는 공중영역으로서 대개는 각 공역의 성격과 특성에 따라 선행어가 달라지며, 종류도 매우 다양함.
 
공역관리(空域管理, Airspace Management)
제한된 국가자원으로서의 공역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제반 활동의 총칭으로서 영공 방위, 공역사용 규칙이나 기준의 제정, 항공기 운항관리, 비행정보관리, 항행시설의 설치, 조난 항공기 탐색구조활동 등을 포함함.
 
공역관리반(空域管理班, Airspace Management Element)
군단 및 사단 전술작전본부 내의 한 부서로서 공역통제기능을 수행하는 기구.
 
공역통제(空域統制, Airspace Control)
전투지대에서 아군 항공기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화력을 지속적으로 운용하기 위하여 공역 사용을 협조, 통합, 조정 및 규제하는 것으로 이러한 공역통제는 제한된 공역에서 작전활동의 융통성을 주기 위해 실시함.
 
공역통제권자(空域統制權者, Airspace Control Authority)
공역통제구역 내에서 공역통제체제의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책임을 맡도록 지정된 지휘관(연합사령관은 공군 구성군사령관을 한국작전구역 공역통제권자로 임명하였음).
 
공역통제명령(空域統制命令, Airspace Control Order)
통합임무명령서(ITO)의 일부로서 공역통제권자가 공역통제 정보와 절차를 전파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승인된 모든 공역요구의 세부사항을 수록함.

 

공역통제소(空域統制所, Airspace Control Center; ASCC)
전구항공통제본부(TACC) 내의 통제기구(공역과, 전투협조반, 해군파견대, MCRC 등)로 작전지역 공역사용에 대한 조정, 통제, 협조 등의 책임이 있음.
 
공역통제수단(空域統制手段, Airspace Control Measures)
한정된 구역의 공역사용을 통제하는 공역통제계획에 의하여 규정되는 규칙, 원칙 및 지시(예:저고도 통행경로, 고밀도 공역통제구역, 항공기 확인지점, 육군항공기 표준비행로).
 
공역통제요청서(空域統制要請書, Airspace Control Request)
공역통제방책의 요청시 사용되는 문서로서 세부 공역소요를 공역통제권자에게 제출하며, 승인시는 공역통제 명령으로 전파됨.
 
공역협조지역(空域協調地域, Airspace Coordination Area; ACA)
우군기의 안전과 우군에게 지상 및 함포 지원을 계속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지역.
 
공용화기(共用火器, Crew Served Weapon)
2명 이상의 인원이 1조로 조작하는 화기로 부대의 화력지원을 위해 사용됨.
 
공익근무요원(公益勤務要員, Public Good Service Member)
국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공익목적을 위해 경비, 감시, 보호, 행정업무, 국제협력, 예술, 체육 등에 소집되어 복무하는 자.
 
공작원(工作員, Agent)
정보 또는 방첩목적으로 첩보자료를 수집하거나 이를 도와 주도록 인가되거나 교육받은 인원.
 
공정부대(空挺部隊, Airborne Force)
공수착륙이나 공중투하로써 전투지대에 투입되어 전투작전을 수행할 목적으로 편성 및 장비되고 훈련된 부대로서 지상군과 공군으로 구성됨.
 
공정작전(空挺作戰, Airborne Operation)
전략적 또는 작전적 임무수행을 위하여 전투부대와 장비를 수송항공기에 의하여 목표지역으로 이동시켜서 공두보를 확보한 후 제한 지상작전을 실시하는 작전. 통상 임무, 지휘, 규모, 항공기의 형태 및 용도, 근무지원에 의해서 공중기동 작전과는 구분될 수 있음.
 
공정통제반(空挺統制班, Combat Control Team; CCT)
공정작전을 지원하기 위하여 작전지역에 투입되어 항공기의 유도통제와 통신시설 유지 및 필요한 정보수집 전파와 제한된 기상관측 임무를 수행하는 공군의 요원과 장비.

 

공제선(空際線, Sky Line)
하늘과 지형이 맞닿아 경계를 이루는 선으로 이는 통상 산이나 능선과 같이 비교적 높은 지대의 정상점의 연속선으로 이곳에 서 있는 인원이나 기타 장비 등은 육안으로 쉽게 발견되므로 군사적으로 중요시됨.
 
공중 재급유(空中再給油, Air Refueling)
비행중인 전투기 및 전투지원기를 재급유해 주는 것으로, 이것은 항공기 사용률을 확대하고, 항속거리를 증가시켜 잠재적 위협지역 의 우회를 가능케 함.
 
공중 재보급(空中再補給, Air Resupply)
적 후방지역에 침투한 특전부대의 장비 및 보급품 손실을 보충하여 주며 작전수행에 필요한 긴요품목의 보급수준을 유지하기 위하여 공중을 통하여 제공해 주는 것으로서 기계획 재보급과 요청 재보급으로 구분.
 
공중 전방항공통제관(空中前方航空統制官, Airborne Forward Air Controller; AFAC)
근접항공지원작전을 협조하고 통제하기 위하여 비전술전투기로 작전하며, 기능은 전방항공통제관과 유사하고 임무수행중 관계부서와 긴밀한 협조를 유지함.
 
공중감시(空中監視, Air Surveillance)
전자, 시각 또는 기타의 방법에 의하여 공간을 조직적으로 관측하는 것으로서 주로 관측 공간 내의 피아 항공기 및 미사일의 이동을 확인하며 식별함.
 
공중감시통제(空中監視統制, Air Surveillance Control)
항공기가 비행회랑 및 접근로 이내에 머물도록 확인하고 어떤 특정의 공간에서 벗어나도록 확인하는 데 필요한 통제로서 이 항공기와 유도탄과 같은 기타 무기와의 협동운용을 기하기 위하여 실시함.
 
공중강타(空中强打, Air Strike)
공군의 제공작전, 항공차단작전, 근접항공지원작전의 기본적인 임무수행 형태로서 적의 전술적, 작전적, 전략적 목표에 대하여 중무장한 공격기 또는 전폭기에 의하여 공격하는 전투행위.
 
공중경보 통제체계(空中警報統制體系, Airborne Warning And Control System; AWACS)
항공기에 탑재레이더 및 각종 통신장비, 항법 보조장치, 전자계산기 등을 탑재하고 필요한 관계요원이 탑승하여 공중감시 및 조기경보, 방공관제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체계 또는 항공기.
 
공중공간거부(空中空間拒否, Airspace Denial)
특정 공역(통상 우군 상공)에 진입하는 적 항공기를 격퇴하기 위해 전투기 및 대공무기에 의해 수행되는 군사임무.
 
공중급유작전(空中給油作戰, Air Refueling Operation; ARO)
비행중인 항공기에 연료를 공급하여 항공기의 체공시간을 연장함으로써 공군력의 제한성을 보완하는 작전으로 공군력의 융통성을 극대화하고, 신속대응능력 향상, 작전지속시간 연장, 작전영역 확대 및 무장탑재능력을 향상시킴.

 

공중기동 특수임무부대(空中機動特殊任務部隊, Airmobile Task Force)
육군 항공기와 지상군부대를 특수작전을 수행할 목적으로 단일 지휘관 예하에 조직된 부대.
 
공중기동강습(空中機動强襲, Airmobile Assault)
접근 및 착륙시 적의 저항이 있는 곳에 대하여 그 목표를 확보할 목적으로 회전익 항공기에 의하여 실시하는 강습작전.
 
공중기동습격(空中機動襲擊, Airmobile Raid)
신속하게 제한된 목표를 탈취하거나 파괴 또는 적을 생포 및 격멸하는 것으로서 임무수행 후 철수를 실시하는 단기간의 공중기동작전. 즉 hit and run식 기습작전의 개념임.
 
공중기동작전(空中機動作戰, Air Mobile Operation; AMO)
지상전투에 참가하기 위하여 지상군부대 지휘관의 통제 하에 전투부대와 그들의 장비를 항공기로써 전투지대로 이동하여 실시하는 작전으로서 탑재단계, 공중이동단계, 착륙단계, 지상작전단계의 4단계로 실시함.
 
공중기동지원대(空中機動支援隊, Airmobile Support Party)
착륙지대에서 강습착륙과 착륙지대에 있는 예하부대의 잠정적 군수지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편성된 육군의 특수임무 편성부대.
 
공중대기(空中待機, Air Alert)
즉각적인 임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공중에 체공한 항공기의 작전대기상태로서 체공대기(airborne alert)라고도 함.
 
공중목표지역(空中目標地域, Air Objective Area)
상륙기동부대사령관 또는 상륙군사령관이 우군과의 방해를 최소로 하기 위하여 제한수단으로 사용하는 목표지역 상공.
 
공중보급(空中補給, Aerial Supply)
1.공중으로 보급물이 지상구조반이나 생존자에게 전달되는 행위 혹은 과정.
2. 항공기로 주·부식, 물자, 장비 등을 보급하는 것.
 
공중비상대기항공차단(空中非常待機航空遮斷, X-Interdiction; X-INT)
제2작전제대의 전방이동을 저지하기 위하여 일부 항공차단전력(전투기, 폭격기)을 공중 비상대기시켜 적 기동포병 및 적군의 집결지 등에 대해 공격을 가하기 위한 항공차단임무의 한 형태.
 
공중엄호(空中掩護, Air Escort)
적의 공중공격으로부터 자체방어가 취약한 항공기를 근접하여 보호하기 위한 임무로서 공대공무장 등 공중전투능력을 구비한 전투기에 의해 수행됨.

 

공중요격레이더(空中邀擊~, Air Interception Radar)
공중목표를 탐지 및 추적하기 위해 전투용 항공기에 장착되는 레이더.
 
공중우산(空中雨傘, Air Umbrella)
아군 지상작전에 대한 대규모 공중지원 또는 공중엄호 활동의 총칭.
 
공중우세(空中優勢, Air Superiority)
공군력에 있어서 적보다 우세한 전투능력을 가지고 적 공군력의 대항에도 불구하고 주어진 시간과 장소에서 적의 간섭을 받지 않고 지상, 해상 및 공중작전이 허용되는 공중작전에서의 상대적인 우세정도.
 
공중이동표(空中移動表, Air Movement Table)
공정작전 및 공중기동작전의 공중이동계획으로서 이는 공중이동단계의 세부기간 통제계획을 말하며 행군표와 유사함.
 
공중임무지휘관(空中任務指揮官, Air Mission Commander)
1.합동공중공격반(JAAT) 운용시 이를 지휘하고 각 구성요소를 통제하는 지휘관으로서 사단급 이상제대 지휘관이 임명하며 통상 전투헬기 부대장이 됨.
2.탐색 및 구조작전시 현장의 지휘 및 통제를 위하여 현장지원항공기를 통제하는 지휘관.
 
공중전투작전(空中戰鬪作戰, Combat Air Operations)
전쟁주도권 장악을 위해서 적의 공중공간 사용을 거부함으로써 우군의 제반 군사작전 여건을 보장하기 위한 공중우세를 확보하며 강력한 공중공격으로 적의 군사력과 전쟁수행 잠재력을 파괴 또는 무력화하고, 아 지·해상군과 대치한 적 전력을 무력화시킴으로써 지·해상군 작전을 지원하는 것.
 
공중전투초계 방벽(空中戰鬪哨戒防壁, Combat Air Patrol Barrier)
예상되는 적의 공격방향을 가로지르는 방벽으로서 부대와 목표지역 사이에서 운용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투기편대, 최단접근로를 사용하는 적기의 공습에 대하여 종심을 갖기 위하여 통제조건이 허용할 수 있는 한 되도록 원거리에 설치함.
 
공중전투초계(空中戰鬪哨戒, Combat Air Patrol; CAP)
1.전투기에 의한 공중감시 및 초계를 공중전투초계라고 하며, 적의 침입을 적극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방어제공작전의 한 형태.
2.우군의 주요지역, 전투지역, 공군과 지상군 기지 등의 상공에 전투기를 공중 대기시켜 공격해 오는 적기를 요격, 격파하는 임무.
 
공중조기경보 및 통제체계(空中早期警報및統制體系, Airborne Early Warning & Control System; AEWACS)
항공기 탑재 탐색레이더에 의해서 목표를 탐지 식별하며 동시에 아군의 전투기, 함정 등을 공중에서 지휘통제하는 체계.
 
공중조기경보(空中早期警報, Airborne Early Warning; AEW)
항공기에 탑재된 탐지장비로 공중, 지상 및 해상에 위협요소를 탐지하여 아군에게 경보를 보내는 것.

 

공중지휘소(空中指揮所, Airborne Command Post; ACP)
비행중인 항공기에 적절한 통신장비를 설치하여, 지휘관이 부대의 지휘 및 통제를 실시하는 지휘소.
 
공중지휘통제본부(空中指揮統制本部, Airborne Command Control Center)
항공기에 각종 통신장비를 탑재하고 작전요원이 탑승하여 작전기구들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공군작전의 예비통제소 역할을 수행하는 기구.
 
공중침투 저지망(空中浸透沮止網, Screen)
보통 적의 공중기동을 제한하기 위해 운용함. 즉 우군전력에 대한 적의 공격이 예상되는 지역에서 적과 우군 사이에 전투기를 배치하여 저지망을 형성함으로써 방공효과를 높일 수 있음.
 
공중투하(空中投下, Air Drop)
항공기에서 목표지역에 병력, 장비 및 물자를 투하하는 행위. 이는 통상 지상병참선이나 비행장을 이용할 수 없을 때 또는 고립된 부대에 군수물자를 재보급할 때 사용함.
 
공중표적 집성사진(空中標的集成寫眞, Air Target Mosaic)
어떤 지역을 촬영하여 그 목표의 상세한 부분을 적절하게 묘사하여 잘 이해하도록 한 대형 사진. 이 사진들은 정보연구와 항공작전의 계획과 브리핑을 위하여 사용됨.
 
공중회랑(空中回廊, Air Corridor)
아군 사격에 의한 아군 항공기의 안전을 위해 비행로에 연해서 폭, 고도, 길이로써 표시된 공간. 이 지역에 대한 비행은 설치권자의 사전승인 없이는 비행할 수 없음.
 
공지작전(空地作戰, Airland Operations)
공지전투를 확장 발전시킨 개념이며 화력과 기동을 이용하여 불확실한 전장환경에서 어떻게 싸울 것인가를 구상하기 위하여 전쟁전 준비단계부터 전쟁시행단계 및 전쟁후속단계까지를 망라한 개념으로서 공지작전을 시행할 수 있는 선결조건은 전장을 감시할 수 있는 신속 정확한 정보와 장거리 및 정면 사격체제, 전쟁을 효율적으로 수행 감독할 수 있는 C4I체제 및 적절한 군수지원이 구비되어야 함.
 
공지전투(空地戰鬪, Airland Battle)
재래전에 핵, 화학, 전자전 등의 가용 전투력을 최대로 통합, 제대별 종심공격으로 전장을 확대하여 적 선두 및 후속제대를 동시에 타격함으로써 조기에 주도권을 장악하여 승전의 가능성을 증대시키는 공세적 기동전.
 
공지통신(空地通信, Air To Ground Communication)
공군의 근접항공지원과 전술항공정찰에 관한 예하 지상군부대의 요청을 작성, 평가, 협조 처리하고 공지간의 신속하고 계속적인 정보교환을 위하여 작전의 핵심부서인 전술작전본부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통신망.
 
공통보급지원(共通補給支援, Common Supply Support)
각군이 공통적으로 군 임무수행을 위하여 필요로 하는 국방공통물자나 장비를 지원군 책임 하에 자군 및 타군의 사용부대에 공급(보급 5대 활동; 청구, 수령, 저장, 분배, 처리)해 주는 것.

 

공통보급품(共通補給品, Common Supplies)
2개 이상의 군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보급품.
 
공통정비지원(共通整備支援, Common Maintenance Support)
국방공통장비 및 물자를 지원군 책임 하에 항상 사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거나 사용 불가능한 것을 가능한 상태로 복구시키기 위해 자군 및 타군을 공통적으로 지원하는 일체의 행위.
 
공통품목(共通品目, Common Item)
2개 이상의 기술병과에 의하여 사용되거나 조달되는 장비 및 일반보급품.
 
공해(公海, High Seas, Open Sea)
한 국가의 내수, 영해, 배타적 경제수역 또는 군도국가(群島國家)의 군도수역(群島水域)에 포함되지 않는 해양의 모든 부분으로서 연안국이나 군도국(群島國)이 배타적 경제수역을 선포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영해의 바깥으로부터 시작됨.
 
공해자유권(公海自由權, Freedom of The High Sea)
공해에서 국제관습법의 일반원칙에 따라 항해의 자유, 상공비행의 자유, 해저전선 부설의 자유, 인공도서 등 시설물 부설의 자유, 어로의 자유, 그리고 과학적 조사의 자유가 보장되는 권리.
 
공황(恐慌, Panic)
급변하는 사태에 놀랍고 두려워 어찌할 바를 모르는 현상으로 공포가 지나치면 무모하고 분별 없는 행동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상태가 확대되는 현상을 말함.
 
과업(課業, Tasks)
예하부대에 할당된 기능이나 직무 또는 상위 기관에 의한 지시를 말함.
 
관리전환(管理轉換, Management Conversion)
군수품을 다른 물품관리관의 소관으로 전환하여 재활용 또는 재분배하는 것. 이를 위해서는 사전에 회람 또는 전시함으로써 그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됨.
 
관리정보체계(管理情報體系,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국방조직의 운영, 관리 및 정책결정기능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인간과 기계가 통합된 정보관리체계. 경영정보 체계와 동의어임.
 
관변보급소(管邊補給所, Pipehead Supply Point)
유류품을 저장, 분배 또는 타 수송방법에 의한 추진을 하기 위하여 송유관으로부터 받아내는 보급소로서 송유관의 하류 최종지점에 위치함.

 

관성 항법장치(慣性航法裝置, Inertial Navigation System; INS)
미사일 또는 항공기의 유도에 사용되는 장치. 이것은 관성을 이용하여 비행체의 속도를 정확하게 결정하여 이 속도에서 경로상의 비행거리를 산출, 현재의 위치를 판단하여 고도, 자세 등을 결정하고 조정하는 장치로 전자방해를 받지 않음.
 
관성유도(慣性誘導, Inertial Guidance)
미리 입력된 지정궤도를 유도탄이 비행하도록 유도하는 장치이며, 외부장치의 보조 없이 내부장치에 의해서만 발사후 비행경로가 조절됨.
 
관심지역(關心地域, Area of Interest)
해당부대의 작전지역을 초월하여 인접지역까지를 포함한 지휘관이 관심을 두어야 할 지역으로서 현행 및 장차작전을 위해 상급부대 능력으로 정보를 수집해야 하고 상급부대에 요청하여 타격해야 함.
 
관심타격지역(關心打擊地域, Target Area Interest; TAI)
적의 전진을 지연, 와해, 격멸 또는 유인할 수 있는 접근로상의 지역 또는 지점으로서 반드시 화력을 계획해야 할 표적지역(주요교량, 협곡지역, 저명한 도섭지점, 낙하 및 착륙 지대, 도로교차점 등).
 
관심표적지역(關心標的地域, Target Area of Interest; TAI)
적의 전진을 지연, 와해, 격멸 또는 유인할 수 있는 접근로상의 지역 또는 지점으로서 우선순위가 높은 표적지역을 말함. 즉 관심표적지역은 그 지역만 차단한다면 적으로 하여금 특정 방책을 포기하거나 공병지원을 받지 않으면 전진할 수 없는 접근로상의 지역 또는 지점을 말하며 주요 교량, 도로 교차점, 저명한 도섭지점, 낙하 및 착륙지대, 협곡지역 등이 있음.
 
관제공역(管制空域, Controlled Airspace)
항공 교통 관제업무가 제공되는 일정한 공역.
 
관측소(觀測所, Observation Post)
관측을 할 수 있고 사격을 요청 또는 조정할 수 있도록 통신이 설치된 장소.
 
관할공역(管轄空域, Jurisdiction Airspace)
영토국의 주권, 주권적 권리 또는 배타적 관할권을 행사하는 관할수역의 상부 공역을 말하며, 주권적 권리란 국가의 고유한 권리로서 입법권과 사법권 및 행정권을 행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또한 배타적 관할권이란 특정한 입법 사항만을 규제할 수 있는 국가의 권리를 말하며, 여기에는 배타적 경제수역법, 접속수역법, 대륙붕법 등이 해당됨.
 
관할수역(管轄水域, Jurisdiction Sea Zone)
연안국의 주권, 주권적 권리 또는 배타적 관할권을 행사하는 수역으로 관할수역에는 내수, 영해, 접속수역, 배타적 경제수역, 대륙붕 등이 있음.
 
광대역 전파방해(廣帶域電波妨害, Barrage Jamming)
광대역 주파수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넓은 부분의 주파수 대역을 전파방해하는 것. 이러한 전파방해는 감시장비의 일시적 무력화와 운용자를 혼란 기만시키고 표적 추적을 방해함. 이는 전파방해기의 주파수 대역 내에서 작동하는 모든 수신기를 동시에 전파방해할 수 있으며, 적 방사원의 정확한 주파수를 모를 때 사용함. 특히 주파수 급속변경 레이더(Frequency Agile Radar)에 대해 효과적이지만 큰 출력이 요구됨.

 

광명제원(光明諸元, Light Data)
일출, 일몰, 월출, 월몰, 박명시간 등에 대한 시간자료. 이는 작전, 정보의 긴요한 제원이 됨.
 
광음시간(光音時間, Flash-Bang)
섬광을 관측하고부터 그 폭발음을 청취할 때까지의 시간. 섬광폭음시간이라고도 함.
 
광정면방어(廣正面防禦, Extended Defense)
전투정면이 정상적인 방어시보다 훨씬 넓은 경우에 실시하는 방어.
 
광통신(光通信, Optical Communication)
TV, 전화, 팩시밀리 등의 각종 정보를 빛에 실어서 머리카락보다 가는 광섬유 속을 통해 교신하는 것. 현재의 동축케이블에 의한 통신 방식에 비해 많은 정보를 보다 멀리 효율적으로 보낼 수 있어 전송비용이 낮아지고 번개나 전자방해에 강한 이점이 있음.
 
광학방해책(光學妨害策, Optical Counter Measures)
가시광선 스펙트럼을 적이 사용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취해진 행위로서 가시방해책이라고도 함.
 
광학유도(光學誘導, Optical Guidance)
비행체에 부착된 TV카메라에서 획득한 표적정보를 관제소의 TV화면에 전시하며 그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체를 표적에 유도하는 방법.
 
광학유도탄(光學誘導彈, Optical Guidance Missile)
폭탄 또는 미사일의 탄두에 TV카메라나 적외선센서 혹은 레이저 가이던스가 부착되어 목표지점에 유도되는 무기.
 
교감신경(交感神經, Sympathetic Nerve)
부교감신경과 함께 자율신경계를 구성하는 신경으로 심장의 작용을 촉진하고 위와 장의 운동이나 분비를 억제, 혈관이나 입모근의 수축, 한선(汗腺)의 분비를 촉진하는 등의 기능이 있음.
 
교대작전(交代作戰, Relief Operation)
전술작전이 장기화할 때 요구되는 투입부대에 의한 진지교대, 초월전진 및 후방진지를 통한 철수작전.
 
교대전진(交代前進, Bounding Overwatch)
소부대가 적과의 접촉이 긴박한 상황 하에서 이동제대를 나누어 상대적 감제지형을 선점한 제대의 감시 및 엄호 하에 나머지 제대가 약진하고, 약진한 제대의 감시엄호 하에 감시하던 제대가 약진하는 방법으로 상호교대하여 이동하는 기술을 말함.

 

교두보(橋頭堡, Bridgehead)
도하작전시 주력부대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고, 도하지점을 적절히 방어할 수 있으며 계속되는 공격의 발판을 제공할 수 있는 적측에 있는 지역.
 
교란(攪亂, Harassing)
질서 있는 체제 및 작전에 혼란이 일어난 상태.
 
교리(敎理, Doctrine)
교리는 일반적인 개념과 군사적인 개념으로 구분되며, 일반적인 개념으로는 사상의 근거를 이루는 명제(命題)를 말하며, 종교적으로는 신앙의 진리로서 공인된 교조이며, 정치적으로는 기본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정치지침을 말함.
군사적인 개념으로는 군사력으로 국가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공식적으로 승인된 군사행동의 기본원칙과 지침으로서 권위는 있으나 적용시에는 판단이 요구됨.
 
교육(敎育, Education)
군사요원에게 군사지식과 기술을 부여하며, 지적능력, 덕성, 체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수(敎授) 및 학습활동이며, 광의의 교육에는 훈련이 포함됨.
 
교전(交戰, Engagement)
적과의 접촉상태에서 공격행동을 취하는 전투 행위 그 자체. 소부
대가 참가하는 비교적 단기간의 전투이며 결정적인 교전은 한 부대가 전반적인 기동의 자유를 잃고 더 이상 계획된 행동을 주도할 수 없는 교전상태.
 
교전규칙(交戰規則, Rules of Engagement)
소관 군 당국에 의하여 발행한 지시로서 타국의 군대를 조우하여 교전을 시작하거나 계속할 환경과 제한을 명시한 지시.
 
교전반응시간(交戰反應時間, Engagement Reaction Time)
1.적의 공중공격 정보를 접수한 부대가 전술 조치를 취하는 데까지 소요되는 시간.
2.유도탄부대에서 최초표적탐지로부터 유도탄 사격까지 소요되는 시간.
 
교통밀도(交通密度, Traffic Density)
1㎞의 노상에 점유하고 있는 평균 차량 수로서 매 ㎞당 차량 수로 표시함.
 
교통통제본부(交通統制本部, Traffic Control HQ)
부여된 임무에 따라 차량, 인원, 동물 등의 실제 도로사용을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도로를 지정하고 시간할당, 교통지시 등 교통관리를 수행하는 기관으로서 통상 군수참모 주관 하에 수송, 헌병, 공병, 병기, 통신의 5개 병과로써 사단급 이상 부대에 설치함.
 
교통통제소(交通統制所, Traffic Control Post/Point; TCP)
육로 조정을 위한 정리와 안내 및 필요한 지시를 제공하는 육로상의 장소. 이는 통상 2~3명의 헌병으로 구성되며 그 기능은 다음과 같음.
1. 도로 교통정리 실시.
2. 육로조정소의 지시에 의거 이동차량 통제.
3.이동제대별 선두 도착 및 후미 통과시간을 육로조정소에 보고.
4. 육로조정소와 인접 교통통제소의 통신연락 유지.

 

교통호(交通壕, Connecting Trenches)
각종 호, 포상, 엄체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서 지면에 길고 좁게 파놓은 호로서, 인원과 물자를 보호하고 사격과 연락을 보다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축함.
 
구간이동(區間移動, Move by Bounds)
포병화력 또는 소화기 사격 하에서 통상 엄폐된 곳에서 엄폐된 곳으로 병력이 옮겨 가는 단일행동.
 
구균(球菌, Cocous)
구(球)형의 세균이며, 구균에는 단구균, 쌍구균,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폐렴쌍구균 등이 있음.
 
구서훈련(驅鼠訓練, Kuso Training)
해상긴급사태 및 간첩선 침투에 대비하여 공·지·해 합동작전능력 향상을 위한 훈련.
 
구성군(構成軍, Component Forces)
2개 군 이상이 합동부대를 편성하여 합동작전을 수행시 합동부대사령관의 작전통제 하에 있는 각군 부대의 총체를 지칭한 것으로서 각군에서 제공된 모든 단위대, 파견대, 각급부대 및 각종 시설부대가 포함됨.
 
구역소해(區域掃海, Area Sweep)
기뢰의 유무를 막론하고 지정된 해역을 소해하는 것으로 기계식및 감응소해 모두 실시하며 수로소해와 대응되는 용어.
 
구잠함(驅潛艦, Killer Ship)
잠수함을 탐지하고 공격할 능력을 갖춘 대잠함정.
 
구조(救助, Rescue)
1.생존자를 재난이나 위험한 장소로부터 안전한 장소로 이동조치하는 행위.
2. 파손된 것을 구조하거나 건져 올리는 것.
 
구조잠수함(救助潛水艦, Salvage Submarine)
적의 저항, 우군기지로부터의 거리 혹은 기타 이유로 항공 및 수상 구조시설로서는 적절한 탐색구조 작전이 불가한 지역에서 구조목적에 사용되는 잠수함.
 
구조협조본부(救助協調本部, Rescue Coordination Center; RCC)
전구항공통제본부 내의 구조관계 전담 협조부서이며, 구조협조의 핵심부서로서 모든 구조 작전에 관한 임무를 접수하고 계획, 지시 및 통제하는 중추적 기구.

 

구축함(驅逐艦, Destroyer)
대양에서 독자적으로 작전할 수 있는 수상함정으로 순양함보다는 크기가 작고, 무장도 적게 장착하고 있으며 항속거리도 짧음. 기능은 전투, 선단호송, 함포지원 등 다양하고 대잠, 대함, 대공방어가 가능하며 호위함(FRIGATE)과 구분되는 이유로 호위함은 설계 및 기능에 있어 한 가지 임무를 수행하게끔 크기가 작은 데 비해 구축함은 다양한 임무를 수행함.
 
구토작용제(嘔吐作用劑, Vomiting Gas)
폭동진압작용제의 일종으로 기침, 재채기와 코와 목에 통증이 있고 콧물 및 눈물이 나며 두통을 수반하면서 구토를 일으키는 화학작용제.
 
구호소(救護所, Aid Station)
응급치료 분류 및 후송계통에 의하여 상급부대에 후송하는 최전방 의무치료시설로서 대대급에 설치됨.
 
구획폭격(區劃爆擊, Pattern Bombing)
표적지역을 사전계획에 의거하여 공중투하 폭탄을 균등한 분포로 투하하여 조직적으로 제압하는 폭격.
 
국가공역관리(國家空域管理, National Airspace Management)
공간을 매개체로 해서 이루어지는 모든 항공 활동이 추구하는 목표를 신속 안전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제한된 국가자원인 공역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제반활동. 협의로는 공역사용관리, 항공운항관리, 항공정보관리, 조난항공기 탐색 및 구조지원 등이 포함되며 광의로는 영공방위임무까지를 포함함.
 
국가기획(國家企劃, National Planning)
국가의 안전, 번영 및 가치로 표현되는 국가 이익의 차원에서 국가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최선의 국가정책과 국가전략을 선택하여, 이 정책과 전략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국가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함.
 
국가동원(國家動員, National Mobilization)
전시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 하에서 국가안전보장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한 나라의 인적·물적자원, 재화 및 용역 등의 모든 국가자원을 국가안전보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통제, 관리, 운용하는 국가권력작용을 말함.
 
국가목적(國家目的, National Purpose)
한 주권국가의 생존과 번영을 성취하기 위한 국민적 또는 국가적 열망을 이론적 체계화 과정을 거쳐 헌법, 법률 및 선언 등을 통하여 표방하는 한 주권국가 존립에 있어 양보할 수 없는 목적.
 
국가목표(國家目標, National Objectives)
국가목적과 이익을 달성하기 위해 그 국가의 제반 노력과 자원이 집중해 나가고 적용되어야 할 지향점.
 
국가비상사태(國家非常事態, State of National Emergency)
전시, 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안전보장상 중대한 위협에 처하여 국가존립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치안이 문란해지든가 또는 그러한 위험이 있는 상태.

 

국가안보정책(國家安保政策, National Security Policy)
국가목표를 추구함에 있어 국가안보전략을 수행하기 위한 광범위한 행동방책이나 지침을 제시하는 정책.
 
국가안전보장(國家安全保障, National Security)
국내외의 각종 군사, 비군사적 위협으로부터 국가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정치, 외교, 경제, 사회, 문화, 군사, 과학기술 등의 제 수 단을 종합적으로 운용함으로써 당면하고 있는 위협을 효과적으로 배제하고 또한 일어날 수 있는 위협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며 나아가 불의의 사태에 적절히 대처하는 것.
 
국가안전보장목표(國家安全保障目標,National Security Objectives)
당면한 안보환경 하에서 국가의 모든 역량을 활용하여 달성해야 할 목표로서 국가이익 핵심적 요소인 국가안전보장을 위해 설정함. 우리의 국가안전보장 목표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남북한과 동북아의 공동번영, 국민생활의 안전 확보임.
 
국가안전보장전략(國家安全保障戰略, National Security Strategy)
대내외 안보정세 속에서 국가안보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국가의 가용자원과 수단을 동원하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구상.
 
국가안전보장정책(國家安全保障政策, National Security Policy)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국민, 영토, 체제를 수호하기 위한 국가의 행동방책 또는 지도지침을 말함.
 
국가안전보장회의(國家安全保障會議, National Security Council; NSC)
국가안전보장에 관련된 국내외 정책과 군사, 경제, 사회 등의 정책수립에 관하여 국무회의 심의에 앞서 대통령의 자문에 응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대통령의 자문기관임. 본회의 의장은 대통령이 되며 위원은 국무총리, 통일부장관, 외교통상부장관, 국방부장관, 국가안전기획부장,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이며 합참의장이 배석함.
 
국가영역(國家領域, National Territory Domain)
육지와 도서로 이루어진 영토, 영토에 접속한 수역인 영해 및 영토와 영해의 상공인 영공으로 이루어진 국가의 주권이 미치는 장소적 범위.
 
국가이익(國家利益, National Interest)
국민적 행동을 통해서 실현하고자 하는 본질적인 이익으로서 모든 국가정책에서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가치임.
 
국가전략(國家戰略, National Strategy)
국가목표를 구현하기 위하여 국력의 제 수단을 발전시키고 운용·조정하는 술(術)과 과학(科學).
 
국가정책(國家政策, National Policy)
국가목표를 구현하기 위한 국가의 행동방책 또는 지침.

 

국가총력방위(國家總力防衛)
국가의 가용한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여 국가를 방위하는 것으로서, 정치·외교, 경제·과학기술, 사회·문화 및 군사 분야의 고유 역량과 활동을 유기적이고 상호 보완적으로 조직하여 전쟁을 수행하는 것
 
국가통수 및 군사지휘기구(國家統帥및軍事指揮機構, National Command and Military Authorities; NCMA)
군사분야에 관한 전략지시 및 작전지침을 제공하는 국가 최고기관으로서 한·미 군사관계에서 사용되는 용어임.
미국의 국가통수기구(NCA)는 대통령과 국방장관으로 구성되며 국가통수 및 군사지휘기구(NCMA)는 대통령, 국방장관, 합참의장으로 구성됨.
한국의 국가통수기구(NCA) 또는 국가통수 및 군사지휘기구(NCMA)의 구성은 법적으로 설치 근거가 없으나 『1978. 7. 27. 한국 외무부장관과 주한 미대사가 확인 체결한 교환각서』에 의거한 `한·미 군사위원회 및 연합군사령부 권한위임사항'을 근거로 위기관리 및 전쟁지도를 위한 일반적인 개념으로 적용하는 용어임.
 
국가통수기구(國家統帥機構, National Command Authorities)
대통령 및 국방부장관, 또는 적법하게 임명된 그 대리자나 승계자.
 
국력(國力, National Power)
국가가 현재적 및 잠재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유형·무형의 제 요소가 총합된 국가의 능력으로서 지휘통솔 및 국민의지가 이에 통합됨.
 
국력현양(國力顯揚, Presence of National Power)
평화적인 방법으로 군사력을 나타내 보여, 국가 이미지 고양, 국위선양, 국력과시 등의 유리한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국가의 대외정책을 지원하는 군사작전의 한 형태.
 
국방기획(國防企劃, National Defense Planning)
국가목표와 정책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방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최선의 국방정책과 군사전략을 선택하여, 이 정책과 전략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국방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함.
 
국방기획관리(國防企劃管理, Defense Planning Management)
국방목표를 설계하고 설계된 국방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의 방법을 선택하여 보다 합리적으로 자원을 배분·운영함으로써 국방의 기능을 극대화시키는 관리활동으로 기획으로부터 계획, 예산, 집행에 이르기까지 국방 관리기능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국방요원의 다각적인 노력을 체계적으로 결집시킨 종합적인 자원관리체계.
 
국방목표(國防目標, National Defense Objective)
국가의 평화와 안전 그리고 독립을 위협하는 요소를 제반 군사적 활동을 통하여 제거하고 예방함으로써 국가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군사적 활동의 기본방향을 제시한 것을 말함.
 
국방정보(國防情報, National Defense Intelligence)
국방업무에 관련된 의사결정을 위한 적 및 아군에 대한 모든 자료와 지식.
 
국방정보체계(國防情報體系, National Defense Intelligence System)
국방목표 달성과 관련하여 적군과 아군 또는 우군의 자원과 기술 등에 대한 모든 정보의 수집·생산·전파·활용 및 관리를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통합하여 최적화하는 과학적 수단의 집합체.

 

국방정보판단서(國防情報判斷書, Defense Intelligence Estimate)
장기, 중기, 단기간의 국제 및 주변 정세와 북한의 대내외 정세 및 정책을 판단한 문서로서 장기 군사전략과 중기전략 및 군사력 소요를 제기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
 
국방정보화(國防情報化, National Intelligentialization)
전·평시 국방업무 수행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의 유통, 활용 및 가치발휘를 극대화하여 국방구조 전반을 지식중심(Knowledge Base) 두뇌집약적 구조로 전환시키는 제반활동 및 행위로서 군사력 구조 및 국방운용체계를 지식중심 질위주 정예군 구도로 전환하기 위한 전략적 활동과 국방업무 혁신을 포함함.
 
국방정책(國防政策, National Defense Policy)
국가안전보장정책의 일부로서 외부로부터의 위협이나 침략에 대해 국가의 생존을 보호하기 위하여 군사, 비군사에 걸쳐 각종 수단을 유지, 조성 및 운용하는 정책.
 
국제 민간항공기구(國際民間航空機構,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국제연합 전문기관의 하나로서 국제민간항공의 안전과 질서를유지하고, 기술의 발달을 촉진할 것을 목적으로 하여 1949년 Chicago에서 체결된 국제민간항공조약에 근거하여 설립되었으며, 주된 임무는 항공노선, 비행장, 항공기상업무, 항공교통관제, 항공통신, 구조, 수색 등에 관한 여러 종류의 표준이나 절차를 제정하고 그 실시를 가맹국에 권고하는 데 있음.
 
국제 호출부호(國際呼出符號, International Call Sign)
무선통신소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국제전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의 규정에 따라 지정된 호출부호.
해당 통신소의 국적은 첫 글자 또는 최종의 2개 문자로 식별함. 시각신호로 사용될 때에는 국제호출부호는 `신호문자'로서 인용됨.
 
국제평화군(國際平和軍, International Peace Force)
세계 평화와 전쟁방지를 목적으로 국제연합 결의에 의거 적절히 구성된 조직.
 
국지경계부대(局地警戒部隊, Local Security Element)
전투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부대가 적의 공격 또는 기습으로부터 부대를 방호하고 적의 접근을 경고하여 주력부대가 전투태세를 갖출 수 있도록 경계활동을 위하여 운용하는 소규모의 경계부대.
 
국지공중우세(局地空中優勢, Local Air Superiority)
한정된 기간 동안 제한된 지역 상공에서 기본적인 공중활동의 자유를 얻는 것.
 
국지방공(局地防空, Local Air Defence)
적의 공중공격으로부터 특정한 지역이나 기동부대 또는 고정시설을 방어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방공작전으로서 작전부대 지휘관이 설정한 방공우선순위에 따라 방공작전을 실시함.
 
국지방공부대(局地防空部隊, Local Air Defense Unit)
전구항공통제본부에서 발령한 무기통제 상태에 따라 예·배속된 부대지휘관의 작전지휘 하에 책임지역의 방공임무를 수행하는 부대.

 

국지비행공역(局地飛行空域, Local Flight Area)
훈련비행, 특수비행, 기능점검비행, 시험비행 및 기타 비행을 위하여 기지별로 설정된 비행공역으로서 국지비행관할권을 행사하는 지휘관이 지정한 일정공역.
 
국지수송(局地輸送, Local Haul)
단거리 수송으로서, 차량운행시간이 적재 및 하화보다 짧은 것이 특징이며, 수송거리는 25㎞ 이내로서 1일 4회 왕복운행이 가장 알맞으며, 작업량은 ton으로 평가함.
 
국지전쟁(局地戰爭, Local War)
현대전의 한 형태로서 전면전쟁을 회피하면서 제한된 지역에서 어떤 조건 하에 국가정책과 군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행해지는 전쟁형태.
 
군 전장기능별 운영개념(軍戰場機能別運營槪念, Operation Concept of Force Battle Field Function)
군 전장운영개념을 구현하기 위한 각 기능별 운영개념으로서, 각군이 분류한 전장기능에 대해 `어떻게 싸울 것인가?'를 구체적으로 설정한 세부개념.
 
군단 전투모의 모델(軍團戰鬪模擬~, Corps Battle Simulation; CBS)
군단, 사단 및 여단급 지휘관/참모 훈련지원을 위해 고안된 전산화 자동화 GPX 모델.
 
군단(軍團, Corps)
상급부대의 작전적 목표달성에 기여하기 위하여 작전을 수행하는 최고의 전술제대로서, 상급부대로부터 수개의 사단과 각종 전투 및 전투지원부대를 배속받아 운용됨.
 
군대구분(軍隊區分, Task Organization)
계획된 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임시편성이며, 이는 전투편성이 복잡한 경우에 사용되며, 여기에는 필요시 과업분담의 구성 또는 지휘관계 등과 같은 전술적 구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함.
 
군대부호(軍隊符號, Military Symbol)
군의 편성, 장비, 시설, 부대이동 및 활동규모, 위치 등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도형, 숫자, 문자, 약어, 색채 등의 조합으로 구성된 기호.
 
군령(軍令, Military Command)
국방목표 달성을 위하여 군사력을 운용하는 용병기능으로서 군사전략기획, 군사력 건설에 대한 소요제기 및 작전계획의 수립과 작전부대에 대한 작전지휘 및 운용 등을 의미함.
 
군비(軍備, Armament)
국가와 국권을 지키기 위한 군사설비, 즉 군대의 병력·무기·장비·시설 등의 총칭.

 

군비경쟁(軍備競爭, Arms Race)
둘 혹은 그 이상의 적대국 중 일방이 그들의 국가안보 내지 우위를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이 군사력이라는 확신 하에 군대를 증강하거나 무기의 파괴력을 향상시키고 무기의 양을 경쟁적으로 증가시키는 일련의 행위.
 
군비통제(軍備統制, Arms Control)
잠재 적대국간 군비경쟁의 안정화, 즉 군사력의 운용과 구조(병력, 무기)를 통제하고, 합의사항 위반을 제재함으로써 전쟁위험과 부담을 제거 또는 최소화시켜 안보를 증대시키려는 모든 노력으로서, 군비축소, 군비해제, 군비제한, 신뢰구축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군비통제와 관련된 용어는 다음과 같음.
1.군비통제 또는 군비관리(軍備統制 또는 軍備管理, Arms Control)
군비축소, 감축, 삭감 및 제한을 망라.
2.군축 또는 군비해제(軍縮 또는 軍備解除, Disarmament)
현 군비의 부분적인 축소 또는 완전한 제거나 폐지를 포함.
(전쟁을 일으킬 수 없을 정도로)
3.군비삭감(軍備削減, Arms Reduction)
전쟁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으면서 자발적으로 시행하는 감축(보유무기 및 병력의 수량적 감축).
4.군비제한(軍備制限, Arms Limitation)
특정 또는 비특정 기간의 군비수준을 어떤 일정규모 이상으로 늘리지 않도록 규제하는 것.
5.신뢰구축조치(信賴構築措置,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국가 상호간 오해·불신에서 오는 군사적 위협 또는 불안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상호 정보교환, 군사적 활동 및 군사력 사용 가능성을 제한하는 활동으로서 상대방 군사행동의 예측가능성 제고로 전쟁위험의 감소와 위기관리를 향상시키려는 제반조치.
6.검증(檢證, Verification)
군비통제 협정 당사자들 간에 조약의무사항에 대한 이행정도를 인적, 기술적 수단으로 조사·증명하는 과정.
 
군사개입(軍事介入, Military Intervention)
어떤 논쟁의 과정에서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군사력을 사용하는 계획적인 행동.
 
군사과학(軍事科學, Military Science)
군사학의 한 분야로서 전쟁에 필요한 각종 병기 및 물자를 연구개발하고 과학적으로 전략, 전술 및 전기를 연구하는 학문.
 
군사교리(軍事敎理, Military Doctrine)
군부대와 그 구성원에게 국가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승인된 군사행동의 기본원칙과 지침. 이는 권위적인 것이지만 적용시에는 판단이 요구됨.
 
군사기만(軍事欺瞞, Military Deception)
적의 군사적인 결심권자들에게 아군의 능력, 작전의도 및 운용에 대해 오판하고 적이 아군의 임무수행을 도와 주는 방향으로 특정행동을 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취하는 제반 활동으로 전략적, 작전적, 전술적 군사기만이 있음.
 
군사기본개념(軍事基本槪捻, Military Basic Concept)
군사력을 중심으로 국가의 생존을 유지 및 증진하고 전쟁에 승리하기 위한 모든 방법체계의 통칭. 군사사상과 군사이론을 그 영역에 포함할 수 있음.
 
군사기본교리(軍事基本敎理, Military Basic Doctrine)
군사전략 개념을 구현하기 위하여 발전된 군사교리의 최상의 교리로서, 합동교리와 각군 교리에 군사활동의 원칙과 기준을 제공함.
 
군사기획(軍事企劃, Military Planning)
군사력으로 국가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군사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최선의 군사정책과 군사전략을 선택하여, 이 정책과 전략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협의의 국방기획임.
 
군사능력(軍事能力, Military Capability)
전시 특정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능력으로 다음 지표에 의해 측정됨.
1. 전력구조:방위전략의 구성 및 규모.
2.현 대 화:부대, 무기체계 및 장비의 기술적인 정교함.
3.대비태세:지정된 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부대 및 무기체계의 능력.
4. 지속능력:부대 및 무기체계의 유지능력.

 

군사대비태세(軍事對備態勢, Military Readiness Posture)
적 위협에 대응하도록 군사적 준비상태를 지칭하는 일반적 용어로서 전략적, 전술적 차원을 망라(군사태세+전투준비태세)한 개념.
 
군사도발(軍事挑發, Military Provocation)
군대, 군비, 전쟁에 의한 대한민국(상대국)의 국민과 재산 또는 영역에 가하는 일체의 위해행위.
 
군사동맹, 군사협력(軍事同盟, 軍事協力, Military Alliance, Military Cooperation)
1.군사동맹이란 2개 국가나 그 이상의 복수국가간의 합의에 의하여 성립되는 집단적 안전보장의 한 방식으로서 군사적 공동행위를 맹약하는 제도적 장치나 사실적 관계.
2.군사협력이란 공동의 적 혹은 위협에 대한 공동의 안정이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하여 국가들 간의 군사적 부문에 있어서 협조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
 
군사동원(軍事動員, Military Mobilization)
전쟁을 위하여 계획되고 규정된 군대를 양성하며 이들에게 필요한 군수지원을 제공하는 과정.
 
군사력(軍事力, Military Power)
국가의 안전보장을 위한 직접적이며 실질적인 국력의 일부로서 군사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군사적인 능력과 역량.
 
군사보안(軍事保安, Military Security)
적의 간첩행위, 관측, 파괴, 파업, 요란 및 기습으로부터 부대를 보호하기 위하여 취하는 제반활동.
 
군사분계선 연장선(軍事分界線延長線, Military Demarcation Line Extended)
군사분계선 표지번호 1292로부터 북방한계선과 만나는 지점까지동해의 북위 38도 36분 51초선을 따라 동쪽으로 연장된 선.
 
군사분계선(軍事分界線, Military Demarcation Line; MDL)
유엔군사령관 통제 하에 있는 지역과 북괴군사령관의 군사통제 하에 있는 지역을 분할하는 군사적인 경계선, 군사분계선은 임진강 북쪽 둑(한강하구의 동북방 경계선)으로부터 시작하여 군사분계선 표시번호 0001에서 동해안으로 군사분계선 표시번호 1292까지 계속됨.
 
군사수단(軍事手段, Military Means)
한 국가가 사용할 수 있는 군사적 힘의 기본적 원천으로서 현존전력(상비군 및 경찰), 동원전력(예비군, 민방위대, 동원편성 완료된 자산, 산업 및 과학기술 등 필요에 따라 군사력을 보완, 보충하여 주는 자산), 증원전력(동맹 및 연합관계에 있는 국가의 부대 및 자원) 등을 망라함.
 
군사이론(軍事理論, Military Theory)
군사력 형성 및 운용에 필요한 제반 지식체제로서 전쟁에서 적용되는 객관적이고도 합리적인 원리. 그 핵심은 군사사상으로부터 비롯됨.

 

군사작전 원칙(軍事作戰 原則, Principle of Military Operations)
군사작전을 계획, 준비 및 실시하는 데 있어 적용해야 할 지배적인 원리로서, 이들 상호 간에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
 
군사작전(軍事作戰, Military Operations)
전쟁과 이에 미치지 못하는 분쟁 또는 평시에 국가 및 군사전략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장 또는 그 이외의 특정지역에서 군사적 수단을 사용하는 제반 군사행동
 
군사잠재력(軍事潛在力, Military Potential)
군사력 기반의 하나로서 무력을 건설·유지하는 데 가용한 국가자원.
 
군사전략(軍事戰略, Military Strategy)
국가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군사력을 건설하고 운용하는 술과 과학.
 
군사전략기획(軍事戰略企劃, Military Strategy Planning)
군사기획의 일부로서 군사정책목표 또는 국방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군사력 운용개념을 정립하고 이에 따른 군사력 소요를 제기하는 일련의 기획과정임.
군사전략기획 절차는 전략을 평가해서 전략개념을 도출하고 군사력 소요를 판단해서 전략능력을 분석한 다음 작전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임.
 
군사정보(軍事情報, Military Intelligence)
가상적인 적이나 실제적인 적군 또는 작전지역에 관한 지식으로서 군사정책기획 및 계획을 준비하고 실시하는 데 필수적인 것임. 군사정보에는 전투정보와 전략정보가 포함됨.
 
군사정책(軍事政策, Military Policy)
국방정책의 일부로서 국가의 평화와 독립을 지키기 위하여 군사력의 유지, 조성 및 운용을 도모하는 오로지 군사에 관한 각종의 정책.
 
군사첩보(軍事諜報, Military Information)
실제 또는 가상적이나 작전지역에 관한 사항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모든 요소로서 서류, 자료, 지도, 사진, 도표, 관측사항 등이 포함됨.
 
군사태세(軍事態勢, Military Posture)
군사적 수단, 능력 및 시설을 통합한 국가방위체계의 전략적 배열(strategic arrangement), 전투준비, 전투지속 등을 망라한 포괄적 개념.
 
군사통신위성(軍事通信衛星, Military Communication Satellite)
극초단파에 의한 원거리통신과 많은 용량의 군사통신에 대한 중계소 역할을 하는 위성.

 

군수(軍需, Logistics)
무기체계의 연구개발, 장비 및 물자의 소요판단, 생산 및 조달·보급·정비·수송·시설·근무분야에 걸쳐 물자, 장비, 시설자금 및 용역 등 모든 가용자원을 효과적·경제적·능률적으로 관리하여 군사작전을 지원하는 활동.
 
군수관리 정보체계(軍需管理情報體系, Logistic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LMIS)
군수자원관리에 필요한 모든 자료를 통합적으로 분류, 저장, 처리하며, 각 계층 관리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여 신속한 의사결정을 보조하는 종합체제.
 
군수산업(軍需産業, Logistic Industry)
군수산업은 국방산업, 방위산업 등의 용어로 쓰여지고 있으며, 광의로는 군사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모든 산업이 망라됨. 협의의 의미로 군비 또는 전쟁에 소비되는 물자를 생산하는 산업을 지칭하며, 일반적으로는 군수산업이라고 할 때에서는 협의의 해석이며 민수산업과 구분됨.
 
군수지원구역(軍需支援區域, Logistic Support Area)
작전의 전 기간을 통해 상륙군을 군수적으로 지원하는 데 필요한 보급품, 장비, 시설 및 기타 요소를 보유한 해안 가까이에 있는 지역.
 
군수체계(軍需體系, Logistic System)
군수업무 수행을 위한 제반 군수요소들이 일정한 원리에 의해 조직된 전체를 말하며, 군수요소에는 군수병력 및 인력, 군수부대, 군수품, 모든 시설뿐만 아니라 산업시설의 근거지 등 군수기능별 모든 체계가 포함됨.
 
군수품(軍需品, War Supplies)
군에 소요되는 물품관리법상의 물품을 말하며, 국방부 및 직할기관 그리고 각군에서 관리하는 동산 중에서 현금과 유가증권을 제외한 모든 물품을 말함.
 
군원(軍援, Military Aid)
한 국가가 다른 나라의 전투력 증강이나, 전쟁수행을 돕기 위하여 병력, 무기, 기술 및 경제적 원조를 하는 것.
 
군정(軍政, Military Administration)
1.법률의 원리, 원칙 및 전쟁규칙에 의거하여 군 지휘관이 점령지역에서 입법, 사법, 행정권한을 행사하는 통치기능.
2.국방목표 달성을 위하여 군사력을 건설, 유지, 관리하는 기능으로서 국방정책의 수립, 국방관계법령의 제정, 개정 및 시행, 자원의 획득배분과 관리, 작전지원 등을 의미함.
 
군정보환경(軍情報環境, Military Information Environment)
특정 군사작전에 영향을 미치는 적·아의 군사, 비군사 정보체계 및 조직으로 구성되며 『범세계 정보환경』 안에 위치한 환경.
 
군제(軍制, Military System)
군사기구의 건설, 관리, 유지, 운용에 관한 제 제도의 총칭.

 

권한위임(權限委任, Delegation of Authority)
지휘관이 자신에게 부여된 과업과 동등한 그의 권한의 일부를 예하 지휘관에게 부여하는 행위.
 
규격서(規格書, Specification; SPEC)
제품 및 용역에 대한 기술적인 요구사항과 요구 필요조건의 일치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절차와 방법을 포함하여 서술한 문서를 말하며, 제품의 성능, 재료형상, 치수, 용적, 색채, 제조, 포장 및 검사방법 등이 포함됨.
 
규정(規程, Regulation)
장기간(최소한 12개월 이상) 시행되는 정책, 지시, 책임사항 및 세부절차에 관한 사항 등을 조문형식으로 수록한 표준간행물.
 
규정휴대량(規定携帶量, Prescribed Load; PL)
편성부대 및 독립중대, 격리된 파견대에서 부대정비를 하기 위하여 보유하여야 할 15일분의 수리부속품과 인가된 특수공구를 유지하여야 할 수량.
 
규제품목(規制品目, Regulated Item)
품목이 희소하고, 고가품이나 또는 취급상 위험상태가 수반됨으로써 고도의 관리기술을 요하기 때문에 각급 사령부 및 보급관리기관에서 저장 및 분배관리면에서 각별한 통제와 감독을 필요로 하는 품목.
 
균형(均衡, Balance)
군비통제방책에 적용되는 개념으로 다음 사항을 의미함.
1.군비통제방책에 동의한 상대국가보다 타 국가가 군사적인 우위를 확보치 않도록 수행되는 군대와 장비의 조절.
2.군비통제 협정 후에 국가안보에 미치는 위협의 전 국면에 대처할 수 있도록 수행하는 군대의 국내적 조절.
 
극한지 작전(極寒地作戰, Cold Weather Operation)
북극 및 준북극지역에서와 같은 매우 추운 지역에서 실시되는 작전.
 
근거리통신망(近距離通信網, Local Area Network; LAN)
지휘소 내부에서 수개의 워크스테이션, 서버, 시스템 컴퓨터 등을 연결하여 자료의 효과적인 교환, 저장 및 관리를 가능케 하는 시스템.
 
근거지(根據地, Base)
유격기지를 중심으로 모든 저항제대를 연결하는 병참지대로서 유격전부대의 영향력이 강하게 미치는 지역.
 
근로동원(勤勞動員, Labor Mobilization)
전시 또는 국가 재건사업에 가용한 노동자 및 기술자를 소집하는 것.

 

근무부대(勤務部隊, Service Troops)
전투부대가 효과적으로 전투임무를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보급, 정비, 의무 및 기타 지원 업무를 담당하는 부대.
 
근무지원(勤務支援, Service Support)
작전을 위한 군수, 인사, 민사지원의 총칭.
 
근접대잠탐색(近接對潛探索, Close ASW Search)
소실된 표적(Lost Contact) 탐색절차로서 잠수함의 위치를 찾는 데 실패했거나 시간이 너무 경과하여 소실된 표적의 탐색이 불가능할 때 잠수함을 탐색하는 특정한 방법.
 
근접무기체계(近接武器體系, Close in Weapon System; CIWS)
대함미사일 방어무기체계로서 공격해 오는 대함미사일을 1,000m 이내의 근거리에서 20㎜ 내지 40㎜ 사이의 소구경포로 격추시키는 고발사율의 무기체계.
 
근접방어사격(近接防禦射擊, Close Defensive Fire)
화력으로 적의 공격의지 및 조직을 파괴하고 공격대형을 와해시키는 등 최대한의 피해를 강요하여 아군 방어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실시되는 사격.
 
근접작전(近接作戰, Close Operations)
적의 주력부대를 격멸하거나 목표를 탈취하기 위하여 기동과 화력을 통합하여 결정적인 시간과 장소에 기습적으로 적보다 우세한 전투력을 집중하여 실시하는 작전.
 
근접전투(近接戰鬪, Close Combat)
지근거리에서 소화기와 총검 및 기타 중화기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전투.
 
근접정비지원(近接整備支援, Close Maintenance Support)
속전속결의 현대전 양상에 부응하여 전투부대의 고장장비에 대한 후송 부담을 없애고 신속하게 장비를 수리 복구할 수 있도록 2계단 정비능력을 갖춘 부대가 가능한 한 입고정비를 지양하고, 전투부대에 근접하여 장비가 고장난 현장에서 실시하는 정비지원.
 
근접지원(近接支援, Close Support)
근거리에서 어떤 화력수단 또는 부대가 다른 화력수단이나 부대에 제공하는 밀접하고도 효과적인 지원활동.
 
근접지원사격(近接支援射擊, Close Supporting Fire)
피지원부대에 근접하여 가장 긴급하고 중대한 위협이 되고 있는 적 부대, 무기 또는 진지를 목표로 실시하는 사격.

 

근접지원통신소(近接支援通信所, Close Support Communication Post)
지역통신소와 지역내 부대 통신소간 간선 및 국부선을 설치 운용함으로써 통신지원 능력의 확대와 근접지원 기능을 수행하는 기동화 및 경량화된 통신소를 말함.
 
근접항공지원작전(近接航空支援作戰, Close Air Support Operation; CAS)
지상군 및 해군의 작전을 지원하기 위하여 아군과 근접하여 대치하고 있는 적을 항공전력으로 제압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작전.
 
금기주파수(禁忌周波數, Taboo Frequencies)
임무수행에서의 중요한 역할 때문에 방해를 특별히 제한하는 주파수로서, 방해 또는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신중을 기해야 함. 예를 들면 우군 조기경보, 방공레이더 주파수, 우군 유도탄 조종주파수, 탐색 및 구조 통신망 등이 있으며 항시 보호해야 함.
 
금지표적(禁止標的, Prohivited Target)
법률이나 조약에 의거 공격이 금지되는 표적으로써 병원, 문화재, 사찰 등이 있음.
 
급속공격(急速攻擊, Hasty Attack)
충분한 공격준비를 갖추지 않은 상태에서 부정확한 첩보에 의하여 적과 접촉시 최소의 계획으로 행군종대로부터 실시하는 공격작전의 형태.
 
급속도하(急速渡河, Hasty River Crossing)
공격기세를 최대한 유지하는 것으로 공격력이 상실 또는 둔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천에서 정지하지 않고 편제상의 도하수단 혹은 급조도하수단을 사용하여 실시하는 작전행동.
 
급속돌파(急速突破, Hasty Breaching)
적의 장애물 또는 장애물 지대를 돌파하는 전술적 방법으로 공격기세를 유지해야 할 때 사용되며, 속도의 중요성으로 인해 통상 화력으로 실시되나, 전투공병 또는 기동부대 단독으로 실시할 경우도 있음.
 
급편방어(急編防禦, Hasty Defense)
통상 적과 접촉중이거나 접적이 긴박하여 편성을 위한 가용시간이 제한될 때 편성되는 방어로서 급편방어시에는 지형의 천연적인 이점을 최대로 이용하여 방어한다는 특징이 있음 .
 
기간편성(基幹編成, Cadre Organization)
부대 증·창설시 증·창설요원에 대한 편성 및 교육을 실시하고 평상시 기본부대의 존속에 필요한 핵심인원만 규정한 편성.
 
기갑부대(機甲部隊, Armmor Unit)
전차를 주축으로 하여 기계화보병, 자주포병, 기계화공병, 기갑수색대대, 육군항공 및 기타 필요로 하는 제병과 부대로 편성된 부대.

 

기계식 소해(機械式掃海, Mechanical Sweep)
소해구와 기뢰와의 물리적인 접촉에 의하여 기뢰 계류색을 절단시키거나 기뢰를 예인하여 안전한 곳으로 이동 또는 폭발시키는 기뢰제거방법.
 
기계화(보병)부대(機械化(步兵)部隊, Mechanization Unit)
장갑차 및 차량으로 기동화된 보병부대가 전투력의 주체가 되어 전차, 포병, 공병 및 기타 제 병과부대로 편성된 부대.
 
기계화보병 전투차량(機械化步兵戰鬪車輛, Mechanized Infantry Combat Vehicle; MICV)
개량된 장갑인력수송차로서 보병전투차량(IFV), 기계화 전투차량(MCV)이라고도 함.
 
기계획 임무(旣計劃任務, Preplanned Mission)
공군의 임무형태의 하나로서 작전계획, 표적 정보 및 이용할 수 있는 공군조직을 기초로 하여 사전에 충분한 협조를 한 후 전구항공통제본부(TACC)의 계획에 의하여 수행되는 임무.
 
기계획 임무요청(旣計劃任務要請, Preplanned Mission Request)
사전에 임무를 계획하고 통합 조정하여 절차에 따라 제출하는 항공지원 요청.
 
기계획 통합 임무 명령서(Prepositional Integrated Tasking Order; Pre-ITO)
초전 3일간 운용되는 종심전투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하여 FB을 중심으로 계획한 연합자산 운용계획서.
 
기계획 항공지원(旣計劃航空支援, Preplanned Air Support)
작전이 시작되기 전에 이미 협조되고 계획된 절차에 따라 실시하는 항공지원.
 
기관(機關, Agency)
국군조직법과 다른 법령에 의하여 설치되는 교육, 연구, 시험, 특수목적의 조사, 수사 또는 재판 등을 주임무로 하는 군사조직.
 
기능체계(機能體系, Functional System)
전투, 전투지원 및 전투근무지원 기능을 통합한 기능 중의 어느 한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인원, 장비, 물자 및 절차를 총칭하는 결합체로서 지휘기능체계와 세부 기능체계로 구분됨.
 
기동 군수지원단(機動軍需支援團, Mobile Logistics Support Group)
해상보급단이나 기동지원단에 의하여 전투함정이나 기지에 군수지원을 하는 해상보급지원 선단.

 

기동(機動, Maneuver)
적에 비하여 보다 유리한 위치에 부대, 물자 또는 화력을 이동시키는 것.
 
기동계획(機動計劃, Scheme of Maneuver)
부대가 부여된 임무를 완수하기 위하여 적에 비하여 보다 유리한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계획으로서, 예·배속부대 등의 기동 및 운용에 관한 계획.
 
기동단대(機動單隊, Task Element)
특수한 과업을 위하여 한 기동분대 지휘관이나 그 이상급 권한자가 편성한 해군 기동분대 예하의 구성단위대.
 
기동방어(機動防禦, Mobile Defense)
적의 공격을 경고하며, 적을 불리한 지형으로 유인하고 저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부대를 전방방어 지역에 배치하고 주력은 결정적인 장소와 시간에 적을 격멸하기 위하여 예비대로서 운용하여 과감한 역습으로 적을 격멸하는 방어형태.
 
기동부대(機動部隊, Maneuvering Forces)
1.특수작전이나 임무의 수행을 목적으로 단일지휘관 아래 편성되는 임시적인 단위대의 결합체(특수임무부대).
2.계속적이고 특정한 임무의 수행을 목적으로 단일지휘관 아래에 편성되는 반영구적인 단위부대들의 편성체.
3.특정된 과업완수를 위하여 기동함대사령관 또는 상급부서 지시에 의하여 편성되는 함대의 한 구성부대.
 
기동분대(機動分隊, Task Unit)
특수과업 수행을 위하여 기동전대 또는 그 상급부대 지휘관이 편성한 해군 기동전대의 구성부대.
 
기동성(機動性, Mobility)
군부대가 고유의 임무를 완수할 능력을 보유한 채 한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능력 또는 특성.
 
기동예비대(機動豫備隊, Mobile Reserves)
예상되는 증원이나 역습을 위하여 유리한 위치에 신속히 이동할 수 있도록 편성된 예비대.
 
기동전(機動戰, Maneuver Warfare)
적의 군사력을 물리적으로 파괴하기 보다는 기동을 통하여 심리적 마비를 추구함으로써 최소의 전투로 결정적 승리를 달성하게 하는 전쟁수행 방식.
 
기동전대(機動戰隊, Task Group)
기동부대 사령관이나 상급 권한자가 편성한 해군기동부대 예하의 구성부대로서 그 예하에 기동분대를 편성할 수 있음.

 

기동지원단(機動支援團, Mobile Support Group)
일정한 묘박지에서 함정과 항해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시설을 가지고 전투부대, 해상보급부대와 육상부대의 시설을 지원하기 위한 군수물자의 지원을 담당하는 부서이며, 멀리 떨어져 있는 전진기지에 대한 지원을 제공함.
 
기동타격부대(機動打擊部隊, Mobile Striking Forces)
어떠한 지역에서나 운용이 가능토록 구성부대에서 차출되는 전투 및 전투지원부대를 포함하는 일반 예비대의 일부.
 
기동편성(機動編成, Task Organization)
작전목적에 따라 명확한 지휘체계를 유지하며 작전소요의 변경에 대처하여 필요한 융통성을 제공하는 부대의 편성.
 
기동함대(機動艦隊, Task Fleet)
계속적인 임무수행을 담당하는 함정 및 항공기로 편성된 기동지휘 조직.
 
기동헬기(機動~機, Airmobile Helicopter)
공중강습작전시 무장병력 및 주요장비 공수를 주임무로 수행하는 헬기로 UH-1, UH-60, CH-47 등이 포함됨.
 
기동형태(機動形態, Forms of Maneuver)
공격작전시 적에 비하여 유리한 위치로 부대 및 그 화력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형태이며 포위, 우회기동, 침투기동, 돌파 및 정면공격 등이 있음.
 
기뢰(機雷, Mine)
『기뢰수뢰』의 준말로 수면 밑에서 폭발하는 장치를 가진 폭약통으로서 부설위치에 따라 계류기뢰, 부유기뢰 및 해저기뢰 등으로 분류하며 감응폭발장치에 따라 접촉기뢰, 압력기뢰, 음향기뢰, 자기기뢰 및 복합기뢰로 분류함.
 
기뢰감시(機雷監視, Mine Watching)
적 기뢰부설 활동을 대상으로 기뢰의 탐지, 위치확인 및 식별을 하는 기뢰대항책의 절차.
 
기뢰대항책(機雷對抗策, Mine Counter Measures)
함정에 대한 기뢰로부터의 위험과 손상을 예방 또는 감소시키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방책.
 
기뢰방발기(機雷放發器, Mine Sterilizer)
기뢰를 설치한 후 예정한 시일이 경과하면 기뢰를 무효화하는 장치로서 우군부대에 의한 차후의 기뢰제거를 순조롭게 하며, 통상 공격용 기뢰부설에 방발장치를 사용함.

 

기뢰부설(機雷敷設, Mine Laying)
미리 계획된 계획에 따라 특정한 해양, 항만, 호수, 강 및 해상교통로에 수상함정, 항공기 또는 잠수함에 의하여 기뢰를 부설하여 전술적 이익을 획득하기 위해서 부설함.
 
기뢰부설함(機雷敷設艦, Mine-Layer)
완전히 조립된 기뢰를 목적지까지 운반하여 부설하는 함정.
 
기뢰원(機雷源, Minefield)
기뢰부설 해역으로서 우군 해역에 부설하였을 때는 방어기뢰원이 되며 적의 수역 또는 적의 침공을 저지해야 할 수역에 부설한 경우는 공격기뢰원이 됨.
 
기뢰전(機雷戰, Mine Warfare)
기뢰의 전략적 및 전술적 활용과 그에 대한 대항책으로서 이는 기뢰부설과 기뢰에 대한 방어를 위하여 가능한 모든 공격적 및 방어적인 방법을 포함함.
 
기뢰탐색(機雷探索, Mine Hunting)
기뢰를 개별적으로 발견하여 정확한 위치를 알아내고 종류를 식별하며, 제거하기 위한 모든 방책. 기뢰제거는 폭발물로 파괴하든가, 기뢰 안전처리 기술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한 소해로써 할 수도 있음.
 
기뢰탐색함(機雷探索艦, Mine Hunting Coastal; MHC)
기뢰대항전 함정의 한 형태로서 성능이 우수한 기뢰탐색 음탐기를 이용, 기뢰원을 정밀 탐색하고 정보를 획득, 전시, 타 함정에 제공하며 무인기뢰처리기 및 재래식 소해구로 기뢰를 처리 및 탐색하는 함정.
 
기뢰형(機雷型, Mine Types)
1.음향기뢰(acoustic mine)
표적함에서 나오는 음향에 의해 발화장치가 작동되는 감응기뢰.
2.해저기뢰(bottom mine)
뜨지 않고 해저에 부설되도록 설계된 감응기뢰.
3.접촉기뢰(contact mine)
표적함에 접촉됨으로써 발화장치가 작동되는 기뢰.
4. 부유기뢰(drifting mine)
부설된 후에 파도, 해류, 조류 및 바람에 의해 자유로이 이동되도록 설계된 기뢰. 국제법상에 부유기뢰는 부설후 1시간 이내에 작동할 수 없게 되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음.
5. 자기기뢰(magnetic mine)
표적함에서 나온 자장신호에 의하여 발화되도록 만들어진 기뢰.
6.계류기뢰(moored mine)
닻에 연결된 케이블에 의하여 일정한 수심에 계속 계류되도록 장치된 기뢰.
7.압력기뢰(pressure mine)
표적함이 통과할 때 변화되는 수압에 의하여 발화장치가 작동되도록 설계한 감응기뢰.
 
기만(欺瞞, Deception)
상대방의 상황인식에 영향을 줌으로써 상대방이 어떤 행동을 하거나 또는 하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서, 조작, 왜곡, 징후의 변조를 통하여 상대방에게 해로운 방향으로 반응토록 유도함으로써 상대방이 판단을 잘못하게 하도록 고안된 수단. 군에서는 군사기만을 사용함.
 
기만작전(欺瞞作戰, Deception Operation)
아군의 작전의도, 능력, 배치 등을 적에게 오판하도록 유도하여 적을 아군의 의도대로 유인하거나 적의 기도를 사전에 포기하게 하는 계획적인 작전활동을 말하며, 기만방법에는 양공, 양동, 계략, 허식 등이 있으며, 지휘관은 이들간에 상호보완이 이루어지도록 통합운용하여야 함.
 
기만전파방해(欺瞞電波妨害, Deception Jamming)
적이 전자전 지원책에 의해 획득한 정보가 실제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적이 그 정보를 틀림없는 것으로 믿고 행동하도록 하여 전술적 과오를 범하게 되어 적의 값비싼 전파방해장비를 헛되게 사용토록 유지하는 것.
 
기만지뢰지대(欺瞞地雷地帶, Deception Minefield)
지뢰와 유사한 모형을 매설하거나 혹은 지뢰를 매설한 것처럼하여 적이 광범위한 지뢰지대를 오인하게 할 목적으로 설치된 지뢰지대.
 
기밀실(機密室, War Room)
상황도 또는 도표식 현황 및 기타 요구되는 관계사항을 유지하는 사령부급의 별실로서 이곳에서 상황 브리핑 및 회의가 실시되며, 보안유지를 위해 일반인의 접근을 통제함.
 
기복(起伏, Relief)
능선, 계곡, 산악 등과 같은 지면의 고저형상을 지도에 표시한 것 또는 지면의 고저상태.
 
기복지도(起伏地圖, Accident Relief Map)
플라스틱면에 인쇄되어 입체모형을 이루고 있는 지형도로서 지형도에 들어 있는 것과 같은 첩보를 입체적으로 나타냄.
 
기본 전술단위부대(基本戰術單位部隊, Basic Tactical Unit)
독립적인 전술임무를 수행할 능력이 있는 기본단위부대. 보병대대는 보병의 기본 전술단위부대임.
 
기본 전투단위부대(基本戰鬪單位部隊, Basic Combat Unit)
독립적인 전투임무를 수행할 능력이 있는 기본단위부대. 보병중대는 보병의 기본 전투단위부대임.
 
기본결심(基本決心, Basic Decision)
상륙작전에 대한 세부 계획수립에 들어가기 전에 상륙기동부대 내의 최상급 제대에서 행하는 결심.
 
기본불출품목(基本拂出品目, Basic Issue Item; BII)
무기체계/완제품의 운용을 위하여 구성하고 있는 부수품, 부수장치, 결합체와 1단계 정비용 공구 및 보급품, 예비 수리부속 등.
 
기본전투개념(基本戰鬪槪念, Basic Combat Concept)
부여된 목표달성을 위하여 현재 및 장차전에서 적과 “어떻게 싸워야 할 것인가" 하는 개념으로서 각 부대가 지향해야 할 전투수행의 기본개념.
 
기본정보(基本情報, Basic Intelligence)
적의 능력, 자원 또는 예상 작전지역 분석에 필요한 일반적인 참고자료.

 

기본화기(基本火器, Primary Weapon)
전투부대가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화기, 즉 소총중대의 기본화기는 소총(M16)이며 조종사의 기본화기는 권총임.
 
기본휴대량(基本携帶量, Basic Load; B/L)
개인 또는 편제부대가 항시 보유하도록 인가된 탄약의 양(量)으로서 화기당 발수 또는 부대당 수량으로 표시됨.
 
기상요소(氣象要素, Meteorological Elements)
어느 지역에 있어서 어느 시간의 기상특성을 표현하는 요소로서 이를 정확히 표현하려면 많은 요소들이 포함되나 그중 중요한 요소들은 풍향, 풍속, 기온, 기온경도, 습도, 강수, 구름, 강설, 기압 등이며 화학작용제 운용에 직접 관계하는 기상요소로써 가장 중요한 것은 풍향, 풍속, 기온, 기온경도 및 습도임.
 
기상정보(氣象情報, Weather Intelligence)
기상첩보를 해석하여 얻어진 결론으로서 아군의 작전이나 지형 또는 적의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술된 정보.
 
기상첩보(氣象諜報, Weather Information)
대기상태에 대한 불확실한 지식으로서 기후첩보, 기상예보, 현기상 보고, 기상개요 등은 여기에 해당됨.
 
기선(機先, Initiative)
최초로 행동하는 힘으로써 적이 공격이나 행동을 하기 전에 먼저 이를 공격 또는 행동하여 주도적(主導的) 위치에서 적을 제압하는 작전행동.
 
기술교범(技術敎範, Technical Manual; TM)
군의 주요장비 및 물자의 사용을 위한 설치, 운영, 점검, 정비 등에 관한 지식과 이에 필요한 수리부속품, 특수공구 목록 및 각종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기본원리에 대한 운용지침서 및 절차를 지시하는 발간물.
 
기술도입생산(技術導入生産, Production by Technical Transfer)
외국에서 개발되어 실용화된 무기체계를 외국의 원제작업체와 기술협력에 의하여 생산권한을 양도, 대여 또는 지원 하에 생산하는 것을 말하며, 기술도입생산의 세부형태는 공동생산, 면허생산, 조립생산으로 구분함.
 
기술시험(技術試驗, Development Test)
시제품에 대한 기술상의 성능(신뢰도, 가용도, 보전도, 적합성, 호환성, 안전관계와 지원 요소 등)을 측정하고 설계상의 중요한 모든 문제점이 해결되었는가를 확인하는 시험을 말하며 선행기술시험(DT1)과 실용기술시험(DT2)으로 구분함.
 
기술시험평가(技術試險評價, Development Test and Evaluation)
체계개발단계에서 제작된 시제품에 대하여 기술상의 성능(신뢰도·정비유지성·적합성·호환성·내환경성·안전성 등)을 측정하고 설계상의 중요한 문제점이 해결되었는가를 확인 평가하여 무기체계 획득과정에 있어서 기술적 개발목표가 충족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시험.

 

기술정보(技術情報, Technical Intelligence; TECHINT)
기술정보란 군사목적을 위하여 현재나 미래에 적용될 외국 및 적국의 기술개발 내용과 이러한 기술에 의해 생산된 물자의 작전능력에 관한 정보를 말함.
기술정보의 대상은 광범위하며 진행중인 군사작전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거나 향후 실질적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연구개발중인 모든 분야의 외국 및 적국의 장비, 보급품, 설비, 시설물, 무기체계의 기술적 특성, 성능, 강·약점, 생산기술, 정비기술 등에 관련된 기술 등이 포함됨.
 
기술첩보(技術諜報, Technical Information)
탄약의 정비와 또는 다른 군대 보급품과 장비에 관련되는 조사, 연구개발, 공학, 시험, 평가, 생산, 운용 및 사용 등에 과학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첩보.
 
기술평가(技術評價, Technical Evaluation)
군사목적에 사용하기 위한 물자 또는 제도에 대하여 기술적인 적합성 여부를 전문기관에서 평가하는 것.
 
기습(奇襲, Surprise)
적이 예상하지 못한 시간, 장소, 수단, 방법으로 타격하는 것을 뜻하며, 비록 알았다 하더라도 적이 계획한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도록 더욱 빠르게 적을 타격함으로써 기습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
 
기습노출량공격(奇襲露出量攻擊, Surprise Dosage Attack)
화학공격표적 인원에 대하여 방독면을 착용하기 전에 충분한 노출량으로 요망 사상자를 내기 위하여 15초 이내 또는 30초 이내에 화학탄으로 공격하는 것을 말함.
 
기온경도(氣溫傾度, Temperature Gradient)
두 공기층에 있어서의 기온차이를 나타낸 것으로서 지상 4m의 기온과 지상 0.5m에서 측정된 기온을 비교함으로써 결정함. 화학작용제 효과계산에 있어서 기온경도 예측은 역전, 체감 및 중립상태로 구분함.
 
기준교리(基準敎理, Basic Doctrine)
군사기본교리를 기초로 하여 인사·정보·작전·군수·기획·C4I체계 등 합동참모기능체계에 따라 분류된 합동교리를 말함.
 
기준부대(基準部隊, Basic Unit)
전술작전에 있어서 이동 또는 기동의 계획 및 실시의 핵심이 되는 부대 또는 편성체.
 
기지(基地, Base)
1. 각종 작전이 계획되고 지원되는 지역.
2. 각종 지원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지역.
 
기지관제권(基地管制圈, Base Control Zone)
관제탑을 중심으로 지표로부터 특정고도까지의 통상 5NM 반경의 항공관제를 위해 설정된 공역.

 

기지방어(基地防禦, Base Defense)
전시 및 평시를 막론하고 적의 공격 또는 파괴행위로부터 그 효과를 제압하거나 감소시켜 부대의 임무 및 기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군사방책으로서 기지단위 독립작전으로 수행됨.
 
기지제원점(旣知諸元點, Known Datum Point; KDP)
1.조준감사 및 포방열을 위하여 일정한 거리 및 고도에 선정한 조준점.
2.나이키 표적추적 레이더에 진북방위각을 장입하기 위하여 기측지되어 제원을 알고 있는 조준점.
 
기파(磯波, Surf)
풍랑이 연안에 가까워지면 해저의 영향을 받아서 일반적으로 파장이 짧아짐과 동시에 파고가 높아져 점차 파장의 전면 경사가 급해져 생기는 현상.
 
기함(旗艦, Flag Ship)
제독 또는 단위부대 지휘관이 승함하여 그 개인기를 게양하고 지휘하는 함정.
 
기획(企劃, Planning)
1.예상되는 위협을 분석하여 국방목표를 설정하고, 대응전략 수립 및 군사력 소요를 제기하며, 적정수준의 군사력을 효과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제반정책을 수립하는 과정.
2.제 문제에 대하여 미래를 예측하고 구상하며, 목표를 설정하고 대체행동방안을 선택하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자원을 배분하는 계속적인 과정.
 
기획, 계획, 예산제도(企劃, 計劃, 豫算制度, Planning Programming Budgeting System; PPBS)
장기적인 계획수립과 단기적인 예산편성을 유기적으로 관련시킴으로써 자원배분에 대한 의사결정을 일관성 있게 합리적으로 행하려는 제도.
 
기획명령(企劃命令, Planning Order)
1.시행기획의 착수를 지시하는 합참의장의 명령으로서, 통상 지휘관 판단 이후에 발령된다. 국가통수기구에서 방책을 선정하기 전에 이 명령이 발령될 경우, 합참의장의 경고명령으로 갈음함.
2.국가통수기구에서 방책을 승인하기 전에 필수적인 기획지침을 하달한 후 기획의 착수를 지시하기 위해 발령하는 명령.
 
긴급 재보급(緊急再補給, Emergency Resupply)
침투된 작전제대와 특전지휘소 간에 약정된 기간 내에 통신개소가 이루어지지 못했을 경우에 실시되는 기계획 재보급 제도로서 침투 직후 또는 작전기간 중에 실시.
 
긴급동원(緊急動員, Emergency Mobilization)
긴급한 상황 혹은 정상동원이 불가능할 때 해당지역 사령관이 소요되는 물자 및 인원에 대하여 관할 시·도지사에게 요청하고 시·도지사는 이를 검토하여 동원명령을 한 후 지체 없이 행정자치부장관에게 보고하여 사후승인을 얻는 동원방법.
 
긴급보급품(緊急補給品, Critical Supplies)
함안이동 초기에 보충보급을 위한 긴급요소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지휘관이 사전에 계획한 보급품으로 육상부대에 즉각적인 보급이 가능해야 하며, 긴급보급품은 해상덤프와 헬기수송 긴급보급품으로 구분됨.

 

긴급임무(緊急任務, Immediate Mission)
사전에 예기치 못한 적의 목표에 대하여 지·해상군의 긴급항공 지원요청으로 최소 2시간 후에 항공작전이 수행되는 공군의 임무형태.
 
긴급잠항(緊急潛航, Emergency Deep)
잠항상태에서 필요에 의해 잠망경 심도로 부상중 접근선박 또는 어떤 물체와의 충돌 회피나 기타 필요에 의해 긴급히 잠수함 심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때 실시하는 잠항.
 
긴급전보(緊急電報, Immediate)
국가 및 연합군의 안전에 영향을 미칠 사항에 관계되는 내용을 수록한 전보. 위급전보 다음의 우선순위를 가지며, 취급소요시간은 60분임.
 
긴급추적권(緊急追跡權, Right of Hot Pursuit)
연안국의 영해(또는 접속수역이나 경제수역 등 관제수역)에서 타국 선박이 연안국의 국내법을 위반한 경우에 연안국의 군함이 위반선박을 공해에까지 계속 추적하여 나포할 수 있는 권리.
 
긴급피난(緊急避難, Right of Necessity)
국가가 자국에 대한 급박한 위난을 피하기 위해서 부득이 타국의 법익을 침해하는 행위이나 국제법상의 적법행위로 인정됨.
 
긴급항공지원(緊急航空支援, Immediate Air Support)
사전에 계획된 바 없이 전투수행중 긴급요청에 의해서 지원되는 항공지원.
 
긴요소요부족목록(緊要所要不足目錄, Critical Requirement Deficiency List; CRDL)
전시 초기 30일간 한국군 군수지원 부족물자에 대한 미국 측의 잠정지원 가용물자 목록으로서 매년 갱신되는 목록.
 
긴요품목(緊要品目, Critical Item)
부대 또는 장비의 임무수행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품목으로서 전투긴요, 전투필수 및 임무 필수품목 등으로 구분할 수 있음.